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262B1 -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262B1
KR101931262B1 KR1020170141222A KR20170141222A KR101931262B1 KR 101931262 B1 KR101931262 B1 KR 101931262B1 KR 1020170141222 A KR1020170141222 A KR 1020170141222A KR 20170141222 A KR20170141222 A KR 20170141222A KR 101931262 B1 KR101931262 B1 KR 101931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pparatus main
toilet
toilet bow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경
김병조
박진성
황제웅
안수홍
김두엽
권태우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에 설치되어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이나 환자들이 양변기에 쉽게 착석하고 양변기에서 쉽게 기립할 수 있게 보조하고, 특히 인체생리학적으로 배변이 용이한 자세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변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을 보조하도록 구비되는 장치로서, 양변기를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중앙에 용변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변 개구부 주위로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후방을 승강 구동시켜 그 장치 본체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동작시키고 다시 복원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 수단; 상기 장치 본체의 경사 및 복원 동작 구동 시 상기 장치 본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 및 상기 구동 수단의 동작을 작동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TOILET BOWL SUPPORT APPARATUS FOR EASY DEFECATION}
본 발명은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에 설치되어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이나 환자들이 양변기에 쉽게 착석하고 양변기에서 쉽게 기립할 수 있게 보조하고, 특히 인체생리학적으로 배변이 용이한 자세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화장실에서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이러한 양변기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앉기에 적합한 높이의 본체가 화장실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여기서 본체는 오물을 받는 보울을 구비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의 후방에 좌대와 덮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좌대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여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용도이며, 덮개는 필요 시 본체에 형성되는 보울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용도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양변기는 하체의 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하체를 다쳐 거동이 불편한 환자 및 일반인들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하체를 다쳐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거동 불편자의 예로 하여 부연 설명하면, 거동불편자가 용변을 본 후 양변기의 좌대에 앉은 상태에서 일어서기까지의 행동에서 하체에 힘이 없어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이와 반대로 거동불편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양변기의 좌대에 앉는 과정에서도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거동불편자가 양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도, 경우에 따라 거동불편자 자신의 몸을 어딘가에 의지시켜 중심을 잡는 동시에 비교적 편안한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양변기를 통해서는 이러한 작용을 전혀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양변기 주변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손잡이를 설치함으로써, 거동불편자가 이렇게 설치된 손잡이에 의지해 양변기의 좌대에 비교적 편안하게 앉거나 반대로 양변기의 좌대로부터 비교적 편안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거동불편자를 위한 편의 시설로써 설치되는 종래의 손잡이는 통상 양변기로부터 조금은 먼 위치에 설치되며, 그로 인해 거동불편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힘을 전달하여 그 힘을 이용해 양변기의 좌대에 앉거나 반대로 양변기의 좌대로부터 일어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거동불편자가 용변을 보는 상태에서는 몸의 중심을 잡는데에 더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지만, 종래의 멀리 위치한 손잡이를 잡고 용변을 보기에는 무리가 있고, 이는 손잡이가 거동불편자에게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결과로 나타난다.
