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929B1 -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 Google Patents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929B1
KR101522929B1 KR1020150028045A KR20150028045A KR101522929B1 KR 101522929 B1 KR101522929 B1 KR 101522929B1 KR 1020150028045 A KR1020150028045 A KR 1020150028045A KR 20150028045 A KR20150028045 A KR 20150028045A KR 101522929 B1 KR101522929 B1 KR 10152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ing
main frame
screw shaft
driv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택
Original Assignee
임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윤택 filed Critical 임윤택
Priority to KR1020150028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929B1/ko
Priority to PCT/KR2015/013073 priority patent/WO20161370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스스로는 일어나지 못하는 와병환자가 평상시에는 이동침대로 사용할 수 있고 용변처리시에는 좌변기 의자 형태의 휠체어로 형상변경이 가능해 환자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환자에게 사용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보호자가 보다 쉽게 환자를 간병할 수 있도록 한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는, 중앙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측에 제 1 구동스크류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측에 제 2 구동스크류축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이동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 1 구동스크류축과 상기 제 1 이동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 1 이동프레임과 반대방향으로 연동되어 슬라이딩이동되는 제 2 이동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 1 구동스크류축과 상기 제 2 이동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슬라이딩이동기구;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서 각도조절되는 등받이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 2 이동프레임 상에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되 상기 등받이프레임과 연동되게 설치되는 절첩식 다리지지판;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에 상하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 2 구동스크류축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 상단의 위치조절을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조절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BED CHAIR FOR PATIENT CONVERTIBLE INTO BED OR WHEEL CHAIR WITH STOOL FUNCTION}
본 발명은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스스로의 힘으로 일어나지 못하는 와병환자가 평상시에는 이동침대로 사용할 수 있고 용변처리시에는 좌변기 의자 형태의 휠체어로 형상변경이 가능해 환자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환자에게 사용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보호자가 보다 쉽게 환자를 간병할 수 있도록 한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에 관한 것이다.
중병을 앓고 있는 환자나 치매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거동이 불편하여 배변이나 배뇨시 화장실로의 이동키 위해서는 반드시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하므로 환자와 간병인에게 큰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로 환자의 엉덩이 부분에 간이변기를 대고 용변을 보게하는 방법이 사용되지만, 환자에게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뒷처리도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 들어 변기가 설치된 환자용 스트레쳐가 개발되어 환자들이 화장실을 가지 않고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변기가 구비된 침대는 환자가 누운 자세로 용변을 보게 되어 있어 주변이 오물에 오염될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변의 경우 앉은 자세에 비해서 원활하게 배설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39855호(2004.08.12)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14255호(2003.05.12)
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1865호(2001.10.12)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스스로는 일어나지 못하는 와병환자가 평상시에는 이동침대로 사용할 수 있고 용변처리시에는 좌변기 의자 형태의 휠체어로 형상변경이 가능해 환자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환자에게 사용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보호자가 보다 쉽게 환자를 간병할 수 있도록 한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측에 제 1 구동스크류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측에 제 2 구동스크류축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이동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 1 구동스크류축과 상기 제 1 이동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 1 이동프레임과 반대방향으로 연동되어 슬라이딩이동되는 제 2 이동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 1 구동스크류축과 상기 제 2 이동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슬라이딩이동기구;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서 각도조절되는 등받이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등받이프레임과 연동되어 상기 제 2 이동프레임 상에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절첩식 다리지지판;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에 상하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 2 구동스크류축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 상단의 위치조절을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조절기구를 포함하는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안전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안전바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 상부로 펼쳐졌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하부로 접혀질 수 있도록 4절링크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변기홀이 관통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변기홀의 상단을 개폐하는 개폐커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 하부 양측에 각각 관통결합되고 상기 제 1 구동스크류축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전후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제 1 슬라이딩이동부재와, 상기 제 1 슬라이딩이동부재의 후방단부와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지지부재와, 상기 등받이지지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는, 상기 제 1 구동스크류축 상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 1 구동스크류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호간격이 조절되는 2개의 제 1 이동슬리브부재와, 일단은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의 제 1 연결부재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이동슬리브부재들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이동슬리브부재 