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477B1 - 변기 물내림 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물내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477B1
KR102604477B1 KR1020220004147A KR20220004147A KR102604477B1 KR 102604477 B1 KR102604477 B1 KR 102604477B1 KR 1020220004147 A KR1020220004147 A KR 1020220004147A KR 20220004147 A KR20220004147 A KR 20220004147A KR 102604477 B1 KR102604477 B1 KR 102604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jet
control valve
water
jet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8563A (ko
Inventor
윤도영
이호영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4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477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내림 시 림 배수와 제트 분사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도기 내부를 깨끗이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 물 내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된 직수를 림측 또는 제트측으로 선택 공급하기 위한 제어밸브들(1)(2)과, 상기 제어밸브(림측)(1)와 저수조(7)의 림 배수구(5)을 연결하는 림 수로(3)와, 상기 제어밸브(제트측)(2)와 저수조(7)의 제트 분사구(6)를 연결하는 제트 수로(4)와, 물내림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밸브들(1)(2)을 제어하기위한 PCB로 이루어진 변기 물내림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당기면 변기 본체(8)로 유입된 직수가 저수조(7) 내로 배수되어지는데, 상기 제어밸브(림축)(1)가 개방되어 림 배수구(5)에서 토출된 물은 저수조(7)의 벽면을 타고 토네이도처럼 흘러내리는 1차 림 배수과정과,
1차 림 배수 후 상기 제어밸브(림측)(1)은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제트측)(2)은 개방되어, 제트 분사구(6)에서 토출된 물은 오물을 밀어올려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1차 제트 분사과정과,
1차 제트 분사 후 상기 제어밸브(제트측)(2)은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림측)(1)은 개방되어, 림 배수구(5)에서 토출된 물은 저수조(7)의 벽면을 타고 토네이도처럼 흘러내리는 2차 림 배수과정과,
2차 림 배수 후 상기 제어밸브(림측)(1)은 다시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제트측)(2)은 개방되므로, 제트 분사구(6)에서 토출된 물은 2차 림 배수 시 저수조(7) 벽면에서 제거된 미세입자들을 오물의 잔량과 함께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2차 제트 분사과정과,
2차 제트 분사 후 상기 제어밸브(제트측)(2)은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림측)(1)은 개방되므로, 림 배수구(5)에서 토출된 물은 저수조(7)의 일정 수위에 이르도록 충분히 보충되는 3차 림 배수과정으로 수행되어지되,
제트 분사가 연속적으로 이어지지않고 중간에 2차 림 배수가 삽입되어 단속적으로 수행되며, 전 과정에 걸쳐 림 배수와 제트 분사가 중복되지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기 물내림 장치 {Toilet flushing device}
본 발명은, 물 내림 시 림 배수와 제트 분사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도기 내부를 깨끗이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 물 내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비 세척을 위한 초기 림 배수와 잔수 보충을 위한 종기 림 배수 사이에 고 수압으로 오물을 밀어내기 위한 제트 분사구간을 배치하되, 제트 분사 구간은 중간에 잠시 단속되었다가 개방되도록 구성하고, 제트 분사가 단속될 시에는 림 배수가 동시에 이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속적인 충격에 의한 제트 분사가 이뤄지고, 제트 분사 중에 림 배수가 이뤄져서 도기 내부의 오물 제거가 용이하므로, 세척성능이 대폭 개선되어지는 변기 물 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는, 수조에 저장된 물을 변기본체의 볼부로 공급하여 용변을 세척하는 물저장용 수세식 변기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변기본체의 볼부로 공급하여 용변을 세척하는 수도직압식 변기로 구분되는데,
상기 수도직압식 변기의 경우, 후레쉬밸브의 제어에 따라 수도전의 물이 변기본체의 림부와 제트수로로 동시 공급되고, 림부와 제트수로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변기본체의 용변을 세척하게 되는데, 이는 물을 저장하는 탱크가 필요하지 않음으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도직압식 양변기는, 수도전 물의 수압이 낮을 경우, 물이 충분하게 공급되지 않아 용변이 깨끗하게 세척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도전 물의 수압이 낮은 지역에서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특허공개 제10-2009-0061625호에서는, 사용자의 용변 후, 용변을 세척하기 위해 수도전의 물이 볼부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가압펌프의 작동으로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제트수로로 