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358Y1 - 환자용 기능성 침대 - Google Patents

환자용 기능성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358Y1
KR200359358Y1 KR20-2004-0004385U KR20040004385U KR200359358Y1 KR 200359358 Y1 KR200359358 Y1 KR 200359358Y1 KR 20040004385 U KR20040004385 U KR 20040004385U KR 200359358 Y1 KR200359358 Y1 KR 200359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tient
bed
toilet
functional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설
Original Assignee
유기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설 filed Critical 유기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3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3Holders, support devices for receptacles, e.g. for drainage or urine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6Head or foo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5Side-bol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7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toi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6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converting a lying surface into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반신을 움직일 수 없는 중환자들의 용변을 자동적으로 받아 처리할 수 있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는, 보턴스위치(12)를 팔걸이(14)와 팔걸이 보호대(15)위에 설치하고, 환자가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용변보기 좋은 자세로 하기 위해 본체(10) 후레임과 좌,우 내측 중앙위치에 고정판(62)을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판(62)위에 중간판(63)과 안장상판(40)과 커버(41)를 결합하여 변기의 안장부를 형성하며, 베드 상태에서 의자 상태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안장상판(40)과 등받침판(13)을 힌지(16)로 연결하고 발받침판(11a)과 힌지(17)로 연결시켜 각기 연결부위가 상,하로 작동하도록 하며, 상기 발받침판(11a)후면에 형성된 힌지 브라켓트A(75)는 구동모타A(25)의 선단측에 형성된 피니온기어에 의하여 구동시켜 베드의 형태에서 의자 형태로 변형하며, 좌,우 양측 구동모타(64)에 연동된 렉크기아(44)에 의하여 상향 조정되고 안장 플레이트(47)에 결합된 업퍼브라켓트(42)도 동시에 상부로 올라와 환자의 몸을 부상시켜 고리(52)와 환자의 팬티가 끈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에어실린더(61)가 후진하여 팬티를 벗겨 용변의 자유로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침대에서 움직이거나 거동할 수 없는 상태의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용변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고, 환자의 수발을 들어 물적, 심적으로 부담되는 보호자들의 편의성이 도모되며,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는 환경성이나 청결함의 유지 등이 개선됨으로써 급격하게 형성되어 가는 고령화시대에 사회복지 측면에서 편리하고 안전하도록 중환자들의 생활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자용 기능성 침대{Technical Bed for Patient}
본 발명은 환자용 용변식 침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중환자의 용변을 보턴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침대의 형태를 바꾸어 용변을 자동적으로 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환자용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환자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침대 본체(1)에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한 쿠션시트(2)와 식탁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식탁판 받침대(3)로 구성되어 있으며, 누웠던 환자가 식사를 하거나 상체를 일으키고자 한 경우 사용되는 상판 일으킴 장치(4) 정도의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중환자(거동 불편자)가 용변을 볼 경우에는 그것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누구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특히 중환자가 용변을 보고자 하면 가족이나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 용변기에 용변을 보거나 화장실에 가서 용변을 보아야 하므로 항상 환자 곁에가족 또는 간병인이 옆에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반신을 움직일 수 없는 중환자들의 용변을 침대에 설치된 보턴스위치 조작만으로 침대의 형태를 바꾸어 환자가 자동으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 환자용 기능성 침대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침대에 커튼을 설치하여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여 용변시 환자 주변 사람들과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청결함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환자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시트부를 눕힌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시트부를 굽힌 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조립 평면도.
도 5 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조립 정면도.
도 6 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변기부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 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변기부의 조립정면도.
도 8 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변기부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침대 변형상태의 예시도.
도 10a 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에 커튼 닫힘/열림 장치가 설치된 예시도.
도 10b 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에 설치된 커튼 닫힘/열림 장치의 측단면도.
