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424B1 -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 Google Patents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424B1
KR101690424B1 KR1020150111754A KR20150111754A KR101690424B1 KR 101690424 B1 KR101690424 B1 KR 101690424B1 KR 1020150111754 A KR1020150111754 A KR 1020150111754A KR 20150111754 A KR20150111754 A KR 20150111754A KR 101690424 B1 KR101690424 B1 KR 10169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tient
supporting
leg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규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1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가 앉는 공간을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시트부, 시트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시트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하부프레임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후위프레임으로 구성된 베이스틀, 하단은 시트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후위프레임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하부프레임의 저면 선단 및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베이스틀을 바닥 상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메인바퀴, 하부프레임의 선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환자가 상기 시트부에 앉은 상태에서 환자의 다리 부분을 거치상태로 안착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지지부, 다리지지부의 저면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바닥 상에 상기 다리지지부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는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Low-rise type wheel chair}
본 발명은 환자나 노약자와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하지 마비나 골절 등으로 인해 하지 사용 불가한 환자의 자력 이동을 돕거나, 마비 또는 전신상태 악화로 보행이 불편한 환자를 보호자가 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휠체어는 환자가 앉게 되는 시트 부분의 위치가 환자가 위치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높게 배치되어 환자 스스로 탑승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와 같이 좌식 생활이 많은 경우 바닥에 누워있는 환자가 스스로 휠체어에 탑승하려고 하면 환자 스스로 상체를 반 이상 일으켜야 하는데, 힘을 안정적으로 줄 수 없게 되어 보호자가 도와주면서 탑승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는 보호자와 환자가 모두 노약자일 경우, 보호자가 환자를 도와줄 수 없거나 환자 역시 근력이 약해 시트 부분이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에 높이 배치된 상태에서는 환자의 탑승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종래의 휠체어는 문턱 등의 장애물을 안정적으로 넘어가기 힘들어 환자의 이송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휠체어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90532호(2014.07.17)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환자 스스로 탑승이 용이함과 더불어 문턱 등과 같은 장애물을 안정적으로 넘어갈 수 있는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환자가 앉는 공간을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후위프레임으로 구성된 베이스틀, 하단은 상기 시트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후위프레임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 선단 및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틀을 상기 바닥 상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메인바퀴, 상기 하부프레임의 선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자가 상기 시트부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다리 부분을 거치상태로 안착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지지부, 상기 다리지지부의 저면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바닥 상에 상기 다리지지부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는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프레임을 더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팔걸이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후위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가로바와, 하단이 상기 베이스틀의 하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로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는 세로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고, 상기 후위프레임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높이조절슬롯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후위프레임의 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은 상기 시트부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에는 상기 후위프레임의 높이조절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조절연결돌기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바, 상기 제1지지바 및 상기 제2지지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환자의 다리 부분을 안착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는,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연결 지지하는 베이스틀의 하부프레임 저면에 상기 메인바퀴를 연결 설치하여, 휠체어가 위치한 장소의 바닥에서 환자가 시트부에 쉽게 앉을 수 있음과 더불어 자유로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환자가 시트부에 앉은 상태에서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하부프레임 전방으로 연장되게 다리지지부가 펼침된 상태에서 다리지지부의 저면에는 보조바퀴를 구비한 바, 장애물을 넘어갈 경우 휠체어의 무게중심을 낮추어줌으로서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리지지부를 접힘시킨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철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상기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는, 베이스틀(100), 시트부(200), 등받이부(300), 메인바퀴(400), 다리지지부(500), 보조바퀴(6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틀(100)은 이후 설명될 시트부(200), 등받이부(300)를 연결 상태로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틀(100)은 전체적으로 'L' 수직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하부프레임(110)과 후위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110)은 시트부(200)를 연결 지지하게 되는 프레임 부분으로, 환자가 휠체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바닥으로부터 대향되게 상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하부프레임(110)은 복수의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를 연결 결합한 사각링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하나의 판을 사각구조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후위프레임(120)은 등받이부(300)를 연결 지지하게 되는 프레임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후위프레임(130)은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연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위프레임(120)은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후단 양측에 각각 대향되도록 한 쌍의 바 부재(120a,120b)가 결합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하나의 판 부재를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후단에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연결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후위프레임(12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환자를 이후 설명될 시트부(200)에 앉게 한 상태에서 환자 외의 보호자나 간병인이 상기 후위프레임(12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22)가 연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110)에는 길이방향으로 이후 설명될 시트부(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부하는 가이드부(도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프레임(110) 상에서의 시트부(200)의 전후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틀(100)를 접철시, 시트부(200)의 위치를 변형되게 함으로서 접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후위프레임(120)에는 이후 설명될 등받이부(300)의 상단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높이조절슬롯(121)이 요입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높이조절슬롯(12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데, 즉, 상기 높이조절슬롯(121)은 상기 후위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요입 형성되어, 등받이부(300)의 상단 연결 부분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등받이부(300)의 기울기 변경이나 상기 베이스틀(100)의 추후 접철 보관시 이동되면서 접철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틀(100)에는 이후 설명될 시트부(200)에 상기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팔을 안착상태로 거치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팔걸이프레임(130)을 추가로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팔걸이프레임(130)은 가로바(131), 세로바(1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바(131)는 상기 환자의 팔 부분이 안착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가로바(131)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베이스틀(100)의 후위프레임(110) 일측에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바(132)는 상기 가로바(131)의 길이방향 타단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세로바(132)의 길이방향 일단, 즉 상기 세로바(132)의 하단은 상기 가로바(131)의 길이방향 타단 일측에 연결 결합한다.
