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158A - 실내외 겸용 휠체어 - Google Patents

실내외 겸용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158A
KR20200039158A KR1020180118698A KR20180118698A KR20200039158A KR 20200039158 A KR20200039158 A KR 20200039158A KR 1020180118698 A KR1020180118698 A KR 1020180118698A KR 20180118698 A KR20180118698 A KR 20180118698A KR 20200039158 A KR20200039158 A KR 20200039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indoor
outdoor
frame
pi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013B1 (ko
Inventor
장성욱
이승환
류동건
변민혁
백리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8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0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 겸용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와 시트가 구비되고,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실내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실내용 휠체어와,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분리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결합가능하여 실외에서 휠체어를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실외용 휠체어와,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함으로써, 필요시 간단한 조작으로 실내용 휠체어가 실외용 휠체어에 결합가능하여,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내외 겸용 휠체어{Wheelchair for indoor-outdoor}
본 발명은 실내외 겸용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세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실내용 휠체어가 실외용 휠체어와 별도로 구비되며, 필요시 간단한 조작으로 실내용 휠체어가 실외용 휠체어에 결합가능하여,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를 위한 보조기구로서, 주로 외출시 실외에서 사용하게 된다. 통상, 실내에서는 거동 불편한 환자가 마땅히 이동할 수단이 없으므로 주로 손을 의지하여 바닥에 앉아 이동하거나 기어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실내에서는 환자 스스로 움직이기 불편하므로 보조자가 도와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여, 환자는 물론 주변사람까지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실내에서도 휠체어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통상 휠체어는 바퀴나 의자의 부피가 커서 실내에서의 이동이 어렵고, 실내용과 실외용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 역시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 및 보관, 관리 등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서, 실내에서 휠체어를 사용하다가 실외에 나갈 일이 발생하면, 휠체어를 이용하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함과 동시에 손쉽게 휠체어를 차량에 싣을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 휠체어 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 휠체어 장치는 휠체어를 차량에 탑승하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므로, 실내 혹은 실외를 구분하여 휠체어를 사용할 수는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즉, 실내에서는 휠체어를 위생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실외에 나갈때에도 휠체어의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휠체어를 실내외 상관없이 편리하게 이용하고, 실내에서는 외부의 이물질로 인한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위생적인 기술이 요구되는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8-004690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실내에서 휠체어를 위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실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분리하여, 필요에 따라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실내용 휠체어로 사용하고 실외에서 휠체어 탑승시 외부의 도움없이 사용자 스스로 실외용 휠체어에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실내에서는 휠체어의 부피를 현저히 줄여서,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사용자가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분리 및 조립의 편의성 향상과 함께 휠체어의 부피 및 무게 분할의 효과를 통해 이동과 보관, 차량적재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등받이와 시트가 구비되고,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실내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실내용 휠체어와,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분리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결합가능하여 실외에서 휠체어를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실외용 휠체어와,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내용 휠체어는, 상기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레그 프레임과, 상기 레그 프레임의 하단 전, 후방에 장착된 실내 이동바퀴와, 상기 시트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부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시트 프레임의 양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팔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용 휠체어는 상기 시트 프레임의 양측에 상호 결합하여 상기 레그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손잡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그 프레임은 중앙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도록 'X'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내용 휠체어는, 상기 실외용 휠체어와 결합되는 결합수단으로서 결합핀이 삽입가능한 제1 핀홀이 상기 시트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용 휠체어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시트 프레임이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주 바퀴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보조 바퀴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발판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레그 프레임이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장공형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외용 휠체어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결합되는 결합수단으로서 결합핀이 삽입가능한 제2 핀홀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팔거치대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실내용 휠체어에 형성되는 제1 핀홀과, 상기 제1 핀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 프렘임에 형성되는 제2 핀홀과, 상기 제1 핀홀과 제2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가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를 상기 실외용 휠체어의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팔거치대 삽입홀에 삽입함으로써, 2중으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에서 휠체어를 위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실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분리하여, 필요에 따라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실내용 휠체어로 사용하고 실외에서 휠체어 탑승시 외부의 도움없이 사용자 스스로 실외용 휠체어에 탑승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서는 휠체어의 부피를 현저히 줄여서,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사용자가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분리 및 조립의 편의성 향상과 함께 휠체어의 부피 및 무게 분할의 효과를 통해 이동과 보관, 차량적재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휠체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휠체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휠체어의 높낮이 조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를 팔거치대 삽입홀에 삽입함으로써, 2중으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휠체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휠체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통상, 휠체어는 신체장애자, 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료기구의 하나로서, 본 발명에서는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실내용 휠체어(10)와,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와 분리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와 결합가능한 실외용 휠체어(20)로 나누어 구성된다.
