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540B1 - 직수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직수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540B1
KR102463540B1 KR1020210192081A KR20210192081A KR102463540B1 KR 102463540 B1 KR102463540 B1 KR 102463540B1 KR 1020210192081 A KR1020210192081 A KR 1020210192081A KR 20210192081 A KR20210192081 A KR 20210192081A KR 102463540 B1 KR102463540 B1 KR 102463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ylinder member
toilet
discharg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민우
Original Assignee
심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민우 filed Critical 심민우
Priority to KR1020210192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직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되는 장소의 수압이 약하더라도 양변기의 내부에 수용된 오물을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내부 구성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용이하게 교체 및 수리 할 수 있는 직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수형 양변기에 있어서, 내부에 오물이 수용되는 보울이 형성되는 변기 몸체의 하부에 오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배출 조절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보울의 하부에는 배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로 오물을 이동시키는 배수로와, 상기 배출구와 배수로 사이에 상기 배출 조절 장치가 결합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수형 양변기{a directly drainging type toilet bowl}
본 발명은 직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되는 장소의 수압이 약하더라도 양변기의 내부에 수용된 오물을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내부 구성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용이하게 교체 및 수리 할 수 있는 직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오물이 수용되는 보울(bowl) 부분에 항상 잔류수가 고여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오물 배출 및 보울 세정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양변기에 구비되는 급수 장치는 보울 내부에 부착된 오물이나 이물질을 세정하기 위하여 보울 표면 전체적으로 회전 물살을 일으키는 림 급수부와, 보울 내부의 오물을 오수조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수구 쪽으로 물을 흐르게 하는 제트 급수부로 구분된다. 구형 양변기의 경우에는 림 급수부만이 구비되어 있기도 하나, 절수 등의 목적을 위하여 현재에는 림 급수부와 제트 급수부가 모두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종래의 양변기는 물탱크가 양변기 상측에 구비되어 있었고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물탱크의 일측에 구비된 레버를 당기거나 버튼을 눌러야만 했다. 따라서 물탱크가 많은 공간을 차지하였고, 소변을 본 후에는 허리를 굽혀 후방에 있는 레버 또는 버튼을 찾아서 당기거나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나아가 소변인지 대변인지를 가리지 않고 일률적으로 양변기에 급수하여 오물을 배출시켜야 했기 때문에 많은 급수가 필요하지 않은 소변의 경우 물의 낭비를 초래하였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057793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림과 제트를 구비한 양변기에 있어서, 양변기(100)와 격리되어 설치된 리모컨(160)과,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입수관(210)과, 상기 입수관(210)을 통해 들어온 물이 상기 양변기(100)의 보울로 나가는 림측 관 또는 제트측 관과, 상기 입수관(210) 및 림측 관 또는 상기 입수관(210) 및 제트측 관의 유로(249)를 개폐시키는 상기 림측 개폐 밸브 또는 제트측 개폐 밸브를 포함하는 급수장치(200)와, 상기 림측 개폐 밸브 또는 제트측 개폐 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림측 개폐 밸브 또는 제트측 개폐 밸브를 상기 리모컨(160)을 통해 제어하기 위해 양변기 내에 장착되는 수신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리모컨(160)은 상기 수신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림측 개폐 밸브 또는 제트측 개폐밸브를 개폐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057793호에 기재된 기술은 별도로 물탱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 밸브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급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기 때문에 급수시 역류를 방지하고, 원격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절수 효과가 있는 장점은 있으나 오물이 배출되는 배수구가 상방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트측에서 강한 압력으로 분사하여야 하지만 설치 장소에 따라 수압이 약할 경우에는 안정적인 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57793호(2011.08.11.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수형 양변기에서 보울의 하부에 하방으로 오물을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배수로의 일측에 피스톤 형태의 배출 조절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설치되는 장소의 수압이 약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직수형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변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로에 설치되는 배출 조절 장치는 배수로의 일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배출 조절 장치에 이상이 있을 경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수리 또는 교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직수형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수형 양변기에 있어서, 내부에 오물이 수용되는 보울이 형성되는 변기 몸체의 하부에 오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배출 조절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울의 하부에는 배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로 오물을 이동시키는 배수로와, 상기 배출구와 배수로 사이에 상기 배출 조절 장치가 결합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 조절 장치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는 유입공과,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출공과,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측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피스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재의 후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 배관과 연결되어 수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재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피스톤부재를 상기 수압보다 약한 힘으로 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측 후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을 연결시키는 바이패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부에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후부에서 상기 삽입부로 이동하는 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배출 제어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의 내경은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재의 후단에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피스톤부가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부재의 전단에는 상기 삽입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삽입부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배출 조절 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 배관의 일측에는 상기 보울의 상부에 형성되는 급수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의 일측에는 상기 공급 배관에서 급수부로 공급하는 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급수 제어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직수형 