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039A -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 Google Patents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039A
KR20100091039A KR1020090010313A KR20090010313A KR20100091039A KR 20100091039 A KR20100091039 A KR 20100091039A KR 1020090010313 A KR1020090010313 A KR 1020090010313A KR 20090010313 A KR20090010313 A KR 20090010313A KR 20100091039 A KR20100091039 A KR 20100091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ontrol unit
washing
space
ur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용
김상필
김상귀
Original Assignee
김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필 filed Critical 김상필
Priority to KR102009001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1039A/ko
Priority to PCT/KR2009/002279 priority patent/WO2010090372A1/ko
Publication of KR2010009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40Devices for distribution of flush water inside the bow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8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aquar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세정 공간을 가지는 세정 몸체, 상기 세정 몸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정 공간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있고 유체가 흐르는 세정관, 그리고 상기 세정관에 결합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국부, 노즐, 분사, 통풍, 건조

Description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Urinal having washer for cleaning private part and toilet bow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남성들은 소변 시 소변기 또는 좌변기 앞에 서서 하게 되며, 이때 소변기 또는 좌변기 주변으로 소변이 튀었다. 이로 인하여 소변기 또는 좌변기 주변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소변기 또는 좌변기 주변을 자주 청소를 실시해야만 했다.
한편, 상기 좌변기에는 여성의 질 세정과 항문을 세정할 수 있는 비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데는 여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남성의 경우 소변 후 국부를 세척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별도로 세척을 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남성이 소변 시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하면서 소변 후 국부를 세척 및 건조시킬 수 있고, 소변을 간편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한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국부 세정 소변기는 세정 공간을 가지는 세정 몸체, 상기 세정 몸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정 공간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있고 유체가 흐르는 세정관, 그리고 상기 세정관에 결합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국부 세정 소변기는 상기 세정 공간과 연결된 오수관, 상기 오수관 및 상기 세정관을 감싸는 보호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부 세정 소변기는 상기 세정 몸체는, 상기 세정 공간과 구획되어 있는 송풍 공간 및 상기 송풍 공간과 상기 세정 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송풍 구멍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송풍 공간에 위치한 팬 및 상기 송풍 공간에 위치한 발열체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부 세정 소변기는 상기 세정 몸체의 외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부 세정 소변기는 상기 세정 몸체를 거는 걸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걸이 부재는, 패널, 상기 패널의 한쪽 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세정 몸체의 한쪽 외부 둘레를 감싸는 제1 걸쇠, 상기 제1 걸이부와 떨어져 있고 상기 패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 몸체의 다른 쪽 외부 둘레를 잡는 제2 걸쇠, 그리고 한쪽 끝이 상기 패널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 공간의 다른 쪽 끝을 덮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걸쇠의 적어도 일부분은 절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국부 세정 소변기는 상기 세정 몸체 외부 둘레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관이 관통하는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 블록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는 유량 제어부 및 세정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제어부는 상기 세정관과 연결된 유량 조절공을 가지는 유량 제어 몸체, 그리고 상기 유량 제어 몸체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블록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량 제어 몸체는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량 조절공과 상기 세정 공급관과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세정관을 따라 이동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세정 제어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고정 블록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세정 공급관과 연결될 수 있는 유로공을 가지는 세정수 공급 몸체 및 상기 세정수 공급 몸체 한쪽 끝에 위치하며, 상기 세정수 공급 몸체를 가압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세정수 공급 몸체 가압으로 상기 유로공이 상기 세정 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세정수가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세정 몸체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제1 판 및 제2 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의 적어도 일부분은 떨어져 틈새를 가지며, 상기 제1 판에는 상기 세정관 및 상기 틈새와 연결된 연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판에는 상기 틈새와 연결된 복수의 분사공을 가지며, 상기 세정관을 통해 공급된 세정수는 상기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되고 상기 틈새를 통하여 상기 