따라서, 하체의 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하체를 다쳐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이 용변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양변기에 비교적 용이하게 앉거나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편의 기능을 양변기에 부여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03781(2010.04.08. 공개) (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5636(2012.08.07. 공개) (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9855(2004.08.25. 공고) (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41892(2016.07.22.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변기에 설치되어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이나 환자들이 양변기에 쉽게 착석하고 양변기에서 쉽게 기립할 수 있게 보조하고, 특히 인체생리학적으로 배변이 용이한 자세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양변기에 설치되어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애주기별로 양변기를 사용하면서도 양변기에 쉽게 착석하고 양변기에서 쉽게 기립할 수 있게 보조하고, 특히 인체생리학적으로 배변이 용이한 자세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양변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을 보조하도록 구비되는 장치로서, 양변기를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중앙에 용변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변 개구부 주위로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후방을 승강 구동시켜 그 장치 본체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동작시키고 다시 복원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 수단; 상기 장치 본체의 경사 및 복원 동작 구동 시 상기 장치 본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 및 상기 구동 수단의 동작을 작동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일단부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용변 개구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한 상기 장치 본체의 회동과 연동하여 상기 커버 부재가 자동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 자동 개폐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중심부를 대칭으로 2분할로 분할되게 이루어져 양변기 양측으로부터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전면부는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스탠드 프레임; 상기 스탠드 프레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스탠드 브라켓; 상기 스탠드 브라켓의 각 단부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장치 본체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스탠드 프레임의 전방부에는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게 구비되는 발판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대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몸통과 허벅지가 이루는 각도가 30°~40°를 갖는 발판대의 높이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스탠드 브라켓의 후방 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후방의 내측 또는 외측에 힌지 결합되며 유압 동작하는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실린더 부재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케이블이 연결되고, 경사 동작 또는 복원 동작의 조작을 위한 조작 스위치가 마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어반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에 의하면, 양변기에 설치되어 일반인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이나 환자 등이 양변기에 쉽게 착석하고 양변기에서 기립할 수 있게 보조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생리학적으로 배변이 용이한 자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배변이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잔변의 배출이 잘 되어 체내 독소 배출이 용이하여 인체 건강에 도움을 주고, 또한 복부압력이 형성되기 쉬운 자세를 갖도록 하여 적은 노력으로 배변을 위한 힘을 내는데 효율적인 자세를 자연스럽게 이루도록 하며, 이러한 작용으로 항문압력을 감소시켜 치질이나 항문 출혈 등의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양변기의 구성이나 구조 변경 없이도,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 양변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사용자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사용자가 기립할 수 있도록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사용자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사용자가 기립할 수 있도록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변기에 설치되어 착석 및 기립을 보조하도록 구비되는 장치로서, 양변기를 커버하여 설치되고, 중앙에 용변 개구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용변 개구부(110) 주위로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장치 본체(100); 상기 장치 본체(100)의 후방을 승강 구동시켜 그 장치 본체(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동작시키고 다시 복원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 수단; 상기 장치 본체(100)의 경사 및 복원 동작 구동 시 장치 본체(10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 및 상기 구동 수단의 동작을 작동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 본체(100)는 크게 사용자가 안착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110)와, 상기 안착부(110)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등부(120), 및 상기 안착부(110)의 양측에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벽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10)는 사용자가 착석가능한 좌변대 형상의 안착부(110)를 가지며, 그 안착부의 중앙부에는 용변을 볼 수 있는 용변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10)와 등부(120)는 양변기의 보울(bowl)과 물탱크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양변기를 커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측벽부(130)는 안착부(110)의 전방으로부터 등부(120)의 상단까지 라운드지게 연장되고, 측벽 양 내면은 하부 측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모아져서 사용 시 사용자의 발이 모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측벽부(130)의 하부 측의 양 내면에 의해 사용자의 발을 안쪽으로 모아주고, 또한 엉덩이의 양측이 지지되어 안정된 자세로 