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359Y1 - 좌변기 - Google Patents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359Y1
KR200457359Y1 KR2020110004393U KR20110004393U KR200457359Y1 KR 200457359 Y1 KR200457359 Y1 KR 200457359Y1 KR 2020110004393 U KR2020110004393 U KR 2020110004393U KR 20110004393 U KR20110004393 U KR 20110004393U KR 200457359 Y1 KR200457359 Y1 KR 200457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toilet
cover
toilet seat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이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영 filed Critical 이원영
Priority to KR2020110004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3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3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6Bowl with flushing cistern mounted on the rearwardly extending end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8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foot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남자들이 서서 소변을 볼 때 소변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는 승강유닛(50)을 이용하여 좌대(20)를 상승시키면, 차단부재(60)가 용변부(11)의 상측 둘레부를 가려, 남자들이 서서 소변을 볼 때 소변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좌변기{toilet bowl}
본 고안은 남자들이 서서 소변을 볼 때 소변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1)가 형성된 변기본체(10)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링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부에 전단부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대(20)와, 상기 좌대(20)의 상부를 덮도록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30)로 구성되며, 상기 변기본체(10)의 후방에는 물탱크(40) 또는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좌대(20)와 덮개(30)는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브래킷에 동일한 회동중심을 갖도록 힌지결합된다.
한편, 남자들의 경우 소변을 볼 때는 덮개(30)와 좌대(2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열고 변기의 앞에 선 상태에서 소변을 보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선 상태로 소변을 볼 경우, 소변이 변기본체(10)의 용변부(11) 뿐만 아니라, 변기본체(10)의 주변이나 좌대(20) 또는 덮개(30)까지 튀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남자들이 서서 소변을 볼 때 소변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좌변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남자들이 서서 소변을 볼 때 소변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1)가 형성된 변기본체(10)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링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대(20)와, 상기 좌대(20)의 상부를 덮도록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30)를 포함하며, 상기 변기본체(10)의 후방에는 물탱크(40) 또는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가 연결된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대(20)는 상기 변기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대(20)에 연결되어 좌대(20)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50)과, 상기 좌대(20)의 둘레부 하측에 구비되며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좌대(20)가 상향되면 용변부(11)의 상측 둘레부를 가려 소변이 둘레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단부재(6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형성된 자바라 형태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단은 상기 좌대(20)의 하측 둘레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변기본체(10)의 용변부(11) 둘레부에 고정되어 좌대(20)의 승강에 따라 펴지거나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단부재(60)는 상기 좌대(20)의 하측 둘레면에서 하향연장되어 좌대(20)와 함께 승강되는 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대(20)의 하측에는 상기 차단부재(60)의 내측에 위치되어 차단부재(60)의 내측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관(70)이 구비되어 차단부재(60)의 내측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유닛(50)은 상기 변기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좌대(20)가 설치되는 승강바(51)와, 상기 승강바(51)에 연결되어 승강바(51)를 상향가압하는 스프링(52)과, 상기 승강바(51)에 결합되어 하강된 승강바(51)가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기구(53)와, 상기 변기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기구(53)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으면 상기 고정기구(53)와 승강바(51)의 결합을 해제하여 승강바(51)가 상승되도록 하는 페달(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덮개(30)는 상기 좌대(20)의 후방에 구비된 브래킷(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좌대(20)와 함께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덮개(30)는 후단부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브래킷(1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좌대(20)가 상승될 때 좌대(20)에 의해 덮개(30)가 상측으로 밀려 열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는 승강유닛(50)을 이용하여 좌대(20)를 상승시키면, 차단부재(60)가 용변부(11)의 상측 둘레부를 가려, 남자들이 서서 소변을 볼 때 소변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좌변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승강유닛을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승강유닛과 차단부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를 도시한 것으로,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1)가 형성된 변기본체(10)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링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대(20)와, 상기 좌대(20)의 상부를 덮도록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30)를 포함하며, 상기 변기본체(10)의 후방에는 물탱크(40) 또는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가 연결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덮개(30)는 상기 좌대(20)의 후방에 구비된 브래킷(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좌대(20)는 상기 변기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대(20)에 연결되어 좌대(20)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50)과, 상기 좌대(20)의 둘레부 하측에 구비된 차단부재(60)와, 상기 좌대(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재(60)의 내측에 위치되어 차단부재(60)의 내측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관(70)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승강유닛(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좌대(20)가 설치되는 승강바(51)와, 상기 승강바(51)에 연결되어 승강바(51)를 상향가압하는 스프링(52)과, 상기 승강바(51)에 결합되어 하강된 승강바(51)가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기구(53)와, 상기 변기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기구(53)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으면 상기 고정기구(53)와 승강바(51)의 결합을 해제하여 승강바(51)가 상승되도록 하는 페달(54)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바(51)는 상하로 긴 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0)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 가이드관체(12)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스프링(52)이 걸리는 플랜지부(51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관체(12)는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막힌 강도가 높은 금속관체로 구성되며 상기 변기본체(10)의 내부에 삽입고정되어, 내부에 상기 승강바(51)가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52)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부(51a)와 가이드관체(12)의 내부 하단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바(51)의 하단 외측에 끼워져 상기 승강바(51)가 상승되도록 가압한다.