세정 공간으로 방사상형태로 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국부 세정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는 세정 공간을 가지는 세정 몸체, 상기 세정 몸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정 공간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있고 유체가 흐르는 세정관, 상기 세정관과 연결되어 있고 승강하며 상기 노즐에 분사되는 세정수를 제어하는 세정 제어부, 상기 세정 제어부와 접점될 수 있는 송신부, 상기 오수관의 한쪽 끝이 연결되어 있는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세척수가 저장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세척수를 제어하는 배수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수조, 그리고 상기 배수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물내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세정 제어부에 결합된 제1 단자, 상기 세정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단자와 중첩하는 동작 부재, 상기 동작 부재 한쪽 끝에 결합되어 있는 복원 부재, 상기 동작 부재 한쪽 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단자와 접점 될 수 있는 제2 단자, 상기 세정 몸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송신 제어부, 그리고 상기 송신 제어부에 결합되어 있는 송신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접점 되면 무선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물내림 장치는, 상기 송신부 신호를 받는 수신 제어부, 상기 수신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수신 전원부, 상기 수신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 원판을 포함하는 모터, 한쪽 끝이 상기 회전 원판의 일측 외곽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은 상기 배수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링크, 그리고 상기 수신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의 다른 쪽 끝이 접점될 수 있는 차단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내림 장치는 수신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수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부 세정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는 상기 오수관의 한쪽 끝에 결합되어 있는 역류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상기 오수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저장 몸체, 그리고 상기 저장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저장 몸체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한쪽 끝이 구부러져 상기 변기 본체 내부와 연결되어 있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몸체에 상기 배출관이 연결된 위치는 상기 오수관이 연결된 부분 보다 높은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남성이 소변 후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로 국부를 세척한 후 건조 시킬 수 있어 남성의 국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기의 오수관이 변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국부를 세척하는 세정수에 의하여 소변이 변기로 배수되어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남성의 국부가 몸체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소변을 하게 되므로 소변이 외부로 흐르지 않아 위생적이며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국부 세정 소변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소변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2에 도시한 III-III선을 따라 소변기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국부 세정 소변기(100)는 세정 몸체(110), 오수관(120), 세정관(130), 노즐(140), 그리고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건조 장치(160), 보호관(170), 그리고 걸이 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 몸체(110)는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세정 공간(111)을 갖는다. 그러나 세정 몸체(110)는 상하 관통되지 않고 일측만 개방될 수 있다. 세정 몸체(110)는 걸이 부재(180)에 의해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걸이 부재(180)는 패널(181), 제1 걸쇠(182), 덮개(183), 그리고 제2 걸쇠(184)를 포함한다.
패널(181)은 벽체에 설치되어 분리 결합될 수 있다. 패널(181)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패널(181)의 한쪽 면에는 제1 걸쇠(182)가 결합되어 있다.
제1 걸쇠(182)는 세정 공간(111)을 가지는 세정 몸체(110)의 한쪽 끝 외부 둘레를 감싸고 있다. 제1 걸쇠(182)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있으며 그 부분은 벌어질 수 있다. 제1 걸쇠(182)는 탄성 소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제2 걸쇠(184)는 패널(181)의 한쪽 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걸쇠(182)와 떨어져 있다. 제2 걸쇠(184)는 양쪽으로 양분 되어 벌어질 수 있다. 양분된 부분이 벌어지면서 세정 몸체(110)의 다른 쪽 끝을 잡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 몸체(110)를 제1 걸쇠(182)와 제2 걸쇠(184)로 패널(181)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걸쇠(184) 또한 탄성 소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덮개(183)는 제1 걸쇠(182)와 떨어져 있으며 힌지로 패널(181)에 연결되어 있다. 덮개(183)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세정 몸체(110)의 세정 공간(111)을 가릴 수 있다.
아울러, 제1 걸쇠(182) 및 제2 걸쇠(184)로 패널(181)에 고정된 세정 몸체(110)를 잡고 당기게 되면 제1 걸쇠(182) 및 제2 걸쇠(184)가 벌어지면서 패널(181)에서 세정 몸체(110)를 이탈시킬 수 있다. 세정 몸체(110)의 외부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114)가 형성되어 세정 몸체(110)를 간편하게 잡을 수 있다.
패널(181)에서 이탈시킨 세정 몸체(110)를 들고 남성의 국부를 세정 공 간(111)에 위치시켜 소변을 볼 수 있다. 세정 몸체(110)가 패널(181)에 고정된 상태에서 소변을 볼 수 있다. 이때는 소변자가 덮개(183)를 세정 몸체(110)에서 분리한 뒤 소변을 봐야 할 것이다. 소변은 세정 공간(111)에 수용된다. 그러나 세정 공간(111)으로 오수관(120)이 연결되어 있어 오수관(1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오수관(120)의 한쪽 끝은 변기, 하수구 따위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오수관(120)은 생략될 수 있다.
