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900A -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900A
KR20230057900A KR1020210142621A KR20210142621A KR20230057900A KR 20230057900 A KR20230057900 A KR 20230057900A KR 1020210142621 A KR1020210142621 A KR 1020210142621A KR 20210142621 A KR20210142621 A KR 20210142621A KR 20230057900 A KR20230057900 A KR 20230057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backflow
supply controller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금환
Original Assignee
정성의
주식회사 보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의, 주식회사 보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정성의
Priority to KR1020210142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7900A/ko
Publication of KR2023005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6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aerat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수제어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물의 급수를 수행하는 수도전의 단수 또는 약한 수압으로 인해 역류가 발생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급수제어기내에 유입되어 있는 오염된 물의 역류를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수도전과 연결된 입수관을 통해 몸체 내부에 갖추어진 유로를 거쳐 배출관을 거쳐 세척수가 배출되고, 상기 유로의 중간지점에 갖추어진 개폐밸브가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으로 인해 세척수의 공급과 차단을 수행하는 급수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 상단부에 통공을 갖춘 체결관과;
상기 체결관에 나선 체결되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정상적인 급수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차단되고, 수도전의 단수 및 수압이 약해 정상적인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세척수의 역류가 발생할 경우 외부로부터 공기(Air)가 유입되어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관을 통과한 오염된 세척수의 역류를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역류차단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Flow control structure for toilet one body bidet of valve controlling water suply}
본 발명은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수제어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물의 급수를 수행하는 수도전의 단수 또는 약한 수압으로 인해 역류가 발생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급수제어기내에 유입되어 있는 오염된 물의 역류를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 일체형 양변기는 양변기와 비데가 일체로 설치되어 수도전과 연결되는 급수제어기에 갖추어진 2개의 배출구에 각각 변기와 비데에 연결되어 사용용도 즉, 용변자의 용변이 끝나게 되면 비데의 전원버튼을 눌러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비데에 장착되어 있는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항문이나 국부를 깨끗하게 세척시켜 주게 되는 것이고, 상기 세척수는 양변기내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며, 비데의 사용이 완료되면 양변기에 장착되어 있는 누름레버를 눌러주면 양변기와 연결되어 있는 배출구를 통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배수로 인해, 양변기내에 잔존하고 있는 용변자의 용변이 양변기의 림측과 제트수로를 통해 흘러 배수관을 거쳐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수제어기는 본원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038063호가 소개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급수제어기는 수도전과 연결되는 급수관을 통해 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 분기되어 양변기와 비데와 각각 연결되는 배출로를 따라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각각의 배출로에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으로 인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개폐밸브를 갖추어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개폐밸브가 배출로를 차단시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차단시켜 주게 되고, 비데 또는 양변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용도에 따라 각각의 누름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으로 인해 선택된 개폐밸브를 열어주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배출로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수제어기는 배출로내에 장착되어 있는 개폐밸브의 개폐로 인해 세척수의 급,단수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데, 사용도중 수도전의 단수 또는 물의 수압이 약할 경우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수도전과 급수제어기내의 배출로내에 물만으로 채워지지 않고, 공기(Air)가 함께 잔존하게 될 경우 공기의 역흐름이 발생하게 될 경우에는 역류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다라 급수제어기내에 채워져 있던 세척수가 수도전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는 역류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역류가 발생할 경우 각각의 배출구와 연결된 비데 또는 양변기측에까지 공급된 세척수까지 수도전으로 역류를 하게 되는데, 이때 비데에 갖추어진 노즐과 양변기측에는 용변자의 용변이 뭍어남에 따라 아무리 깨끗이 청소를 한다 하여도 깨끗하지 않은 오염되는 물이 잔존하게 될 수 밖에 없어 물의 역류가 발생할 경우에는 오염된 물이 수도전에까지 역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806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수도전의 단수 및 약한 수압으로 인해 급수제어기를 거쳐 비데와 양변기측으로 공급된 물의 역류 현상이 발생될 경우 외부로부터 공기(Air)가 유입되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수도전측으로 빨려들어가게 됨과 아울러, 외부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배출로를 거쳐 비데와 양변기측까지 공급된 오염된 세척수는 차단되어 역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도전과 연결된 입수관을 통해 몸체 내부에 갖추어진 유로를 거쳐 배출관을 거쳐 세척수가 배출되고, 상기 유로의 중간지점에 갖추어진 개폐밸브가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으로 인해 세척수의 공급과 차단을 수행하는 급수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 상단부에 통공을 갖춘 체결관과;
상기 체결관에 나선 체결되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정상적인 급수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차단되고, 수도전의 단수 및 수압이 약해 정상적인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세척수의 역류가 발생할 경우 외부로부터 공기(Air)가 유입되어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관을 통과한 오염된 세척수의 역류를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역류차단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역류차단부는 체결관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관체과;
상기 체결관체 내부에 위치하여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상승하여 체결관체를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차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관체의 내부 상단부에 차단부의 상단부 외주연에 갖추어진 오링이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추어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차단부가 상승시 경사면에 오링이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부의 긴밀한 밀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관체의 내부 상단부분에 고무를 재질로 하는 경사면을 갖춘 밀착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급수제어기를 이루고 있는 배출관측에 세척수의 정상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으로 인해 역류차단부를 차단시켜 주고, 단수 및 세척수의 수압이 약해 세척수의 역류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역류차단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관을 거쳐 비데의 노즐과 양변기측에 있는 오염된 세척수가 수도전측으로 역류되지 않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급수제어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급수제어기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인 역류방지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로서,
도3a는 세척수의 정상적인 공급 상태에서 세척수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도.