사이의 간격조절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길이조절되면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 1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 상부 양측에 각각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관통결합되고 제 2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 2 슬라이딩이동부재와, 후방단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전방단부는 상기 제 2 슬라이딩이동부재의 전방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조절되는 제 1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슬라이딩이동기구는, 상기 제 1 구동스크류축 상에서 상기 제 1 이동슬리브부재의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1 구동스크류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슬리브부재와 반대로 상호간격이 조절되는 2개의 제 2 이동슬리브부재와, 후방단부는 상기 제 2 이동슬리브부재와 상기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의 제 1 이동슬리브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 2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와, 상기 제 2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의 전방단부와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의 제 2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단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면 후방측에 고정되고 상단 타측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와, 상기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의 전방하단에 구비되는 발판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높이조절기구는, 상기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의 상단 타측을 연결하는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와, 상기 제 2 구동스크류축 상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 2 구동스크류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호간격이 조절되는 2개의 제 3 이동슬리브부재와, 상기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와 상기 제 3 이동슬리브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제 3 이동슬리브부재 사이의 간격조절에 따라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가 전후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하는 제 4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의 상단 일측이 연결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단부 하단에는 절첩연결프레임이 가로질러 배열되고 상기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의 상단 타측이 연결되는 상기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도 상기 절첩연결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이 서로 인접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위치되게 절첩가능하고, 상기 절첩연결프레임은, 일단에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의 일측 제 1 슬라이딩이동부재가 관통되는 제 1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절취부가 형성되는 외측 ∩자형강부재와, 일단은 상기 외측 ∩자형강부재의 내측 중앙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의 타측 제 1 슬라이딩이동부재가 관통되며 상기 절취부에 의해 노출되는 제 2 관통홀이 형성되는 내측 ∩자형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에 의하면, 특히 스스로 힘으로 일어나지 못하는 와병환자가 평상시에는 이동침대로 사용할 수 있고 용변처리시에는 좌변기 의자 형태의 휠체어로 형상을 변경하여 좌변기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환자의 이동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환자에게 사용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보호자가 보다 쉽게 환자를 간병할 수 있도록 하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의 사시도.
도 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의 내부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에 있어서,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되는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의 변기홀 개폐구조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의 높이조절작동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에 있어서, 폭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메인프레임의 절첩연결프레임의 구조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의 폭조절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에 있어서, 4절링크구조의 측면안전바의 작동도.
이하에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1)는, 도 1a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앙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측에 제 1 구동스크류축(1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측에 제 2 구동스크류축(13)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과, 메인프레임(10)의 후방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이동프레임(20)과, 메인프레임(10)의 제 1 구동스크류축(11)과 제 1 이동프레임(20)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30)와, 메인프레임(10)의 전방측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제 1 이동프레임(20)과 반대방향으로 연동되어 슬라이딩이동되는 제 2 이동프레임(40)과, 메인프레임(10)의 제 1 구동스크류축(11)과 제 2 이동프레임(40)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슬라이딩이동기구(50)와, 메인프레임(10)의 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이동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되며 제 1 이동프레임(20)의 이동 여부에 따라 메인프레임(10) 상에서 각도조절되는 등받이프레임(60)과, 메인프레임(10)의 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이동프레임(40)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 이동프레임(40)의 이동 여부에 따라 제 2 이동프레임(40) 상에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되 등받이프레임(60)과 연동되게 설치되는 절첩식 다리지지판(70)과, 메인프레임(10)의 하측에 상하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바퀴(8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80)과, 메인프레임(80)의 제 2 구동스크류축(13)과 베이스프레임(80)의 전방측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베이스프레임(80)의 전방측 상단의 위치조절을 통해 베이스프레임(8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조절기구(9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프레임(10)은 침대로의 변환시 사용자의 허리와 엉덩이를 지지하며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시 엉덩이를 지지하는 상부지지프레임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앙에는 제 1 구동스크류축(11), 제 2 구동스크류축(13), 제 2 슬라이딩이동기구(50) 및 높이조절기구(90) 등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메인프레임(10)의 후방측에는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30)와 제 2 슬라이딩이동기구(50)의 연동구동을 위한 제 1 구동스크류축(1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프레임(10)의 전방측에는 높이조절기구(90)의 구동을 위한 제 2 구동스크류축(13)이 설치된다.
