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163B1 -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163B1
KR101624163B1 KR1020150078410A KR20150078410A KR101624163B1 KR 101624163 B1 KR101624163 B1 KR 101624163B1 KR 1020150078410 A KR1020150078410 A KR 1020150078410A KR 20150078410 A KR20150078410 A KR 20150078410A KR 101624163 B1 KR101624163 B1 KR 101624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ylinder
rotating
frames
driv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랩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랩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랩엠씨
Priority to KR102015007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변기에 앉거나 일어서는 것이 용이하도록 보조하는 좌변기 시트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좌변기 보조장치는, 다수의 프레임이 육면체 형상으로 연결되며, 후방이 개방되는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다수의 프레임이 사각 형상으로 연결되며, 전방의 일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 전방의 일 프레임과 회전축을 형성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동 프레임; 상기 회동 프레임 상측에 설치되는 시트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양 측부 프레임을 상하로 연결하여, 상하 방향의 신축 구동으로 상기 회동 프레임을 상기 회전축 프레임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 실린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Seat Supporting Apparatus for Toilet Bowl}
본 발명의 좌변기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변기에 앉거나 일어서는 것이 용이하도록 보조하는 좌변기 시트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건물이나 병원과 같은 공공 건물 등에는 좌변기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좌변기는 착좌를 위해 바닥에서 적당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좌변기에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므로, 용변을 보기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은 좌변기에 앉을 때에도 불편하고 좌변기에 앉아서 용변을 본 다음에는 다시 일어서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현재 노약자나 장애인 등 몸이 불편한 사용자를 대비하여 나오는 좌변기 시스템은 미약한 현실이다. 노약자들이나 장애인들, 특히 척추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에는 화장실의 이용이 대단히 불편할 수밖에 없으며, 화장실로 이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변기에 앉거나 일어서는 과정에서도 주변인의 도움이 필요한 실정이기 때문에 항상 주변에 사람이 상주해야만 하며, 당사자도 대소변을 볼 때마다 수치심을 느끼는 경우가 빈번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좌변기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한 좌변기 보조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일 예로 국내등록특허 10-1197738호(선행문헌1)는 '설치가 용이한 좌변기용 각도조절 시트장치'를 제공하고, 국내등록특허 10-1013566호(선행문헌2)는 '착석 및 기립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선행문헌1의 각도조절 시트장치는 구동부와 링크 유닛이 회동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동 프레임을 회전시켜 변기시트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은 링크 유닛 등이 기존의 변기 본체에 간섭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1은 구동부가 링크 유닛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회동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조로서, 용량이 큰 구동용 모터를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행문헌2의 보조기구는 전방 포스트에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레그 프레임의 전단부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으로 레그 프레임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행문헌2는 레그 프레임의 전단부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됨으로써, 레그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큰 에너지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좌변기를 이용하는 사람은 다양한 신체 조건(특히, 신장)을 가지며, 좌변기 시트도 바닥면으로부터 다양한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에게 최적의 착좌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조장치의 높이도 다양하게 가변되어야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1,2의 보조장치들은 변기 시트의 각도만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높이 조절에 따른 편리함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10-1197738호(2012.02.01.출원공개, 설치가 용이한 좌변기용 각도조절 시트장치) 국내등록특허 10-1013566호(2010.07.15.출원공개, 착석 및 기립 보조기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작은 용량을 갖는 구동부로 좌변기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변기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변기의 높이가 자동으로 승하강되어 사용자가 더욱 편안하게 앉거나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하며, 다양한 높이를 갖는 좌변기에 사용할 수 있는 좌변기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는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전방의 일 프레임이 회전축 프레임을 형성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동 프레임; 상기 회동 프레임 상측에 설치되는 시트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양 측부 프레임을 상하로 연결하여, 상하 방향의 신축 구동으로 상기 회동 프레임을 상기 회전축 프레임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 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좌변기 보조장치는 상기 회동 프레임을 경사 또는 수평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변기 보조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과 상기 회전축 프레임의 양단을 상하로 연결하여, 상하 방향의 신축 구동으로 상기 회동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2구동 실린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 실린더 및 상기 제2구동 실린더는 전동 실린더 또는 스프링 실린더 중 