도3b는 세척수의 정상적인 공급 상태에서 배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도.
도3c 는 세척수의 공급이 정상적이지 않은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급수제어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급수제어기의 단면도이다.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적용되는 급수제어기(100)는 수도전과 연결되는 입수관(210)과 배출관(220,220a)이 갖추어진 몸체(2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220,220a)은 몸체(200)의 양측으로 각각 분기되는 상태로 구성되어 비데와 양변기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용도에 따라 각각의 배출관을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각각의 배출관 내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300)의 작동으로 인해 세척수의 흐름을 차단시켜 주는 개폐밸브(400)를 갖추어 상기 개폐밸브의 작동 위치에 따라 세척수의 급,단수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개폐밸브(400)가 유로(200a)를 차단시켜 주고 있을 경우에는 입수관()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유로(200a)차단시켜 주고 있는 개폐밸브(400)의해 세척수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이고, 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인해 개폐밸브(400)가 작동하여 유로(200a)를 열어주게 되면 입수관(210)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를 유로(200a)를 거쳐 배출관(220,220a)을 통해 상기 각각의 배출관에 연결되어 있는 비데 및 양변기측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급수제어기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된 기술 구성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는 급수제어기의 배출관(220,220a) 상단부에 통공(230)을 갖춘 체결관(240)을 갖추고, 상기 체결관에 나선 체결되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정상적인 급수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차단되고, 수도전의 단수 및 수압이 약해 정상적인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세척수의 역류가 발생할 경우 외부로부터 공기(Air)가 유입되어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관을 통과한 오염된 세척수의 역류를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역류차단부(500)가 갖추어진 것이다.
상기 역류차단부(500)는 상기 체결관(240)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관체(510)를 갖추고, 상기 체결관체 내부에 위치하여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상승하여 체결관체를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차단부(52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관체(510)의 내부 상단부에는 차단부(520)의 상단부 외주연에 갖추어진 오링(521)이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면(530)을 갖추어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차단부(520)가 상승시 경사면에 오링(521)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차단부(520)의 긴밀한 밀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관체의 내부 상단부분에 고무를 재질로 하는 경사면(530)을 갖춘 밀착부(540)를 갖추어 주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관체의 상단부에는 호스(550)를 연결시켜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차단부(520)가 경사면(530)에 밀착되기 이전에 통과하게 되는 세척수가 역류차단부 주변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호스의 끝단부분은 급수제어기, 노즐 등과 같은 다른 여러가지의 부속품을 고정시켜 주는 베이스(도시되지 않음)중 노즐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호스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가 양변기측으로 흘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은 수도전이 연결된 입수관(210)을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는데, 비데 또는 양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개폐밸브(400)가 유로(200a)를 차단시켜 주고 있어 세척수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배출관(220,220a)에 갖추어진 체결관(240)에 나선 체결되어 있는 역류차단부(500)는 배출관을 통과하는 세척수의 수압이 발생되지 않아 차단부(520)가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향되어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도3a참조)
이러한 경우 차단부(540)의 오일(521)과 경사면(530)이 떨어져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Air)가 호스(550)를 통해 화살표와 같이 체결관체(510)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될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비데 또는 양변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이들을 작동시켜 주는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눌러줄 경우에는 솔레노이드(300)의 작동으로 개폐밸브(400)가 작동하여 차단되어 있던 유로(200a)을 개방시켜 주어 입수관(210)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배출관(220,220a)중 선택된 배출관을 통해 세척수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배출관측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중 일부분의 세척수는 배출관(220)의 상단부분에 갖추어진 통공(230)을 통해 역류차단부(500)인 체결관체(510) 내부로 유입되어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향되어 있는 차단부(520)를 수압에 의해 상승시켜 주므로서, 오링(521)이 경사면(530)에 긴밀히 밀착되어 체결관체(510)를 