상기 고정기구(53)는 상기 가이드관체(12)의 하단 일측에 상기 승강바(51)를 향해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된 래칫볼트(53a)와, 상기 래칫볼트(53a)에 연결되어 래칫볼트(53a)가 승강바(51)를 향해 전진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53b)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바(51)의 하단에는 상기 래칫볼트(53a)의 선단부가 맞물리는 고정홈(51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바(51)가 하강되어 래칫볼트(53a)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홈(51b)에 맞물리면 승강바(51)가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볼트(53a)가 후퇴되면 래칫볼트(53a)와 승강바(51)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스프링(52)에 의해 승강바(51)가 상승된다.
상기 페달(54)은 상기 변기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 브래킷(54a)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후단에는 연장바(54b)가 상항연장되고 상기 연장바(54b)가 와이어(54c)에 의해 상기 래칫볼트(53a)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페달(54)의 선단부를 밟으면 연장바(54b)가 회동되면서 와이어(54c)를 통해 래칫볼트(53a)를 당겨 래칫볼트(53a)와 승강바(51)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50)은 3개로 구성되어 상기 좌대(20)의 바닥면에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좌대(20) 전체가 평행을 이루면서 균일하게 승강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바(51)가 하강되어 상기 고정기구(53)에 의해 고정되면, 승강바(51)의 상단에 설치된 좌대(20) 및 덮개(30)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부를 덮게 되며, 필요에 따라 덮개(30)를 회동시켜 열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페달(54)을 밟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바(51)의 고정이 해제되어 승강바(51) 및 좌대(20)와 덮개(30)가 함께 상승된다.
그리고, 좌대(20)와 덮개(30)가 상승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대(20)와 덮개(30)를 하측으로 누르면, 상기 스프링(52)이 압축되면서 도 2와 같이, 승강바(51)와 좌대(20)가 하강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고정기구(5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차단부재(60)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 시트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을 다수개 형성한 자바라 형태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접혀 길이조절되는 것으로, 좌대(20)가 상향되면 용변부(11)의 상측 둘레부를 가려 소변이 둘레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부재(60)는 상부에서 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C자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단은 상기 좌대(20)의 하측 둘레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변기본체(10)의 용변부(11) 둘레부에 고정되어 좌대(20)의 승강에 따라 펴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대(20)가 상승되면 상기 차단부재(60)가 상하로 길게 펴져서 상기 좌대(20)와 용변부(11)의 후측과 양측면을 가려 서서 소변을 볼 때 소변이 후방과 양측방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분사관(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60)에 비해 작은 C자형을 이루도록 벤딩되어 상기 차단부재(6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좌대(20)의 하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둘레면에는 상기 차단부재(60)를 향하는 다수개의 분사공(71)이 형성되어, 차단부재(60)의 내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분사관(70)은 상기 물탱크(40) 또는 급수밸브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릴 때 변기본체(1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상기 세척수분사관(70)을 통해 차단부재(60)의 내측면을 향해 분사되도록 하여, 자동으로 차단부재(60)의 내측면에 묻은 소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좌변기는 평상시에는 상기 좌대(20)와 덮개(30)가 하강되어 변기본체(10)의 상면에 놓여지므로, 일반적인 좌변기와 같이, 덮개(30)를 열고 용변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남자들이 좌변기의 앞에 선 상태에서 소변을 보고자 할 경우, 상기 발판을 밟으면, 좌대(20)와 덮개(30)가 상승되면서 상기 차단부재(60)가 펴져 변기본체(10)의 용변부(11) 후방과 양측방을 가리게 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30)를 연 상태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이 차단부재(60) 전방의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소변을 보면 소변이 사방으로 튀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소변이 정확히 변기본체(10)의 용변부(11)로 떨어지도록 할 필요가 없어서, 소변을 보는 것이 더욱 쉬워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6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형성된 