먼저, 상기 실내용 휠체어(10)는 등받이(12)와 시트(14)가 구비되고,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실내 이동바퀴(19)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내용 휠체어(10)는 상기 시트(14)를 장착하기 위한 시트 프레임(13)과, 상기 시트 프레임(13)의 하단에 설치되는 레그 프레임(18)과, 상기 레그 프레임(18)의 하단 전, 후방에 장착된 실내 이동바퀴(19)와, 상기 시트 프레임(13)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부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도시안됨)과, 상기 시트 프레임(13)의 양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팔거치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실내용 휠체어(10)는 실내에서 사용자가 앉아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실외용 휠체어(20)에 비해 조금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내 이동바퀴(19)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스로 움직이기 어려운 중증의 환자를 위해, 보조자가 실내용 휠체어(10)를 끌어주거나 밀어줄 수 있도록 손잡이(도시안됨)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발판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그 프레임(18)은 중앙에 힌지축(18a)을 중심으로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X'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실내에서 이동시에는 사용자가 불편하지 않도록 상기 레그 프레임(18)이 상하방향으로 펼쳐진 구조를 갖도록 하고, 실외에 나갈 경우에는 상기 실외용 휠체어(20)의 바퀴보다 위로 올라오게 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오염물질이 실내 이동바퀴(19)에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레그 프레임(18)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높낮이 조절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의 시트 프레임(13)의 양측에 상호 결합하여 상기 레그 프레임(18)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손잡이(1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휠체어의 높낮이 조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그 일측 단부가 시트 프레임(13) 내부에 결합되어 레그 프레임(18)과 연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는 상기 시트 프레임(13)의 양측에 상호 결합하여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의 회동에 의해 상기 레그 프레임(18)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와 상기 레그 프레임(18)의 연동구조는 공지된 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의 절곡된 일단에 잠금돌기(17a)를 형성하고, 이 잠금돌기(17a)와 결합가능한 결합홈(32a)(32b)이 형성된 잠금부재(32)를 구비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의 절곡된 일단과 레그 프레임(18)을 스프링(34)으로 연결하여 상기 스프링(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레그 프레임(18)이 당겨질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상기 레그 프레임(18)이 상하방향으로 펼쳐진 경우에는 상기 잠금부재(32)의 제1 결합홈(32a)에 잠금돌기(17a)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레그 프레임(18)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레그 프레임(18)의 힌지축(18a)을 중심으로 레그 프레임(18)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잠금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실내용 휠체어(10)의 높이를 줄이기 위해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잠금돌기(17a)가 상기 잠금부재(32)의 제1 결합홈(32a)에서 해제되고, 좀더 회동시키면 상기 잠금돌기(17a)가 제2 결합홈(32b)에 결합되면서, 상기 스프링(34)의 스프링력으로 상기 레그 프레임(18)이 당겨지게 되어 상기 레그 프레임(18)을 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잠금돌기(17a)가 잠금부재(32)의 결합홈(32b)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34)에 의해 상기 레그 프레임(18)을 잡아당겨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잠금돌기(17a)가 제2 결합홈(32b)에 결합되므로, 별도의 구성없이도 상기 레그 프레임(18)이 접혀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레그 프레임(18)은 'X'자 형상 이외에도 'Ⅰ', 'Ⅱ'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높낮이 조절수단 없이 실내에서 실내용 휠체어(10)로 사용하다가 실외에 나갈 경우에는 그대로 실외용 휠체어(2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레그 프레임(18)은 실외용 휠체어(20)의 베이스 프레임(24)의 높이보다는 조금 짧게 형성하여 외부의 오염물질이 실내 이동바퀴(19)에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실내용 휠체어(10)는 상기 실외용 휠체어(20)와 결합되는 결합수단으로서 결합핀(11)이 삽입가능한 제1 핀홀(15)이 상기 시트 프레임(13)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와 상기 실외용 휠체어(2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으로서,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에 제1 핀홀(15)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핀홀(15)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실외용 휠체어(20)에 제2 핀홀(25)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핀홀(15)과 제2 핀홀(25)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와 실외용 휠체어(20)가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핀(11)을 구성하였다.