선택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는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전방의 일 프레임이 회전축 프레임을 형성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동 프레임; 상기 회동 프레임 상측에 설치되는 시트부재;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양 측부 프레임을 상하로 연결하여, 상하 방향의 신축 구동으로 상기 회동 프레임을 상기 회전축 프레임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 실린더; 및 상기 제1구동 실린더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일 측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양 측부 프레임을 상하로 연결하여, 상기 제2구동 실린더의 신축 구동에 따라 신축되면서 상기 회동 프레임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는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전방의 일 프레임이 회전축 프레임을 형성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동 프레임; 상기 회동 프레임 상측에 설치되는 시트부재;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양 측부 프레임을 상하로 연결하여, 상하 방향의 신축 구동으로 상기 회동 프레임을 상기 회전축 프레임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 실린더; 및 상기 회동 프레임의 전방에 접촉 및 이격되는 일 측 단부와 상기 제1구동 실린더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타 측 단부가 단차를 이루면서 상기 제1구동 실린더에 체결되어, 상기 제1구동 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상기 회동 프레임을 단속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보조장치들은 상기 회동 프레임의 후방에 체결되는 비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프레임의 후단에 수직 방향으로 전동 실린더가 체결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작은 구동력으로 프레임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전단에 탄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스프링이 추가로 구비되어 전동 실린더의 부하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후단의 전동 실린더와 함께 프레임 전단에 수직 방향의 전동 실린더가 추가로 구비되어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앉거나 일어서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이 바닥면으로부터 충분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다양한 높이로 설치된 좌변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좌변기 보조장치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좌변기 보조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좌변기 보조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는 도 7의 주요부인 가이드 실린더의 궤적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좌변기 보조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변기 보조장치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좌변기 보조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변기 보조장치(100)는 메인 프레임(110), 메인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 프레임(120), 회동 프레임(12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시트부재(130), 메인 프레임(110)과 회동 프레임(120) 사이에 체결되어 회동 프레임이 회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 실린더(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좌변기 보조장치(100)의 본체(즉, 골격)를 이루는 구성으로, 좌변기(20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동 프레임(120)이 좌변기 상부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110)은 다수의 수직 프레임(111)과 수평 프레임(112)이 육면체 형상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수평 프레임(112)은 상하 방향으로 바닥면에서 적어도 좌변기(200)의 높이까지 이격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는 좌변기보다 다소 큰 폭으로 이격되며, 후방은 내부 공간으로 좌변기(200)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구조를 이룬다. 수직 프레임(111)은 네 모서리에서 수평 프레임(112)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수평 프레임(112)의 양측 상부에는 사용자의 팔이 지지될 수 있는 아암 프레임(113)이 더 체결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제1구동 실린더(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버튼(114)이 마련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의 하측 모서리에는 레그(115)가 체결되며, 레그(115)는 보조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캐스터(caster)로 구성되거나, 보조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볼트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아암 프레임(113)은 메인 프레임과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나, 메인 프레임(110)의 일부 프레임이 아암 프레임으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바(bar)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메인 프레임(110)은 고정볼트 등의 고정 체결 수단에 의하여 각 프레임(111,112)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면서 후방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상기 회동 프레임(120)은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시트부재(130)가 수평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사용자가 앉을 경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면서 수평으로 회전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좌변기에 앉을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사용자기 일어서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를 밀어내면서 경사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러한 회동 프레임(120)은 다수의 프레임이 사각 형상으로 연결되며, 전방 프레임(121)은 메인 프레임(110)의 전방 상부 수평 프레임(111)에 회동 가능한 힌지 구조로 체결된다. 이때, 회동 프레임(120)의 전방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110) 상부의 전방 프레임은 별개의 프레임일 수도 있으나, 하나의 프레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별개 또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회동 프레임(120)의 회전축이 되는 이들 프레임을 '회전축 프레임(121a)'이라 한다. 여기서 전방이라 함은 사용자가 진입하는 일측을 말하고, 후방은 그 반대측인 좌변기가 인입되는 타측을 말한다.
