KR20110030193A - 위생 도기 급수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도기 급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193A
KR20110030193A KR1020090088215A KR20090088215A KR20110030193A KR 20110030193 A KR20110030193 A KR 20110030193A KR 1020090088215 A KR1020090088215 A KR 1020090088215A KR 20090088215 A KR20090088215 A KR 20090088215A KR 20110030193 A KR20110030193 A KR 20110030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space
sanitary war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엠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엠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에스엠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8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0193A/ko
Priority to PCT/KR2010/006198 priority patent/WO2011034314A2/ko
Publication of KR2011003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 E03D3/06Self-closing flushing valves with diaphragm valve and pressure chamber for retarding the valve-closing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2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 F16K11/2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with an actuating member for each valve, e.g. interconnected to form multipl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41Multiple-way valves the valve member being a diaphrag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40Devices for distribution of flush water inside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 도기 급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 시 역류 방지 및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고,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위생 도기 급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위생 도기 급수 장치는, 위생 도기(200)에 수용되는 물이 공급되는 입수부(120)와, 상기 입수부(120)로 공급된 물을 상기 위생 도기(200)로 공급하는 급수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생 도기(200)의 급수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110)는 상기 입수부(120)와 연통되어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111); 대기와 연통되어 개폐 가능한 연통부(113)가 일측에 구비되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114)에 의해 상기 제1공간(111)과 구분되어 물이 수용되는 제2공간(112); 상기 다이어프램(114) 상에 형성된 통공(115)에 관통 구비되어 상기 통공(115)을 개폐하는 슬라이드핀(117);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이어프램(114)이 구비되는 위치에 상기 제1공간(111)과 연통되는 유로(116)가 형성되어, 상기 연통부(113)가 개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14)이 상기 제2공간(112) 쪽으로 후퇴 시 상기 유로(116)가 개방되어 상기 위생 도기(200)로의 급수가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핀(117)이 이동하여 상기 통공(115)을 개방하여 상기 제1공간(111)과 상기 제2공간(112)이 연통되며, 상기 연통부(113)가 폐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14)이 복귀 시 상기 유로(116)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생 도기, 급수 장치, 연통부

Description

위생 도기 급수 장치 {Water-Supply Apparatus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위생 도기 급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 수동 급수가 가능하도록 파이프를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림/제트 측을 대기압과 관통되도록 하여 밸브의 개방을 유도하는 위생 도기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생 도기는 오물이 수용되는 보울(bowl) 부분에 항상 잔류수가 고여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오물 배출 및 보울 세정 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위생 도기에 구비되는 급수 장치는, 보울 내부에 부착된 오물이나 이물질을 세정하기 위하여 보울 표면 전체적으로 회전 물살(tornado)을 일으키는 림 급수부와, 보울 내부의 오물을 오수조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수구 쪽으로 물을 흐르게 하는 제트 급수부로 구분된다. 구형 위생 도기의 경우에는 림 급수부만이 구비되어 있기도 하나, 절수 등의 목적을 위하여 현재에는 림 급수부와 제트 급수부가 모두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위생 도기의 급수 장치는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등의 부품을 이용하여 급수를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급수 장치에서는 급수하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 밸브 내의 압력을 내리기 위하여 물이 배출되어야 하는데, 이 과 정에서 물이 튀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수를 목적으로 림 급수부와 제트 급수부의 급수를 조절하여 제어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나, 종래의 급수 장치는 이러한 조정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가능하다 하더라도 해당 위생 도기에 접근해서만이 조작이 가능하고 원격지에서의 조정이나 일괄 조정 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형 건물 등과 같은 곳에서 다수 개의 위생 도기를 관리함에 있어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0685508호("변기 장치", 이하 선행기술1)에는 필요한 경우에 필요한 변기 