세정 공간(111)에는 세정관(130)과 연결되어 유체가 분사되는 노즐(140)이 배치되어 있다.
세정관(130)은 수도꼭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수돗물(이하, 세정수)이 흐를 수 있다. 세정관(130)을 따라 흐른 세정수는 세정관(130)에 결합된 제어부(150)의 제어로 노즐(140)을 통하여 분사된다.
한편, 세정관(130)에는 필터(도시하지 않음) 따위가 결합되어 세정수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세정관(130)에는 히터(도시하지 않음) 따위가 결합되어 세정수를 기설정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세정관(130) 및 오수관(120)은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신축될 수도 있다. 세정관(130) 및 오수관(120)은 보호관(170)이 감싸고 있다. 보호관(170)은 세정관(130) 및 오수관(120)을 전체적으로 감싸지 않고 일 부분만 감싸고 있다. 보호관(170)의 한쪽 끝은 세정 몸체(110)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은 고정 부재(171)로 벽체에 고정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노즐(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노즐(140)은 서로 떨어진 제1 판(142) 및 제2 판(144)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제1 판(142) 및 제2 판(144)의 적어도 일부분은 붙어 있다. (제1 판(142)과 제2 판(144)이 떨어진 부분을 이하, 틈새(141)라 한다.) 틈새(141)의 간격은 노즐(140)의 중심에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간격은 점진적으로 넓어진다. 즉, 제1 판(142)과 제2 판(144)의 중심 부분 간격은 0.4 내지 0.6mm 이며, 제1 판(142)과 제2 판(144)이 가장자리 부분의 간격은 0.9mm 내지 1.1mm일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은 노즐(14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판(142)에는 세정관(130)과 틈새(141)를 연결하는 연결공(14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판(144)에는 틈새(141)와 연결된 복수의 분사공(145)이 형성되어 있다. 분사공(145)의 직경은 Φ0.5 내지 Φ1일 수 있다. 분사공(45)의 직경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50)의 제어로 세정수가 연결공(143)을 통해 틈새(141)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 세정수는 제2 판(144)의 내면에 부딪힐 수 있다. 이중 일부 세정수는 분사공(145)으로 일부는 틈새(141)를 통하여 세정 공간(111)으로 분사된다.
분사공(145)으로 분사된 세정수는 소변을 본 남성의 국부를 향해 세차게 분출되어 국부를 세정하게 된다. 또한, 틈새(141)을 통해 분사된 세정수는 얇은 막으로 펼쳐지면서 배출된다. 배출된 세정수는 세정 몸체(110)의 내부 둘레에 닿아 그 둘레를 세척하게 된다.
이렇게 분사된 세정수는 세정 공간(111)에 저장 되거나 오수관(1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제어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B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세정관(130)이 관통하는 고정 블록(150a)에 위치하며, 고정 블록(150a)은 세정 몸체(110)의 외부 둘레에 결합되어 있다. 제어부(150)는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세정 제어부(155) 및 세정수의 분사 압력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부(152)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세정 제어부(15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세정 제어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세정 제어부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세정 제어부(155)는 세정수 공급 몸체(156) 및 완충 부재(159)를 포함한다.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수 공급 몸체(156)는 유로공(157)을 가지며, 세정관(130)이 관통하는 고정 블록(150a)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정관(130)과 중첩되어 있으며 한쪽 끝은 고정 블록(150a)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세정수 공급 몸체(156)의 다른 쪽 끝에는 완충 부재(159)가 결합되어 있다. 완충 부재(159)는 스프링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세정수 공급 몸체(156)과 세정관(130)이 중첩되어 세정관(130)은 노즐(140) 과 연결되지 못하고 끊어져 세정수의 흐름이 차단된다. 그러나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설정된 힘으로 세정수 공급 몸체(156)를 가압하면 완충 부재(159)가 압축되면서 유로공(157)과 세정관(130)이 일치되어 세정관(130)이 노즐(140)과 연결된다. 세정관(130)이 연결되면 세정수가 흘러 노즐(140)을 통해 세정 공간(111)으로 분사된다. 노즐(140)에서 분출되는 세정수의 수압은 유량 제어부(152)에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힘이 제거되면 세정수 공급 몸체(156)는 완충 부재(159)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 하게 되며 이때 세정수 공급 몸체(156)가 세정관(130)과 중첩되면서 세정수의 흐름이 차단되어 국부 세정이 종료된다. 국부 세정이 종료된 후 건조 장치(160)를 이용하여 국부를 건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유량 제어부(15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한 VII-VII 선을 따라 유량 제어부를 자른 단면도.
