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385B1 -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 Google Patents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385B1
KR100944385B1 KR1020090116587A KR20090116587A KR100944385B1 KR 100944385 B1 KR100944385 B1 KR 100944385B1 KR 1020090116587 A KR1020090116587 A KR 1020090116587A KR 20090116587 A KR20090116587 A KR 20090116587A KR 100944385 B1 KR100944385 B1 KR 100944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toilet
urine
wate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부
Original Assignee
이성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부 filed Critical 이성부
Priority to KR1020090116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8Covers with urine f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 종류에 따라 세정하는 물의 양이 다르게 조절되어 물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오폐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와 소변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소변을 볼 때 소리가 크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자 및 주위 사람들 상호 간에 민망한 느낌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변이 좌변기의 밖으로 튀지 않아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에 관한 것이다.
절수형 변기, 용변, 보울, 림, 세정수, 배수트랩, 봉수(封水), 변기몸체, 좌대, 덮개, 변기커버, 손잡이, 배수구, 소변수용체, 소변기, 소변배수부

Description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WATER SAVING TYPE TOILET STOOL WITH URINAL}
본 발명은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 종류에 따라 세정하는 물의 양이 다르게 조절되어 물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오폐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와 소변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소변을 볼 때 소리가 크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자 및 주위 사람들 상호 간에 민망한 느낌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변이 좌변기의 밖으로 튀지 않아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변기, 특히 좌변기는 화장실에 설치되어 사람의 용변을 처리하는 기기이다.
통상 좌변기는 용변을 수용하는 보울(Bowl)과, 보울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이동하는 수로를 가지며 수로에서 보울 내면을 따라 흐르도록 물을 배출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림(Rim), 그리고 보울에 연결되어 용변과 물을 수압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트랩(Drain Trap)을 포함하여 변기몸체 를 구성한다. 이때, 보울과 배수트랩에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일정량의 물, 즉 봉수(封水)가 고여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변기몸체에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어야 하므로 림의 상측에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대와, 좌대에 힌지 결합되어 보울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변기커버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좌변기는 고여있는 물의 양이 적지 않은 데다, 용변 후 물을 내릴 때에도 고여있는 물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만큼 많은 양의 물이 소비된다.
소변의 경우 점성이 높지 않은 유동성이 큰 액체이므로 적은 물로 소변의 접촉부위를 씻겨내면 세정이 완료되므로 상당히 적은 물로도 세정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인 좌변기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으므로 용변 후 배출 시 항상 많은 물을 소비하는 대변의 세정방법으로 세정하게 되어 필요 이상의 물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낭비된 물에 의해 소변이 섞인 오폐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 고여있는 물에 소변이 떨어지면서 소리가 크게 발생하여 사용자 및 주위 사람들 상호 간에 민망한 느낌이 들게 되고, 여성의 경우 대변이나 소변을 좌대에 앉아서 보지만, 남자의 경우 대부분 소변을 서서 보게 되므로 부주의 등으로 인해 소변이 좌변기 밖으로 튀어 위생적으로 불결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변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변 종류에 따라 세정하는 물의 양이 다르게 조절되어 물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오폐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와 소변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소변을 볼 때 소리가 크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자 및 주위 사람들 상호 간에 민망한 느낌을 주지 않고, 소변이 좌변기의 밖으로 튀지 않아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수형 변기에 있어서, 용변을 수용하는 보울과, 보울에 세정수를 배출하는 림 및 보울에 연결되어 용변과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트랩을 포함하고, 보울과 배수트랩에 악취를 차단하도록 봉수(封水)가 고이는 변기몸체와; 변기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대와, 좌대에 힌지 결합되어 보울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변기커버와; 변기몸체와 변기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변기몸체, 변기커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에 축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한쪽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가 마련되 며, 다른 쪽에는 보울 내에 위치되어 소변을 수용하며 소변이 배수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소변수용체가 마련되되, 용변의 종류에 따라 손잡이를 통해 소변수용체의 위치를 축회동시켜 조절하는 제1 소변기; 및 배수구와 연결되며, 보울과 배수트랩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내측에 소변의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소변배수부; 를 포함하는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를 제공한다.