안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측벽부(130)의 형상으로 사용자가 기립할 때 체중을 모아진 양 무릎을 지지하면서 일어나거나, 사용 전후 사용자가 측벽부(130)의 상단 측을 잡고 앉거나 잡고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장치 본체(100)는 구동 수단에 의해 전방 일측을 축으로 회동 구동할 때 그 장치 본체(100)의 전방부가 양변기의 보울에 간섭되지 않도록 전면부가 개구 또는 개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치 본체(100)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부를 대칭으로 2분할로 분할되게 이루어져 양변기 양측으로부터 결합시킨 다음, 결합 수단 등으로 분할된 장치 본체를 일체화하여 구성되거나, 하부가 개방되어 양변기 위로 씌어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본체(100)는 일단부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안착부(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용변 개구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장치 본체(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져 회동할 때, 상기 장치 본체의 경사 동작과 복원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 부재(미도시)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부재 자동 개폐유닛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부재 자동 개폐유닛은 일단부는 후술하는 스탠드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버 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연동 링크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동 링크의 타단부는 장치 본체(100)의 경사 동작 시 커버 부재를 자동으로 밀어올려 개방시키고, 장치 본체(100)의 복원 동작 시 최초 위치로 되돌아 가 커버 부재를 폐쇄시키도록 구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 수단의 설명 이전에 가이드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장치 본체(100)의 하부 바닥에 설치되는 스탠드 프레임(210)과, 상기 스탠드 프레임(210)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장치 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스탠드 브라켓(220)과, 상기 스탠드 브라켓(220)의 각 단부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30), 및 상기 장치 본체(100)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구름 베어링과 같은 가이드 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스탠드 브라켓(220)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30)은 장치 본체(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지게 라운드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30)의 라운드지는 설계적 인자에 따라 상기 장치 본체(100)의 경사 정도가 결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 프레임(210)의 전방부에는 사용자가 장치 본체(100)에 안착과 기립을 위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대(25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대(250)는 판 형태 또는 격자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스탠드 프레임(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판대(25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위치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안착부(110)에 앉아 용변을 볼 때, 상기 측벽부(130)의 하부 측의 양 내면에 의해 사용자의 발을 안쪽으로 모아주고, 또한 상기 발판대(250)에 의하여 발이 소정 높이 위치에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복부내압을 증가시키고 항문조임근이 느슨해지는 효과를 내어 배변이 용이하게 하는 생체역학적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판대(2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몸통과 허벅지의 각도가 35도(+ 5~10도)를 이루는 발판대의 높이가 되도록, 또는 발판대의 높이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대(250)가 해당 범위의 높이를 갖도록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직장과 항문관이 이루는 각도는 항문-직장 각(anorectal angle)이라고 한다. 평소 치골직장근은 직장을 당겨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직장과 항문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정도가 되고, 이에 따라 대변이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반면에, 배변 시에는 치골직장근이 느슨하게 늘어나면서 그 각도가 약 130도까지 커지면서 대변의 배출을 용이하게 만들어 주게 되는데, 이는 항문관과 직장의 각도가 커질수록 대변이 용이하게 배출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발판대의 높이는 인체생리학적으로 배변이 용이한 자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배변이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잔변의 배출이 잘 되어 체내 독소 배출이 용이하여 인체 건강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복부압력이 형성되기 쉬운 자세를 갖도록 하여 적은 노력으로 배변을 위한 힘을 내는데 효율적인 자세를 자연스럽게 이루도록 하며, 이러한 작용으로 항문압력을 감소시켜 치질이나 항문 출혈 등의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스탠드 브라켓(220)의 후방 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 본체(100)의 후방의 내측 또는 외측에 힌지 결합되고, 유압 동작하는 실린더 부재(3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 부재(310)는 바람직하게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의 실린더 부재로 구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구동 수단의 동작을 작동 제어하는 제어반은, 상기 실린더 부재의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케이블이 연결되고, 경사 동작 또는 복원 동작의 조작을 위한 조작 스위치가 마련되는 제어반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제어반은 장치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설치대에 거치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반은 조작 스위치를 조작 정도에 따라 장치 본체(100)의 경사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 수단은 장치 본체(100)의 주변에 구비되는 사물 감지 센서와, 상기 장치 본체의 안착부에 구비되는 하중 센서, 및 상기 사물 감지 센서와 하중 센서의 신호 및 산출을 통해 경사 동작 및 복원 동작을 판단하여 상기 실린더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 또는 보조자가 보조 장치에 다가와서 설치대에 거치된 제어반의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장치 본체(100)가 경사져 세워지도록 조작하고(도 2의 점선 참조), 장치 본체(100)가 경사져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후방에 세워진 장치 본체(100)에 엉덩이 부위를 얹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반의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원위치로 복원시켜 앉은 상태를 이루도록 보조한다.