먼저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유량 제어부(152)는 유량 제어 몸체(153) 및 레버(153a)를 포함 한다.
유량 제어 몸체(153)는 세정수 공급 몸체(156)와 이웃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세정관(130)과 중첩되어 있다. 유량 제어 몸체(153)는 그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기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유량 제어 몸체(153)의 한쪽 끝에는 레버(153a)가 결합되어 있어 레버(153a)를 파지한 상태에서 유량 제어 몸체(153)를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세정수 공급 몸체(156)에는 세정관(130)과 일치하는 유량 조절공(15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유량 조절공(154)은 유량 제어 몸 체(153)의 회전 정도에 따라 일치하는 범위가 달라 질 수 있다. 유량 조절공(154)과 세정관(130)이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노즐(140)에서 분출하는 세정수의 분출 압력이 상이하다. 즉,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유량 조절공(154)과 세정관(130)의 일치 범위가 크면 세정관(130)을 흐르는 세정수의 압력이 노즐(140)에서 그 압력 그대로 분출되며, 일치하는 범위가 협소하다면 노즐(140)에서 분출되는 압력이 적다.
한편, 세정수 공급 몸체(156) 및 유량 제어 몸체(153)의 둘레에는 세정수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복수의 밀폐링(151)이 결합되어 있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여 건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3에 도시한 IX-IX 선을 따라 소변기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세정 몸체(110)에는 송풍 공간(1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송풍 공간(112)과 세정 공간(111)을 연결하는 복수의 송풍 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송풍 공간(112)에 팬(161)이 위치한다. 팬(161)은 건조 버튼(163)과 연결되어 있으며 건조 버튼(163)은 고정 블록(150a)에 위치하며, 건조 버튼(163)으로 팬(161)을 동작시킬 수 있다. 팬(161) 회전으로 발생한 바람은 송풍 구멍(113)을 통하여 세정 공간(111)에 분출되어 세정이 종료된 국부를 건조하게 된다. 한편, 송풍 공간(112)에 복수의 발열체(162)가 배치되어 발열체(162)의 발열로 따뜻한 바람이 송풍 구멍(113)을 통하여 세정 공간(111)으로 분출될 수 있다. 그러나 발열체(162)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200)는 국부 세정 소변기(100), 송신부(230), 변기 본체(210), 수조(220), 그리고 물내림 장치(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국부 세정 소변기(10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즉, 국부 세정 소변기(100)는 세정 몸체(110), 오수관(120), 세정관(130), 노즐(140), 유량 제어부(152) 및 세정 제어부(155)를 포함하는 제어부(150) 건조 장치(160), 보호관(170), 그리고 걸이 부재(180)를 포함 한다.
즉, 벽체 따위에 설치된 걸이 부재(180)에서 세정 몸체(110)를 분리한 뒤 세정 공간(111)에 남성의 국부를 위치시켜 소변을 보면 소변은 오수관(1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소변 후 세정 제어부(155)를 이용하여 노즐(140)에서 세정 공간(111)으로 분출되도록 하여 국부를 세정한다. 이때 분출되는 세정수의 압력은 유량 제어부(152)에서 조절할 수 있다. 세정이 완료된 후에는 건조 장치(160)를 이용하여 국부를 건조하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제어부(155)에 송신부(230)가 배치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송신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C 부분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7에 도시한 D 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세정수 공급 몸체(156)의 외부 둘레에는 돌 출편(158)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158)은 전류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송신부(230)는 제1 단자(231), 동작 부재(232), 복원 부재(233), 제2 단자(134), 송신 제어부(235), 그리고 송신 전원부(236)를 포함한다.