좌대에는 제2 소변기가 형성되고, 제2 소변기는, 소변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제1 소변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 몸체; 및 한쪽은 제1 소변수용홈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배수구를 통해 소변배수부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 소변수용홈에 수용된 소변을 소변배수부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1 안내관; 을 포함하며, 제2 소변기의 사용유무에 따라 배수구와 소변배수부는 상호 소정 간격 떨어지거나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안내관은, 제1 소변수용홈과 연결되며, 보울과 배수트랩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내측에 소변의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변기몸체 또는 좌대에는 제3 소변기가 장착되고, 제3 소변기는, 변기몸체 또는 좌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승강되는 승강부재; 및 승강부재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소변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제2 소변수용홈이 형성되는 제2 몸체; 및 제2 소변수용홈에 수용된 소변을 배수구 또는 소변배수부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 안내관; 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소변기의 축 중심과, 배수구에 접하는 소변배수부의 중심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소변기의 축 중심과, 배수구에 접하는 소변배수부의 중심은 상호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고, 배수구와 소변배수부는 유연한 재질의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에 의하면, 용변 종류에 따라 세정하는 물의 양이 다르게 조절되어 물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오폐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와 소변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소변을 볼 때 소리가 크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자 및 주위 사람들 상호 간에 민망한 느낌을 주지 않고, 소변이 좌변기의 밖으로 튀지 않아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수형 변기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는 크게 변기몸체(100)와 변기커버(200), 제1 소변기(300) 및 소변배수 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기몸체(100)는 통상의 변기몸체와 동일하게 용변을 수용하는 보울(110)과, 보울(110)에 세정수를 배출하는 림(120), 보울(110)에 연결되어 용변과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트랩(130) 및 세정수가 저수되고 스위치(102)의 동작에 따라 림(120)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저수조(140)를 포함하고, 보울(110)과 배수트랩(130)에 악취를 차단하도록 봉수(封水)가 고이게 된다.
변기커버(200)는 변기몸체(10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대(210)와, 좌대(210)에 힌지 결합되어 보울(110)을 개폐하는 덮개(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기커버(200)는 통상의 변기커버와 거의 유사하나 하기에 서술하는 제1 소변기(300)가 축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좌대(210)가 폐곡선을 이루어 완전한 원형(타원형)을 이루게 된다.
제1 소변기(300)는 변기몸체(100)와 변기커버(200) 사이에 배치되어 변기커버(200)에 봉수(封水)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축(302)에 의해 축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외에 변기몸체(100)에 축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으며, 변기몸체(100) 및 변기커버(200) 모두에 축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한쪽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310)가 마련되며, 다른 쪽에는 보울(110) 내에 위치하여 소변을 수용하도록 주변 둘레가 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소변수용체(320)가 마련되는데, 소변수용체(320)의 바닥에는 소변을 수용한 후 수용된 소변을 배수하는 배수구(322)가 형성되고, 바닥면은 소변을 배수구(322)로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소변기(300)에는 소변을 씻어내기 위한 세정수의 공급여부 를 제어하는 스위치(102)의 동작유무에 따라 세정수를 공급받는 세정수공급관(104), 세정수를 배출시키는 세정노즐 등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위치(102)는 통상 림(120)을 통해 세정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스위치(102)와 동일한 스위치(102)를 사용하여 스위치(102)의 구분동작, 예를 들어 살짝 누를 경우 소변수용체(320)에 세정수를 배출시키고, 세게 누를 경우 림(120)을 통해 세정수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1 소변기(300)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관(104)는 저수조(140)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공급받게 되나, 절수형 변기의 사용상황 등에 따라 외부에서 세정수를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소변기(300)는, 특히 좌대(210)에 앉아서 소변을 보는 여성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환자 등 남성 또한 서서 소변을 보지 못하거나 사용환경 등에 따라 남녀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소변기(300)는 소변을 보는 경우 손잡이(310)를 잡아 소변수용체(320)의 위치를 축회동시켜 소변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 즉 보울(110)의 중심측으로 이동시켜 사용하게 되고, 대변을 보는 경우 제1 소변기(300)를 좌대(210)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회동 이동시켜 제1 소변기(300)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키나 성별, 나이 등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손잡이(310)를 밀어넣거나 당겨 소변수용체(320)를 세정수가 저수되어 있는 저수조(140)측을 향하거나 저수조(140) 반대측을 향해 일정 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이를 어느 정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소변배수부(400)는 제1 소변기(300)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322)와 연결되 며, 보울(110)과 배수트랩(130)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내측에 소변의 배출유로를 형성한다. 