자바라 형태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단은 상기 좌대(20)의 하측 둘레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변기본체(10)의 용변부(11) 둘레부에 고정되므로, 차단부재(6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좌대(20)의 하측에는 상기 차단부재(60)의 내측에 위치되어 차단부재(60)의 내측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관(70)이 구비되어 소변을 보고 난 후 물을 내리면 자동으로 차단부재(60)의 내측면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차단부재(60)의 내측면을 세척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유닛(50)은 사용자가 발판을 밟으면 좌대(20)와 덮개(30)가 상승되고, 사용 후 좌대(20)와 덮개(30)를 아래측으로 누르면 자동으로 고정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좌대(20)와 덮개(30)를 승강시키는 것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덮개(30)는 상기 좌대(20)의 후방에 구비된 브래킷(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좌대(20)와 함께 승강되므로, 좌대(20)를 하측으로 누를 때 덮개(30)가 좌대(20)의 상면을 덮도록 한 상태에서 덮개(30)의 상면을 눌러 좌대(2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변이 묻을 수 있는 좌대(20)를 직접 손으로 만지지 않고 덮개(30)만을 손으로 만지게 되므로, 더욱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승강유닛(50)은 스프링(52)을 이용하여 좌대(20)와 덮개(3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구동모터나 수압을 이용한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상기 좌대(20)와 덮개(30)가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대(20)는 상기 승강바(51)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승강바(51)의 상단에 별도의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좌대(20)와 덮개(30)를 상기 지지대의 후방에 구비된 브래킷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여, 덮개(30)와 좌대(20)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덮개(30)는 후단부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브래킷(1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변기는 사용자가 상기 승강유닛(50)을 작동시켜 좌대(20)가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할 때, 상기 좌대(20)에 의해 덮개(30)가 상측으로 밀려 열리게 된다.
따라서, 좌대(20)가 상승되면 덮개(30)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므로, 좌대(20)가 상승된 후 덮개(30)를 별도로 열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차단부재(60)는 상기 좌대(20)의 하측 둘레면에서 하향연장되어 좌대(20)와 함께 승강되는 패널로 구성된다. 즉, 상기 차단부재(60)는 자바라 형태로 접히는 제1 실시예의 차단부재(60)와 달리, 형태가 변화되지 않는 벽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대(20)의 하측 둘레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좌대(20)와 함께 승강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60)는 딱딱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방수천이나 비닐과 같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60)를 패널 형태로 구성하면, 차단부재(60)의 구조 및 강도가 상승되며, 세척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60)의 형태나 재질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변기본체 20. 좌대
30. 덮개 40. 물탱크
50. 승강유닛 60. 차단부재
70. 세척수분사관

Claims (7)

  1.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1)가 형성된 변기본체(10)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링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대(20)와, 상기 좌대(20)의 상부를 덮도록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30)를 포함하며, 상기 변기본체(10)의 후방에는 물탱크(40) 또는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가 연결된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대(20)는 상기 변기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대(20)에 연결되어 좌대(20)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50)과,
    상기 좌대(20)의 둘레부 하측에 구비되며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좌대(20)가 상향되면 용변부(11)의 상측 둘레부를 가려 소변이 둘레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60)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재(6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형성된 자바라 형태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단은 상기 좌대(20)의 하측 둘레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변기본체(10)의 용변부(11) 둘레부에 고정되어 좌대(20)의 승강에 따라 펴지거나 접히도록 된 것이나 상기 좌대(20)의 하측 둘레면에서 하향연장되어 좌대(20)와 함께 승강되는 패널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승강유닛(50)은,