돌출편(158)의 한쪽 면에는 제1 단자(231)가 결합되어 있다. 제1 단자(231)는 금속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동작 부재(232)는 고정 블록(150a)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동작 부재(232)의 한쪽 끝은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편(158)과 중첩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에는 복원 부재(233)가 결합되어 있다. 복원 부재(233)는 스프링 따위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동작 부재(232)가 돌출편(158)과 맞닺게 되면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되면 복원 부재(233)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동작 부재(232)의 한쪽 면에는 제2 단자(134)가 결합되어 있다. 제2 단자(134)는 제1 단자(231)와 접점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수 공급 몸체(156)가 상승되면 제1 단자(231)와 접점되며 하강시에는 접점되지 않는다.
송신 전원부(236)는 송신 제어부(235)와 연결되어 있으며, 송신 제어부(235)는 제1 단자(231) 및 제2 단자(134)와 연결되어 있다. 제1 단자(231)와 제2 단자(134)가 접점 되면 송신 전원부(236)의 전류가 송신 제어부(235)에 인가 되면서 송신 제어부(235)에서 무선 신호가 송신된다.
즉, 가압된 세정수 공급 몸체(156)가 상승되면서 세정수 공급 몸체(156)가 세정관(130)의 연결을 끊게 되어 노즐(140)에서 세정수가 분출되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제1 단자(231)와 제2 단자(134)가 접점 되면서 송신 제어부(235)에서 무선 신호가 송신된다. 이렇게 송신된 무선 신호는 물내림 장치(240)에서 수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오수관(120)은 한쪽 끝에 역류 방지 부재(250)가 결합되어 있다. 역류 방지 부재(250)는 변기 본체(210)에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오수관(120)의 한쪽 끝이 변기 본체(2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먼저, 변기 본체(210)를 살펴 보면, 변기 본체(210)에는 일측이 개방된 오물 수용 공간(211)이 형성되어 있다. 오물 수용 공간(211)은 하수구와 연결되어 있다. 변기 본체(210)에는 용변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변기 본체(210)의 일측에는 오물 수용 공간(211)에 수용된 오물을 배수하기 위한 세척수가 저장된 수조(220)가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역류 방지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역류 방지 부재(250)는 저장 몸체(251) 및 배출관(252)을 포함 한다.
저장 몸체(251)는 변기 본체(210)의 외부 둘레 위치하며 체결 장치로 고정되어 있다. 저장 몸체(252) 변기 본체(210) 사이에는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 어 있다. 패드에 의해 체결 장치의 한쪽 끝이 변기 본체(21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변기 본체(210)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저장 몸체(251)의 하부에는 오수관(120)의 한쪽 끝이 연결되어 있으며 저장 몸체(251)의 내부는 비어 있다. 소변기(100)에서 배출된 소변 및 국부를 세정한 세정수(이하, 오수)가 오수관(120)을 따라 흘러 저장 몸체(251)의 내부로 유입된다. 저장 몸체(251)의 상부 쪽에는 배출관(252)이 연결되어 있으며, 배출관(252)의 한쪽 끝은 구부러져 있다. 구부러진 부분은 변기 본체(210)에 걸리어 변기 본체(210)와 좌대 사이에 위치한다. 배출관(252)의 끝은 오물 수용 공간(211)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저장 몸체(251)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는 저장 몸체(251) 내부의 하부에서부터 점차 채워지면서 배출관(252)이 연결된 부분에 도달하면 배출관(252)을 통하여 오물 수용 공간(211)으로 배출 된다.
저장 몸체(251)에 연결된 오수관(120)과 배출관(252)의 높이 차이에 의하여 저장 몸체(251)의 내부에는 오수가 항상 어느 정도 채워져 있다. 이때 채워진 오수는 소변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순수한 세정수 이다. 그 이유는 소변 후 세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변이 배출된 후 세정수가 배출되므로 순수한 세정수만 저장 몸체(251)의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이후 배출되는 소변에 의하여 먼저 채워진 세정수는 배출되며 이후 다시 배출되는 세정수에 의하여 저장 몸체(251)의 내부에는 다시 세정수가 어느 정도 채워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수조(2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좌변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조(220)의 내부에는 세척수를 오물 수용 공간(211)으로 보내기 위한 배수 장치(10)가 위치한다. 배수 장치(10)는 수조(220)에 결합된 지렛대(11) 및 오물 수용 공간(211)과 연결된 구멍(221)을 막는 마개(12)를 포함한다. 지렛대(11)와 마개(12)는 연결되어 있다. 지렛대(11)에 의하여 마개(12)는 구멍(221)에서 분리되면, 이때 세척수가 오물 수용 공간(211)에 투입되어 오물이 하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수조(220)에는 배수 장치(10)와 연결되어 있고 송신부(230)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물 내림 장치(240)가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물내림 장치(2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E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물내림 장치(240)는 수신 제어부(241), 수신 전원부(242), 모터(243), 링크(245), 그리고 차단 스위치(24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물내림 장치(240)는 커버로 은폐되어 있다.