세정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림 급수부 및 제트 급수부에의 급수를 행하는 급수 수단과, 상기 급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변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변을 배출하는 변기 세정 모드와 그 외에 2 이상의 변기 세정 모드를 가지고, 상기 2 이상의 변기 세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가 구비되는 변기 장치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1에서는 림과 제트 측 동시 급수를 전자식/수동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동 급수 장치가 변기에 물리적으로 근접 연결되어 기계적 작동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다수 개의 변기를 일괄 관리하기 위한 원격 조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4-308261호("변기 급수 장치", 이하 선행기술2)에서도 상기 선행기술1과 유사한 목적으로서, 자동으로 세척을 행하는 경우의 볼 급수, 트랩 급수의 세척 시퀀스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수동 조작으로 볼 및 트랩으로의 급수가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청소 시의 조작이 편리하도록, 변기 볼부에 세척수를 급수하는 파일럿 조작에 의하여 개폐 조작 되는 제1 개폐 밸브와, 변기 트랩부에 세척수를 급수하는 파일럿 조작에 의하여 개폐 조작 되는 제2 개폐 밸브와, 제1, 2 개폐 밸브를 수동 조작하기 위한 제3, 4 개폐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동 조작 핸들을 초기 상태로부터 일방향에 회동하는 것에 의해 제3 개폐 밸브를 작동하고 제1 개폐 밸브를 개변하고, 상기 일방향과 반대측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제4 개폐 밸브를 작동하고 제2 개폐 밸브를 개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급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2는 상기 선행기술1과 그 목적이 유사하나 그 구성을 달리하고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2 역시 원격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점에 있어 선행기술1과 마찬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 시 역류 방지 및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고,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위생 도기 급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위생 도기 급수 장치는, 위생 도기(200)에 수용되는 물이 공급되는 입수부(120)와, 상기 입수부(120)로 공급된 물을 상기 위생 도기(200)로 공급하는 급수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생 도기(200)의 급수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110)는 상기 입수부(120)와 연통되어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111); 대기와 연통되어 개폐 가능한 연통부(113)가 일측에 구비되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114)에 의해 상기 제1공간(111)과 구분되어 물이 수용되는 제2공간(112); 상기 다이어프램(114) 상에 형성된 통공(115)에 관통 구비되어 상기 통공(115)을 개폐하는 슬라이드핀(117);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이어프램(114)이 구비되는 위치에 상기 제1공간(111)과 연통되는 유로(116)가 형성되어, 상기 연통부(113)가 개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14)이 상기 제2공간(112) 쪽으로 후퇴 시 상기 유로(116)가 개방되어 상기 위생 도기(200)로의 급수가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핀(117)이 이동하여 상기 통공(115)을 개방하여 상기 제1공간(111)과 상기 제2공간(112)이 연통 되며, 상기 연통부(113)가 폐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14)이 복귀 시 상기 유로(116)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급수 장치(100)는 상기 급수부(110)가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한 쌍의 상기 급수부(110)는 상기 입수부(12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하나의 상기 급수부(110)는 상기 위생 도기(200)의 림(rim) 측으로, 나머지 하나의 상기 급수부(110)는 상기 위생 도기(200)의 제트(jet) 측으로 급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 장치(100)는 파이프 또는 호스를 포함하는 연결 부품에 의해 상기 연통부(113)와 연결되어 원거리에서 상기 연통부(113)의 개폐를 수행하는 제어 밸브(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어 밸브(130)는 한 쌍의 상기 연통부(113)와 연결되어, 림 또는 제트로 선택적 급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밸브(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급수 장치(10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 시 다이아프램 상부가 대기와 연통되도록 하여 압력을 강하시키도록 함으로써 급수 시 역류 및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해 주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생 도기의 급수에 있어 수동 및 자동의 선택적 조작에 의한 림 급수부와 제트 급수부의 선택적인 급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절 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선택적 급수 제어를 원거리에서 가능하게 해 주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위생 도기 급수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 개의 위생 도기를 일괄 관리하는 등과 같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 주는 큰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위생 도기 급수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급수 장치 및 위생 도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위생 도기(200)에는 일반적으로 림(rim) 측과 제트(jet) 측으로 급수되게 되는데, 림 측으로 공급되는 물은 보울 표면 전체적으로 회전 물살을 일으켜 보울 내부에 부착된 오물이나 이물질을 세정하게 되며, 제트 측으로 공급되는 물은 배수구 쪽으로 물을 흐르게 하여 보울 내부의 오물을 오수조로 배출시킨다. 