도 10c 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에 설치된 커튼 가이드장치의 정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침대장치의 설치된 연결 변형 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종래일반 환자용 침대)
1 : 본체 2 : 쿠션 침대 3. 식탁판 받침대 4. 상판조절장치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침대)
10 ; 본체
11a : 발받침판 11b : 다리받침판 12 : 보턴스위치 13 : 등받침대
14 : 팔걸이 15 : 발걸이보호대 16 : 힌지A 17 : 힌지B
18 : 힌지C 19 : 연결로드a 20 : 히타 21 : 콤프레샤
22 : 가이드레일A 23 : 회전롤라 24 : 축전지(밧데리) 25 : 구동모타A
26 : 목받침대 27 : 스톱퍼 28 : 머리받침대 29 : 롤러스톱퍼
30 : 물탱크 31 : 워터호스 40 : 안장상판 41 : 안장테두리
42 : 업퍼브라켓트 43 : 쿠션패드 44 : 슬라이드 45 : 오물수거탱크A
46 : 배출파이프 47 : 가이드플레이트 48 : 가이드 포스트 49 : 히타노즐
50 : 좌욕노즐 51 : 지지대 52 : 고리 53 : 브라켓트
54 : 커버 55 : 홀더 56 : 브라켓트B 57 : 좌변기
58 : 가이드레일B 59 : 구동모타B 60 : 렉크기어B 61 : 에어실린더
62 : 고정판 63 : 중간판 64 : 구동모타C 65 : 센서부저
66 : 좌욕노즐 호스 67 : 연결호스 68 : 워터펌프A 69 : 타이머
70 : 워터펌프B 71 : 힌지B 72 : 힌지C 73 : 물탱크B
74 : 오물수거탱크B 75 : 연결로드B 76 : 렉크기어C 77 : 힌지A
78 : 힌지브라켓트B 79 : 가이드레일C 80 : 닫힘구동모타 81 : 모타 브
라켓트 82 : 가이드 롤러 83 : 커텐 끈 84 : 감김 롤러 85 : 가이드 끈
86 : 열림구동모타 87 : 스탠드 바 88 : 클램프 89 : 카텐 90 ; 식탁
91 ; 프레임A 92 ; 프레임B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침대는,
보턴스위치(12)를 팔걸이(14)와 팔걸이 보호대(15)위에 설치하고, 환자가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용변보기 좋은 자세로 하기 위해 본체(10) 후레임과 좌,우 내측 중앙위치에 고정판(62)을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판(62)위에 중간판(63)과 안장상판(40)과 커버(41)를 결합하여 변기의 안장부를 형성하며, 베드 상태에서 의자상태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안장상판(40)과 등받침판(13)을 힌지(16)로 연결하고 발받침판(11a)과 힌지(17)로 연결시켜 각기 연결부위가 상,하로 작동하도록 하며, 상기 발받침판(11a)후면에 형성된 힌지 브라켓트A(71)는 구동모타A(25)의 선단측에 형성된 피니온 기아에 의하여 렉크기아C(58)를 작동 시키고 렉크기아 선단에는 연결로드b(75)가 연결되고 후부에는 연결로드a(19)에 연결되어 링크작동이 이루워져 구동시켜 베드의 형태에서 의자형태로 변형하며 슬라이드(44) 좌,우 양측에 구비된 구동모타c에 연동된 렉크기아(44)에 의하여 전,후로 조정되고 가이드 플레이트(47)에 결합된 업퍼브라켓트(42)도 동시에 상부로 올라와 환자의 몸을 부상시켜 고리(52)와 환자의 팬티가 끈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에어시린더(61)가 후진하여 팬티를 벗겨 용변의 자유로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침판(13)의 후면에는 물탱크A(30)를 장착하고 하부에는 연 결호스(67)를 취부하여 좌변기(57)에 연결하며, 물탱크B(73)에 좌욕노즐호스 (6)로 연결시키고 물탱크B(73)에 다른 한쪽도 연결시키며, 좌욕노즐(50)은 물탱크B(73)에 내장되고, 좌욕노즐(50)의 한쪽끝은 워터펌프 (70)에 의해 결합 되고 좌욕노즐(50)의 다른 한쪽 노즐부 분사위치는 좌변기 정판(62)에 설치하며, 히타노즐 (49)은 콤프레샤(21)에 연결되어 히타(20)를 통과하여 좌변기 고정판(62)에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업퍼브라켓트(42)는 안장상환(40)과 중간판(60)과 고정판(62)을 통과하여 가이드 플레이트(47)와 브라켓트(53)에 의해 가이드 플라이트(47)에 고정되고, 가이드레일B(58)는 수거B(45) 좌,우 측벽에 각각 부착되며, 렉크기어(44)가 홈에 내장되어 구동모타(59)의해 상,하 운동하고 가이드플 레이트(47)의 사방 4개소에 홀더B(55)가 설치되며 가이드포스트 48)가 끼워져 연동하여 상,하 작동시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설된 용변이 좌변기(57)에 담겨지고, 물탱크(30)로부터 공급된 물에 의거하여 오물 수거탱크(45)에 담겨지고, 센서부저(65)에 의거하여 감지되어