상기 시트부재(130)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구성으로, 좌변기 시트 형상을 이루면서 회동 프레임(120)에 체결되어 회동 프레임(1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시트부재(130)는 후단이 회동 프레임(120)의 후방 프레임(121)에 회동 가능한 힌지 구조로 체결될 수 있다.
제1구동 실린더(140)는 회동 프레임(120)을 회전축 프레임(121a)을 축으로 소정의 경사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1구동 실린더(140)는 2개 이상의 로드(141,142)를 가져 수직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실린더로 구성된다. 이때, 하부 로드(141)의 하단부는 메인 프레임(110)의 측부 하단 프레임(111)에 체결되고, 상부 로드(142)의 상단부는 회동 프레임(120)의 후방 프레임 또는 측부 프레임(121)의 후방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제1구동 실린더(140)는 메인 프레임(110)과 회동 프레임(120)의 후방에서 메인 프레임(110)과 회동 프레임(12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수직 방향의 신축 구동으로 회동 프레임(120)을 직접 회전시키게 된다. 즉, 제1구동 실린더(140)의 길이가 수직 방향으로 늘어나는 경우 회동 프레임(120)은 도 1과 같이 소정의 경사를 유지하고, 길이가 수직 방향으로 줄어드는 경우 회동 프레임(120)은 도 2와 같이 수평 상태에서 좌변기(200)에 안착된다. 따라서, 좌변기 보조장치(100)는 제1구동 실린더(140)가 수직 방향으로 회동 프레임(120)을 직접 회전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구동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구동모터(143)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1구동 실린더(140)는 신축으로 회동 프레임(120)을 회전시킴에 따라 실린더 자신도 수직 방향에 대하여 내측으로 소정의 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실린더의 하단부와 상단부는 각각 메인 프레임(110)과 회동 프레임(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이러한 제1구동 실린더(140)는 전동 실린더로 구성되거나, 로드 내부에 코일 스프링 또는 가스 스프링이 구비된 스프링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구동 실린더(140)가 전동 실린더로 구성되는 경우 실린더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143)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좌변기 보조장치의 동작을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초기 상태에서 제1구동 실린더(140)는 신장되어 회동 프레임(120)은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게 되고,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a)와 같이 사용자는 신체 일부를 시트부재(130)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회동 프레임(120)은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회전축 프레임(121a)을 축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제1구동 실린더(140)는 수축된다. 또한, 사용자의 지속적인 밀착에 따른 가압으로 제1구동 실린더(140)는 계속 수축되어, 최종적으로 (b)와 같이 회동 프레임(120)은 좌변기(200) 상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일어서는 경우 (c)와 같이 제1구동 실린더(140)는 신장되면서 회동 프레임(120)을 원래의 상태로 밀어내면서 회동시켜 사용자가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구동 실린더의 신장과 수축은 사용자의 가압에 따른 힘만으로 구동되거나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수축 동작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신장 동작은 구동모터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는 회전축 프레임(121a)에 회동 프레임(120)을 회전시키는 구동 스프링(150)이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프레임(121a)과 회동 프레임(120)은 구동 스프링(150)을 매개로 체결되며, 회동 프레임(120)이 수평 상태에 있는 경우 경사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동 스프링(150)은 롤 스프링(태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동 프레임(120)이 경사를 이루는 상태로 복원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조건에 따라 구동 스프링(150)은 회동 프레임(120)이 경사 상태에 있는 경우 수평 상태로 복원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 프레임(121a)에 구동 스프링(150)이 더 구비됨으로써, 제1구동 실린더(140)가 회동 프레임(120)을 경사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에 부가하여 회동 프레임(120)도 회동 프레임(120)을 경사 방향으로 복원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100)는 구동 스프링(150)에 의하여 제1구동 실린더(140)의 부하가 줄어들고, 결국 제1구동 실린더(140)에는 더 작은 용량의 구동모터 또는 더 작은 탄성력의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좌변기 보조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는 회동 프레임(120)의 전방 프레임(회전축 프레임)에 제2구동 실린더(160)가 더 체결된다.