차단시켜 줌에 따라 공급되는 세척수는 배출관(220)을 통해서만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단에 의해 세척수의 공급 및 차단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단수 또는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약할 경우 유로(200a) 내부에 세척수만이 채워지지 않고, 그만큼 공기가 채워지게 됨에 따라 공기의 역 흐름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역 흐름이 발생할 경우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차단부(500)인 체결관체(510)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차단부(520)가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향되어 경사면(530)과 오링(521)이 떨어져 이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빨려 들어와 유로(200a)를 통해 흐르게 되므로서,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유로를 통해 빨려들어가는 외부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유로(200a)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배출관(220)에 있는 세척수가 역류하지 못하게 되어 배출관(220)을 통과하여 비데 및 양변기측에 있는 오염된 세척수의 역류를 차단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수도전과 연결된 입수관을 통해 몸체 내부에 갖추어진 유로를 거쳐 배출관을 거쳐 세척수가 배출되고, 상기 유로의 중간지점에 갖추어진 개폐밸브가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으로 인해 세척수의 공급과 차단을 수행하는 급수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 상단부에 통공을 갖춘 체결관과;
    상기 체결관에 나선 체결되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정상적인 급수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차단되고, 수도전의 단수 및 수압이 약해 정상적인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세척수의 역류가 발생할 경우 외부로부터 공기(Air)가 유입되어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관을 통과한 오염된 세척수의 역류를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역류차단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차단부는 체결관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관체과;
    상기 체결관체 내부에 위치하여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상승하여 체결관체를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차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체의 내부 상단부에 차단부의 상단부 외주연에 갖추어진 오링이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추어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차단부가 상승시 경사면에 오링이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의 긴밀한 밀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관체의 내부 상단부분에 고무를 재질로 하는 경사면을 갖춘 밀착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KR1020210142621A 2021-10-22 2021-10-22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KR20230057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621A KR20230057900A (ko) 2021-10-22 2021-10-22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621A KR20230057900A (ko) 2021-10-22 2021-10-22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900A true KR20230057900A (ko) 2023-05-02

Family

ID=8638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621A KR20230057900A (ko) 2021-10-22 2021-10-22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79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63B1 (ko) 2008-09-08 2011-06-01 주식회사 보보코퍼레이션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63B1 (ko) 2008-09-08 2011-06-01 주식회사 보보코퍼레이션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40589A1 (fr) Toilette sans reservoir, toilette a chasse d'eau de type occidental, dispositif de lavage de parties privees et raccord pour toilette a chasse d'eau
US7427037B2 (en) Anti-clogging showerhead device
KR900014698A (ko) 변기의 세정 급수 장치
KR101479164B1 (ko) 진공변기시스템의 진공식 배출장치
US20130025039A1 (en) Waste water unclogging system and method
JP6029725B2 (ja) 便器洗浄装置
KR101883281B1 (ko) 변기 막힘 제거 장치
KR20230057900A (ko) 비데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기의 역류방지장치
KR20100091039A (ko)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WO2016178633A1 (en) Hand basin
JP4311289B2 (ja) 排水管洗浄装置
KR200409455Y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관붙이 앵글밸브
JP2002061262A (ja) 水洗便器の洗浄方法及び水洗便器
JP2005087921A (ja) 排水管洗浄装置
KR102079743B1 (ko) 직수압식 양변기 세척방법
JP3709763B2 (ja) バキュームブレーカ
JP4005245B2 (ja) トイレの漏水防止装置
KR200384911Y1 (ko) 비데용 급수 커넥터
KR102463540B1 (ko) 직수형 양변기
JP7154663B1 (ja) 災害対応便器
KR102604477B1 (ko) 변기 물내림 장치
JP7266874B2 (ja) 圧送水洗便器
KR930000727Y1 (ko) 온수세정장치의 역류방지장치
JP2740558B2 (ja) 便器の洗浄給水装置
JP2001107439A (ja) タンクレス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