양변기에서 보울의 하부에 하방으로 오물을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배수로의 일측에 피스톤 형태의 배출 조절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설치되는 장소의 수압이 약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양변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로에 설치되는 배출 조절 장치는 배수로의 일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배출 조절 장치에 이상이 있을 경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수리 또는 교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직수형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직수형 양변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직수형 양변기의 급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양변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양변기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양변기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양변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양변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양변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양변기의 벨브 제어 장치의 개폐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직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내부에 오물이 수용되는 변기 몸체(300)와 상기 변기 몸체(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오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 조절 장치(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변기 몸체(300)는 내부에 오물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보울(310)과 상기 보울(3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오물을 배출하는 배수부(400)와 상기 보울(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보울(31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3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기 몸체(300)의 외측에는 내부 구성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3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부(400)에는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통로인 배수로(410)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수로(410)는 측방 또는 하방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출 조절 장치(500)의 제어에 의해 용이하게 오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부호 미도시)의 방향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트부에서 분사되는 압력이 일정이상이 되어야지만 안정적으로 오물을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장소의 수압이 약할 경우 안정적으로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수로(410)가 측방 또는 하방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설치되는 장소의 수압이 약하더라도 상기 배출 조절 장치(500)의 제어에 의해 안정적으로 오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울(3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배수부(400)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출구(420)와 상기 배출구(420)로 오물을 이동시키는 배수로(410)와 상기 배출구(420)와 배수(410)로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구(4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430)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 조절 장치(500)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출 조절 장치(500)에 이상이 있을 경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수리 또는 교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 조절 장치(50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린더부재(510)와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내측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피스톤부재(53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전단에는 상기 결합구(430)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5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520)의 전단에는 상기 배수로(410)와 연통되는 유입공(52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520)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420)와 연통되는 배출공(524)이 형성되는데, 상기 피스톤부재(530)는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내측을 이동하면서 상기 유입공(522)을 개폐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배출 조절 장치(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울(310)에 오물이 수용되어 있으면 유입공(522)을 개방하여 오물이 배출구(42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고, 오물을 배출한 후에는 상기 유입공(522)을 밀폐하여 보울(310)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하면서 배출구(420)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후부에는 공급 배관(600)이 연결되는데, 상기 공급 배관(600)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물을 공급받게 되고, 이렇게 공급받는 물의 수압에 의해 피스톤부재(530)를 가압하여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유입공(522)을 밀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내측에는 스프링(536)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스프링(536)의 전단은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전단에 내측에 형성되는 단턱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피스톤부재(530)의 후부를 후방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536)의 탄성력은 상기 공급 배관(6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보다 약하게 형성됨으로써, 스프링(536)의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수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재(53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후부에는 상기 공급 배관(600)과 연결되는 부분에 역지변(부호 미도시)을 구비하여 실린더부재(510) 내부로 수용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외측에는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내측 후부와 상기 삽입부(520)의 내측을 연결하는 바이패스부(540)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부(540)에는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후부에서 상기 삽입부(520)로 이동하는 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배출 제어 밸브(5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부재(530)의 외경은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후단에는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피스톤부(532)가 상기 피스톤부재(5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36)의 후부가 탄성지지되는데, 상기 피스톤부(532)의 외주면에는 링형상의 패킹(부호 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밀폐력을 높여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520)의 내경은 상기 실린더부재(53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520)의 전단에 형성되는 유입공(522)의 직경은 상기 삽입부(5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상기 피스톤부재(530)의 전단에는 상기 유입공(522)을 개폐하는 개폐부재(534)가 상기 피스톤부재(530)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삽입부(520)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바이패스부(540)를 통하여 삽입부(520)로 