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281B1 - 변기 막힘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막힘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281B1
KR101883281B1 KR1020160155576A KR20160155576A KR101883281B1 KR 101883281 B1 KR101883281 B1 KR 101883281B1 KR 1020160155576 A KR1020160155576 A KR 1020160155576A KR 20160155576 A KR20160155576 A KR 20160155576A KR 101883281 B1 KR101883281 B1 KR 101883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ter
trap
discharge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209A (ko
Inventor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이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재 filed Critical 이현재
Priority to KR1020160155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2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30Water injection in siphon for enhancing flu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마련하고, 변기의 'S' 트랩에 막힘이 발생할 시,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수압으로 변기 막힘을 간단하게 해소하는 물 분사형 변기 막힘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변기 막힘 제거 장치는 오물을 받고 하부에 홀이 구비된 용기;와, 상기 용기 하부의 홀과 연결되며 봉수를 형성하는 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오물이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트랩을 거쳐서 하수도로 흐르는 것을 정상 흐름이라고 할 때, 상기 트랩에 마련되며 상기 정상 흐름의 반대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기 막힘 제거 장치{APPARATUS FOR SOLVING CLOGGED TOILET BOWL}
본 발명은 좌변기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마련하고, 변기의 'S' 트랩에 막힘이 발생할 시,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수압으로 변기 막힘을 간단하게 해소하는 물 분사형 변기 막힘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 등에는 하수로부터의 악취 및 해충의 유입을 방치하기 위해서 배수관 중간이 'S' 형으로 구부러진 'S' 트랩이 마련될 수 있다.
최근에는 좌변기 배수관의 구경을 작게 하여 과거의 좌변기보다 물 절약에 우수한 성능을 가지게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배수관의 구경 축소로 인하여 과거의 재래식 좌변기에 비해 변기의 막힘 현상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종래에는 변기 막힘을 해소하기 위해서 별도의 가압 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별도의 가압 기구는 사용 후 세척의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보관시 좌변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8807호에는 막힘 소통용 압축기가 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8807호
본 발명은 좌변기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마련하고, 변기의 'S' 트랩에 막힘이 발생할 시,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수압으로 변기 막힘을 간단하게 해소하는 물 분사형 변기 막힘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변기 막힘 제거 장치는 오물을 받고 하부에 홀이 구비된 용기;와, 상기 용기 하부의 홀과 연결되며 봉수를 형성하는 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오물이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트랩을 거쳐서 하수도로 흐르는 것을 정상 흐름이라고 할 때, 상기 트랩에 마련되며 상기 정상 흐름의 반대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기 막힘 제거 장치는 좌변기에 노즐을 부탁하여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압으로 이물질로 인한 막힘을 쉽게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기 막힘 제거 장치는 별도의 기구 없이 변기에 부착된 버튼 또는 레버 등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기 막힘 제거 장치는 이물질을 역류시켜, 뭉쳐진 상태에서 풀어진 상태로 변환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변기 막힘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변기 막힘 제거 장치는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변기 막힘 제거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기박스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변기 막힘 제거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기 막힘 제거 장치는 오물을 받고 하부에 홀이 구비된 용기(310)와, 용기(310) 하부의 홀과 연결되며 봉수를 형성하는 트랩을 포함하고, 오물이 용기(310)로부터 트랩을 거쳐서 하수도로 흐르는 것을 정상 흐름이라고 할 때, 트랩에 마련되며 상기 정상 흐름의 반대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310)는 좌변기(300)에서 외부로 개방되어 물이 고여있는 부분일 수 있다.
트랩은 하수관이나 배수관에서 나오는 나쁜 냄새의 역류를 막기 위하여 설치하는 휨관일 수 있다. 트랩은 'S' 트랩, 'P' 트랩, 'U' 트랩 등일 수 있다. 곡부(曲部)에 물이 들어 있어서 올라오는 냄새를 막도록 되어 있으며 이 물을 봉수(封水)라 할 수 있다.
트랩은 제1 배출관(210) 및 제2 배출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관(210)은 일단부가 용기(310)의 홀에 연결되어 정상 흐름일 때 오물을 홀보다 높은 곳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제2 배출관(230)은 제1 배출관(210) 타단부에 연결되어 정상 흐름일 때 오물을 상기 제1 배출관(210)의 일단부보다 낮은 곳으로 유도할 수 있다.
노즐(110)은 제1 배출관(210)과 제2 배출관(230)의 연결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노즐(110)은 제1 배출관(210)에 정상 흐름의 반대 흐름으로 물을 분사 할 수 있다.