제2구동 실린더(160)는 회동 프레임(120)을 상부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2구동 실린더(160)는 제1구동 실린더(140)와 마찬가지로 2개 이상의 로드를 가져 수직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실린더로 구성되며, 전동 실린더나 스프링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 실린더(160)는 하부 로드의 하단부는 메인 프레임(110)의 전방 프레임(111)에 지지되도록 체결되며, 상부 로드의 상단부는 회동 프레임(120)의 회전축 프레임(121a) 양 측부에 지지되도록 체결된다. 제2구동 실린더(160)는 수직 방향으로 신축되어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좌변기 보조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신장되어 회동 프레임(120)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키고,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수축되어 회동 프레임(120)이 좌변기(200) 상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제2구동 실린더(160)의 신축과 함께 제1구동 실린더(140)도 신축되어 회동 프레임(120)이 상하 이동과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100)는 제2구동 실린더(160)에 의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로 설치된 좌변기(200)에도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변기 보조장치(100)는 회동 프레임(120)이 충분한 높이의 위치에서부터 신체(즉, 엉덩이)에 접촉되므로, 사용자는 앉고자 하는 동작의 처음부터 일어서는 동작의 마지막까지 시트부재(130)에 지지되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에게 특히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는 도 7의 주요부인 가이드 실린더의 궤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100)는 가이드 실린더(170)가 더 구비된다. 가이드 실린더(1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 실린더(140)의 신축 구동에 따라 회동 프레임(120)이 소정의 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궤적을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한 가이드 실린더(170)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2개 이상의 로드가 신축 가능하도록 체결된 환형 실린더로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 실린더(170)는 제1구동 실린더(14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동 프레임(120)의 회전 궤적을 가이드 하므로 별도의 동력은 구비되지 않는다.
이러한 가이드 실린더(170)는 하부 로드의 하단부가 메인 프레임(110)에 지지되도록 체결되고, 상부 로드의 상단부가 회동 프레임(120)을 지지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가이드 실린더(170)는 회동 프레임(120)의 양 측부에서 제1구동 실린더(140)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거나 전방 및 후방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구동 실린더(140)는 회동 프레임(120)의 중앙 영역에 체결되고, 그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의 가이드 실린더(170)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100)는 가이드 실린더(170)가 회동 프레임(120)의 회전 궤적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회동 프레임(즉, 시트부재)이 유동되지 않으면서 정확한 궤적을 따라 회전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안정적이면서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좌변기 보조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100)는 가이드 프레임(180)이 더 구비된다. 가이드 프레임(180)은 제1구동 실린더(140)의 신축 동작에 따라 회동 프레임(120)을 단속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한 가이드 프레임(180)은 양 단부(181,185)가 높이를 서로 달리하는 단차를 갖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이드 프레임(180)은 제1구동 실린더(140) 상단부에 체결되어 제1구동 실린더(140)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일 측 단부의 실린더 체결부(181)와, 실린더 체결부(181)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단차 연결부(182)와, 제1단차 연결부(182)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결부(183)와, 수평 연결부(183)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단차 연결부(184)와, 제2단차 연결부(184)의 단부에서 전방의 회동 프레임(120)에 접촉 및 이격되는 프레임 지지부(185)로 구성된다. 이때, 제1단차 연결부(182)와 제2단차 연결부(184)는 수직을 이루거나 소정의 경사를 이룰 수 있으며, 제1단차 연결부(182)의 상단부(즉, 실린더 체결부)는 제2단차 연결부(184)의 상단부(즉, 프레임 지지부) 보다 높은 위치를 갖도록 제1단차 연결부(182)가 제2단차 연결부(184) 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180)은 메인 프레임(110) 양 측의 제1구동 실린더(140)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회동 프레임(120)에는 프레임 지지부(185)가 접촉되면서 지지될 수 있는 지지돌기(12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는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구동된다. 