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399B1 -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 - Google Patents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399B1
KR100815399B1 KR1020070012194A KR20070012194A KR100815399B1 KR 100815399 B1 KR100815399 B1 KR 100815399B1 KR 1020070012194 A KR1020070012194 A KR 1020070012194A KR 20070012194 A KR20070012194 A KR 20070012194A KR 100815399 B1 KR100815399 B1 KR 100815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corrugated pipe
toilet
water supp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자
Original Assignee
김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자 filed Critical 김미자
Priority to KR1020070012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8Covers with urine f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남성이 좌변기를 이용하여 소변을 볼 때 좌변기 자체 및 그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는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배수구와 급수구를 가지며 급수탱크에 의해 물을 공급받는 좌변기본체(2); 상기 좌변기본체(2) 상부의 림(8, rim)에 얹혀지는 것으로서, 말굽 또는 타원 형태의 변좌시트(6); 상기 좌변기본체(2)와 상기 변좌시트(6)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좌변기본체(2)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변좌시트(6) 하면에 고정되는 신축 자재한 주름관(12); 상기 주름관(12)이 선택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름관접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변기, 양변기, 소변, 남성, 배뇨, 오염, 자바라, 주름관

Description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closestool having apparatus for preventing stain with uri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정상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변좌시트와 주름관의 사시도이다.
도 4a,4b는 주름관과 좌변기본체의 결합관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A방향에서 취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좌변기의 측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좌변기본체 6 ; 변좌시트
12 ; 주름관 16 ; 손잡이
18 ; 랙(rack) 20 ; 피니언
22 ; 모터 28 ; 높이조절스위치
32 ; 세척노즐 34 ; 급수관
36 ; 전자밸브 40 ; 세정노즐
본 발명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남성이 좌변기를 이용하여 소변을 볼 때 좌변기 자체 및 그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는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또는 양변기, 이하 '좌변기'로 통일한다)는 보통 앉아서 배뇨 또는 배변을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남성이 좌변기를 이용하여 배뇨를 할 때 좌변기 안에 고여있는 물이나 소변줄기 때문에 좌변기본체, 변좌시트 및 그 주변이 오염되는 경우가 흔하였다. 이는 가정 또는 공중화장실에서 흔히 발생되는 문제로서, 뒤에 사용하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고 화장실의 소제에 어려움을 주게 마련이다.
이러한 문제를 의식하고 종래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278508호, 제20-414378호, 제20-0426389호는 각각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좌변기의 덮개,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가 구비된 좌변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각각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거나, 효과가 미진하거나,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나아가 어린이, 성인, 단신, 장신과 같이 다양한 신장을 가지는 사용자에 모두 알맞게 적용하기에는 곤란하다는 공통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남성이 좌변기를 이용하여 소변을 볼 때 그에 의해 좌변기 자체나 주변을 오염시키기 않도록 하는 오염방지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그러한 장치를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복잡하지 않은 구성을 가지며,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다양한 신장의 사용자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등 효과면에서 뛰어난 오염방지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배수구와 급수구를 가지며 급수탱크에 의해 물을 공급받는 좌변기본체; 상기 좌변기본체 상부의 림에 얹혀지는 것으로서, 말굽 또는 타원 형태의 변좌시트; 상기 좌변기본체와 상기 변좌시트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좌변기본체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변좌시트 하면에 고정되는 신축 자재한 주름관; 상기 주름관이 선택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름관접철수단을 포함하는 오염방지장치가 구비된 좌변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정상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변좌시트와 주름관의 사시도이다. 도 4a,4b는 주름관과 좌변기본체의 결합관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좌변기의 정면(도 2의 A방향)에서 취한 일부 단면도이다.
좌변기본체(2)는 화장실 바닥에 편하게 앉을 수 있는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배수구와 급수구를 가지며 급수탱크(4)에 의해 물을 공급받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것과 다름이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상 말굽 또는 타원 형태로 제공되는 변좌시트(6)는 좌변기본체 상부의 림(rim)에 얹혀지는 것으로서, 보온 또는 쿠션을 위해 내부에 스펀지와 같은 쿠션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또한 종래의 것과 큰 차이가 없다.
변기뚜껑(10) 또한 종래의 방식과 크게 다름이 없으며 본 발명에 대하여는 선택적 사항이지만, 본 발명의 좌변기에 적용될 수 있도록 힌지점이 좌변기본체(2)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상승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좌변기본체(2)와 상기 변좌시트(6)를 연결하는 수단에 있다. 이 수단은 통상 자바라라고도 일컬어지는 신축자재한 주름관(12)에 의한다. 이 주름관(12)은 여러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다.