즉 노즐(110)은 트랩의 상측 절곡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노즐(110)은 트랩에 삽입시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 패킹(121)으로 둘러싸여 결합될 수 있다. 노즐(110)은 요구 수압, 배관의 구조, 변기(300)의 구조, 배관의 구경 등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노즐(110)은 체크 밸브를 포함하여, 제1 배출관(210) 또는 제2 배출관(230)의 물이 노즐(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110)은 가압된 물을 세정 밸브(13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노즐(110)과 세정 밸브(130)는 절곡된 호스(125)로 연결되어 봉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 호스(125)는 'U'자 형으로 절곡되어 중간 부분에 물이 고여 봉수를 형성할 수 있다.
세정 밸브(130)가 개방되면 노즐(110)은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세정 밸브(130)는 제1 배출관(210) 또는 제2 배출관(230)에 이물질(11)로 오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할 때 작동될 수 있다.
세정 밸브(130)는 상수도관(402)과 연결되며, 노즐(110)은 상기 상수도관(402)의 수압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세정 밸브(130)에는 레버(133) 또는 버튼이 마련되며, 레버(133) 또는 버튼 조작하면 세정 밸브(130)가 개방되어 노즐(110)은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세정 밸브(130)가 상수도관(402)과 연결될 때, 세정 밸브(130)는 자폐식 밸브(Self-Closing Valve)로 내부에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기계적인 힘으로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다. 세정 밸브(130)는 조정 나사(131)가 마련되어,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의 텐션을 조정 나사(131)로 조절함으로써, 분사 시간에 대한 세부 조절을 할 수 있다.
세정 밸브(130)와 상수도관(402)의 연결 배관 사이에 중간 밸브(403)를 구비하여, 장치 고장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 밸브(403)는 평소에는 폐쇄하고 이물질 청소시만 개방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노즐(110)은 가압용 소형 펌프(502)와 연결되며, 노즐(110)은 가압용 소형 펌프(502)의 압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전자 밸브(501)가 가압용 소형 펌프(502)와 연결될 시, 본 발명의 변기 막힘 제거 장치는 제어기박스(500)를 구비하여 전자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노즐은 가압용 소형 펌프와 연결되며, 노즐과 가압용 소형 펌프 사이에는 전자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 밸브가 개방되면 노즐은 가압용 소형 펌프의 압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어기박스(500)는 전자 밸브(501)의 작동 조작을 위한 입력부(520), 가압된 물을 공급하는 가압용 소형 펌프(502), 가압용 소형 펌프(502)를 제어하는 제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기 막힘 제거 장치는 가압용 소형 펌프(50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수 탱크(330)가 마련될 수 있다. 세정수 탱크(330)는 일반적으로 좌변기(300)에 마련되는 물 탱크일 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된 물 탱크일 수 있다.
세정수 탱크(330)는 가압용 소형 탱크로 물을 배출하는 부분에 필터(331)를 마련하여, 가압용 소형 펌프(502)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입력부(520)는 물의 분사 명령을 입력하는 동작 버튼(521)과 물의 분사 중지 명령을 입력하는 정지 버튼(522)을 구비할 수 있다.
동작 버튼(521)에 물의 분사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510)는 가압용 소형 펌프(502)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자 밸브(501)를 개방함으로써, 노즐(110)이 물을 분사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있으며, 동작 후 사전에 입력된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510)는 가압용 소형 펌프(502)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전자 밸브(501)를 차단할 수 있다.
정지 버튼(522)을 입력하면, 즉시 제어부(510)는 가압용 소형 펌프(502)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전자 밸브(501)를 차단할 수 있다. 정지 버튼(522)을 구비함으로써, 이상 상태 발생시 사용자는 즉시 장치의 작동을 멈출수 있다.
용기(310)에는 수위 센서가 마련될 수 있고, 수위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제어부(510)는 가압용 소형 펌프(502)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전자 밸브(501)를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변기 막힘 제거 장치의 구동을 설명한다.
도 2의 (a)는 제1 배출관(210) 또는 제2 배출관(230)에 이물질(11)이 끼여 막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물질(11)에 의해 변기(300)가 막히게 되면 사용자는 세정 밸브(130)를 개방하여, 노즐(110)이 물을 분사하게 할 수 있다.
노즐(110)은 제1 배출관(210)에 정상 흐름의 반대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이물질(11)을 용기(310) 부분으로 꺼낼 수 있다. 이물질(11)이 제1 배출관(210)에 있는 경우에 노즐(110)에서 분사된 물이 이물질(11)을 용기(310) 부분으로 밀어낼 수 있다.
용기(310) 부분으로 이물질(11)이 나오면서 노즐(11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형성된 와류로 덩어리 상태였던 이물질(11)은 풀어져 분해될 수 있다.