도 10a는 사용자가 시트부재(130)에 앉는 경우 회동 프레임(120)이 하강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을 도시한 것으로, 초기 상태에서는 (a)와 같이 회동 프레임(120)이 소정의 높이에서 소정의 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때, 회동 프레임(120) 전방은 가이드 프레임(180)의 프레임 지지부(185)에 지지되고, 후방은 가이드 프레임(180)의 실린더 체결부(181)와 함께 제1구동 실린더(140)에 지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시트부재(130)에 앉는 경우 (b)와 같이 제1구동 실린더(140)가 수축함에 따라 회동 프레임(120)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가이드 프레임(180)이 하강하면서 회동 프레임(120)도 하강한다. 또한, (c)와 같이 회동 프레임(120)이 어느 정도 하강한 후(즉, 회동 프레임의 전방이 메인 프레임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1구동 실린더(140)의 수축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180)의 프레임 지지부(185)는 회동 프레임(120)의 지지돌기(122)와 이격되어 회동 프레임(120)의 하강은 멈추게 되고, 회동 프레임(120)은 하강이 멈춘 상태에서 수평이 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즉, 제1구동 실린더(140)가 수축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회동 프레임(120)은 회전과 동시에 하강하게 되며, 제1구동 실린더(140)가 수축하는 최종 단계에서는 회동 프레임(120)은 회전만 하게 된다. 이는 단차 구조를 갖는 가이드 프레임(180)이 회동 프레임(120)을 지지하면서 하강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10b는 사용자가 시트부재(130)로부터 일어서는 경우 회동 프레임(120)이 상승 및 경사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을 도시한 것으로, 초기 상태에서는 (a)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180)의 프레임 지지부(185)는 회동 프레임(12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회동 프레임(12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b)와 같이 제1구동 실린더(140)가 신장함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180)이 상승하고, 동시에 회동 프레임(120)은 회전한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180)이 계속 상승하여 프레임 지지부(185)가 회동 프레임(120)의 지지돌기(122)에 접촉되는 경우, (c)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180)의 상승에 따라 회동 프레임(120)도 상승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즉, 제1구동 실린더(140)가 신장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회동 프레임(120)은 회전만하게 되며, 제1구동 실린더(140)가 신장하는 최종 단계에서는 회동 프레임(120)은 상승과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100)는 단차 구조를 갖는 가이드 프레임(180)에 의하여 회동 프레임(120)은 회전함과 동시에 단속적으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보조장치(100)는 비데 모듈(190)이 구비된다. 비데 모듈(190)은 회동 프레임(120)의 후방 프레임에 체결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191)과, 세척수를 공급하는 플렉시블 관(19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 실린더(1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메인 프레임(110)의 일 측에 마련되는 제어 버튼(114)은 비데 모듈(190)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좌변기 보조장치
110 : 메인 프레임 111 : 수평 프레임
112 : 수직 프레임 113 : 아암 프레임
120 : 회동 프레임 121a : 회전축 프레임
130 : 시트부재 140 : 제1구동 실린더
150 : 구동 스프링 160 : 제2구동 실린더
170 : 가이드 실린더 180 : 가이드 프레임
190 : 비데 모듈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는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전방의 일 프레임이 회전축 프레임을 형성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동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양 측부 프레임을 상하로 연결하여, 상하 방향의 신축 구동으로 상기 회동 프레임을 상기 회전축 프레임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 실린더; 및
    상기 제1구동 실린더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구동 실린더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일 측 단부의 실린더 체결부와, 상기 실린더 체결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단차 연결부와, 상기 제1단차 연결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결부와, 상기 수평 연결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단차 연결부와, 상기 제2단차 연결부의 단부에서 전방의 상기 회동 프레임에 접촉 및 이격되는 프레임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구동 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상기 회동 프레임을 회전과 동시에 단속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좌변기 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의 후방에 체결되는 비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보조장치.