공급하여 볼부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하고, 저수탱크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받아 저장하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도록 구성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발명에서는, 용변 세척시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가압펌프의 작동으로 제트수로로만 공급되어 볼부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할 수 있으나, 수도전으로부터 림부로 공급되는 물이 한정되어 볼부의 내면을 깨끗하게 세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수도직압식의 종래 변기에서는, 용변 후 물내림 버튼을 누르면 도기 내벽을 세척하기 위한 림 배수와, 오물을 토수구로 밀어내기 위한 제트 분사가 동시에 이뤄지는데, 수압이 충분할 경우에는 만족스런 세척이 이뤄질 수 있겠으나 수압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도기 내벽이 깨끗이 세척되지 아니하거나 변기 막힘이 자주 발생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도직압식 양변기의 경우, 수도전의 물이 림 배수와 제트 분사로 분기 공급되는데, 분기공급될 경우 수압이 반감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림 배수 및 제트 분사의 공급압이 모두 충분치않은 상황이 발생하므로, 도기 내벽이 깨끗이 세척되지 아니하거나 변기 막힘이 자주 발생하게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762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48351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 내림 시 림 배수와 제트 분사가 중복되지않고 서로 번갈아가며 배수되어지되 1차 제트 분사시간과 2차 림 배수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제트분사 중에 2차 림 배수가 삽입되더라도 1차 제트 분사에 의해 발생된 사이펀 기능이 끊김없이 계속 유지되게함으로써, 수압이 불충분하더라도 만족스런 림 배수 및 제트 분사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오물 제거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벽면 오물 제거는 종전보다 훨씬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첫번째 목적이 있다.
즉, 예비 세척을 위한 초기 림 배수와 잔수 보충을 위한 종기 림 배수 사이에 고 수압으로 오물을 밀어내기 위한 제트 분사구간을 배치하되, 제트 분사 구간은 사이펀 기능이 작동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1차 개방된 후, 중간에 사이펀 기능이 끊김없이 작동할 정도로만 잠시 차단되었다가 개방되도록 구성하고, 제트 분사와 림 배수는 겹치지않으면서 제트 분사가 차단될 시 림 배수가 바로 이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속적인 충격에 의한 제트 분사가 이뤄지고, 제트 분사 중에 림 배수가 이뤄지더라도 사이펀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충분한 수압으로 림 배수될 것인 바, 언제나 도기 내벽이 깨끗이 세척되고 변기 막힘이 발생하지않도록 함에 두번째 목적이 잇는 것이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유입된 직수를 림측 또는 제트측으로 선택 공급하기 위한 제어밸브들과, 상기 제어밸브(림측)와 저수조의 림 배수구를 연결하는 림 수로와, 상기 제어밸브(제트측)와 저수조의 제트 분사구를 연결하는 제트 수로와, 물내림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밸브들을 제어하기위한 PCB로 이루어진 변기 물내림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당기면 변기 본체로 유입된 직수가 저수조 내로 배수되어지는데, 상기 제어밸브(림축)가 개방되어 림 배수구에서 토출된 물은 저수조의 벽면을 타고 토네이도처럼 흘러내리는 1차 림 배수과정과,
1차 림 배수 후 상기 제어밸브(림측)은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제트측)은 개방되어, 제트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은 오물을 밀어올려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1차 제트 분사과정과,
1차 제트 분사 후 상기 제어밸브(제트측)은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림측)은 개방되어, 림 배수구에서 토출된 물은 저수조의 벽면을 타고 토네이도처럼 흘러내리는 2차 림 배수과정과,
2차 림 배수 후 상기 제어밸브(림측)은 다시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제트측)은 개방되므로, 제트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은 2차 림 배수 시 저수조 벽면에서 제거된 미세입자들을 오물의 잔량과 함께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2차 제트 분사과정과,
2차 제트 분사 후 상기 제어밸브(제트측)은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림측)은 개방되므로, 림 배수구에서 토출된 물은 저수조의 일정 수위에 이르도록 충분히 보충되는 3차 림 배수과정으로 수행되어지되,
제트 분사가 연속적으로 이어지지않고 중간에 2차 림 배수가 삽입되어 단속적으로 수행되며, 전 과정에 걸쳐 림 배수와 제트 분사가 중복되지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1차 림 배수과정은 림 배수구에서 토출된 물이 저수조의 벽면을 1회전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유지되지만, 상기 2차 림 배수과정은 림 배수구에서 토출된 물이 저수조의 벽면을 1회전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유지되지않는다.
