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467Y1 -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467Y1
KR200240467Y1 KR2020010012128U KR20010012128U KR200240467Y1 KR 200240467 Y1 KR200240467 Y1 KR 200240467Y1 KR 2020010012128 U KR2020010012128 U KR 2020010012128U KR 20010012128 U KR20010012128 U KR 20010012128U KR 200240467 Y1 KR200240467 Y1 KR 200240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rine
receiving
sanitary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정민
Original Assignee
성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정민 filed Critical 성정민
Priority to KR2020010012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4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467Y1/ko

Link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변기를 이루는 좌판과 덮개 사이에 받이홈부가 형성된 받이판을 설치하고, 상기 받이판과 상기 덮개 사이에는 위생시트를 설치한 구성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좌변기에 소변을 볼 경우 소변이 받이판의 받이홈부에 낙하되고, 상기 받이홈부에 낙하된 소변은 상기 받이판의 후방으로 흐르면서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의 수용공간으로 낙하하게 됨으로써 소변이 좌판에 묻지 않게 되고, 뿐만 아니라 낙하된 일부의 소변이 튀더라도 위생시트에 의해 차단되어 좌변기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A SANITARY SUPPORTING DEVICE FOR A SEAT CHAMBER POT}
본 고안은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좌변기를 이루는 좌판과 덮개 사이에 받이판을 설치하고, 상기 받이판과 상기 덮개 사이에는 위생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좌변기에 소변을 볼 경우 소변이 좌판에 묻지 않도록 한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화장실은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주요 생활공간으로 인식되어 있는 바,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는 점차 서구화되는 추세에 따라 일반적으로 좌변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화장실의 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00)는 용변을 볼 수 있는 수용공간(112)을 갖는 변기본체(110)와, 상기 변기본체(110)의 후방에 설치되어 변기본체(110)에 물을 공급하는 수조(120)와, 상기 변기본체(1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판(130)과, 상기 좌판(13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좌판(130)을덮어줄 수 있도록 된 덮개(140)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좌변기(100)를 사용하여 용변을 보기 위해서는 상기 덮개(140)를 열어 수직상태로 위치시켜 고정 시킨 후 상기 변기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좌판(130)에 앉아 용변을 보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남성화장실일 경우 남성들은 소변기가 부족할 경우 좌변기(100)에 소변을 보게 되는데, 소변을 볼시 좌판(130)에 오물이 묻지 않도록 덮개(140)와 좌판(130)을 상측으로 제쳐놓고 난 후 소변을 보아야 하는데, 대부분의 남성들은 공중 화장실의 좌변기(100)의 불결함 때문에 좌변기(100)의 좌판(130)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꺼려하게 되어 좌판(130)을 상측으로 제치지 않고 소변을 보게 되고 이로 인해 소변의 일부가 튀면서 좌판(130)에 묻게 되었을 뿐더러 소변이 좌변기(100)의 외부로 튀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나 기타 물품에 묻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좌변기의 좌판과 덮개 사이에 위생부재를 설치하여 좌변기에 소변을 볼 경우 소변이 좌판에 묻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튀겨 기타 물품에 묻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용변을 볼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판과, 상기 좌판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좌판을 덮어줄 수 있도록된 덮개로 이루어진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소변을 받을 수 있게 받이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이홈부의 일측으로는 소변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흐를 수 있게 배출공이 형성된 받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받이판의 외측면과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는 소변이 외부로 튀지 못하도록 위생시트가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화장실에 설치된 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로써, 좌판과 덮개 사이에 위생시트가 설치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덮개가 덮어진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6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7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절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좌변기 20 : 변기본체
22 : 수용공간 30 : 좌판
40 : 받이판 41 : 받이홈부
42 : 배출공 46 : 제 1배수관
47 : 배출로 48 : 제 2배수관
50 : 위생시트 51 : 양면접착부재
53a: 제 1위생시트 53b : 제 2위생시트
54 : 주름부 60 : 덮개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본 고안 좌변기(10)는 변기본체(20)의 상부에 설치된 좌판(30)과, 받이판(40)과, 덮개(60)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변기본체(20)는 용변을 볼 수 있게 수용공간(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판(30)은 상기 변기본체(2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방부가 개구된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이판(40)은 상기 좌판(3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소변을 받을 수 있게 받이홈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이홈부(41)의 일측에는 소변이 상기 수용공간(22)으로 흐를 수 있게 배출공(4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60)는 상기 좌판(3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위생시트(50)와 좌판(30) 및 변기본체(20)를 덮어주게 된다.