수신 제어부(241)는 수신 전원부(242) 및 원판(244)이 결합된 모터(243)와 연결되어 있다. 원판(244)에는 지렛대(11)와 연결된 링크(245)가 결합되어 있다. 링크(245)의 한쪽 끝이 위치한 부분에는 차단 스위치(246)가 배치되어 있다.
수신 전원부(242)는 5V 내지 7V일 수 있다. 전압은 모터(243)의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수신 제어부(241)는 송신부(230)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전원부(242)의 전원이 모터(243)에 인가되어 모터(243)가 구동된다. 모터(243)의 구동으로 원판(244)이 회전되면서 링크(245)가 동작되고 이와 연결된 지렛대(11) 또한 동작된다. 지렛대(11)가 동작 되면 수조(220)의 구멍(221)에서 마개(12)가 이탈되어 수조(220)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가 오물 수용 공간(211)을 투입되면서 투입되는 압력에 의하여 오물 수용 공간(211)에 있는 모든 것이 하수구로 배출된다.
원판(244)이 회전되면서 링크(245)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링크(245)의 한쪽이 차단 스위치(246)에 접점 되면서 그 신호가 수신 제어부(241)에 수신 제어부(241)에 전달되면서 모터(243)로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전원 차단으로 모터(243)의 구동이 정지되어 원판(244)은 더 이상 회전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원판(244)의 1회전 마다 마개(12)가 수조(220)의 구멍(221)에서 이탈된다. 링크(245)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지렛대(11) 또한 원 상태로 복귀 된다. 이때 마개(12)는 자중에 의하여 다시 구멍(221)에 결합된다. 이렇게 구멍(221)에 마개(12)가 결합되면 수조(220) 내부로 세척수가 다시 채워지게 된다.
물내림 장치(240)의 수신 제어부(241), 수신 전원부(242), 모터(243), 링크(245), 그리고 차단 스위치(246)는 그 위치가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한다.
한편, 수조(220) 외부에는 송신부(230)를 통하지 않고 수조(220) 내부에 저장된 물을 내릴 수 있도록 수동 제어부(260)가 결합되어 있다.
수동 제어부(260)는 수신 제어부(241)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동 제어부(260)를 조작하면 수신 전원부(242)의 전원이 모터(243)에 인가되면서 모터(243)가 구동되어 수조(220)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를 내릴 수 있다.
이렇게, 수동 제어부(260)를 이용 시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도 세척수를 오물 수용 공간(211)으로 투입하여 오물을 배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소변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한 III-III선을 따라 소변기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B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세정 제어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세정 제어부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한 VII-VII 선을 따라 유량 제어부를 자른 단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한 IX-IX 선을 따라 소변기를 자른 단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C 부분 확대도.
도 11은 도 7에 도시한 D 부분 확대도.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좌변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E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소변기 110: 세정 몸체
111: 세정 공간 112: 송풍 공간
113: 송풍 구멍 114: 손잡이
120: 오수관 130: 세정관
140: 노즐 141: 틈새
142: 제1 판 143: 연결공
144: 제2 판 145: 분사공
150: 제어부 150a: 고정 블록
151: 밀폐링 152: 유량 제어부
153: 유량 제어 몸체 153a: 레버
154: 유량 조절공 155: 세정 제어부
156: 세정수 공급 몸체 157: 유로공
158: 돌출편 159: 완충 부재
160: 건조 장치 161: 팬
162: 발열체 163: 건조 버튼
170: 보호관 171: 고정 부재
180: 걸이 부재 181: 패널
182: 제1 걸쇠 183: 덮개
184: 제2 걸쇠 190: 고정 부재
200: 좌변기 210: 변기 본체
211: 오물 수용 공간 220: 수조
221: 구멍 230: 송신부
231: 제1 단자 232: 동작 부재
233: 복원 부재 234: 제2 단자
235: 송신 제어부 236: 송신 전원부
240: 물내림 장치 241: 수신 제어부
242: 수신 전원부 243: 모터
244: 원판 245: 링크
246: 차단 스위치 250: 역류 방지 부재
251: 저장 몸체 252: 배출관
260: 수동 제어부
10: 배수 장치 11: 지렛대
12: 마개

Claims (14)

  1. 세정 공간을 가지는 세정 몸체,
    상기 세정 몸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정 공간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있고 유체가 흐르는 세정관, 그리고
    상기 세정관에 결합되어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국부 세정 소변기.