상기 1차 림 배수과정은 6~12초 유지되고, 상기 2차 림 배수과정은 1~3초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1차 제트분사 시간이 전체 제트분사 중 과반 이상에 이르면, 2차 림 배수가 시작될 수 있으며,
1, 2차 제트 분사과정은 전체적으로 8~12초 유지되며, 상기 1차 제트 분사과정은 4~6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림 배수과정은 1~3초, 2차 제트과정은 1~3초 유지될 수 있다.
이상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물 내림 시 림 배수와 제트 분사가 중복되지않고 서로 번갈아가며 배수되어지되 1차 제트 분사시간과 2차 림 배수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제트분사 중에 2차 림 배수가 삽입되더라도 1차 제트 분사에 의해 발생된 사이펀 기능이 끊김없이 계속 유지되게함으로써, 수압이 불충분하더라도 만족스런 림 배수 및 제트 분사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오물 제거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벽면 오물 제거는 종전보다 훨씬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삭제
즉, 예비 세척을 위한 초기 림 배수와 잔수 보충을 위한 종기 림 배수 사이에 고 수압으로 오물을 밀어내기 위한 제트 분사구간을 배치하되, 제트 분사 구간은 사이펀 기능이 작동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1차 개방된 후, 중간에 사이펀 기능이 끊김없이 작동할 정도로만 잠시 차단되었다가 개방되도록 구성하고, 제트 분사와 림 배수는 겹치지않으면서 제트 분사가 차단될 시 림 배수가 바로 이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속적인 충격에 의한 제트 분사가 이뤄지고, 제트 분사 중에 림 배수가 이뤄지더라도 사이펀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충분한 수압으로 림 배수될 것인 바, 언제나 도기 내벽이 깨끗이 세척되고 변기 막힘이 발생하지않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물내림 장치에서 1, 2차 림 배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물내림 장치에서 1, 2차 제트 분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물내림 장치에서 3차 림 배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물내림 장치의 배수 타임 스케쥴표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같은 참조부호는 같은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물내림 장치에서 1, 2차 림 배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물내림 장치에서 1, 2차 제트 분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물내림 장치에서 3차 림 배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물내림 장치는 도 1 내지 3에서와 같이,
유입된 직수를 림측 또는 제트측으로 선택 공급하기 위한 제어밸브들(1)(2)과, 상기 제어밸브(림측)(1)와 저수조(7)의 림 배수구(5)을 연결하는 림 수로(3)와, 상기 제어밸브(제트측)(2)와 저수조(7)의 제트 분사구(6)를 연결하는 제트 수로(4)와, 물내림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밸브들(1)(2)을 제어하는 PCB(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변기 물 내림 장치는 아래와 같이 작동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물내림 장치의 배수 타임 스케쥴표로서,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당기면 변기 본체(8)로 유입된 직수가 저수조(7) 내로 배수되어지는데,
초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밸브(림축)(1)가 개방되어 림 배수구(5)에서 토출된 물은 저수조(7)의 벽면을 타고 토네이도처럼 회전하며 흘러내리면서 1차 림 배수가 이루어진다.
이때 저수조(7)의 벽면에 묻은 오물이 제거되는데, 1차 림 배수는 림 배수구(5)에서 토출된 물이 저수조(7)의 벽면을 1회전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보장되어야하는데, 대개 6~12초 정도 지속되어야한다.
1차 림 배수 후 상기 제어밸브(림측)(1)은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제트측)(2)은 개방되는데, 이때 제트 분사구(6)에서 토출된 물은 오물을 밀어올려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1차 제트 분사가 이루어지는데, 일정시간 유지함으로써 사이펀 기능이 안정화된다. (도 2 참조)
본 발명에서는 제트 분사가 연속적으로 이어지지않고 중간에 2차 림 배수가 삽입되어 단속적으로 이뤄진다는 점에 특징이 있으므로, 물 내림 시 림 배수와 제트 분사가 중복됨없이 서로 번갈아가며 진행된다.