워터펌프(68)가 작동되며, 배출파이프(46)를 통해 실내 화장실 변기로 되고, 타임머(69)에 의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역장동의 순서로 모든 기능이 처음 상태로 원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변 배출이 수동일 경우, 오물수거탱크B(77)에 담겨져 있는 용변은 손으로 빼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받침판(11a)과 일체로 이루어진 다리받침판(11b)과 등받침판(13)에는 상호간을 지지하기 위한 연결로드(19)와 연결로드b(7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받침판(11)과 등받침판(13)을 상호 지지하기 위해 연결로드(19)와 연결로드b(75) 대용으로 모타를 다리 받침판(11)과 중간판(63)사이에 등받침판(13)와 중간판(63) 연결부에 각각 설치하여 모타로써 다리받침판(11)과 등받침판(13)이 상,하로 작동 될수 있도록 설치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에 스텐드바(87)를 설치하고, 스텐드바(87)상부에 가이드레일0(79)을 설치하며, 가이드레일0(79)안에 가이드롤러(82)를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82)는 링과 같은 형상으로 중앙에 구렁(hole)이 형성되고, 구멍으로 클램프(88)가 걸리며, 클램프(88)의 하부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커텐(89)이 걸리고, 커텐(89)을 매달고 있는 클램프(88)는 닫힘그동모타(80) 또는 열림구동모타(86)의 감김톨리(81)에 연결되어 모터(80)(86)의 회전방향에 따라 커텐(89)이 열리고 닫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텐(89)은 보턴스위치(12)에 의해 조작되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환자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안착되는 변기부와, 물탱크A(30)와 물탱크B(73)와 렉크기아C(76)와 구동모타A(25)와 워터펌프A(68)와 콤프레샤(21)와 축전지(24)가 장착되는 구동부로 대별된다.
환자가 용변을 보고자 할 때 드 2 에 도시된 보턴스위치(12)중 선택된 기능을 누르면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먼저 환자의 허리와 허벅지 부분을 받치고 있던 안장장판(40)속에 내장되어 있던 엄퍼브라켓트(42)가 부상케 되어 환자의 신체를 들어올려 주게 되는데, 그 높이는 환자의 펜티를 벗길 수 있는 정도이다.
업퍼브라켓트(42)가 작동되는 동력은 가이드레일(58)속에 내장되어 상,하 운동을 하는 렉크기어(44)가 구동모타B(59)에 형성된 피니얼기어()로부터 얻어지고, 이와 동시에 도 4 에 표시된 구동모타A(25)에 의해 연동되는 렉크작동상태를 나타낸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시트부를 눕힌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시트부를 굽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조립 평면도이며, 도 5 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조립 정면도이고, 도 6 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변기부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변기부의 조립 정면도이고, 도 8 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변기부의 주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침대 변형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10a 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에 커튼 닫힘/열림 장치가 설치된 예시도이며, 도 10b 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에 설치된 커튼 닫힘/열림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10c 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에 설치된 커튼 가이드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11a 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연결로드의 링크가 눕혀진 예시도이며 도 11b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환자용 기능성 침대 장치의 연결로드의 링크가 세워진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환자용 기능성 침대는 침대 역할을 하는 발받침판(11a)과 안장상판(40)과 등받침판(13)과 연결로드(19), 고정판(62), 중간판(63), 슬라이드(44), 테두리(41), 목받침대(26)가 장착되는 시트부와, 오물수거탱크(45)와 가이드플레이트(47)와 좌변기(57)와 업퍼브라켓트(42), 자바라(48)가안착되는 변기부와, 물탱크(30)와 물탱크B(73)와 레크기아(76)와 구동모타A(25)와 워터펌프A(68)와 콤프레샤(21)와 축전지 (24)가 장착되는 구동부로 대별된다.