구형 위생 도기의 경우에는 림 측으로만 급수되는 경우도 있으나, 특히 비데 일체형으로 된 위생 도기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림 측과 제트 측, 두 군데로 급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급수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급 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급수 장치(100)는 상기 위생 도기(200)에 급수를 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생 도기(200)에 수용되는 물이 공급되는 입수부(120)와, 상기 입수부(120)로 공급된 물을 상기 위생 도기(200)로 공급하는 급수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급수부(110)는 상기 입수부(120)와 연통되어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111); 및 대기와 연통되어 개폐 가능한 연통부(113)가 일측에 구비되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114)에 의해 상기 제1공간(111)과 구분되는 제2공간(11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급수 장치(100)에서는, 상기 다이어프램(114)이 구비되는 위치에 상기 제1공간(111)과 연통되는 유로(116)가 형성되어, 상기 연통부(113)가 개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14)이 상기 제2공간(112) 쪽으로 후퇴 시 상기 유로(116)가 개방되어 상기 위생 도기(200)로의 급수가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핀(117)이 이동하여 상기 통공(115)을 개방하여 상기 제1공간(111)과 상기 제2공간(112)이 연통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연통부(113)가 폐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14)이 복귀 시 상기 유로(116)가 폐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통부(113)는 대기와 연통되어 있는데, 상기 연통부(113)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공간(112)에 물이 차 있게 되며, 상기 제1공간(111) 및 상기 제2공간(112) 내의 압력이 동일하게 된다. 이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핀(117)이 상기 다이어프램(114)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통공(115)을 핀 머리 부분으로 막아 폐쇄하고 있을 수도 있고, 또는 개방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통부(113)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공간(111) 및 상기 제2공간(112) 내의 압력이 동일하므로, 상기 다이어프램(114)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유로(116)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위생 도기(200)로 물이 유통되지 않게 된다.
이 때, 상기 연통부(113)가 대기와 연통되게 되면, 상기 제1공간(111)에서는 상기 입수부(120)로부터 공급되는 물 때문에 소정의 수압이 유지되는 반면, 상기 제2공간(112)의 압력은 대기압 수준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공간(111) 및 상기 제2공간(112)의 압력이 서로 달라지면, 이 두 공간을 구분하고 있는 상기 다이어프램(114)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 형상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공간(111) 쪽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상기 다이어프램(114)은 상기 제2공간(112) 쪽으로 후퇴하는 형태로 형상 변형이 일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114)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던 상기 유로(116)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간(111)과 상기 유로(116)가 연통되게 되며, 상기 입수부(120)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유로(116)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위생 도기(200)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제2공간(112) 내의 압력이 낮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핀(117)이 밀려나 상기 다이어프램(114)의 상기 통공(115)을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통공(115)을 통해 상기 제2공간(112)으로 물이 공급되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연통부(113)가 다시 폐쇄되게 되면, 상기 통공(115)을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제2공간(112)에 물이 수용되게 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제2공간(112)과 상기 제1공간(111)의 압력차가 점점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114)은 다 시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며, 따라서 상기 제1공간(111)과 연통되던 상기 유로(116)가 다시금 폐쇄되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상기 제1공간(111)과 상기 제2공간(112) 내부 압력이 동일해지고 상기 유로(116)가 폐쇄됨으로써 상기 위생 도기(200)로의 급수가 정지된 상태로 돌아와 이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핀(117)은 상기 연통부(113)의 개폐에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핀(117)의 핀 머리에 의해 상기 통공(115)이 개폐된다. 역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2공간(112)의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핀(117)이 이동하여 상기 통공(115)이 확실히 폐쇄되게 되고, 이에 따라 역류에 의한 악취가 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급수 장치(100)는 상기 연통부(113)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급수부(110)에서의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때, 상기 급수 장치(100)는 상기 급수부(110)를 한 쌍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데 일체형으로 생산되는 위생 도기의 경우에는 림 측과 제트 측, 양측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위생 도기에는 림 측 급수부와 제트 측 급수부가 각각 구비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급수 장치(100)에 상기 급수부(110)가 한 쌍이 구비되면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상기 급수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입수부(12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하나의 상기 급수부(110)는 상기 위생 도기(200)의 림(rim) 측으로, 나머지 하나의 상기 급수부(110)는 상기 위생 도기(200)의 제트(jet) 측으로 급수를 수행하도록 한다. 