제 1 구동스크류축(11) 및 제 2 구동스크류축(13)은 차후에 설명될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30) 및 제 2 슬라이딩이동기구(50)의 작동이 가능해지도록, 정중앙을 기준으로 양단으로 가면서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에는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시 용변처리가 용이하도록 변기홀(10a)이 관통형성되고 상부면에는 변기홀(10a)의 상단을 개폐하는 개폐커버(15)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메인프레임(10)의 후방에는 제 1 이동프레임(2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제 1 이동프레임(20)은 제 1 구동스크류축(11)의 회전구동방향에 따라 메인프레임(10)에 대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차후에 설명될 등받이프레임(60)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이동프레임(20)은, 메인프레임(10)의 후방 하부 양측에 각각 관통결합되고 제 1 구동스크류축(11)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회전구동되면서 메인프레임에 대해 전후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제 1 슬라이딩이동부재(21)와, 제 1 슬라이딩이동부재(21)의 후방단부와 차후에 설명될 등받이프레임(60)의 양측에 각각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지지부재(23)와, 양측의 등받이지지부재(23)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재(25)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메인프레임(10)의 제 1 구동스크류축(11)과 제 1 이동프레임(20) 사이에는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30)가 개재되는데, 이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30)는 제 1 구동스크류축(11)의 회전구동에 따라 메인프레임(10)에 대해 제 1 이동프레임(20)을 전후로 슬라이딩이동시켜 최종적으로 등받이프레임(60)의 리클라이닝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30)는 제 1 구동스크류축(11) 상에 나사 결합되어 제 1 구동스크류축(1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호간격이 벌어지거나 또는 좁아지면서 조절되는 2개의 제 1 이동슬리브부재(31)와, 일단은 제 1 이동프레임(20)의 제 1 연결부재(25)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제 1 이동슬리브부재들(31)에 결합되어 제 1 이동슬리브부재 (31)사이의 간격조절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길이조절되면서 제 1 이동프레임(20)을 메인프레임(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 1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33)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구동스크류축(11)의 회전방향에 따라 2개의 제 1 이동슬리브부재(31)의 상호간격이 벌어질 경우에는 제 1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33)의 길이가 신축되면서 제 1 이동프레임(20)의 제 1 연결부재(25)를 메인프레임(10) 쪽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 때 제 1 이동프레임(20)이 메인프레임(10) 내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등받이프레임(60)이 세워지게 된다.
또한 제 1 구동스크류축(11)의 회전방향에 따라 2개의 제 1 이동슬리브부재(31)의 상호간격이 좁아질 경우에는 제 1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33)의 길이가 신장되면서 제 1 이동프레임(20)의 제 1 연결부재(25)를 메인프레임(10)의 후방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 때 제 1 이동프레임(20)이 메인프레임(10)으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등받이프레임(60)이 눕혀지게 된다.