이같은, 상기 베이스틀(100)의 하부프레임(110)과 후위프레임(120) 및 팔걸이프레임(130)은 접철 가능한 구조로 상호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후위프레임(120)의 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서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팔걸이프레임(130)의 가로바(131) 일단은 상기 후위프레임(11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서 연결 결합되며, 상기 팔걸이프레임(130)의 세로바(132) 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11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서 연결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로바(131)와 상기 세로바(132)의 연결 부분 역시 힌지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 결합된다.
상기 시트부(200)는 상기 베이스틀(100)의 하부프레임(110) 상에 상기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판 부분이다. 즉, 상기 시트부(200)는 휠체어를 이용하고자 하는 바닥에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시트부(200)는 시트베이스(210), 시트쿠션(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베이스(210)는 앞서 설명한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가이드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쿠션(220)은 상기 시트베이스(210)의 상면에 안착 결합되는 판 형상 부재로서, 상기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안락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시트쿠션(220)은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섬유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300)는 상기 시트부(200) 상부에 상기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판 부분이다. 즉, 상기 등받이부(200)는 상기 시트부(200) 상부에 앉은 상기 환자의 등에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후위프레임(120)에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등받이부(300)는 등받이베이스(310), 등받이쿠션(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베이스(310)의 하단은 앞서 설명한 상기 시트부(200)의 후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트베이스(210)의 후단에 연결 결합되는 판 부재이다. 이때, 상기 등받이베이스(310)의 하단은 상기 시트베이스(21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서 연결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베이스(310)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후위프레임(120)의 높이조절슬롯(12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조절연결돌기부(330)가 돌출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등받이쿠션(320)은 상기 등받이베이스(310)의 저면에 안착 결합되는 판 형상 부재로서, 상기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등 부분이 안락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등받이쿠션(320)은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섬유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퀴(400)는 상기 베이스틀(100)을 휠체어가 사용되는 바닥 상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메인바퀴(400)는 상기 베이스틀(100)의 하부프레임(110) 저면 선단 및 후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메인바퀴(400)는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저면 선단 양측에 대향되게 한 쌍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저면 후단 양측에 대향되게 한 쌍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퀴(400)는 상기 하부프레임(110) 저면에 180°또는 360°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메인바퀴(400)는 상기 하부프레임(110) 저면 선단에 설치되는 직경보다 상기 하부프레임(110) 저면 후단에 설치되는 직경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환자가 상기 시트부(20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프레임(110) 저면 후단에 위치한 상기 메인바퀴(4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상기 메인바퀴(400)는 상기 베이스틀(100)의 하부프레임(110) 저면에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틀(100)이 배치된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시트부(20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 바, 상기 환자가 탑승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리지지부(500)는 상기 시트부(200)의 상부에 상기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다리 부분을 거치상태로 안착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다리지지부(500)는 상기 베이스틀(100)의 하부프레임(110) 선단 양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이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다리지지부(500)는 상기 환자의 다리 부분을 선택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틀(100)의 하부프레임(110) 선단 양측에 각각 접철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다리지지부(500)는 제1지지바(510), 제2지지바(520), 지지판(5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바(510)는 상기 베이스틀(100)의 하부프레임(110)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서 연결 결합되는 바 형상 부재이다. 즉, 상기 제1지지바(5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베이스틀(100)의 하부프레임(110)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서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바(510)의 길이방향 타단은 제2지지바(52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서 연결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바(520)는 상기 제1지지바(51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바 형상 부재이다. 