환자가 용변을 보고자 할 때 도 2 에 도시된 보턴스위치(12)중 선택된 기능을 누르면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먼저 환자의 허리와 허벅지 부분을 받치고 있던 안장 상판(40)속에 내장되어 있던 업퍼브라켓트(42)가 부상케 되어 환자의 신체를 들어 올려주게 되는데, 그 높이는 환자의 팬티를 벗길 수 있는 정도이다.
업퍼브라켓트(42)가 작동되는 동력은 가이드레일(58)속에 내장되어 상,하 운동을 하는 렉크기어(44)가 구동모타B(59)에 형성될 피니언기어로부터 얻어지고, 이와 동시에 도 5 에 도시된 구동모타A(25)에 의해 연동되는 렉크기어(76) 가이드레일 A(22)속에서 상,하작동 운동을 하면서 등받침판(13)을 작동시켜 발받침판(11)도 변형시켜 주는 역할이 되며, 이 두개의 부품을 움직이는 연결체는 연결로드(19)에 의하여 연결로드(19)양쪽 끝부분은 각각 힌지(70)(71)에 연결되어 연동되게 되어 있어 발받침판(11)이 아래로 하향 하였을 때 등받침판(30)은 상향되어 베드 자체가 의자모양의 형태로 변형하게 되어 용변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기 누워 있을시 엉덩이 부분을받치고 있던 슬라이더(44)는 슬라이더(44)의 좌,우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타(64)에 의해서 좌측으로 이탈시키고, 동시에 환자의 항문위치와 좌변기(57)와 위치가 일치된 상태 에서 용변이 이루어지게 되며, 정해진 시간 후 물탱크로 A(30)로부터 좌욕노즐 호스(66)를 통하여 공급되어진 물탱크B(73)에 설치된 워터펌프A(70)에 의하여 좌욕노즐(50)로부터 강력한 물 세척으로 항문주변에 묻어있는 오물이 제거되는 좌욕이 이루어지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엔 항문주변의 물기는 콤프레샤(21)로부터 발생된 공기가 히타(20) 을 통과하면서 따뜻하게 데워져 히타노즐(49)로 분사되어 건조시켜 주게 된다.
또한 도6, 도7, 도8, 도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로부터 배출된 분뇨는 좌변기(57)에 모아졌다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보턴스위치B(12)를 조작하면 물탱크(30)로부터 일정한 물이 연결호스(67)를 통해 동시에 흘러 내려오게 되고, 이미 배출되어 좌변기(57)에 담겨져 있는 분뇨는 파스칼의 원리에 의하여 수압이 낮은 오물수거탱크A(45)로 배출되고, 좌변기(57)안의 새로운 깨끗한 물로 일정한 양이 채워져 오물수거탱크A(45)로부터 올라오는 분뇨의 악취를 근본적으로 차단시켜 주게 되고 오물수리탱크(45)에 모아진 분뇨는 센샤부저(65)에 의해 워터펌프B(68)에 의해 배출 파이프(46)를 통해 실내의 화장실로 배출하도록 되어있다. 이때, 수동으로 오물을 제거할 경우에는 물수리탱크B(74)가 케비넷 식으로 되어 있어 인위적으로 탈취하여 변기에 투척하도록 한다.