전술한 메인프레임(10)의 전방측에는 제 2 이동프레임(40)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제 1 이동프레임(20)과 반대방향으로 연동되어 슬라이딩이동되는데, 이 제 2 이동프레임(40)은 제 1 구동스크류축(11)의 회전구동방향에 따라 메인프레임(10)에 대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차후에 설명될 절첩식 다리지지판(70)을 편평하게 펼치거나 또는 접었다 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이동프레임(40)은, 메인프레임(10)의 전방 상부 양측에 각각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관통결합되고 제 2 연결부재(41a)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 2 슬라이딩이동부재(41)와, 후방단부는 메인프레임(10)의 전방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전방단부는 제 2 슬라이딩이동부재(41)의 전방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조절되는 제 1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43)와, 제 1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43)의 상부면에 걸쳐 결합되어 필요시 편평하게 펼쳐지거나 또는 상호 절첩되어 접혀지는 다수의 다리지지판(45)을 포함한다. 제 1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43)은 제 2 슬라이딩이동부재(41) 마다 각각 1개씩 총 2개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수의 다리지지판(45)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메인프레임(10)의 제 1 구동스크류축(11)과 제 2 이동프레임(40) 사이에는 제 2 슬라이딩이동기구(50)가 개재되는데, 이 제 2 슬라이딩이동기구(50)는 제 1 구동스크류축(11)의 회전구동에 따라 메인프레임(10)에 대해 제 2 이동프레임(40)을 전후로 슬라이딩이동시켜 최종적으로 다리지지판(45)이 편평하게 펼쳐지거나 또는 서로 절첩되어 졉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슬라이딩이동기구(50)는 제 1 구동스크류축(11) 상에서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30)의 제 1 이동슬리브부재(31)의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제 1 구동스크류축(1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이동슬리브부재(31)와 반대로 상호간격이 조절되는 2개의 제 2 이동슬리브부재(51)와, 후방단부는 제 2 이동슬리브부재(51)와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30)의 제 1 이동슬리브부재(31)에 각각 연결되는 제 2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53)와, 제 2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53)의 전방단부와 제 2 이동프레임(40)의 제 2 연결부재(41a)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재(55)를 포함한다.
제 1 구동스크류축(1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이동슬리브부재(31)와 제 2 이동슬리브부재(51)의 상호간격이 벌어질 경우에는 제 2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53)의 길이가 신축되면서 제 2 이동프레임(40)의 다리지지판(45)의 후방측을 메인프레임(10) 쪽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 때 제 2 이동프레임(40)이 메인프레임(10) 내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차후에 설명될 절첩식 다리지지판(70)이 상호 절첩되어 접혀지게 된다.
또한 제 1 구동스크류축(1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이동슬리브부재(31)와 제 2 이동슬리브부재(51)의 상호간격이 좁아질 경우에는 제 2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53)의 길이가 신장되면서 제 2 이동프레임(40)의 다리지지판(45)의 후방측을 메인프레임(10)으로부터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 때 제 2 이동프레임(40)이 메인프레임(1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차후에 설명될 절첩식 다리지지판(70)이 편평하게 펼쳐지게 된다.
전술한 메인프레임(10)의 후방측에는 등받이프레임(6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등받이프레임(60)은 사용자의 상체와 머리를 지지하는 상부지지프레임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 1 이동프레임(20)의 등받이지지부재(23)에 의해 지지되며 제 1 이동프레임(20)의 이동 여부에 따라 메인프레임(10) 상에서 각도조절된다. 등받이프레임(60)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머리 지지를 위한 헤드레스트도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메인프레임(10)의 전방측에는 절첩식 다리지지판(7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절첩식 다리지지판(70)은 제 2 이동프레임(40) 상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 이동프레임(40)의 이동 여부에 따라 등받이프레임(60)과 연동되어 제 2 이동프레임(40) 상에서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전술한 메인프레임(10)의 하측에는 베이스프레임(80)이 상하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베이스프레임(8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1)의 양측 지지다리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프레임(80)은, 메인프레임(10)의 양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단 일측이 메인프레임(10)의 하부면 후방측에 고정되고 상단 타측은 메인프레임(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와,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휠체어와 유사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바퀴(83)와,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의 전방하단에 걸쳐 구비되어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시에 사용자가 편안하게 발을 올려둘 수 있도록 발판부재(85)를 포함한다.