즉, 제1 소변기(300)는 대변이 아닌 소변용이며, 소변수용체(320)에 수용된 소변과, 소변수용체(320)에 묻은 소변을 씻어내기 위해 공급된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해 소변배수부(40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소변배수부(400)가 보울(110)과 배수트랩(130)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므로 소변배수부(400)에도 변기몸체(100)와 마찬가지로 봉수가 고여 악취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소변배수부(400)의 입구는 림(120)으로부터 보울(110)에 유입되는 세정수가 투입되지 않도록, 그리고 변기몸체(100)에 고여있는 봉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보울(110)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지고, 변기몸체(100)에 고여있는 봉수의 최고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소변기(300)는 변기커버(200)에 축(302)에 의해 축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되므로 제1 소변기(300)의 배수구(322) 또한 회동되게 된다. 이때, 배수구(322)는 소변배수부(400)와 상호 접하도록 연결되는데, 축(302)과 배수구(322)에 접해있는 소변배수부(400)가 상호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될 경우 제1 소변기(300)의 회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소변기(300)를 회동시키는 축(302) 중심은 배수구(322)의 중심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수구(322)에 접하는 소변배수부(400)의 입구 중심 또한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제1 소변기(300)의 축(302) 중심과 배수구(322)의 중심, 그리고 소변배수부(400)의 입구 중심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만약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변기의 제조환경이나 사용환경 등에 따 라 제1 소변기(300)의 축(302) 중심과 배수구(322)의 중심이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거나, 또는 소변배수부(400)의 입구 중심이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배수구(322)와 소변배수부(400) 사이를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관(도시하지 않음)으로 연결하여 제1 소변기(300)가 회동하더라도 연결관이 늘어나거나, 소변배수부(400) 내측에 연결관의 말단이 남아있도록 하여 배수구(322)와 소변배수부(400)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절수형 변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좌대(210)에 제2 소변기(50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제2 소변기(500)는 제1 몸체(510) 및 제1 안내관(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1 몸체(510)는 소변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제1 소변수용홈(512)이 형성되고, 제1 안내관(520)은 한쪽이 제1 소변수용홈(512)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배수구(322)를 통해 소변배수부(400)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 소변수용홈(512)에 수용된 소변을 소변배수부(400) 내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때, 제1 안내관(520)은 소변배수부(400)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2 소변기(500)는 통상 서서 소변을 보는 남성전용으로 사용되게 되며, 제2 소변기(500)에도 제1 소변기(300)와 마찬가지로 스위치(102)의 동작유무 에 따라 소변을 씻어내기 위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관(104), 세정노즐(106) 등이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변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도 4와 같이 먼저 손잡이(310) 또는 좌대(210)를 잡고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저수조(140) 측을 향해 들어올린다. 이때,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면서 상승하는 좌대(210)는 힌지 자체가 뻑뻑하게 고정되어 좌대(210)를 승강시키게 되면 자연스럽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거나, 기어(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좌대(210)에 체결되어 있는 별도의 나사(도시하지 않음) 등을 풀어준 후 승강 각도를 조절하여 다시 죄어주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위생적인 측면 등을 감안하여 좌대(210)를 별도의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두어 제어스위치의 제어에 의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승강 위치가 단계별로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좌대(210)의 상승시 좌대(21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소변기(300) 또한 동시에 상승되면서 배수구(322)와 소변배수부가(400) 상호 소정 간격 떨어지게 되며, 소변배수부(400) 내측에 배치되어 있던 제1 안내관(520)의 말단부 또한 좌대(210)의 상승에 따라 일정 거리로 끌려올라가게 된다. 여기서, 제1 안내관(520)은 좌대(210)를 끝까지 상승시키더라도 말단이 소변배수부(40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소변기(500)의 사용 후 좌대(210)를 하강시켜 원위치시키게 되면 배수구(322)와 소변배수부(400)가 다시 접하게 되고, 제1 안내관(520) 또한 소변배수부(40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의 구성도이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변기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게 구성되나, 제1 안내관(520)이 다르게 구성된다.