양변기의 사용 후, 사용자는 제어반의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장치 본체(100)가 경사져 세워지도록 조작하여 앉은 상태에서 바로 일어나는 것 보다는 어느 정도 세워진 상태에서 다음 행동을 행할 수 있어 기립 동작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에 의하면, 양변기에 설치되어 노인이나 환자 및 생애주기별로 신체변화에 무관하게 양변기에 쉽게 착석하도록 돕고 양변기에서 기립할 수 있게 보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양변기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양변기의 구성이나 구조 변경 없이도,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 양변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장치 본체
110: 안착부
210: 스탠드 프레임
220: 스탠드 브라켓
230: 가이드 레일
240: 가이드 부재
250: 발판대
310: 실린더 부재

Claims (5)

  1. 양변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석 및 기립을 보조하도록 구비되는 장치로서,
    양변기를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중앙에 용변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변 개구부 주위로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후방을 승강 구동시켜 그 장치 본체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동작시키고 다시 복원되도록 동작시키는 구동 수단;
    상기 장치 본체의 경사 및 복원 동작 구동 시 상기 장치 본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 및
    상기 구동 수단의 동작을 작동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중심부를 대칭으로 2분할로 분할되게 이루어져 양변기 양측으로부터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전면부는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스탠드 프레임;
    상기 스탠드 프레임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스탠드 브라켓;
    상기 스탠드 브라켓의 각 단부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장치 본체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스탠드 프레임의 전방부에는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게 구비되는 발판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대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몸통과 허벅지가 이루는 각도가 30°~40°를 갖는 발판대의 높이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 본체(100)는 사용자가 안착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110)와, 상기 안착부(110)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등부(120), 및 상기 안착부(110)의 양측에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벽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스탠드 브라켓(220)의 후방 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 본체(100)의 후방의 내측 또는 외측에 힌지 결합되고, 유압 동작하는 실린더 부재(310)를 포함하는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일단부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용변 개구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한 상기 장치 본체의 회동과 연동하여 상기 커버 부재가 자동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 자동 개폐유닛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스탠드 브라켓의 후방 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후방의 내측 또는 외측에 힌지 결합되며 유압 동작하는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실린더 부재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케이블이 연결되고, 경사 동작 또는 복원 동작의 조작을 위한 조작 스위치가 마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어반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KR1020170141222A 2017-10-27 2017-10-27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KR101931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222A KR101931262B1 (ko) 2017-10-27 2017-10-27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222A KR101931262B1 (ko) 2017-10-27 2017-10-27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262B1 true KR101931262B1 (ko) 2019-03-13

Family

ID=6576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222A KR101931262B1 (ko) 2017-10-27 2017-10-27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2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7683A (zh) * 2019-04-26 2019-06-21 佛山市顺德区孝爱康复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加热功能的升降坐便器
CN114127373A (zh) * 2019-07-25 2022-03-01 史蒂芬·约翰·汤姆森 与马桶模块相关的改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321A (ja) * 1998-09-30 2000-04-11 Jio Japan:Kk 便 器
KR100888719B1 (ko) * 2007-09-12 2009-03-17 김종범 좌변기보조지지대
KR200457359Y1 (ko) * 2011-05-20 2011-12-16 이원영 좌변기
KR101624163B1 (ko) * 2015-06-03 2016-05-25 주식회사 클랩엠씨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321A (ja) * 1998-09-30 2000-04-11 Jio Japan:Kk 便 器
KR100888719B1 (ko) * 2007-09-12 2009-03-17 김종범 좌변기보조지지대
KR200457359Y1 (ko) * 2011-05-20 2011-12-16 이원영 좌변기
KR101624163B1 (ko) * 2015-06-03 2016-05-25 주식회사 클랩엠씨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7683A (zh) * 2019-04-26 2019-06-21 佛山市顺德区孝爱康复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加热功能的升降坐便器
CN114127373A (zh) * 2019-07-25 2022-03-01 史蒂芬·约翰·汤姆森 与马桶模块相关的改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9583A (en) Toilet with footrest
US5411044A (en) Patient transfer walker
US11089923B2 (en) Advanced hygienic excreta system
KR101013566B1 (ko) 착석 및 기립 보조기구
KR101931262B1 (ko)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CN111481376A (zh) 一种多功能护理床
CN113038915A (zh) 用于支持在其活动方面受限制的人的自行前进运动能力的装置
KR20110009765A (ko)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KR20130139470A (ko) 다기능 전동식 승강기
CA2170959A1 (en) Invalid chair with pivotal foot rest
KR101522929B1 (ko)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US8151380B2 (en) Wheelchair with enhanced toilet accessibility
JP3825633B2 (ja) トイレ用取っ手レールサポート
KR20190052370A (ko) 침대 및 욕조 기능을 갖는 휠체어
JP6504777B2 (ja) 移動式トイレ装置
US11583147B2 (en) Advanced hygienic excreta system
KR101953467B1 (ko)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JP7040789B2 (ja) 肢体不自由者用の用便介助トイレ
JP3179421U (ja) 身体障害者と健常者の共用便座の取付け構造
JPH08196477A (ja) トイレ装置
JP2003175084A (ja) 介護用ベッド
CN202235134U (zh) 靠背式座便器盖板
KR200359358Y1 (ko) 환자용 기능성 침대
KR20170003243A (ko) 환자용 변기 조립체
JPH044637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