한 행정이 끝난 후, 전 동작 에서 환자의 속옷을 벗기고 멈추어있던 에어실린더(61)가 환자의 속옷과 끈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다시 환자의 허리부분까지 전진 이동하면서 환자에게 속옷을 입혀주게 되며, 업퍼브라케트(47)는 구동모타(59)에 부착된 피니언기어와 가이드레일(58)에 상,하착동 운동을 하는 렉크기어(44)를 움직이고 다시 가이드플레이트(47)에 부착되어 가이드플레이트(47)는 홀더(55)에 연결된 가이드포스트(48)에 의해 지탱되며 균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리받침판(11b)과 등받침판(13)이 원위치 되는 역할은 구동모타A(25)가 역동작 을 하여 등받침판(13)을 끌어 내리고 다시 발받침판(11a)을 들어 올려 원위치 된 후 다리받 침판(11b)을 지지하고 있는 연결로드(19)에 무리한 힘이 가해 졌을 때 연결로드(19)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기구로 에어실린더 스톱퍼(27)가 작동되어 발받침판을 받쳐주게 된다.
상기 다리받침판(11b)과 등받침판(13)을 상호 지지하기 위한 연결로드(19)는 바(bar)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리 받침판(11b)과 등받침판(13)의 각각에 모터가 설치되어 다리받침판(11b)과 등받침판(13)을 상호 지지하게 된다.
또한, 환자의 용변에 방해를 받지 않게 하기 위하여 좌측으로 빠져 나와 있던 엉덩이 받침용 슬라이더(44)는 도 6에서 구동모타(64)에 끼워진 피니온기어와 슬라이더(44)자체 좌,우 양쪽에 형성된 렉크기어B(60)에 의하여 환가의 엉덩이 끝부분까지 이동시켜 받쳐 주 게 되어있고, 엉덩이 부분에 맞닿는 곳에는 쿠션패드(43)을 도포하였으며, 유사시 정전상태 를 대비하여 축전지(밧데리)(24)를 보조수단으로 갖추고 있다.
도 10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스텐드바(87)를4개소에 설치하고, 스탠드바(87)상부에는 가이드레일C(79)을 설치하며, 가이드레일C(79)안에 가이드롤러(82)를 취부 한다.
또한, 도 10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82)는 링과 같은 형상으로 가운데에 구멍(hole)이 형성되고, 그 구멍으로 클램프(88)가 걸리고 그 아래에는 다시 가운데에 구멍이 형성되어 카텐(89)을 걸게 하였으며, 작동은 환자가 용변의 필요성을 느낄 때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보턴스위치(12)를 조작하여 작동 시키고,커텐(89)을 매달고 있는 클램프(88)는 다시 닫힘(close)구동모타(30) 또는 열림(open)구동모타(86)의 감김롤러(81)에 연결되어 모터(80)(86)의 회전방향에 따라 카텐(89)이 열리고 닫히게 된다.
상기 카텐(89)을 설치함으로서, 환자가 용병을 볼 때 주위를 의식하여 불편이 초래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텐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거나 열리도록 한다.