상기 결합핀(11)은 상기 제1 핀홀(15)과 제2 핀홀(25)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와 실외용 휠체어(20)가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로서, 휠체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팔거치대(16)는 사용자가 실내용 휠체어(10)을 탔을 때 팔을 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시트 프레임(13)의 양측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외용 휠체어(20)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의 시트 프레임(13)이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24)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의 후방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주 바퀴(29)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의 전방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보조 바퀴(27)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의 전방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발판(23)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레그 프레임(18)이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장공형 결합홀(2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외용 휠체어(20)는 인력에 의하여 주 바퀴(29)를 구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 바퀴(29)에는 구동 링이 장착되어 탑승자가 주 바퀴(29)의 구동 링을 잡아 돌려 이동하거나 환자의 보호자 등의 타인이 휠체어의 손잡이를 잡고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력에 의하여 주 바퀴(29)를 구동시켜 이동하는 수동형 휠체어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외용 휠체어(20)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의 시트 프레임(13)이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24)과,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레그 프레임(18)이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장공형 결합홀(28)을 포함하는 구조라면 전동식 휠체어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의 후방에는 상부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22)이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22)과 베이스 프레임(24)에 실내용 휠체어(10)를 결합하여 실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외용 휠체어(20)에는 실내용 휠체어(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레그 프레임(18)이 삽입가능한 장공형의 결합홀(28)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28)은 베이스 프레임(24)의 선단에서부터 길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레그 프레임(18)이 베이스 프레임(24)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결합홀(28)에 삽입되어 도 2와 같이, 실외용 휠체어(20)에 실내용 휠체어(10)가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외용 휠체어(20)에 실내용 휠체어(10)가 결합된 후, 상기 결합핀(11)을 제1 핀홀(15)과 제2 핀홀(25)에 끼우면 실외용 휠체어(20)에 실내용 휠체어(1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에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의 팔거치대(1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팔거치대 삽입홀(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팔거치대 삽입홀(26)은 상기 팔거치대(16)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팔거치대(16)를 하강시키면 팔거치대(16)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 5는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를 팔거치대 삽입홀에 삽입함으로써, 2중으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16)를 상기 실외용 휠체어의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팔거치대 삽입홀(26)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결합핀(11)의 결합과 아울러 2중으로 결합수단이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내외 겸용 휠체어는 실내용 휠체어(10)와 실외용 휠체어(20)를 분리하여, 필요에 따라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실내용 휠체어로 사용하고 실외용 휠체어(20)와 실내용 휠체어(10) 결합시에 높낮이 조절손잡이(17)를 통해 레그 프레임(18)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외부의 도움없이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실내에서는 휠체어의 부피를 현저히 줄여서,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휠체어의 부피 및 무게 분할의 효과를 통해 이동과 보관, 차량적재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실내용 휠체어 11: 결합핀
12: 등받이 13: 시트 프레임
14: 시트 15: 제1 핀홀
16: 팔거치대 17: 높낮이 조절손잡이
18: 레그 프레임 19: 실내 이동바퀴
20: 실외용 휠체어 22: 등받이 프레임
23: 발판 24: 베이스 프레임
25: 제2 핀홀 26: 팔거치대 삽입홀
27: 보조 바퀴 28: 장공형 결합홀
29: 주 바퀴

Claims (10)

  1. 등받이와 시트가 구비되고,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실내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실내용 휠체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분리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결합가능하여 실외에서 휠체어를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실외용 휠체어; 및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용 휠체어는,