이하, 미설명부호 (16)은 상기 변기본체(20)에 상기 좌판(30)과 받이판(40) 및 덮개(60)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변기본체(20)의 상부에 좌판(30)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좌판(30)의 상부에는 상기 받이판(40)과 상기 덮개(6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남성이 좌변기(10)에 소변을 보고자 할 경우 상기 덮개(60)를 상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덮개(60)가 상측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소변을 보면 소변은 상기 받이판(40)의 받이홈부(41)에 낙하되고, 상기 받이판(40)의 받이홈부(41)에 낙하된 소변은 상기 받이판(40)의 후방으로 흐르면서 상기 배출공(42)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20)의 수용공간(22)으로 낙하하게 됨으로써 소변이 좌판(30)에 묻지 않게 되어 좌변기(10)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로써, 상기 받이판(40)의 외측면과 상기 덮개(60)의 내측면에 소변이 외부로 튀지 못하도록 위생시트(50)가 일체로 설치된 것으로, 변기본체(20), 좌판(30), 받이판(40) 및 덮개(60)의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위생시트(50)는 좌변기(10)에 소변시 소변이 사용자의 신체 및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시켜 주는 것으로, 상기 받이판(40)의 외측면과 상기 덮개(60)의 내측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받이판(40)의 외측면 양단에 위생시트(50)의 일측면 양측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덮개(60)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위생시트(50)의 타측면이 고정 설치되어 도 3과 같다.
여기서, 상기 위생시트(50)는 투명한 비닐수지 또는 셀로판지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변기본체(20)의 상부에 좌판(30)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좌판(30)의 상부에는 상기 받이판(40)과 상기 덮개(6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받이판(40)과 상기 덮개(60) 사이에는 상기 위생시트(50)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남성이 좌변기(10)에 소변을 보고자 할 경우 상기 덮개(60)를 상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덮개(60)가 상측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위생시트(50)는 상기 덮개(60)가 수직설치 됨과 동시에 펼쳐지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0)의 후방과 좌우측을 막아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소변을 보면 소변은 상기 받이판(40)의 받이홈부(41)에 낙하되고, 상기 받이판(40)의 받이홈부(41)에 낙하된 소변은 상기 받이판(40)의 후방으로 흐르면서 상기 배출공(42)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20)의 수용공간(22)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으로, 소변이 좌판(30)에 묻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받이판(40)으로 낙하된 일부의 소변이 튀더라도 상기 위생시트(50)에 의해 차단되어 좌변기(10)를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소변이 묻은 위생시트(50)와 상기 받이판(40)은 사용후 물로 세척한 다음 사용하면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로써, 상기 위생시트(50)에 양면접착부재(51)를 설치하여 상기 받이판(40)과 상기 덮개(60)에 탈부착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위생시트(50)의 하단부와 타측면에 양면접착부재(51)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위생시트(50)의 하단부를 상기 받이판(40)의 일측면에 탈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위생시트(50)의 타측면 중앙부는 상기 덮개(60)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도록 한 것으로, 소변이 묻은 위생시트(50)를 새로운 위생시트(50)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좌변기(10)를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의 사용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로써, 이는 상기 받이판(40)의 외측면 일단과 상기 받이판(40)에 대향되는 상기 덮개(60)의 내측면 일단에 제 1위생시트(53a)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받이판(40)의 외측면 타단과 상기 받이판(40)에 대향되는 상기 덮개(60)의 내측면 타단에 제 2위생시트(53b)가 설치된 구성으로, 상기 받이판(40)과 덮개(60)에 설치되는 위생시트(50)를 더욱 견고히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로써, 이는 도 7의 도면에서 상기 제 1위생시트(53a)와 제 2위생시트(53b)에 다수의 주름부(54)가 형성되도록 주름지게 형성한 것으로, 상기 덮개(60) 개폐시 상기 제 1위생시트(53a)와 상기 제 2위생시트(53b)가 주름부(54)를 따라 안전하게 펼쳐지거나 접히게 되도록 한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6실시예로써, 이는 상기 배출공(42)이 형성된 상기 받이판(40)의 내측면에는 소변이 상기 수용공간(22)으로 유도될 수 있게 플렉시블한 제 1배수관(46)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은 소변을 보면 소변은 상기 받이판(40)의 받이홈부(41)에 낙하되고, 상기 받이판(40)의 받이홈부(41)에 낙하된 소변은 상기 받이판(40)의 후방으로 흐르면서 상기 배출공(42)과 제 1배수관(46)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20)의 수용공간(22)으로 흐르면서 낙하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22)으로 낙하되는 소변이 상기 좌변기의 좌판(30)에 튀지 않고 안전하게 상기 수용공간(22)으로 낙하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10은 본 고안의 제 7실시예로써, 이는 상기 받이홈부(41)가 형성된 상기 받이판(40)의 후단부에 배출로(47)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로(47)에는 플레시블한 제 2배수관(48)이 설치되어 소변이 상기 배출로(47)와 상기 제 2배수관(48)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20)의 수용공간(22)으로 흐를 수 있게 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은 소변을 보면 소변은 상기 받이판(40)에 낙하되고, 상기 받이판(40)에 낙하된 소변은 상기 받이판(40)의 후단부에 향성된 