상기 도 10a, 도 10b, 도 10c 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에 커튼(89)장치가 부가되어 설치된 도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10b 는 측단면도를 나타내므로 닫힘구동모타(80) 또는 열림구동모타(86)는 도면상에서 80(86)의 부로 병기하여 표시하였다. 상기 도 11a, 도 11b, 는 환자용 기능성침대에 연결로드의 링크장치와 식탁장치가 부가되어 설치된 도면을 나타낸 다. 또한 도 11b 는 프레임A(91)또는 프레임 B(92)와 식탁(90)을 부호로 병기하여 표시하였 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침대 등받침판(13)의 후면부와 다리받침판(11b)의 후면부에 형성된 연장부에 의하여 침대의 형태를 평형상태에서 의자형태로 변형, 유도하여 환자가 용변을 보다 쉽게 처리 할 수 있도록 한 침대변형장치와 배출된 배변을 자동 처리하는 배출처리장치와 수세식 및 공기분사식으로 환자의 항문 주변을 위생처리한 장치를 설치하여 특히 하반신을 못 쓰는 중환자들에게 용변을 자동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며, 기능성 침대에 커텐(89)을 설치하여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게 하여 용변 시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침대에서 움직이거나 거동할 수 없는상태의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용변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고, 환자의 수발을 들어 물적, 심적으로 부담되는 보호자들의 편의성이 도모되며,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는 환경성이나 청결함의 유지 등이 개선됨으로써 급격하게 형성되어 가는 고령화시대에 사회복지 측면에서 편리하고 안전하도록 중환자들의 생환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보턴 스위치(12)를 팔걸이(14)와 팔걸이 보호대(15) 위에 설치하고, 환자가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용변을 보기 좋은 자세로 하기 위해 본체(10) 후레임과 좌,우 양측 중앙 위치에 고정판(62)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판(62) 위에 중간판(63)과 안장상판(40)과 커버(41)를 결합 하여 변기의 안장부를 형성하며 베드 상태에서 의자 상태로 변형이 용이 하도록 하기 위해 안장상판(40)과 등받침판(13)을 힌지(16)로 연결하고 발 받침판(11a)과 힌지(17)로 연결시켜 각기 연결 부위가 상,하로 작동하도록 하며 상기 발 받침판(11a) 후면에 형성된 힌지 브라켓트 A(7)는 구동모타 A(25)의 선단측에 형성된 피니온 기어에 의하여 구동시켜 베드의 형태에서 의자 형태로 변형하며 좌,우양측 구동모타(64)에 연동된 렉크기아(44)에 의하여 상향 조정되고 안장 플레이트(47)에 결합된 업퍼브라켓트(42)도 동시에 상부로 올라와 환자의 몸을 부상시켜 고리(52)와 환자의 팬티가 끈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에어 실린더(61)가 후진하여 팬티를 벗겨 용변의 자유로움이 이루어 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판(13)의 후면에는 물탱크A(30)를 장착하고 하부에는 연결호스(67)를 취부하여 좌변기(57)에 연결하며, 물탱크B(75)에 좌욕노즐호스(66)로 연결시키고 물탱크B(73)에 다른 한쪽도 연결시키며, 좌욕노즐(50)은 물탱크B(73)안에 내장되고, 좌욕노즐(50)의 한쪽끝은 워터펌프(70)에 의해 결합되고 좌욕노즐(50)의 다른 한쪽 노즐부 분사위치는 좌변기 고정판(62)에 설치하며, 히타노즐(49)은 콤프레샤(21)에 연결되어 히타(20)를 통과하여 상기 좌변기고정판(62)에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퍼브라켓트(42)는 안장장판(40)과 중간판(50)과 고정판(62)을 통과하여 가이드플레이트(47)와 브라켓트(53)에 의해 가이드플레이트(47)에 고정되고. 가이드레일B(58)는 오물수거통B(45) 좌,우 측벽에 각각 부착되며, 렉크기어(44)가 홈에 내장되어 구동모타(59)에 희해 상,하운동하고 가이드플레이트(47)의 사방 4개소에 힌지D(55)가 설치되며, 자바라(48)가 체결되어 연동하여 상,하 작동시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배설된 용변이 좌변기 (57)에 담겨지고, 물탱크(30)로부터 공급된 물에 의하여 오물수거탱크(45)에 담겨주고, 샌서부저(65)에 의거하여 감지되어 워터펌프(68)가 작동되며, 배출파이프(46)를 통해 실내 화장실 변기로 배출되고 타이머(69)에 의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역작동의 순서로 모든 기능이 처음 상태로 원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용변 배출이 수동일 경우, 오물수거탱크B(77)에 담겨져있는 용변은 손으로 빼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받침판(11a)과 일체로 이루어진 다리받침판(11b)과 등받침판(13)에는 상호간을 지지하기 위한 연결로드a(19)와 연결로드b(9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받침판(11)과 등 받침판(13)을 상호 지지 하기 위해 연결로드(19) 대용으로 모터를 다리받침판(11)과 등 받침팜(13)에 각각 설치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스텐드바(87)를 