또한, 제트분사 중에 2차 림 배수가 삽입되더라도 1차 제트 분사에 의해 발생된 사이펀 기능이 끊김없이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1차 제트 분사시간과 상기 2차 림 배수 시간은 특정 범위로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1차 제트 분사시간을 4초 미만으로 할 경우 물과 오물을 밀어내더라도 관내 압력이 안정화되지않으므로, 2차 림 배수로 전환할 경우 사이펀 기능이 중단되거나 약해지게되므로 오물 제거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2차 림 배수시간을 1초 미만으로 할 경우에는 벽면의 미세입자 제거가 불충분하게 이뤄지고, 1.5초를 초과할 경우에는 벽면의 미세입자 제거는 충분하지만 1차 제트 분사에 의한 사이펀 기능이 소멸되는 문제점이 있다.
사이펀 기능을 위해서는 1차 제트 분사시간이 4초면 충분하고 6초를 초과할 경우 필요이상으로 물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트분사 중에 2차 림 배수가 삽입되더라도 1차 제트 분사에 의해 발생된 사이펀 기능이 끊김없이 계속 유지되기 위해서는, 1차 제트 분사과정은 4~6초 유지되고, 2차 림 배수과정은 1~1.5초만 유지된 후 곧바로 2차 제트 분사과정이 진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트 분사가 이뤄지면 저수조(7) 내부의 물이 신속히 빠져나가므로, 뒤쳐진 미세 입자들이 저수조(7) 내부의 벽면에 잔존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트 분사 도중에 2차 림 배수가 이뤄지므로 잔존하는 미세입자들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1차 제트 분사 후 상기 제어밸브(제트측)(2)은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림측)(1)은 개방되는데, 이때 림 배수구(5)에서 토출된 물은 저수조(7)의 벽면을 타고 토네이도처럼 회전하며 흘러내리면서 2차 림 배수가 이루어진다. (도 1 참조)
이때 1차 제트 분사 시 저수조(7) 벽면에 잔존하던 미세입자들이 완전히 제거되는데, 미세입자만 제거하는 것이므로 림 배수구(5)에서 토출된 물이 저수조(7)의 벽면을 1회전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보장될 필요는 없고, 대개 1~3초 정도만 지속되어도 충분하다.
이와 같이 2차 림 배수가 이뤄지면, 상기 제어밸브(림측)(1)은 다시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제트측)(2)은 개방되므로, 이때 제트 분사구(6)에서 토출된 물은 2차 림 배수 시 저수조(7) 벽면에서 제거된 미세입자들을 오물의 잔량과 함께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2차 제트 분사가 이루어진다. (도 2 참조)
본 발명에서는 제트 분사가 연속적으로 이뤄지지않고 1, 2차로 나눠져서 단속적으로 이뤄지므로, 물의 소모량을 크게 경감할 수 있다.
또한, 1, 2차 제트 분사 사이에 2차 림 배수가 삽입되므로, 1차 제트 분사시 미쳐 배출되지 못한 미세 입자들까지도 말끔히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제트 분사는 오물을 밀어올려 하수구로 배출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어야하므로 총 8~12초이어야 하는데,
1차 제트 시 대부분의 오물이 배출되어야하므로 4~6초가 확보되어야하고, 2차 림 배수시엔 1~1.5초, 2차 제트 시에는 1~3초가 확보되어야 한다.
한편, 림 배수와 제트 분사가 함께 이뤄질 경우 수압이 저하되어 청소 및 오물 제거효과가 모두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림 배수와 제트 분사가 함게 이뤄지는 구간이 전혀 존재하지않고, 제 1차 림 배수, 제 1차 제트 배수, 제 2차 림 배수, 제 2차 제트 분사과정이 교대로 나타나는데, 제 2차 림 배수는 1,2차 제트 분사 사이에 짧게(1~1.5초) 삽입되므로, 관내 압력이 저하되기 전에 2차 제트 분사가 재개되어 1차 제트 분사에 의한 사이펀 기능이 끊김없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2차 제트 분사 후 상기 제어밸브(제트측)(2)은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림측)(1)은 개방되는데, 이때 림 배수구(5)에서 토출된 물은 저수조(7)의 일정 수위에 이르도록 충분히 보충되어진다.