주름관(12)은 일단이 상기 좌변기본체(2)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변좌시트(6)의 하면에 고정된다. 사용자는 이 주름관(12)을 선택적으로 접거나 펼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시트(6)를 일정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앉아서 용변을 볼 경우의 정상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12)이 완전히 접혀져 변좌시트(6)가 좌변기본체(2)와 인접하게 된다. 또한, 남성이 배뇨를 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12)이 펼쳐져 변좌시트(6)가 사용자의 높이에 맞게끔 들어 올려지게 된다.
주름관(12)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도록 한다. 주름관(12)은 접히는 부위의 내부에 철심이 들어 있는 방수천 또는 비닐지로 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도 할 수 있다. 주름관(12)의 강성은 후술되는 주름관접철수단에 종속하여 결정될 수 있다.
주름관(12)을 변좌시트(6) 및 좌변기본체(2)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실로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름관(12)과 변좌시트(6)는 접착제를 사용한 반영구적 접착방식이나 단추, 지퍼 또는 벨크로테잎 등을 사용한 탈부착 가능한 접착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주름관(12)과 좌변기본체(2)의 결합방식의 예가 도 4a,4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좌변기본체의 림(8)의 상면에 접착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이렇게 되면 주름관(12)의 직경이 커지게 될 것이지만 설치 및 구조가 간단하게 될 것이다. 접착방식은 접착제가 사용된 반영구적 접착방식 또는 단추, 지퍼, 벨크로테잎 등이 사용되는 탈부착 가능한 접착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주름관(12)이 탈부착방식인 경우에는 오염시 교환이 용이한 장점이 있게 된다.
도 4b는 주름관의 직경을 축소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서 좌변기본체의 림(8)에 의해 형성되는 턱을 이용한 것이다. 즉, 주름관의 단부(12a)에 강철밴드(14)와 같은 강재를 심고 이를 림(8)의 턱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좌변기본체(2)에 물을 공급하는 통로인 급수공이 폐쇄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좌변기마다 급수공의 형태가 다르므로 이를 더욱 감안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주름관(12)을 접거나 펼침으로써 변좌시트(6)를 안착시키거나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주름관접철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주름관접철수단은 기본적으로 수동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변좌시트(6) 양측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6)를 설치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손잡이(16)를 이용하여 자신의 높이에 맞게끔 변좌시트를 들어올린후 용변을 볼 수 있다.
나아가, 주름관접철수단으로 기계적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18)과 피니언(20)이 이용되는 방식이다. 그의 구성은, 일단이 상기 변좌시트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다란 랙(18, rack), 랙(18)에 섭동되는 것으로서 모터(22)로써 기동하는 피니언(20); 랙(18)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24) 및/또는 공전휠(26, idle wheel)과 같은 안내수단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랙(18)은 모터(22, 특히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2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랙(18)의 상단은 변좌시트(6)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랙(18)의 하단은 자유단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랙(18)은 원호 형상이지만 상황에 따라 직선형상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주름관접철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높이조절스위치(28)는 통상 급수탱크(4)의 측부에 설치되는 물내림레버(30, 또는 물내림버튼)와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변후 자동적으로 변좌시트(6)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거나, 랙(18)이 일정높이 이상 구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스위치(28)를 누르고 있는 동안만 모터(22)가 피니언(20)을 회전시켜 변좌시트(6)를 들어올리게끔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계적수단이 채용된 주름관접철수단은 힘의 균형상 변좌시트(6)의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기계요소를 설치하는 작업은 당업자에 의해 충분히 실현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측면 구성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용변전 및/또는 용변후 주름관(12) 내면을 세척하기 위한 수단이 더 마련된다. 이는 주름관(12) 상단 내부에 그의 내면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세척노즐(32), 그 세척노즐(32)에 연결되는 급수관(34), 급수관(34)을 통해 상기 세척노즐(32)에 선택적으로 급수를 하기 위한 전자밸브(36) 및 상기 전자밸브(3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통상의 소변기에 사용되는 동작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세척노즐(32)은 환형의 관체로서 주름관(12)의 상단 내부에 고정되며, 그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공(38)이 마련되어 있다. 급수관(34)은 큰 유량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직경이 작아도 무방하며, 신축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프링수단에 의해 사용시에는 변좌시트와 함께 펼쳐지고 사용후에는 다시금 감기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측면 구성도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용변후 사용자의 생식기를 세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전자밸브(36), 급수관(34), 세정노즐(40)을 포함하므로 전실시예(도 5 참조)와 동일하다. 다만 세정노즐(40)이 사용자가 서있는 방향에 설치된다는 것과, 분사량, 분사압이 더 낮다는 것이 크게 다른 점이다. 다만, 세정노즐(40)의 분사시간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필요가 있으므로 세정스위치(미도시됨)는 변좌시트(6) 또는 세정노즐(40) 주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노즐(40)의 물분사방향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이 바람직할 것이다.