한 쌍의 상기 급수부(110)가 상기 입수부(12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압력이 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또한 미관상, 설계상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급수 장치(100)는 또한, 파이프 또는 호스를 포함하는 연결 부품에 의해 상기 연통부(113)와 연결되어 원거리에서 상기 연통부(113)의 개폐를 수행하는 제어 밸브(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급수 장치에 구비되는 제어 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급수 장치에 구비되는 제어 밸브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밸브(130)는 상기 연통부(113)와 파이프, 호스 등과 같은 연결 부품에 의해 연결되어, 원거리에서 상기 연통부(113)의 개폐를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때 상기 제어 밸브(130)의 동작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등, 설계자의 의도나 목적에 따라 자유로이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급수 장치(100)에 상기 급수부(110)가 한 쌍 설치되는 경우, 한 쌍의 상기 연통부(113)와 연결되어, 림 또는 제트로 선택적 급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밸브(130)의 동작에 따라 림 및 제트 측 모두로 급수를 수행하거나, 림 또는 제트 측 둘 중 하나만으로의 급수를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한 순서에 따라 수행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130)는 단지 상기 연통부(113)의 개폐만을 조절하면 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통부(113)와 각각 연통되 는 통공이 형성된 몸체와, 대기와 연통되는 통공기 형성된 놉(knob)으로 이루어져, 놉의 회전에 따라 몸체 및 놉의 각 통공들이 나란하게 위치할 경우 개방이 이루어지고 그렇지 않을 경우 폐쇄되게 되는, 매우 단순한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도 4 및 도 5로써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통부(113)를 원거리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구조라면 상기 제어 밸브(130)는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 때, 상기 제어 밸브(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급수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130)가 다수 개의 상기 급수 장치(100)와 연결될 경우, 상기 제어 밸브(130)의 동작에 따라 다수 개의 상기 급수 장치(100)가 동일하게 작동되게 된다. 예를 들어 다수 개의 위생 도기(200)가 설치된 공중 화장실 같은 경우, 종래에는 일괄적인 급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급수 장치(100)를 채용할 경우 일괄적인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급수 장치 및 위생 도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급수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급수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급수 장치에 구비되는 제어 밸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급수 장치에 구비되는 제어 밸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의한) 급수 장치
110: 급수부
111: 제1공간
112: 제2공간
113: 연통부
114: 다이어프램
115: 통공
116: 유로
117: 슬라이드핀
120: 입수부
130: 제어 밸브
200: 위생 도기

Claims (6)

  1. 위생 도기(200)에 수용되는 물이 공급되는 입수부(120)와, 상기 입수부(120)로 공급된 물을 상기 위생 도기(200)로 공급하는 급수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생 도기(200)의 급수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110)는
    상기 입수부(120)와 연통되어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111);
    대기와 연통되어 개폐 가능한 연통부(113)가 일측에 구비되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114)에 의해 상기 제1공간(111)과 구분되어 물이 수용되는 제2공간(112);
    상기 다이어프램(114) 상에 형성된 통공(115)에 관통 구비되어 상기 통공(115)을 개폐하는 슬라이드핀(117);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이어프램(114)이 구비되는 위치에 상기 제1공간(111)과 연통되는 유로(116)가 형성되어,
    상기 연통부(113)가 개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14)이 상기 제2공간(112) 쪽으로 후퇴 시 상기 유로(116)가 개방되어 상기 위생 도기(200)로의 급수가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핀(117)이 이동하여 상기 통공(115)을 개방하여 상기 제1공간(111)과 상기 제2공간(112)이 연통되며,
    상기 연통부(113)가 폐쇄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14)이 복귀 시 상기 유로(116)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도기 급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장치(100)는
    상기 급수부(110)가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도기 급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급수부(110)는
    상기 입수부(12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하나의 상기 급수부(110)는 상기 위생 도기(200)의 림(rim) 측으로, 나머지 하나의 상기 급수부(110)는 상기 위생 도기(200)의 제트(jet) 측으로 급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도기 급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장치(100)는
    파이프 또는 호스를 포함하는 연결 부품에 의해 상기 연통부(113)와 연결되어 원거리에서 상기 연통부(113)의 개폐를 수행하는 제어 밸브(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도기 급수 장치.