설치하고, 스텐드바(87) 상부에 가이드레일C(79)을 설치하며, 가이드레일C(79)안에 가이드롤로(82)를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82)는 링과 같은 형상으로 중앙에 구멍(hole)이 형성되고, 구멍으로 클램프(88)가 걸리며, 클램프(88)의 하부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카텐(89)이 걸리고, 커텐(89)을 매달고 있는 클램프(88)는 닫힘구동모타(80) 또는 열림구동모타(86)의 감김롤러(81)에 연결되어 모터(80)(86)의 회전방향에 따라 커텐(89)이 열리고 닫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텐(89)은 보턴스위치(12)에 의해 조작되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
  11. 제 1항에 있어서 도11에서 발 받침판(11)의 연결된 연결로드b(75) 에 프레임B(92)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프레임B(92)의 선단부는 프레임(91)에 연결시켜 로링작동이 되도록 한다 프레임A(91) 상부에 식탁용 평판이 고정되어 있어 환자가 앉는 자세로 위치가 변형 할때 식탁판이 같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기능성 침대
KR20-2004-0004385U 2004-01-20 2004-02-14 환자용 기능성 침대 KR20035935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1818 2004-01-20
KR2020040001818 2004-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358Y1 true KR200359358Y1 (ko) 2004-08-21

Family

ID=4934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385U KR200359358Y1 (ko) 2004-01-20 2004-02-14 환자용 기능성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35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380B1 (ko) * 2004-07-27 2004-12-29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이동가능한 팔걸이 어셈블리와 이것을 조립한온열치료기용 프레임 조립체
KR102314802B1 (ko) * 2021-06-28 2021-10-20 (주)엘티 환자용 비데침대
KR102320648B1 (ko) * 2021-03-19 2021-11-02 유병선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CN114831821A (zh) * 2022-05-09 2022-08-02 安徽臻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动遥控护理床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380B1 (ko) * 2004-07-27 2004-12-29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이동가능한 팔걸이 어셈블리와 이것을 조립한온열치료기용 프레임 조립체
KR102320648B1 (ko) * 2021-03-19 2021-11-02 유병선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WO2022196988A1 (ko) * 2021-03-19 2022-09-22 성지종합상사주식회사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KR102314802B1 (ko) * 2021-06-28 2021-10-20 (주)엘티 환자용 비데침대
CN114831821A (zh) * 2022-05-09 2022-08-02 安徽臻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动遥控护理床
CN114831821B (zh) * 2022-05-09 2024-05-07 安徽臻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动遥控护理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37791A (ja) 患者用寝台
CN106491292A (zh) 多功能床
CN203244525U (zh) 多功能护理病床
CN112914878B (zh) 一种便于使用的多功能护理床
CN111481376A (zh) 一种多功能护理床
JP3673315B2 (ja) 寝たきり病人用等の身辺介護装置
CN112057263A (zh) 多功能护理床
CN216168393U (zh) 辅助腿脚不便老人全自护理的床椅一体装置
CN113509346A (zh) 便于产程中发力、带排污功能的电动产床
CN212308251U (zh) 多功能护理床
KR200359358Y1 (ko) 환자용 기능성 침대
JP2012519021A (ja) 身体障害患者のための支持ユニット
JP3209782U (ja) 介護用ベッド
CN201049027Y (zh) 多功能轮椅
JP2012000421A (ja) 便槽つき自力排泄ベッド
CN101889930A (zh) 一种具有坐便和坐浴功能的病床
KR20080101508A (ko) 환자용 침대
CN211610418U (zh) 一种多功能护理床
JP2000279454A (ja) 自助介護用ベッド装置
WO2011048372A1 (en) Bed with in - built toilet facility
CN212090001U (zh) 人体复健扶助装置
CN212592762U (zh) 一种排便方便的医护轮椅
JP3183626B2 (ja) 介護用ベット
JPH1014814A (ja) ポータブルトイレ自動収納装置
CN217525617U (zh) 一种多功能护理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