변기 물 내림 장치의 세척과정을 다시 설명드리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내림 버튼 또는 물내림 센서의 동작을 인식하면 PCB(미도시)에서는 제어밸브(림측)(1)를 소정 시간에 걸쳐 개방하여 림 수로(3)를 통해 저수조(7)에 세척수를 공급하는데, 공급된 세척수는 저수조(7) 안에 소용돌이를 발생시켜 저수조(7) 내벽을 1차 세척한다.
PCB에 세팅된 급수 시간(예컨대 8초) 경과 후 PCB는 제어밸브(림측)(1)를 닫고 제어밸브(제트측)(2)를 개방하여 도 2와 같이, 급수를 림 수로(3)에서 제트 수로(4)로 전환시켜 1차 제트분사를 행한다.
이때 오물은 사이펀 원리에 의해 물과 함께 신속히 배출되는데, 도 1과 같이 오물을 하수구로 넘기는 1차 제트분사 시간이 전체 제트분사 중 과반 이상에 이르면 사이펀 기능이 작동하여 유지되고, 2차 림 배수가 다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밸브(림측)(1)와 제어벨브(제트측)(2)가 전 구간에 걸쳐 중복 작동하지않으므로, 이때도 2차 림 배수가 시작될 때는 1차 제트 분사는 중단되고, 대개 1차 제트분사가 4~6초 정도 지속된다면, 2차 림 배수는 1~1.5초 지속되어야한다.
제어밸브(림측)(1)가 닫혀 2차 림 배수가 끝나면 제어밸브(제트측)(2)가 다시 열려 2차 제트 분사되는데, 이 때 저수조(7) 하부로 내려온 미세 오물은 2차 제트 분사가 1~3초 지속되는 동안 가라앉은 미세 오물을 하수구로 넘겨 오물을 완벽하게 제거한다.
2차 제트 분사시간이 경과되면 PCB는 제어밸브(제트측)(2)은 폐쇄하고 제어밸브(림측)(1)은 개방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B는 림 수로(3)를 개방 상태로 한 후, 소정 시간(10~15초)에 걸쳐 잔수 보충에 필요한 급수를 한 후 상기 제어밸브(림측)(1)를 닫는다.
위 과정들은 한 사이클로서 반복적으로 수행되는데, 도 4의 배수 타임 스케줄표와 같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형태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제어밸브(림측) 2: 제어밸브(제트측)
3 : 림 수로 4 : 제트 수로
5 : 림 배수구 6 : 제트 분사구
7 : 저수조 8 : 변기 본체

Claims (6)

  1. 유입된 직수를 림측 또는 제트측으로 선택 공급하기 위한 제어밸브들(1)(2)과, 상기 제어밸브(림측)(1)와 저수조(7)의 림 배수구(5)을 연결하는 림 수로(3)와, 상기 제어밸브(제트측)(2)와 저수조(7)의 제트 분사구(6)를 연결하는 제트 수로(4)와, 물내림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밸브들(1)(2)을 제어하기위한 PCB로 이루어진 변기 물내림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당기면 변기 본체(8)로 유입된 직수가 저수조(7) 내로 배수되어지는데, 상기 제어밸브(림축)(1)가 개방되어 림 배수구(5)에서 토출된 물은 저수조(7)의 벽면을 타고 토네이도처럼 흘러내리는 1차 림 배수과정과,
    1차 림 배수 후 상기 제어밸브(림측)(1)은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제트측)(2)은 개방되어, 제트 분사구(6)에서 토출된 물은 오물을 밀어올려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1차 제트 분사과정과,
    1차 제트 분사 후 상기 제어밸브(제트측)(2)은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림측)(1)은 개방되어, 림 배수구(5)에서 토출된 물은 저수조(7)의 벽면을 타고 토네이도처럼 흘러내리는 2차 림 배수과정과,
    2차 림 배수 후 상기 제어밸브(림측)(1)은 다시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제트측)(2)은 개방되므로, 제트 분사구(6)에서 토출된 물은 2차 림 배수 시 저수조(7) 벽면에서 제거된 미세입자들을 오물의 잔량과 함께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2차 제트 분사과정과,
    2차 제트 분사 후 상기 제어밸브(제트측)(2)은 폐쇄되고 동시에 제어밸브(림측)(1)은 개방되므로, 림 배수구(5)에서 토출된 물은 저수조(7)의 일정 수위에 이르도록 충분히 보충되는 3차 림 배수과정으로 수행되어지되,
    물 내림 시 림 배수와 제트 분사가 중복됨없이 서로 번갈아가며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트분사 중에 2차 림 배수가 삽입되더라도 1차 제트 분사에 의해 발생된 사이펀 기능이 끊김없이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1차 제트 분사과정이 4~6초 유지되고 상기 2차 림 배수과정이 1~1.5초만 유지된 후 곧바로 2차 제트 분사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물내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림 배수과정은 림 배수구(5)에서 토출된 물이 저수조(7)의 벽면을 1회전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유지되지만, 상기 2차 림 배수과정은 림 배수구(5)에서 토출된 물이 저수조(7)의 벽면을 