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2889A -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2889A
KR20120102889A KR1020110020770A KR20110020770A KR20120102889A KR 20120102889 A KR20120102889 A KR 20120102889A KR 1020110020770 A KR1020110020770 A KR 1020110020770A KR 20110020770 A KR20110020770 A KR 20110020770A KR 20120102889 A KR20120102889 A KR 20120102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heelchair
electric wheelchair
electric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원경
Original Assignee
황원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경 filed Critical 황원경
Priority to KR1020110020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2889A/ko
Publication of KR20120102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휠체어 골조와, 상기 휠체어 골조의 하부에 설치되는 휠체어 바퀴와, 전동 구동 수단과, 상기 휠체어 골조에 의해 지지되는 등받이 및 시트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트 승강 수단이 상기 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 골조에 의해 지지되고, 착석부와 상단부가 상기 착석부의 양 측단 각각에 결합하여 하방으로 길게 뻗는 다수 개의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의 하단 각각에 결합하는 이동의자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의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석부는 상기 시트 위에 얹어진 상태에서 상기 시트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시트 위에 얹어진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의 좌우 양측 단부는 상기 휠체어의 좌우 양측 바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지지다리가 상기 휠체어의 좌우 양측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다리에는 관절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상기 전동 휠체어의 좌우 양측 바깥쪽에서 접어서 포개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동 휠체어 {ELECTRIC WHEELCHAIR}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깥 외출용 전동 휠체어가 실내에 들어갈 수 없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외출용 전동 휠체어를 타고 바깥을 돌아다니다 보면 바퀴가 매우 지저분해져서 외출용 휠체어를 그대로 타고 실내를 들어올 수는 없다. 그런데 중증 지체장애인의 경우 혼자 실외용 휠체어에서 실내로 이동을 할 때는 반드시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러나 누구나가 쉽게 지체장애인의 이동을 도울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지체장애인을 돕는 데 숙련되지 않은 대부분의 사람은 이동시 지체장애인을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하여 곤란하고 위험한 상황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다보니 지인이 동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른 집으로 초대를 받거나 하더라도 중증 지체장애인이 혼자서 외출을 하는 것을 삼가게 되며, 신발을 벗고 들어가야 하는 실내 편의시설 이용에 있어서도 큰 제약을 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장실의 변기를 이용할 때 기존의 전동 휠체어는 휠체어 정면으로 돌출된 발판이나 전체 높이가 높아서 화장실 변기에 밀착될 수 있는 거리가 멀어서 변기로의 이동이 어렵고 이에 따라 변기와 휠체어 사이 공간으로 빠져버리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의 접근이 불가능한 곳에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지하지 않고서도 실내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체장애인들의 안전을 도모하고 일상적인 이동의 제약을 벗어날 수 있게 하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휠체어 골조와, 상기 휠체어 골조의 하부에 설치되는 휠체어 바퀴와, 전동 구동 수단과, 상기 휠체어 골조에 의해 지지되는 등받이 및 시트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트 승강 수단이 상기 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 골조에 의해 지지되고, 착석부와 상단부가 상기 착석부의 양 측단 각각에 결합하여 하방으로 길게 뻗는 다수 개의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의 하단 각각에 결합하는 이동의자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의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석부는 상기 시트 위에 얹어진 상태에서 상기 시트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시트 위에 얹어진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의 좌우 양측 단부는 상기 휠체어의 좌우 양측 바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지지다리가 상기 휠체어의 좌우 양측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다리에는 관절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상기 전동 휠체어의 좌우 양측 바깥쪽에서 접어서 포개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동 휠체어의 양측에 설치되고 후단부만 상기 전동 휠체어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팔걸이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시트와 상기 착석부가 떨어져있는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가 상기 전동 휠체어의 팔걸이와 상기 시트 사이 공간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 승강 수단은 전동 구동되며 상기 시트 승강 수단의 작동 스위치는 상기 휠체어의 팔걸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에 