세척노즐(32)과 세정노즐(40)은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설치될 수 있다. 함께 설치되는 경우 급수되는 물의 사용처가 다르므로 성질을 달리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세정노즐(4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필터에 의해 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구성에 의하면, 남성이 좌변기를 이용하여 소변을 보는 경우에도 좌변기 자체 또는 그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이 편리하고 실시예에 따라 단순한 구조의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하는 좌변기가 제공된다. 또한, 각기 다른 신장을 가지는 사용자에게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하는 좌변기가 제공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배수구와 급수구를 가지며 급수탱크에 의해 물을 공급받는 좌변기본체(2); 상기 좌변기본체(2) 상부의 림(8, rim)에 얹혀지는 것으로서, 말굽 또는 타원 형태의 변좌시트(6); 상기 좌변기본체(2)와 상기 변좌시트(6)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좌변기본체(2)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변좌시트(6) 하면에 고정되는 신축 자재한 주름관(12); 상기 주름관(12)이 선택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름관접철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주름관접철수단은; 일단은 상기 변좌시트(6)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다란 랙(18); 모터(22)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랙(18)을 기동시키기 위한 피니언(20); 상기 랙(18)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 상기 모터(2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2) 상단 내부에 그 내면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세척노즐(32), 상기 세척노즐(32)에 연결되는 급수관(34), 상기 급수관(34)을 통해 상기 세척노즐(32)에 선택적으로 급수를 하기 위한 전자밸브(36) 및 상기 전자밸브(3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주름관(12)의 내면을 물세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12) 상단 내부에 그 사용자의 생식기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세정노즐(40), 상기 세정노즐(40)에 연결되는 급수관(34), 상기 급수관(34)을 통해 상기 세정노즐(40)에 선택적으로 급수를 하기 위한 전자밸브(36) 및 상기 전자밸브(36)의 동작을 제어하는 세정스위치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생식기를 세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KR1020070012194A 2007-02-06 2007-02-06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 KR100815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194A KR100815399B1 (ko) 2007-02-06 2007-02-06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194A KR100815399B1 (ko) 2007-02-06 2007-02-06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399B1 true KR100815399B1 (ko) 2008-03-20

Family

ID=3941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194A KR100815399B1 (ko) 2007-02-06 2007-02-06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3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59Y1 (ko) 2011-05-20 2011-12-16 이원영 좌변기
KR101450583B1 (ko) * 2013-03-05 2014-10-15 조재필 소변 튐 방지기구
KR101496708B1 (ko) * 2013-01-30 2015-03-05 장경원 기능성 소변기의 제조 방법
CN110485529A (zh) * 2019-06-20 2019-11-22 佛山职业技术学院 一种升降马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467Y1 (ko) 2001-04-26 2001-10-12 성정민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0278508Y1 (ko) 2002-03-28 2002-06-20 성정민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0328173Y1 (ko) 2003-05-16 2003-09-26 이영희 변기시트의 자동 복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467Y1 (ko) 2001-04-26 2001-10-12 성정민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0278508Y1 (ko) 2002-03-28 2002-06-20 성정민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0328173Y1 (ko) 2003-05-16 2003-09-26 이영희 변기시트의 자동 복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59Y1 (ko) 2011-05-20 2011-12-16 이원영 좌변기
KR101496708B1 (ko) * 2013-01-30 2015-03-05 장경원 기능성 소변기의 제조 방법
KR101450583B1 (ko) * 2013-03-05 2014-10-15 조재필 소변 튐 방지기구
CN110485529A (zh) * 2019-06-20 2019-11-22 佛山职业技术学院 一种升降马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9230A (ko) 변기가 부착된 환자용 의자겸용 침대
KR100815399B1 (ko)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
KR20070032763A (ko)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JP2021526604A (ja) ビデシャワーを備えるトイレ
KR20190048378A (ko)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US5241712A (en) Invalid toliet seat
JPH1119003A (ja) 局部洗浄装置と手洗器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CN209891284U (zh) 一种两用马桶
JP2013525205A (ja) 幼児用カーシート
JP3072927U (ja) 洗浄シャワー付きポータブルトイレ
CN215166253U (zh) 一种具有升降底座便于调节高度的智能马桶
CN205557750U (zh) 折叠蹲坐两用马桶
JP2007111521A (ja) オストメイト用汚物流しユニット
KR20100123354A (ko) 남자소변 튐 방지장치 양변기
CN110670681A (zh) 一种家庭和养老机构使用的便盆清洗坐便器
KR20120041927A (ko)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KR101186534B1 (ko) 자동승강식 변기시트와 착탈식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좌변기
KR20190002981U (ko) 탈부착이 가능한 소변 튐 방지 기구가 마련된 양변기
CN212001453U (zh) 一种家庭和养老机构使用的便盆清洗坐便器
JP3690210B2 (ja) 携帯用シャワー装置
CN207794237U (zh) 一种移动马桶结构
CN212913676U (zh) 一种减压清洗一体式便盆
JP2001061705A (ja) 局部温水洗浄器付簡易便器
KR102668265B1 (ko) 관장용 비데기구가 형성된 변기 승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