공급된 물이 삽입부(5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공(524)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출 제어 밸브(5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재(530)의 이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제어 밸브(550)가 밀폐된 상태일 경우,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부(540)가 차단되고 상기 공급 배관(6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스프링(536)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부재(53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피스톤부재(530)의 전단에 설치된 개폐부재(534)에 의해 유입공(522)이 밀폐되며, 상기 역지변에 의해 실린더부재(5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공급 배관(60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울(310)의 내부에 오물이 있어 상기 배출 제어 밸브(550)를 개방하면 상기 바이패스부(540)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후부에 수용된 물이 삽입부(520)로 이동하게 되어 수압이 약해지고 그에 따라 스프링(536)의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피스톤부재(53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피스톤부재(530)의 전단에 설치된 개폐부재(534)가 상기 유입공(522)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수로(410)와 배출구(420)가 연통되어 보울(310)에 수용된 오물이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기 몸체(300)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320)의 내측 하면에는 상기 배출 조절 장치(5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80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재(800)는 상기 변기 몸체(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부(400)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커버(320)의 내측면에 볼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800)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부(400)를 구성하는 결합구(430)의 후부에 연장되어 상기 배출 조절 장치(500)가 안착되는 안착부(810)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810)의 후단 양측에는 지지브라켓(830)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브라켓(830)에는 좌우 관통되도록 삽입공(8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832)에는 지지바(840)가 삽입되는데, 상기 결합구(430)에 상기 배출 조절 장치(500)의 삽입부(520)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후단이 상기 지지브라켓(830)의 전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지지브라켓(830)에 지지바(840)를 삽입하게 되면 지지바(840)가 실린더부재(510)의 후부를 지지하게 되어 배출 조절 장치(500)가 결합구(43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 조절 장치(50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 배관(600)의 일측에는 급수관(610)이 형성되는데, 상기 급수관(610)은 상기 보울(3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급수부(330)로 물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급수관(610)의 일측에는 상기 공급 배관(600)에서 급수부(330)로 공급하는 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급수 제어 밸브(620)가 설치되는데, 상기 급수관(610)은 별도의 관이나 호스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조절 장치(500)를 구성하는 실린더부재(510)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추가로 호스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배출 조절 장치(500)를 통하여 상기 보울(310)에 수용된 오물을 배출할 때, 상기 급수 제어 밸브(620)도 같이 개방하여 오물을 배출함과 동시에 급수부(330)로부터 물을 공급함으로써, 오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또한, 오물을 완전히 배출한 후에도 급수부(330)를 통하여 설정된 양만큼의 물을 공급하여 보울(310)에 물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조절 장치(500)의 일측에는 상기 배출 제어 밸브(550) 및 급수 제어 밸브(6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7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커버(710)의 일측에는 오물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버튼(710)이 상기 제어장치(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제어 버튼(710)을 통하여 오물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버튼(710)은 하나의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대변 또는 소변을 배출하기 위하여 두가지로 형성하여 오물의 종류에 따라 배출시 상기 급수부(330)로 공급되는 물의 양(공급하는 시간을 제어)을 조절할 수 있어 오물을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되는 장소의 수압이 약하더라도 양변기의 내부에 수용된 오물을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내부 구성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용이하게 교체 및 수리 할 수 있는 직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300 : 변기 몸체 310 : 보울
320 : 커버 330 : 급수부
400 : 배수부 410 : 배수로
420 : 배출구 430 : 결합구
500 : 배출 조절 장치 510 : 실린더부재
520 : 삽입부 530 : 피스톤부재
540 : 바이패스부 550 : 배출 제어 밸브
600 : 공급 배관 610 : 급수관
620 : 급수 제어 밸브 700 : 제어장치
710 : 제어 버튼 800 : 고정부재
810 : 안착부
830 : 지지브라켓 840 : 지지바

Claims (6)

  1. 직수형 양변기에 있어서,
    내부에 오물이 수용되는 보울이 형성되는 변기 몸체의 하부에 오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배출 조절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보울의 하부에는 배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로 오물을 이동시키는 배수로와, 상기 배출구와 배수로 사이에 상기 배출 조절 장치가 결합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 조절 장치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는 유입공과,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출공과,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측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피스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후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 배관과 연결되어 수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재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피스톤부재를 상기 수압보다 약한 힘으로 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측 후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을 연결시키는 바이패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부에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후부에서 상기 삽입부로 이동하는 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배출 제어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양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경은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재의 후단에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피스톤부가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부재의 전단에는 상기 삽입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삽입부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양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조절 장치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재의 후부에는 설치되는 공급 배관의 일측에는 상기 보울의 상부에 형성되는 급수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의 일측에는 상기 공급 배관에서 급수부로 공급하는 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급수 제어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양변기.