즉,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안내관(520)이 소변배수부(400)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지만,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소변수용홈(512)과 연결된 제1 안내관(520)이 소변배수부(400)와 마찬가지로 보울(110)과 배수트랩(130)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내측에 소변의 배출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 안내관(520)에도 봉수가 고여 악취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변기의 동작은 제2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절수형 변기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변기는 전술한 제2, 제3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다른 형상의 제3 소변기(600)가 사용된다.
즉, 제3 소변기(600)는 변기몸체(100) 또는 좌대(210)에 장착되어 사용되며, 승강부재(610)와 제2 몸체(620) 및 제2 안내관(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부재(6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변기몸체(100) 또는 좌대(21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승강되며, 제2 몸체(620)는 전술한 제1 몸체(610)와 유사하게 소변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제2 소변수용홈(622)이 형성되고, 제2 안내관(630)은 제2 소변수용홈(622)에 수용된 소변을 배수구(322) 또는 소변배수부(400) 내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제4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3 소변기(600)에도 스위치(102)의 동작유무에 따라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수공급관(104)과 세정노즐(106)이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때, 승강부재(610)는 승강 동작시 제1 소변기(300)의 손잡이(310)에 걸려 승강 동작이 방해되지 않도록 변기몸체(100)쪽 중심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제2 안내관(630)과 세정수공급관(104)이 각각 절개된 중심 일부의 양측으로 나뉘어 배치되어 제2 몸체(620)의 제2 소변수용홈(622)에 연결되는데, 제2 안내관(630)과 세정수공급관(104)는 승강부재(610)의 하면 상에 별도의 클립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고, 승강부재(610)의 내부에 배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승강부재(610)를 상승시켜 사용자가 소변을 볼 수 있는 위치로 상승시킨 후, 승강부재(610)에 연결된 제2 몸체(620)의 각도를 조절하여 좀더 원활하게 소변을 볼 수 있는 각도로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부재(610)의 승강 각도나 제2 몸체(620)의 각도 조절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좌대(210)가 승강되는 구성과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수형 변기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절수형 변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절수형 변기의 일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변기몸체 102: 스위치
104: 세정수공급관 106: 세정노즐
110: 보울 120: 림
130: 배수트랩 140: 저수조
200: 변기커버 210: 좌대
220: 덮개 300: 제1 소변기
302: 축 310: 손잡이
320: 소변수용체 322: 배수구
400: 소변배수부 500: 제2 소변기
510: 제1 몸체 512: 소변수용홈
520: 제1 안내관 600: 제3 소변기
610: 승강부재 620: 제2 몸체
622: 제2 소변수용홈 630: 제2 안내관

Claims (6)

  1. 절수형 변기에 있어서,
    용변을 수용하는 보울과, 상기 보울에 세정수를 배출하는 림 및 상기 보울에 연결되어 상기 용변과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보울과 상기 배수트랩에 악취를 차단하도록 봉수(封水)가 고이는 변기몸체와;
    상기 변기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대와, 좌대에 힌지 결합되어 보울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변기커버와;
    상기 변기몸체와 상기 변기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변기몸체, 상기 변기커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에 축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한쪽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가 마련되며, 다른 쪽에는 상기 보울 내에 위치되어 소변을 수용하며 소변이 배수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소변수용체가 마련되되, 용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손잡이를 통해 상기 소변수용체의 위치를 축회동시켜 조절하는 제1 소변기; 및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며, 상기 보울과 상기 배수트랩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내측에 소변의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소변배수부;
    를 포함하는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에는 제2 소변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소변기는,
    소변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제1 소변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 몸체; 및
    한쪽은 상기 제1 소변수용홈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배수구를 통해 상기 소변배수부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소변수용홈에 수용된 소변을 상기 소변배수부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1 안내관;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소변기의 사용유무에 따라 상기 배수구와 상기 소변배수부는 상호 소정 간격 떨어지거나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관은,