KR1020150078410A 2015-06-03 2015-06-03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KR101624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410A KR101624163B1 (ko) 2015-06-03 2015-06-03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410A KR101624163B1 (ko) 2015-06-03 2015-06-03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821A Division KR20160142766A (ko) 2016-05-18 2016-05-18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163B1 true KR101624163B1 (ko) 2016-05-25

Family

ID=5611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410A KR101624163B1 (ko) 2015-06-03 2015-06-03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1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262B1 (ko) * 2017-10-27 2019-03-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KR101980659B1 (ko) * 2018-07-26 2019-05-21 김재환 양변기용 좌대
KR102035211B1 (ko) * 2018-10-10 2019-10-22 정성민 좌변 보조장치
KR102052274B1 (ko) 2018-08-22 2019-12-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변기용 기립 보조 장치
CN114127373A (zh) * 2019-07-25 2022-03-01 史蒂芬·约翰·汤姆森 与马桶模块相关的改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11B1 (ko) * 2011-06-30 2013-10-14 주식회사 유멘토스 좌변기 시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11B1 (ko) * 2011-06-30 2013-10-14 주식회사 유멘토스 좌변기 시트 어셈블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262B1 (ko) * 2017-10-27 2019-03-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변이 용이한 양변기 보조 장치
KR101980659B1 (ko) * 2018-07-26 2019-05-21 김재환 양변기용 좌대
KR102052274B1 (ko) 2018-08-22 2019-12-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변기용 기립 보조 장치
KR102035211B1 (ko) * 2018-10-10 2019-10-22 정성민 좌변 보조장치
CN114127373A (zh) * 2019-07-25 2022-03-01 史蒂芬·约翰·汤姆森 与马桶模块相关的改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2766A (ko)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KR101624163B1 (ko) 각도 및 승하강이 조절되는 좌변기 보조장치
KR100867194B1 (ko) 욕조를 구비한 침대
JP4138653B2 (ja) 起立補助車椅子
US10624508B2 (en) Variable height lift seat
JP6844096B2 (ja) 便座装置
JP2009072243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101647623B1 (ko) 접이식 자동 기립형 휠체어
KR102223841B1 (ko) 지체부자유자를 위한 화장실 보조 기구장치
KR20190052370A (ko) 침대 및 욕조 기능을 갖는 휠체어
WO2018134554A1 (en) Powered seat and related seating improvements
KR101588698B1 (ko) 전동식 샤워 트롤리
KR20220030058A (ko) 환자 이송용 베드 휠체어
JP3003091B2 (ja) 患者載せ台せり出し介助車椅子並びに患者 載せ台せり出しストレッチャー
KR102035211B1 (ko) 좌변 보조장치
KR101931327B1 (ko) 변기 보조 장치
KR10148517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
KR101197738B1 (ko) 설치가 용이한 좌변기용 각도조절 시트장치
CN206424230U (zh) 一种带靠背座椅及设有该座椅的站立康复轮椅车
JP2016202225A (ja) 便器の手摺り構造および移動用便器
US9421138B1 (en) Self-propelling standing commode wheelchair
JP3079418U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の身体起立補助装置
KR20100108664A (ko) 기립보조장치
JP7235291B2 (ja) レールユニットおよび入浴介助システム
KR20120102889A (ko) 전동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