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 중 하나(외측에 위치)의 내측에는 높이조절기구(90)에 의해 높이조절 시에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 중 다른 하나(내측에 위치)의 힌지연결지점이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 중 하나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8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메인프레임(80)의 제 2 구동스크류축(13)과 베이스프레임(80)의 전방측 상단 사이에는 높이조절기구(90)가 개재되는데, 이 높이조절기구(90)의 베이스프레임(80)의 전방측 상단 일측에 대해 전방측 상단 타측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베이스프레임(8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높이조절기구(90)는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의 상단 일측에 대해 위치조절가능한 상단 타측을 각각 연결하는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91)와, 제 2 구동스크류축(13) 상에 나사 결합되어 제 2 구동스크류축(13)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호간격이 조절되는 2개의 제 3 이동슬리브부재(93)와,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91)와 제 3 이동슬리브부재(93)를 연결하며 제 3 이동슬리브부재(93) 사이의 간격조절에 따라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91)가 전후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하여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의 상단 일측에 대해 상단 타측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 4 연결부재(95)를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구동스크류축(1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3 이동슬리브부재(93)의 상호간격이 벌어질 경우에는 제 4 연결부재(95)가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91)를 제 2 구동스크류축(13) 쪽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 때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의 상단 일측에 대해 상단 타측, 즉 제 3 이동슬리브부재(93)의 위치가 더 멀어짐에 따라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의 상하방향 길이가 신축됨과 동시에 메인프레임(10)의 높이도 낮아지게 된다.
또한 제 2 구동스크류축(1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3 이동슬리브부재(93)의 상호간격이 좁아질 경우에는 제 4 연결부재(95)가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91)를 제 2 구동스크류축(13)에 대해 후방으로 밀게 되고, 이 때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의 상단 일측에 대해 상단 타측, 즉 제 3 이동슬리브부재(93)의 위치가 더 가까워짐에 따라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의 상하방향 길이가 신장됨과 동시에 메인프레임(10)의 높이도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1)는 미사용에 따른 보관시에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 베이스프레임(8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접혀질 수 있고, 이 때 메인프레임(10) 등이 서로 인접되는 양측 베이스프레임(80) 사이에 위치되게 절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의 상단 일측이 연결되는 메인프레임(10)의 후방단부 하단에는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절첩연결프레임(17)이 가로질러 배열되고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81)의 상단 타측이 연결되는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91)도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절첩연결프레임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절첩연결프레임(17)은,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단에 제 1 이동프레임(20)의 일측 제 1 슬라이딩이동부재(21)가 관통되는 제 1 관통홀(17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절취부(17a")가 형성되는 외측 ∩자형강부재(17a)와, 일단은 외측 ∩자형강부재(17a)의 내측 중앙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제 1 이동프레임(10)의 타측 제 1 슬라이딩이동부재(21)가 관통되며 절취부(17a")에 의해 노출되는 제 2 관통홀(17b')이 형성되는 내측 ∩자형강부재(17b)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0)는 전술한 구조의 절첩연결프레임(17)을 포함함에 따라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 베이스프레임(8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접혀짐과 동시에 메인프레임(10) 등이 양측 베이스프레임(80) 사이에 위치되게 수직으로 위치되게 절첩될 수 있다.
전술한 메인프레임(10)의 양측에는 측면안전바(1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측면안전바(100)는 침대로의 변환시 사용자가 양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난간을 형성하고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시 사용자의 팔이 편안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암레스트 역할을 한다.