의하면 실내를 다닐 수 있도록 바깥 외출시에는 바퀴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조작할 수 있는 이동의자가 구비되어 있어서 외출시 전동 휠체어를 타고 다니다가 실내에 들어갈 때 사람이 별도로 이동할 필요가 없이 이동의자만 분리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중증 지체장애인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내외를 다닐 수 있어서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할 수 있고, 화장실 등 실내 편의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휠체어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휠체어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 휠체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 휠체어는 전동 리프트 기능이 있는 전동 휠체어로서, 휠체어 골조(100), 휠체어 바퀴(200), 팔걸이(320), 등받이(300), 시트(310), 전동 구동 수단, 시트 승강 수단(400) 및 이동의자(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휠체어 골조(100)와, 휠체어 골조(1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휠체어 바퀴(200)와, 휠체어 골조(100)에 장착되는 시트(310)와 휠체어 골조(100)에 장착되어 등을 받쳐주기 위한 등받이(300), 휠체어 골조(100)에 지지되어 휠체어 바퀴(200)를 전기 구동하는 모터인 전동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은 종래의 통상적인 시트 리프트 기능이 있는 전동 휠체어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시트 승강 수단(40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시트(310)의 아랫면에 결합하여 제어장치에 의해 조작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신축되는 액추에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고, 스크루이동 방식에 의해 나사산이 형성된 축이 나사산이 형성된 관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시트(310)가 오르내리게 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시트 승강 수단(400)의 상승 또는 하강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330)는 팔걸이(320)의 앞쪽 부위에 구비된다. 팔걸이(320)는 팔걸이(320)의 후단부가 등받이(300)에 결합되고 등받이(300)에서 앞으로 길게 뻗는데, 팔걸이(320)가 휠체어(320)의 다른 부분과 결합하는 유일한 부위가 팔걸이(320)의 후단부이기 때문에 팔걸이(320)와 시트(310) 사이의 상하 폭에 해당하는 영역은 이 영역의 앞쪽의 개구된 부분부터 뒤쪽까지가 뻥 뚫려 있게 된다.
이동의자(500)는 착석부(510)와, 상단부가 착석부(510)의 양 측단의 하면에 결합하여 하방으로 길게 뻗는 좌우 한 쌍의 지지다리(520)와, 각각의 지지다리(520)의 하단에 결합하는 이동의자 바퀴(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다리(520)는 휠체어 좌측의 앞쪽과 뒤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다리(520)가 보강부재(54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휠체어 우측의 앞쪽과 뒤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다리(520)가 보강부재(54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쪽에 위치하는 지지다리(520)가 위쪽으로 더 연장되어 뒤쪽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이동의자(500)의 손잡이 부분을 형성하고, 착석부(510)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이동의자 등받이부(550)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착석부(510)는 시트(310) 위에 얹어진 상태에서 시트(310)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하고, 착석부(510)는 좌우 폭이 시트(310)보다 커서 전동 휠체어의 팔걸이(320)와 시트(3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착석부(510)의 양측 말단부가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이동의자(500)의 지지다리(520)들 모두가 전동 휠체어의 좌우 양측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지지다리(520)의 가운데 부분에는 관절부(521)가 구비되어 지지다리(520)를 이동의자 바퀴(530)가 전동 휠체어의 좌우 양측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도록 접어서 포개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동의자(500)의 지지다리(520)를 접거나 펴는 원리는 종래의 다리보조기를 접거나 펴는 원리와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전동 휠체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이동의자가 분리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동의자(500)의 착석부(510)가 시트(310) 위에 올려져 있고 지지다(520)리는 접혀진 상태로 있다. 사용자는 전동 휠체어를 타고 외출할 때도 항상 이동의자(500)의 착석부(510) 위에 앉아있게 된다.
도 2는 이동의자(500)가 전동 휠체어의 다른 부분과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작동스위치(330) 중 시트(310)를 상승시키는 스위치를 눌러 시트(310)가 올라가면 시트(310) 위에 놓인 이동의자(500)도 함께 올라가는데, 이렇게 시트(310) 및 착석부(510)를 약 10cm 정도 올린다.
이동의자(500)가 올라간 상태에서 반으로 접혀있는 이동의자(500)의 지지다리(520)를 곧게 편다.
그리고나서 작동스위치(330) 중 시트(310)를 하강시키는 스위치를 눌러 시트(310)를 하강시켜 처음의 위치로 되돌린다. 이 경우 시트(310)는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지만 이동의자(500)의 착석부(510)는 약간 하강하다가 완전히 펴진 지지다리(520)의 밑에 달린 이동의자 바퀴(530)가 지면에 닿게 되면 더 이상 하강하지 않으므로 시트(310)와 착석부(510)가 서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의자(500)의 착석부(510)가 시트(310)와 분리된 상태에서 이동의자(500)를 앞으로 당기면 이동의자(500)만 앞쪽으로 빠져나와 전동 휠체어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된다. 도 3은 이와 같이 분리된 이동의자(500)를 나타낸 것이다.