즉, 상기 제2지지바(520)는 상기 제1지지바(510)의 길이방향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서 연결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바(510)와 같이 펼침되면서 길이를 연장되게 하면서 상기 환자의 다리를 안정적으로 안착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530)은 상기 제1지지바(510)와 상기 제2지지바(520)를 펼침시킨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다리 부분을 거치상태로 안착시킬 경우, 상기 환자 다리 부분을 안정적인 거치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환자의 다리 부분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킨다. 즉, 상기 지지판(530)은 상기 제1지지바(510) 및 상기 제2지지바(5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평상태로 연결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53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반원 형상(도면미도시)으로 하방으로 요입되게 형성하여, 상기 환자의 다리 부분을 삽입 상태로 안정적인 거치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조바퀴(600)는 상기 다리지지부(500)를 펼침시킨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다리 부분을 거치할 경우, 상기 다리지지부(500)를 상기 휠체어가 이동하는 바닥면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보조바퀴(600)는 상기 다리지지부(500)의 제2지지바(520) 저면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바퀴(600)는 상기 다리지지부(500)의 제2지지바(520) 저면에 180°또는 360°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에는, 상기 메인바퀴(400)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환자가 상기 시트부(20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틀(100)이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 구동벨트, 구동기어로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를 상기 베이스틀(100)의 일측에 고정상태로 결합 설치하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바퀴(400)의 축 부분에 각각 고정 결합한 후, 상기 모터의 구동기어와 상기 메인바퀴(400)의 구동기어를 구동벨트를 연결하여,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메인바퀴(400)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구동수단을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환자가 상기 시트부(20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여부 및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 실시예의 상기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차에 실어 운반할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틀(100)을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후위프레임(120)이 상호 인접상태로 마주보도록 상기 후위프레임(120)을 상기 하부프레임(110)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팔걸이프레임(130)의 가로바(131)와 세로바(132)의 상호 힌지로 연결된 부분도 접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시트부(200)의 후단과 상기 등받이부(300)의 하단이 연결되는 힌지 부분도 회전되게 하면서 상기 시트부(200)와 상기 등받이부(300)를 상호 인접상태로 마주보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다리지지부(500)는 상기 시트부(200) 방향으로 접힘 배치되게 한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다리지지부(500)의 제1지지바(510) 및 제2지지바(520)를 각각 하부프레임(110)의 선단 중심 방향으로 모이도록 회전시키면서 접어지게 한다.
이후, 휠체어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앞서 접힘 상태에서 펼침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휠체어의 펼침은 앞서 접힘동작을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
상기 휠체어를 펼침시킨 후, 상기 환자는 상기 시트부(200) 상에 앉은 상태로 상기 등받이부(300)에 등을 안착 상태로 기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지지부(500)의 지지판(530) 상에 다리 부분을 거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시트부(200) 상에 상기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환자가 직접 상기 메인바퀴(400)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메인바퀴(400)에 배치된 장소의 바닥을 밀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통해 이동하거나, 보호자나 간병인과 같은 타인이 상기 베이스틀(100)의 손잡이(122)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환자가 시트부(200) 상에 앉은 상태에서, 문턱과 같은 장애물을 넘을 경우에는, 상기 보조바퀴(600)를 상기 장애물 전방에서 상방으로 먼저 들어올린 후, 상기 보조바퀴(600)가 상기 장애물을 넘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선단에 배치된 상기 메인바퀴(400)가 상기 장애물에 접촉시 상기 보조바퀴(600)는 바닥 상에 안착된다. 이후, 상기 하부프레임(100)의 후단에 배치된 상기 메인바퀴(500)가 상기 장애물 상부를 통해 넘어 순차적으로 넘어가게 한다. 이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다리지지부(500) 상에 상기 보조바퀴(600)가 설치된 바, 상기 휠체어가 상기 장애물을 넘을 경우, 무게 중심이 낮아지면서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는, 상기 시트부(200)와 상기 등받이부(300)를 연결 지지하는 상기 베이스틀(100)의 하부프레임(110) 저면에 상기 메인바퀴(400)를 연결 설치하여, 휠체어가 위치한 장소의 바닥에서 상기 환자가 상기 시트부(200)에 쉽게 앉을 수 있음과 더불어 자유로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상기 환자가 시트부(20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10) 전방으로 연장되게 상기 다리지지부(500)가 펼침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지지부(500)의 저면에는 상기 보조바퀴(600)가 설치된 바, 장애물을 넘어갈 경우, 휠체어의 무게중심을 낮추어줌으로서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틀 110: 하부프레임
120: 후위프레임 130: 팔걸이프레임
200: 시트부 300: 등받이부
400: 메인바퀴 500: 다리지지부
600: 보조바퀴

Claims (5)