분해된 이물질(11)은 변기(300)의 물내림으로 하수도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기 막힘 제거 장치는 변기(300) 막힘 발생시 하수도 측으로 이물질(11)을 계속 밀어내는 것이 아니라, 용기(310) 부분으로 이물질(11)을 한번 꺼낸 후 분해해서 제거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변기(300) 막힘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이물질 110...노즐
121...고무 패킹 123...연결 너트
125...호스 130...세정 밸브
131...조정 나사 133...레버
141...배관 210...제1 배출관
230...제2 배출관 300...변기
310...용기 330...세정수 탱크
331...필터 401...벽 면
402...상수도관 403...중간 밸브
500...제어기박스 501...전자 밸브
502...가압용 소형 펌프 510...제어부
520...입력부 521...동작 버튼
522...정지 버튼

Claims (5)

  1. 오물을 받고 하부에 홀이 구비된 용기;
    상기 용기 하부의 홀과 연결되며 봉수를 형성하는 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오물이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트랩을 거쳐서 하수도로 흐르는 것을 정상 흐름이라고 할 때,
    상기 트랩에 마련되고 상기 오물이 통과하는 상기 트랩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기 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상기 트랩의 상측 절곡부에 형성되고, 상기 홀로부터 상기 트랩의 상측 절곡부를 향하는 정상 흐름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물을 분사하며, 상기 트랩의 상측 절곡부와 상기 홀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상기 용기로 꺼내는 변기 막힘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은 제1 배출관 및 제2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관은 일단부가 상기 홀에 연결되어 상기 정상 흐름일 때 상기 오물을 상기 홀보다 높은 곳으로 유도하며,
    상기 제2 배출관은 상기 홀보다 높게 형성된 상기 제1 배출관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정상 흐름일 때 상기 오물을 상기 제1 배출관의 상기 일단부보다 낮은 곳으로 유도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제1 배출관과 상기 제2 배출관의 연결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배출관에 상기 정상 흐름의 반대 흐름으로 물을 분사하는 변기 막힘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가압된 물을 세정 밸브로부터 공급받으며,
    상기 노즐과 상기 세정 밸브는 절곡된 호스로 연결되어 봉수가 형성되는 변기 막힘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의해 상기 용기로 꺼내어진 상기 이물질은 별도의 변기 물내림에 의해 상기 트랩을 통과하고 상기 하수도로 배출되는 변기 막힘 제거 장치.
  5. 제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가압용 소형 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노즐과 가압용 소형 펌프 사이에는 전자 밸브가 마련되고,
    상기 전자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노즐은 상기 가압용 소형 펌프의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는 변기 막힘 제거 장치.
KR1020160155576A 2016-11-22 2016-11-22 변기 막힘 제거 장치 KR10188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576A KR101883281B1 (ko) 2016-11-22 2016-11-22 변기 막힘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576A KR101883281B1 (ko) 2016-11-22 2016-11-22 변기 막힘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209A KR20180057209A (ko) 2018-05-30
KR101883281B1 true KR101883281B1 (ko) 2018-08-30

Family

ID=6230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576A KR101883281B1 (ko) 2016-11-22 2016-11-22 변기 막힘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385B1 (ko) * 2019-07-29 2020-09-17 추성권 자동 배수트랩 이물질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291B1 (ko) * 2019-10-07 2022-04-06 엽성식 공중 화장실의 원격제어 관제 시스템
KR20220153185A (ko) * 2021-05-11 2022-11-18 한윤기 양변기용 배수트랩의 막힘제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5541B2 (ja) * 2002-09-10 2008-04-16 Toto株式会社 水洗式大便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807Y1 (ko) 2007-08-16 2010-05-24 염창섭 막힘 소통용 압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5541B2 (ja) * 2002-09-10 2008-04-16 Toto株式会社 水洗式大便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385B1 (ko) * 2019-07-29 2020-09-17 추성권 자동 배수트랩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209A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1734B2 (ja) 自己水洗トイレアセンブリ及びシステム
KR101410346B1 (ko) 수세식 대변기
KR101474369B1 (ko) 수세식 대변기
KR101883281B1 (ko) 변기 막힘 제거 장치
JP5299832B2 (ja) 水洗大便器
JP5131633B2 (ja) 水洗大便器
JP2012136915A (ja) 給水装置
JP3975991B2 (ja) 排水管洗浄装置
JP5412779B2 (ja) 洋風大便器
JPH04222730A (ja) サイホンジェット式便器
JP2009002075A (ja) 水洗便器
KR100555834B1 (ko) 정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펌프 및 이를 이용한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200383575Y1 (ko) 변기 세정액 공급장치
JP5614731B2 (ja) 水洗大便器
KR101091362B1 (ko) 변기 관통장치
JP2004076469A (ja) 洗浄給水装置
JP5617311B2 (ja) 洗浄便座装置
KR102604477B1 (ko) 변기 물내림 장치
JP2013032645A (ja) 温水洗浄装置及び便器装置
WO2003058002A1 (en) An improved toilet and flushing system
JP2010281059A (ja) トイレ装置
KR200482587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JP2011214277A (ja) 水洗大便器
KR200333403Y1 (ko) 오수관 청소용 압축기
KR102463540B1 (ko) 직수형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