1회전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유지되지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물내림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림 배수과정은 6~12초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물내림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제트분사 시간이 전체 제트분사 중 과반 이상에 이르면, 2차 림 배수가 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물내림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1, 2차 제트 분사과정은 전체적으로 8~12초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물내림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2차 제트 분사과정은 1~3초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물내림 장치.
KR1020220004147A 2022-01-11 2022-01-11 변기 물내림 장치 KR102604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147A KR102604477B1 (ko) 2022-01-11 2022-01-11 변기 물내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147A KR102604477B1 (ko) 2022-01-11 2022-01-11 변기 물내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563A KR20230108563A (ko) 2023-07-18
KR102604477B1 true KR102604477B1 (ko) 2023-11-22

Family

ID=8742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147A KR102604477B1 (ko) 2022-01-11 2022-01-11 변기 물내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4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9977A (ja) * 2003-06-23 2006-08-24 Toto Ltd 大便器ユニット
JP2019148146A (ja) 2018-02-28 2019-09-05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KR102079743B1 (ko) * 2018-10-02 2020-02-20 대림비앤코주식회사 직수압식 양변기 세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510B1 (ko) 2004-04-29 2005-04-19 이수인 (주)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101180694B1 (ko) * 2011-01-18 2012-09-07 계림요업주식회사 복수 필밸브의 개폐시점 조절을 이용한 절수형 변기의 세척수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KR101176211B1 (ko) 2011-12-15 2012-08-23 계림요업주식회사 수도직압식 양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9977A (ja) * 2003-06-23 2006-08-24 Toto Ltd 大便器ユニット
JP2019148146A (ja) 2018-02-28 2019-09-05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KR102079743B1 (ko) * 2018-10-02 2020-02-20 대림비앤코주식회사 직수압식 양변기 세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563A (ko)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924058U (zh) 基于泵装置的马桶冲刷系统
KR100814681B1 (ko) 넘침 방지 보조수조를 갖는 양변기
CN100430562C (zh) 冲水便器
KR101474369B1 (ko) 수세식 대변기
KR101410346B1 (ko) 수세식 대변기
KR20060124748A (ko) 수세식 대변기
KR100483510B1 (ko)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JP5299832B2 (ja) 水洗大便器
KR102604477B1 (ko) 변기 물내림 장치
KR101883281B1 (ko) 변기 막힘 제거 장치
KR102079743B1 (ko) 직수압식 양변기 세척방법
JPH11350578A (ja) 水洗式大便器
KR200262753Y1 (ko) 수세식 절수 변기
TW201344014A (zh) 便器洗淨裝置
JP2798193B2 (ja) 水洗便器
JP4188272B2 (ja) 便器装置
JP2007046308A (ja) 便器洗浄装置
AU2002341455A1 (en) An improved toilet and flushing system
JP2011214277A (ja) 水洗大便器
JP2763610B2 (ja) 洗浄給水装置
JPH05311724A (ja) サイホンジェット式便器
JP2002266411A (ja) 大便器装置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CN108978817B (zh) 一种双增流冲洗马桶及其控制方法
JP2018096167A (ja) 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