측면안전바(100)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의 양측 상부로 펼쳐졌다 메인프레임의 양측하부로 접혀질 수 있도록 4절링크기구(10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절링크기구(101)는 각각의 링크가 힌지결합되어 연결되며 특정 힌지연결부위에 더 이상의 회동을 방지하는 꺽쇠(103)가 구비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4절링크기구(101)의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1)의 경우에는, 특히 스스로 힘으로 일어나지 못하는 와병환자가 평상시에는 이동침대로 사용할 수 있고 용변처리시에는 좌변기 의자 형태의 휠체어로 형상을 변경하여 좌변기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환자의 이동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환자에게 사용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보호자가 보다 쉽게 환자를 간병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10 : 메인프레임
10a : 변기홀
11 : 제 1 구동스크류축
13 : 제 2 구동스크류축
15 : 개폐커버
17 : 절첩연결프레임
17a : 외측 ∩자형강부재
17b : 외측 ∩자형강부재
20 : 제 1 이동프레임
21 : 제 1 슬라이딩이동부재
23 : 등받이지지부재
25 : 제 1 연결부재
30 :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
31 : 제 1 이동슬리브부재
33 : 제 1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
40 : 제 2 이동프레임
41 : 제 2 슬라이딩이동부재
41a : 제 2 연결부재
43 : 제 1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
50 : 제 2 슬라이딩이동기구
51 : 제 2 이동슬리브부재
53 : 제 2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
55 : 제 3 연결부재
60 : 등받이프레임
70 : 절첩식 다리지지판
80 : 베이스프레임
81 :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
81a : 가이드홈
83 : 이동바퀴
85 : 발판부재
90 : 높이조절기구
91 :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
93 : 제 3 이동슬리브부재
95 : 제 4 연결부재
100 : 측면안전바
101 : 4절링크기구
103 : 꺽쇠

Claims (11)

  1. 중앙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측에 제 1 구동스크류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측에 제 2 구동스크류축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이동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 1 구동스크류축과 상기 제 1 이동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 1 이동프레임과 반대방향으로 연동되어 슬라이딩이동되는 제 2 이동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 1 구동스크류축과 상기 제 2 이동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슬라이딩이동기구;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서 각도조절되는 등받이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등받이프레임과 연동되어 상기 제 2 이동프레임 상에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절첩식 다리지지판;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에 상하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제 2 구동스크류축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측 상단의 위치조절을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조절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 하부 양측에 각각 관통결합되고 상기 제 1 구동스크류축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전후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제 1 슬라이딩이동부재와, 상기 제 1 슬라이딩이동부재의 후방단부와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지지부재와, 상기 등받이지지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는, 상기 제 1 구동스크류축 상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 1 구동스크류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호간격이 조절되는 2개의 제 1 이동슬리브부재와, 일단은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의 제 1 연결부재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이동슬리브부재들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이동슬리브부재 사이의 간격조절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길이조절되면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 1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안전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안전바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 상부로 펼쳐졌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하부로 접혀질 수 있도록 4절링크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변기홀이 관통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변기홀의 상단을 개폐하는 개폐커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 상부 양측에 각각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관통결합되고 제 2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 2 슬라이딩이동부재와, 후방단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전방단부는 상기 제 2 슬라이딩이동부재의 전방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조절되는 제 1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라이딩이동기구는, 상기 제 1 구동스크류축 상에서 상기 제 1 이동슬리브부재의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1 구동스크류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슬리브부재와 반대로 상호간격이 조절되는 2개의 제 2 이동슬리브부재와, 후방단부는 상기 제 2 이동슬리브부재와 상기 제 1 슬라이딩이동기구의 제 1 이동슬리브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 2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와, 상기 제 2 수평 X자바형 신축부재의 전방단부와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의 제 2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단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면 후방측에 고정되고 상단 타측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와, 상기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의 전방하단에 구비되는 발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기구는, 상기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의 상단 타측을 연결하는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와, 