    상기 변기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좌대(20)가 설치되는 승강바(51)와,
    상기 승강바(51)에 연결되어 승강바(51)를 상향가압하는 스프링(52)과,
    상기 승강바(51)에 결합되어 하강된 승강바(51)가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기구(53)와,
    상기 변기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기구(53)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으면 상기 고정기구(53)와 승강바(51)의 결합을 해제하여 승강바(51)가 상승되도록 하는 페달(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20)의 하측에는 상기 차단부재(60)의 내측에 위치되어 차단부재(60)의 내측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관(70)이 구비되어 차단부재(60)의 내측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는 상기 좌대(20)의 후방에 구비된 브래킷(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좌대(20)와 함께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는 후단부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브래킷(1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좌대(20)가 상승될 때 좌대(20)에 의해 덮개(30)가 상측으로 밀려 열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KR2020110004393U 2011-05-20 2011-05-20 좌변기 KR200457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393U KR200457359Y1 (ko) 2011-05-20 2011-05-20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393U KR200457359Y1 (ko) 2011-05-20 2011-05-20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359Y1 true KR200457359Y1 (ko) 2011-12-16

Family

ID=4556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393U KR200457359Y1 (ko) 2011-05-20 2011-05-20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35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516B1 (ko) * 2012-03-16 2013-07-19 엄현덕 소변 튐 방지기구가 마련된 양변기
CN109056957A (zh) * 2018-08-02 2018-12-21 上海氪励铵勤科技发展有限公司 站立式小便结构
KR101931262B1 (ko) * 2017-10-27 2019-03-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CN110485529A (zh) * 2019-06-20 2019-11-22 佛山职业技术学院 一种升降马桶
IT202000007189A1 (it) * 2020-04-03 2021-10-03 Matteo Cappelletti Tavoletta per gabinetto e relativo gabinett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399B1 (ko) 2007-02-06 2008-03-20 김미자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399B1 (ko) 2007-02-06 2008-03-20 김미자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516B1 (ko) * 2012-03-16 2013-07-19 엄현덕 소변 튐 방지기구가 마련된 양변기
WO2013137591A1 (ko) * 2012-03-16 2013-09-19 Uhm Hyun Duk 소변 튐 방지기구가 마련된 양변기
KR101931262B1 (ko) * 2017-10-27 2019-03-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CN109056957A (zh) * 2018-08-02 2018-12-21 上海氪励铵勤科技发展有限公司 站立式小便结构
CN110485529A (zh) * 2019-06-20 2019-11-22 佛山职业技术学院 一种升降马桶
IT202000007189A1 (it) * 2020-04-03 2021-10-03 Matteo Cappelletti Tavoletta per gabinetto e relativo gabinet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359Y1 (ko) 좌변기
US8336130B1 (en) Toilet device with lifting capability
US20150040303A1 (en) Toilet provided with urine splash prevention apparatus
TWI604815B (zh) Portable toilet
MX2007016205A (es) Dispositivo de excusado.
JP2010037903A (ja) 洋式便器
CN210227995U (zh) 一种手扶自立座便器
KR200411612Y1 (ko) 발판과 완전 개방형 뚜껑이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통
KR101020102B1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JP3959944B2 (ja) 洋風便器装置
CN112971663A (zh) 一种折叠洗碗机
JP4259394B2 (ja) 壁掛便器の取付け構造
KR101186534B1 (ko) 자동승강식 변기시트와 착탈식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좌변기
CN102379652A (zh) 马桶座升降装置
CN211704500U (zh) 一种折叠洗碗机
KR200442998Y1 (ko) 양변기
CN211704506U (zh) 一种折叠洗碗机
KR20110005712U (ko) 자동 제어가 가능한 좌변기
CN110241900A (zh) 一种可移动式马桶
JP2002070113A (ja) 洋式便器用の小便飛散防止装置
JP2020051249A (ja) 水洗大便器
KR20190013010A (ko) 좌변기의 소변용 기구
CN109083240A (zh) 一种马桶堵塞疏通装置
KR20130008707A (ko) 좌변기
CN102787642B (zh) 一种充气抽水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