  1. 환자가 앉는 공간을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후위프레임으로 구성된 베이스틀과;
    하단은 상기 시트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후위프레임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 선단 및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틀을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의 바닥 상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메인바퀴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선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자가 상기 시트부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다리 부분을 거치상태로 안착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지지부; 및
    상기 다리지지부의 저면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바닥 상에 상기 다리지지부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고,
    상기 후위프레임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높이조절슬롯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후위프레임의 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은 상기 시트부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에는 상기 후위프레임의 높이조절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조절연결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2. 환자가 앉는 공간을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후위프레임으로 구성된 베이스틀과;
    하단은 상기 시트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후위프레임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 선단 및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틀을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의 바닥 상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메인바퀴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선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환자가 상기 시트부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다리 부분을 거치상태로 안착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지지부; 및
    상기 다리지지부의 저면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바닥 상에 상기 다리지지부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 및 상기 제2지지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환자의 다리 부분을 안착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프레임을 더 결합 구비하는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후위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가로바와,
    하단이 상기 베이스틀의 하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로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는 세로바를 포함하는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5. 삭제
KR1020150111754A 2015-08-07 2015-08-07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KR10169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754A KR101690424B1 (ko) 2015-08-07 2015-08-07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754A KR101690424B1 (ko) 2015-08-07 2015-08-07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424B1 true KR101690424B1 (ko) 2016-12-27

Family

ID=5773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754A KR101690424B1 (ko) 2015-08-07 2015-08-07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4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486A (ja) * 2002-09-09 2004-04-02 Takano Co Ltd 収納式肘掛け装置
KR20060103625A (ko) * 2005-03-28 2006-10-04 임지선 장애인 이동이 용이한 좌식의자
JP2007167320A (ja) * 2005-12-21 2007-07-05 Suzuki Motor Corp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486A (ja) * 2002-09-09 2004-04-02 Takano Co Ltd 収納式肘掛け装置
KR20060103625A (ko) * 2005-03-28 2006-10-04 임지선 장애인 이동이 용이한 좌식의자
JP2007167320A (ja) * 2005-12-21 2007-07-05 Suzuki Motor Corp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896B1 (ko) 환자 간호용 이승로봇
JP5036369B2 (ja) 介護補助装置
KR101067983B1 (ko) 거동불편자의 목욕과 이동을 돕기 위한 목욕의자
JP2012507311A (ja) ベッド、特には病院用ベッド又は看護用ベッド
JP6733906B2 (ja) 入浴介護装置
KR20180059516A (ko) 다목적, 다기능 및 재조직 가능한 안락의자 침대
JP2007181639A (ja) 起立補助椅子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KR20200068846A (ko) 다중의 자세모드 변경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JP6450441B1 (ja) 介護用椅子
KR101241663B1 (ko) 휠체어
KR20210042244A (ko) 다기능 휠체어
KR20170101333A (ko) 배드이송형 전동휠체어
KR101522929B1 (ko)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KR101966342B1 (ko)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KR101690424B1 (ko)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JPH08196573A (ja) 介護移動装置
KR200336152Y1 (ko) 휠체어
JP2001129033A (ja) 介護補助装置
KR102581667B1 (ko)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KR101434715B1 (ko) 환자용 목욕 보조구
JP2013074954A (ja) 昇降折りたたみフットレスト装置とこれを用いた車椅子
KR102627288B1 (ko) 신체 약자용 이송 로봇용 좌판 어셈블리
JP2018027262A (ja) 入浴介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