상기 제 2 구동스크류축 상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 2 구동스크류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호간격이 조절되는 2개의 제 3 이동슬리브부재와, 상기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와 상기 제 3 이동슬리브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제 3 이동슬리브부재 사이의 간격조절에 따라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가 전후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하는 제 4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의 상단 일측이 연결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단부 하단에는 절첩연결프레임이 가로질러 배열되고 상기 제 2 수직 X자바형 신축부재의 상단 타측이 연결되는 상기 제 3 슬라이딩이동부재도 상기 절첩연결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이 서로 인접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위치되게 절첩가능하고, 상기 절첩연결프레임은, 일단에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의 일측 제 1 슬라이딩이동부재가 관통되는 제 1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절취부가 형성되는 외측 ∩자형강부재와, 일단은 상기 외측 ∩자형강부재의 내측 중앙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의 타측 제 1 슬라이딩이동부재가 관통되며 상기 절취부에 의해 노출되는 제 2 관통홀이 형성되는 내측 ∩자형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28045A 2015-02-27 2015-02-27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KR101522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045A KR101522929B1 (ko) 2015-02-27 2015-02-27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PCT/KR2015/013073 WO2016137094A1 (ko) 2015-02-27 2015-12-03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045A KR101522929B1 (ko) 2015-02-27 2015-02-27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929B1 true KR101522929B1 (ko) 2015-05-28

Family

ID=5339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045A KR101522929B1 (ko) 2015-02-27 2015-02-27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2929B1 (ko)
WO (1) WO201613709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2024A (zh) * 2016-06-20 2016-08-31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模块化多组合式座椅
KR20190059511A (ko) 2017-11-23 2019-05-31 유혜민 휠체어
CN115414214A (zh) * 2022-09-06 2022-12-02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五医学中心 一种多功能儿童用肝穿轮椅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5969B (zh) * 2021-04-08 2022-07-01 西南大学 一种防尘抗震特种计算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639A (ko) * 2003-07-09 2005-01-17 김응기 위생변기 일체형 이동식 침대
KR100515556B1 (ko) * 2003-06-26 2005-09-20 김미영 환자 이동 장치
KR100842565B1 (ko) * 2007-02-09 2008-07-01 이상준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
KR101494354B1 (ko) * 2014-11-03 2015-02-23 임윤택 좌변기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 체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1631B1 (ja) * 2009-05-20 2010-06-30 義久 奥村 介護ベッド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556B1 (ko) * 2003-06-26 2005-09-20 김미영 환자 이동 장치
KR20050006639A (ko) * 2003-07-09 2005-01-17 김응기 위생변기 일체형 이동식 침대
KR100842565B1 (ko) * 2007-02-09 2008-07-01 이상준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
KR101494354B1 (ko) * 2014-11-03 2015-02-23 임윤택 좌변기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 체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2024A (zh) * 2016-06-20 2016-08-31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模块化多组合式座椅
CN105902024B (zh) * 2016-06-20 2018-11-02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模块化多组合式座椅
KR20190059511A (ko) 2017-11-23 2019-05-31 유혜민 휠체어
CN115414214A (zh) * 2022-09-06 2022-12-02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五医学中心 一种多功能儿童用肝穿轮椅床
CN115414214B (zh) * 2022-09-06 2023-09-26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五医学中心 一种多功能儿童用肝穿轮椅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7094A1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9171B2 (ja) 多目的、多用途かつ再組み立て可能な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兼用ベッド
RU2767548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кресло-коляска
US8505134B2 (en) Nursing bed with a lateral movement of translation
KR101067983B1 (ko) 거동불편자의 목욕과 이동을 돕기 위한 목욕의자
US20130212807A1 (en) Bed chair
KR101522929B1 (ko)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KR20170124398A (ko) 베드체어
KR101398388B1 (ko) 요양침대용 조절식 프레임
KR101462378B1 (ko)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JP2010005077A (ja) 補助手摺装置
KR20190052370A (ko) 침대 및 욕조 기능을 갖는 휠체어
KR101588698B1 (ko) 전동식 샤워 트롤리
KR101018729B1 (ko) 다기능성 의자
KR101310611B1 (ko) 좌변기 시트 어셈블리
CN218607285U (zh) 一种可变底盘步行车
CN216754847U (zh) U型管联动式移位机
CN215131963U (zh) 一种医用病床
TWI783431B (zh) 可隨意移動乘坐人員位置的輪椅
KR101012092B1 (ko) 환자용 변기의자
JP2008073420A (ja) 椅子兼用ベッド
KR101690424B1 (ko)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JP2005111044A (ja) 便座付き車椅子
KR20240010183A (ko) 욕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폴딩장치
NO176866B (no) Mobilt löfte- og bevegelsesapparat for bevegelseshemmede
KR20140146497A (ko) 휠체어 시트 올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