    상기 제1 소변수용홈과 연결되며, 상기 보울과 상기 배수트랩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내측에 소변의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몸체 또는 상기 좌대에는 제3 소변기가 장착되고,
    상기 제3 소변기는,
    상기 변기몸체 또는 상기 좌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승강되 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소변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제2 소변수용홈이 형성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소변수용홈에 수용된 소변을 상기 배수구 또는 상기 소변배수부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 안내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변기의 축 중심과, 상기 배수구에 접하는 상기 소변배수부의 중심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변기의 축 중심과, 상기 배수구에 접하는 상기 소변배수부의 중심은 상호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배수구와 상기 소변배수부는 유연한 재질의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KR1020090116587A 2009-11-30 2009-11-30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KR10094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587A KR100944385B1 (ko) 2009-11-30 2009-11-30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587A KR100944385B1 (ko) 2009-11-30 2009-11-30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385B1 true KR100944385B1 (ko) 2010-03-02

Family

ID=4218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587A KR100944385B1 (ko) 2009-11-30 2009-11-30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3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0694A (zh) * 2012-02-20 2012-07-11 黄金华 豆浆机粉碎网罩
WO2013005865A1 (ko) * 2011-07-01 2013-01-10 Shin Namsik 절수를 위한 보조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KR101232879B1 (ko) 2011-04-22 2013-02-19 노지인 양변기에 탈부착이 가능한 접이식 소변기
WO2017146370A1 (ko) * 2016-02-22 2017-08-31 (주)대영폴리머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KR20230106449A (ko) * 2022-01-06 2023-07-13 오준영 분리변기용 비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157B1 (ko) 2004-07-14 2006-08-25 구건모 남성용 소변기를 갖는 양변기
KR100700306B1 (ko) 2006-01-26 2007-03-29 박민철 절수용 소변기
KR100800646B1 (ko) 2006-12-04 2008-02-01 박민철 소변기의 각도 조절 장치와 소변을 흡수하는 수단을 가진 소변흡수장치
KR20090001356U (ko) * 2007-08-06 2009-02-11 고상준 남성용 소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157B1 (ko) 2004-07-14 2006-08-25 구건모 남성용 소변기를 갖는 양변기
KR100700306B1 (ko) 2006-01-26 2007-03-29 박민철 절수용 소변기
KR100800646B1 (ko) 2006-12-04 2008-02-01 박민철 소변기의 각도 조절 장치와 소변을 흡수하는 수단을 가진 소변흡수장치
KR20090001356U (ko) * 2007-08-06 2009-02-11 고상준 남성용 소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79B1 (ko) 2011-04-22 2013-02-19 노지인 양변기에 탈부착이 가능한 접이식 소변기
WO2013005865A1 (ko) * 2011-07-01 2013-01-10 Shin Namsik 절수를 위한 보조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CN102550694A (zh) * 2012-02-20 2012-07-11 黄金华 豆浆机粉碎网罩
WO2017146370A1 (ko) * 2016-02-22 2017-08-31 (주)대영폴리머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KR20230106449A (ko) * 2022-01-06 2023-07-13 오준영 분리변기용 비데
KR102657286B1 (ko) 2022-01-06 2024-04-17 오준영 분리변기용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360B1 (ko) 양변기 커버형 소변기
KR100944385B1 (ko)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KR100777165B1 (ko)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KR101059127B1 (ko) 다기능 소변수집 배출기
KR101492182B1 (ko)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KR100978796B1 (ko) 남성용 소변기가 구비된 양변기
US4974268A (en) Chair bathtub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JP3737434B2 (ja) 洋式小便器
JPH09165808A (ja) 便 器
KR102503449B1 (ko) 소변튐 방지 좌변기
KR200437292Y1 (ko) 양변기용 남성소변기
KR101853381B1 (ko) 변기 커버 부착용 소변기
KR200426389Y1 (ko)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가 구비된 좌변기
KR102482840B1 (ko) 위생 좌변기
KR200236424Y1 (ko) 양변기 좌대 세척장치
RU2820885C1 (ru) Навесн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писсуар для унитаза
KR20190110217A (ko) 좌변기에 장착되는 물 튀김 방지 비데 장치
KR200245917Y1 (ko) 대소변 겸용 일체형 용변기
KR20130014667A (ko) 페달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소변 튐 방지 기능을 갖는 계란형 소변기
CN221052779U (zh) 折叠型小便器
KR200240467Y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220141439A (ko) 양변기와 소변기가 결합된 일체형 변기
KR20040064576A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
KR100774850B1 (ko) 양변기용 남성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