배출로(47)와 제 2배수관(48)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20)의 수용공간(22)으로 흐르면서 낙하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받이판(40)의 전단부는 높고 후단부는 낮게 경사지게 형성되어있는데, 이는 상기 받이판(40)으로 낙하된 소변이 상기 받이판(40)의 후단부로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에 따르면, 좌변기를 이루는 좌판과 덮개 사이에 받이홈부가 형성된 받이판을 설치하고, 상기 받이판과 상기 덮개 사이에는 위생시트를 설치한 구성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좌변기에 소변을 볼 경우 소변이 받이판의 받이홈부에 낙하되고, 상기 받이홈부에 낙하된 소변은 상기 받이판의 후방으로 흐르면서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의 수용공간으로 낙하하게 됨으로써 소변이 좌판에 묻지 않게 되고, 뿐만 아니라 낙하된 일부의 소변이 튀더라도 위생시트에 의해 차단되어 좌변기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용변을 볼 수 있는 수용공간(22)을 갖는 변기본체(20)와, 상기 변기본체(2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판(30)과, 상기 좌판(3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좌판(30)을 덮어줄 수 있도록 된 덮개(60)로 이루어진 좌변기(10)에 있어서,
    상기 좌판(3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소변을 받을 수 있게 받이홈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받이홈부(41)의 일측으로는 소변이 상기 수용공간(22)으로 흐를 수 있게 배출공(42)이 형성된 받이판(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판(40)의 외측면과 상기 덮개(60)의 내측면에 소변이 외부로 튀지 못하도록 위생시트(50)가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시트(50)에 양면접착부재(51)가 설치되어 상기 받이판(40)의 외측면과 상기 덮개(60)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판(40)의 외측면 일단과 상기 받이판(40)에 대향되는 상기 덮개(60)의 내측면 일단에는 제 1위생시트(53a)가 설치되고, 상기 받이판(40)의 외측면 타단과 상기 받이판(40)에 대향되는 상기 덮개(60)의 내측면 타단에는 제 2위생시트(53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위생시트(53a)와 상기 제 2위생시트(53b)에는 다수의 주름부(54)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42)이 형성된 상기 받이판(40)의 내측면에는 소변이 상기 수용공간(22)으로 유도될 수 있게 플렉시블한 제 1배수관(46)이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홈부(41)가 형성된 상기 받이판(40)의 후단부에 배출로(47)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로(47)에는 플레시블한 제 2배수관(48)이 설치되어 소변이 상기 배출로(47)와 상기 제 2배수관(48)을 통해 상기 좌변기(10)의 수용공간(22)으로 흐를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20010012128U 2001-04-26 2001-04-26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0240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128U KR200240467Y1 (ko) 2001-04-26 2001-04-26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128U KR200240467Y1 (ko) 2001-04-26 2001-04-26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686A Division KR20020083266A (ko) 2001-04-26 2001-04-26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467Y1 true KR200240467Y1 (ko) 2001-10-12

Family

ID=7310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128U KR200240467Y1 (ko) 2001-04-26 2001-04-26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4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336B1 (ko) * 2002-03-28 2004-07-07 성정민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100815399B1 (ko) 2007-02-06 2008-03-20 김미자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336B1 (ko) * 2002-03-28 2004-07-07 성정민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100815399B1 (ko) 2007-02-06 2008-03-20 김미자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2763A (ko)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WO2006137055A3 (en) Toilet device
KR100777165B1 (ko)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KR100944385B1 (ko)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JP2010037903A (ja) 洋式便器
KR100840073B1 (ko) 소음, 비산 및 튀김 방지기능을 가지는 소변수집 배출기
KR200240467Y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101492182B1 (ko)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KR20040037290A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JP2002047715A (ja) 洋式大便器の脱臭装置
KR20020083266A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0278508Y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100439336B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JP2007167599A (ja) 男性用小型便器収納便座
KR200306436Y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JP5305541B2 (ja) ハンディートイレ
KR102480617B1 (ko) 소변 비산 방지장치
KR200397912Y1 (ko) 좌변기용 소변받이
JP2003074106A (ja) 男子小便用補助具
JP2000107088A (ja) 小用補助具付便器
JP7428844B1 (ja) 洋式便器用簡易小便器
CN220768296U (zh) 一种男性站立小便时防止尿液飞溅的马桶套件
KR20130014667A (ko) 페달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소변 튐 방지 기능을 갖는 계란형 소변기
US20220354686A1 (en) Urinary device for males
JP3223193U (ja) 使い捨て小便遮水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