  2. 제1항에서,
    상기 세정 공간과 연결된 오수관,
    상기 오수관 및 상기 세정관을 감싸는 보호관
    을 더 포함하는 국부 세정 소변기.
  3. 제2항에서,
    상기 세정 몸체는, 상기 세정 공간과 구획되어 있는 송풍 공간 및 상기 송풍 공간과 상기 세정 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송풍 구멍을 가지며,
    상기 송풍 공간에 위치한 팬 및 상기 송풍 공간에 위치한 발열체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국부 세정 소변기.
  4. 제3항에서,
    상기 세정 몸체의 외부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국부 세정 소변기.
  5. 제4항에서,
    상기 세정 몸체를 거는 걸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이 부재는
    패널,
    상기 패널의 한쪽 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세정 몸체의 한쪽 외부 둘레를 감싸는 제1 걸쇠,
    상기 제1 걸이부와 떨어져 있고 상기 패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 몸체의 다른 쪽 외부 둘레를 잡는 제2 걸쇠, 그리고
    한쪽 끝이 상기 패널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 공간의 다른 쪽 끝을 덮는 덮개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걸쇠의 적어도 일부분은 절개되어 있는
    국부 세정 소변기.
  6. 제5항에서,
    상기 세정 몸체 외부 둘레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관이 관통하는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 블록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는 유량 제어부 및 세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국부 세정 소변기.
  7. 제6항에서,
    상기 유량 제어부는
    상기 세정관과 연결된 유량 조절공을 가지는 유량 제어 몸체, 그리고
    상기 유량 제어 몸체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블록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레버
    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 제어 몸체는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량 조절공과 상기 세정 공급관과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세정관을 따라 이동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달라지는
    국부 세정 소변기.
  8. 제7항에서
    상기 세정 제어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고정 블록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세정 공급관과 연결될 수 있는 유로공을 가지는 세정수 공급 몸체 및
    상기 세정수 공급 몸체 한쪽 끝에 위치하며, 상기 세정수 공급 몸체를 가압 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수 공급 몸체 가압으로 상기 유로공이 상기 세정 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세정수가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세정 몸체 내부로 분사되는
    국부 세정 소변기.
  9. 제8항에서
    상기 노즐은, 제1 판 및 제2 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의 적어도 일부분은 떨어져 틈새를 가지며,
    상기 제1 판에는 상기 세정관 및 상기 틈새와 연결된 연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판에는 상기 틈새와 연결된 복수의 분사공을 가지며,
    상기 세정관을 통해 공급된 세정수는 상기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되고 상기 틈새를 통하여 상기 세정 공간으로 방사상형태로 퍼지는
    국부 세정 소변기.