    상기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레그 프레임;
    상기 레그 프레임의 하단 전, 후방에 장착된 실내 이동바퀴;
    상기 시트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부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 및
    상기 시트 프레임의 양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팔거치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내용 휠체어는,
    상기 시트 프레임의 양측에 상호 결합하여 상기 레그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손잡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그 프레임은 중앙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도록 'X'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내용 휠체어는,
    상기 실외용 휠체어와 결합되는 결합수단으로서 결합핀이 삽입가능한 제1 핀홀이 상기 시트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외용 휠체어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시트 프레임이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주 바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보조 바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레그 프레임이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장공형 결합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실외용 휠체어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결합되는 결합수단으로서 결합핀이 삽입가능한 제2 핀홀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팔거치대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실내용 휠체어에 형성되는 제1 핀홀;
    상기 제1 핀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 프렘임에 형성되는 제2 핀홀;
    상기 제1 핀홀과 제2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가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를 상기 실외용 휠체어의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팔거치대 삽입홀에 삽입함으로써, 2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KR1020180118698A 2018-10-05 2018-10-05 실내외 겸용 휠체어 KR102186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698A KR102186013B1 (ko) 2018-10-05 2018-10-05 실내외 겸용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698A KR102186013B1 (ko) 2018-10-05 2018-10-05 실내외 겸용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158A true KR20200039158A (ko) 2020-04-16
KR102186013B1 KR102186013B1 (ko) 2020-12-03

Family

ID=7045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698A KR102186013B1 (ko) 2018-10-05 2018-10-05 실내외 겸용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615B1 (ko) 2021-02-15 2022-11-0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외 혼용이 가능한 멀티보행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752A (ja) * 1999-12-14 2001-06-19 Tsuneo Kamibayashi 分離合体型車椅子
JP2003325583A (ja) * 2002-05-16 2003-11-18 Mda System:Kk 移動座椅子付き車椅子
KR20120102889A (ko) * 2011-03-09 2012-09-19 황원경 전동 휠체어
KR20180046908A (ko) 2016-10-28 2018-05-09 유영배 리프트 휠체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752A (ja) * 1999-12-14 2001-06-19 Tsuneo Kamibayashi 分離合体型車椅子
JP2003325583A (ja) * 2002-05-16 2003-11-18 Mda System:Kk 移動座椅子付き車椅子
KR20120102889A (ko) * 2011-03-09 2012-09-19 황원경 전동 휠체어
KR20180046908A (ko) 2016-10-28 2018-05-09 유영배 리프트 휠체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013B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8933A (en) Foldable wheelchair
US8480100B2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US6932427B2 (en) Suitcase with foldable chair
US6776433B2 (en) Assistive mobility device
US20060197314A1 (en) Assistive mobility device
WO2002015747A1 (en) ASSISTANCE DEVICE FOR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JP2009172108A (ja) 排泄支援車椅子
US3758150A (en) Collapsible wheel chair
JP2020508704A (ja) 老弱者用歩行補助器
JP3215892U (ja) 排泄可能な折り畳み式車椅子
US6428033B1 (en) Assistive mobility device
JP2007090020A (ja) 自力乗り移り車椅子
KR20200039158A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KR102320543B1 (ko)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JP3034245B1 (ja) 車椅子用の座席ユニット及び車椅子
US20090194975A1 (en) Assistive mobility device
US6209901B1 (en) Wheel chair with waste elimination opening
WO2021210784A1 (ko)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KR20200008242A (ko)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JPH11253492A (ja) 車椅子シート移送装置
JP3227598B2 (ja) 車椅子装置
JPH03188853A (ja) 車椅子
JP4147569B2 (ja) 車椅子
KR20140132921A (ko) 폭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변기 의자
JPH05115509A (ja) 障害者用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