  5. 제 2항 및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130)는
    한 쌍의 상기 연통부(113)와 연결되어, 림 또는 제트로 선택적 급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도기 급수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급수 장치(10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도기 급수 장치.
KR1020090088215A 2009-09-17 2009-09-17 위생 도기 급수 장치 KR20110030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215A KR20110030193A (ko) 2009-09-17 2009-09-17 위생 도기 급수 장치
PCT/KR2010/006198 WO2011034314A2 (ko) 2009-09-17 2010-09-13 위생 도기 급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215A KR20110030193A (ko) 2009-09-17 2009-09-17 위생 도기 급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193A true KR20110030193A (ko) 2011-03-23

Family

ID=4375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215A KR20110030193A (ko) 2009-09-17 2009-09-17 위생 도기 급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30193A (ko)
WO (1) WO201103431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626B1 (ko) * 2022-06-15 2023-10-20 전옥 비데용 급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4787B (zh) * 2019-03-29 2020-02-18 宜宾三江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三位三通电磁控制阀总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214A (ja) * 2002-03-26 2003-10-02 Inax Corp フラッシュバルブ
KR200297671Y1 (ko) * 2002-07-22 2002-12-12 유창근 무소음 볼탭
CN100342093C (zh) * 2002-09-25 2007-10-10 东陶机器株式会社 便器装置
KR100776873B1 (ko) * 2006-12-26 2007-11-16 손현자 양변기의 급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626B1 (ko) * 2022-06-15 2023-10-20 전옥 비데용 급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4314A3 (ko) 2011-08-04
WO2011034314A2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5721B2 (en) Toilet bowl device
KR101642101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밸브
KR20080045251A (ko) 수세식 대변기
WO2005106141A1 (en) Jet pump and toilet stool having rim side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757863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CN109098243B (zh) 一种带有简易冲刷装置的马桶及马桶冲洗方法
KR20150131675A (ko) 철도차량의 급수시스템
KR20100006840U (ko) 비데의 노즐 세척유닛
KR20110030193A (ko) 위생 도기 급수 장치
KR101208146B1 (ko)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장치
KR101057793B1 (ko) 개폐 밸브를 이용한 리모컨식 직수형 양변기
KR200409455Y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관붙이 앵글밸브
JP5906437B2 (ja) 便器装置
KR200439371Y1 (ko) 물 절감 좌변기
JP2016089429A (ja) 湯水混合水栓装置
KR101573046B1 (ko) 도기 일체형 비데의 수동 세척장치
KR20180078387A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KR200262753Y1 (ko) 수세식 절수 변기
KR20100009972U (ko) 절수형 변기 수조
KR101642100B1 (ko) 역류방지 기능이 구비된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밸브
KR200197292Y1 (ko) 물탱크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101639790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KR200432084Y1 (ko)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KR102604477B1 (ko) 변기 물내림 장치
JP6497499B2 (ja) 湯水混合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