  10. 세정 공간을 가지는 세정 몸체,
    상기 세정 몸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정 공간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있고 유체가 흐르는 세정관,
    상기 세정관과 연결되어 있고 승강하며 상기 노즐에 분사되는 세정수를 제어하는 세정 제어부,
    상기 세정 제어부와 접점될 수 있는 송신부,
    상기 오수관의 한쪽 끝이 연결되어 있는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세척수가 저장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세척수를 제어하는 배수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수조, 그리고
    상기 배수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물내림 장치
    를 포함하는 국부 세정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
  11. 제10항에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세정 제어부에 결합된 제1 단자,
    상기 세정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단자와 중첩하는 동작 부재,
    상기 동작 부재 한쪽 끝에 결합되어 있는 복원 부재,
    상기 동작 부재 한쪽 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단자와 접점 될 수 있는 제2 단자,
    상기 세정 몸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송신 제어부, 그리고
    상기 송신 제어부에 결합되어 있는 송신 전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접점 되면 무선 신호가 송신되는
    국부 세정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
  12. 제11항에서,
    상기 물내림 장치는,
    상기 송신부 신호를 받는 수신 제어부,
    상기 수신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수신 전원부,
    상기 수신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 원판을 포함하는 모터,
    한쪽 끝이 상기 회전 원판의 일측 외곽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은 상기 배수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링크, 그리고
    상기 수신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의 다른 쪽 끝이 접점될 수 있는 차단 스위치
    를 포함하는
    국부 세정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
  13. 제12항에서
    상기 물내림 장치는
    수신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수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국부 세정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
  14. 제10항에서,
    상기 오수관의 한쪽 끝에 결합되어 있는 역류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류 방지 부재는
    상기 오수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저장 몸체, 그리고
    상기 저장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저장 몸체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한쪽 끝이 구부러져 상기 변기 본체 내부와 연결되어 있는 배출관
    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 몸체에 상기 배출관이 연결된 위치는 상기 오수관이 연결된 부분 보다 높은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는
    국부 세정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
KR1020090010313A 2009-02-09 2009-02-09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KR20100091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313A KR20100091039A (ko) 2009-02-09 2009-02-09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PCT/KR2009/002279 WO2010090372A1 (ko) 2009-02-09 2009-04-29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313A KR20100091039A (ko) 2009-02-09 2009-02-09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039A true KR20100091039A (ko) 2010-08-18

Family

ID=4254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313A KR20100091039A (ko) 2009-02-09 2009-02-09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91039A (ko)
WO (1) WO20100903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830Y1 (ko) * 2009-05-29 2012-06-11 한순윤 탈착식 소변기
KR101456103B1 (ko) * 2013-02-28 2014-11-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3055B2 (ja) * 2013-03-06 2017-06-28 Toto株式会社 衛生維持装置付き小便器
WO2016095835A1 (zh) * 2014-12-19 2016-06-23 钟剑威 具有检测尿液、体重、心电、人体阻抗功能的马桶
US20170335557A1 (en) * 2016-05-17 2017-11-23 Francisco Valdez Toilet urinal
CN107489193A (zh) * 2016-06-13 2017-12-19 张博涵 一种新型多功能坐便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3598A (en) * 1986-07-07 1987-08-04 Jones Kathleen K Urinal for use by females
US5153947A (en) * 1991-08-13 1992-10-13 Markles Elmer C Urinal for attachment to a toilet
US5737779A (en) * 1995-09-19 1998-04-14 Haddock; Robert H. Hand held movable urinal assembly
KR100714471B1 (ko) * 2005-08-08 2007-05-04 정신균 비데기능을 갖는 남성의 소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830Y1 (ko) * 2009-05-29 2012-06-11 한순윤 탈착식 소변기
KR101456103B1 (ko) * 2013-02-28 2014-11-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데기능을 가지는 양성용 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0372A1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1039A (ko)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JP3911000B1 (ja) 男子排尿補助具
KR100999397B1 (ko)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KR200202253Y1 (ko) 절수용 변기
KR200443599Y1 (ko) 남성용 소변장치
KR100777165B1 (ko)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100944385B1 (ko)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KR20100125847A (ko) 좌변기용 비데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JP5720929B2 (ja) 汚物流しユニット
JP2003313921A (ja) 局部洗浄装置
RU80863U1 (ru) Унитаз с поворотной чашей
JP3709763B2 (ja) バキュームブレーカ
KR100822893B1 (ko) 남성용 비데
JP3666620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TW201322947A (zh) 自動沖洗馬桶蓋組
KR100700198B1 (ko) 자동세수장치
JP5278875B2 (ja) 水洗便器へのアタッチメント式臀部内面洗浄装置
KR100893676B1 (ko) 남성용 비데를 갖춘 소변기
KR200384911Y1 (ko) 비데용 급수 커넥터
KR20120113190A (ko) 남성용 비데장치
JP4259065B2 (ja) 洗浄給水装置
JP4341126B2 (ja) 便座ボックス及び温水洗浄装置
KR200236424Y1 (ko) 양변기 좌대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