KR1020210192081A 2021-12-30 2021-12-30 직수형 양변기 KR102463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081A KR102463540B1 (ko) 2021-12-30 2021-12-30 직수형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081A KR102463540B1 (ko) 2021-12-30 2021-12-30 직수형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540B1 true KR102463540B1 (ko) 2022-11-04

Family

ID=8410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081A KR102463540B1 (ko) 2021-12-30 2021-12-30 직수형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5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099A (ko) * 2001-03-26 2002-10-09 홍인택 양변기용 절수장치
KR20100027551A (ko) * 2008-09-02 2010-03-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피스톤 방식을 이용한 변기의 물내림 장치
KR101057793B1 (ko) 2009-12-18 2011-08-19 김창호 개폐 밸브를 이용한 리모컨식 직수형 양변기
KR20120086336A (ko) * 2009-11-17 2012-08-02 코오러어 캄파니 세척 밸브 액츄에이터를 갖는 위생 설비 및 이를 교정하는 방법들
KR20120128766A (ko) * 2011-05-18 2012-11-28 권태윤 수세식 좌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099A (ko) * 2001-03-26 2002-10-09 홍인택 양변기용 절수장치
KR20100027551A (ko) * 2008-09-02 2010-03-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피스톤 방식을 이용한 변기의 물내림 장치
KR20120086336A (ko) * 2009-11-17 2012-08-02 코오러어 캄파니 세척 밸브 액츄에이터를 갖는 위생 설비 및 이를 교정하는 방법들
KR101057793B1 (ko) 2009-12-18 2011-08-19 김창호 개폐 밸브를 이용한 리모컨식 직수형 양변기
KR20120128766A (ko) * 2011-05-18 2012-11-28 권태윤 수세식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US8826934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of fill valve in water toilet
KR101306143B1 (ko) 변기의 무전원 물내림 장치
CA2239434C (en) Pressure flushing device discharge extension
JP2009114838A (ja) 再循環水を使用する開閉可能な双子タンク型洗浄水容器
JP2006283400A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2007046307A (ja) 便器洗浄装置
KR102463540B1 (ko) 직수형 양변기
US20120186009A1 (en) Toilet assembly
KR101883281B1 (ko) 변기 막힘 제거 장치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JP7373244B2 (ja) 超節水型洋式便器
JP6663559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
JP4720062B2 (ja) 水洗便器装置
JP7362036B2 (ja) 水洗大便器
JP3709763B2 (ja) バキュームブレーカ
JP4398849B2 (ja) 水洗トイレ装置
KR102439410B1 (ko) 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한 좌변기 급수장치
US11866919B2 (en) Fill valve with tank
JP7415302B2 (ja) 水洗大便器
JP2011214277A (ja) 水洗大便器
KR20130033855A (ko) 양변기
KR20230057900A (ko)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KR100499329B1 (ko)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EP2481855A1 (en) Toile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