이동의자(500)의 사용을 마치면 멈춰있는 전동 휠체어의 나머지 부분을 향해 뒤로 진입하여 밀착시키면 된다. 그리고는 시트 승강 수단(400)을 작동시켜 시트(310)를 올린 상태에서 지지다리(520)를 접고 시트 승강 수단(400)을 작동시켜 시트(310)를 하강시키면 이동의자(500)와 전동 휠체어의 나머지 부분이 결합된 처음과 같은 상태로 돌아가서 외출할 때 이용하는 상태가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휠체어 골조 200: 휠체어 바퀴
300: 등받이 310: 시트
320: 팔걸이 330: 작동 스위치
400: 시트 승강 수단 500: 이동의자
510: 착석부 510: 착석부
520: 지지다리 521: 관절부
530: 이동의자 바퀴 540: 보강부재
550: 이동의자 등받이부

Claims (3)

  1. 휠체어 골조와, 상기 휠체어 골조의 하부에 설치되는 휠체어 바퀴와, 전동 구동 수단과, 상기 휠체어 골조에 의해 지지되는 등받이 및 시트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트 승강 수단이 상기 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 골조에 의해 지지되고;
    착석부와, 상단부가 상기 착석부의 양 측단 각각에 결합하여 하방으로 길게 뻗는 다수 개의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의 하단 각각에 결합하는 이동의자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의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석부는 상기 시트 위에 얹어진 상태에서 상기 시트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시트 위에 얹어진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의 좌우 양측 단부는 상기 휠체어의 좌우 양측 바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지지다리가 상기 휠체어의 좌우 양측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다리에는 관절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상기 전동 휠체어의 좌우 양측 바깥쪽에서 접어서 포개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동 휠체어의 양측에 설치되고 후단부만 상기 전동 휠체어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팔걸이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시트와 상기 착석부가 떨어져있는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가 상기 전동 휠체어의 팔걸이와 상기 시트 사이 공간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승강 수단은 전동 구동되며 상기 시트 승강 수단의 작동 스위치는 상기 휠체어의 팔걸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KR1020110020770A 2011-03-09 2011-03-09 전동 휠체어 KR20120102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770A KR20120102889A (ko) 2011-03-09 2011-03-09 전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770A KR20120102889A (ko) 2011-03-09 2011-03-09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889A true KR20120102889A (ko) 2012-09-19

Family

ID=4711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770A KR20120102889A (ko) 2011-03-09 2011-03-09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28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158A (ko) * 2018-10-05 2020-04-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외 겸용 휠체어
KR20200105296A (ko) 2019-02-28 2020-09-07 유영배 전동 휠체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158A (ko) * 2018-10-05 2020-04-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외 겸용 휠체어
KR20200105296A (ko) 2019-02-28 2020-09-07 유영배 전동 휠체어 장치
WO2020175924A3 (ko) * 2019-02-28 2020-12-10 유영배 전동 휠체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997B2 (en) Seat structure with sit-to-stand feature
KR100960094B1 (ko)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CA3020908C (en) Reclining armchair with lifting seat and extending footrest
JP5166592B1 (ja) 補助機構付き着座具
US10624508B2 (en) Variable height lift seat
KR102128494B1 (ko) 일어나는 것을 돕는 의자
KR102150594B1 (ko) 휠체어
WO2014168080A1 (ja) 補助機構付きチェアー
KR101333318B1 (ko) 전동식 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보조의자
KR20120102889A (ko) 전동 휠체어
US20140068854A1 (en) Nursing Care Support Device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KR101278222B1 (ko) 리프트 휠체어
CN112603670B (zh) 一种可调角度、高度的椅面结构及其多功能轮椅
CN201200139Y (zh) 脚动换向助立椅
KR102058890B1 (ko) 좌변기 이용 도움장치
KR101209274B1 (ko) 의자의 팔걸이
KR102581667B1 (ko)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CN218684983U (zh) 一种自助移位的电动轮椅
KR101136987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JP2005118120A (ja) 家具調ポータブルトイレ
JP2000135243A (ja) 立ち上がり補助椅子
JP3089938U (ja) 立ち座り補助フレームの構造
KR101826259B1 (ko) 각도조절 가능한 좌판을 갖는 의자
JP4796783B2 (ja) 電動式座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