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927A -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Google Patents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1927A KR20120041927A KR1020100103348A KR20100103348A KR20120041927A KR 20120041927 A KR20120041927 A KR 20120041927A KR 1020100103348 A KR1020100103348 A KR 1020100103348A KR 20100103348 A KR20100103348 A KR 20100103348A KR 20120041927 A KR20120041927 A KR 201200419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tube
- air
- base body
- water
- bu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는, 배출홀 및 배출홀 주변에 형성되는 공기튜브 안착단을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부;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 베이스 몸체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에는 공기튜브 안착단에 안착 결합되도록 공기튜브가 마련되는 시트부; 베이스 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튜브와 공기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물통부; 및 베이스 몸체부에 고정되며 물통부와 물공급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물통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좌변기에 앉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수축하는 공기튜브를 마련하여 공기튜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물통 본체에 저장된 물을 분사노즐부를 통해 분사시키는 비데 기능이 구비될 뿐만 아니라, 회전 가능한 등받이부와 종아리 지지부 등을 마련하여 사용자가 좀 더 편한 자세에서 용변을 보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좌변기에 앉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물통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는 비데 기능이 구비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좀 더 편한 자세에서 용변을 보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은 다수의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서, 건물 내에 마련된 고정식 화장실과, 컨테이너 박스 등을 개조하여 생성한 이동식 화장실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식 화장실은 '이동'이란 말이 표현되어 있긴 하지만 제조 공장에서 제조한 후 원하는 설치 장소에 설치하고 나서는 쉽게 이동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근래 들어서는, 용변을 마친 사용자의 항문 또는 질 부위를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한 비데 장치가 구비된 화장실 변기 등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한편,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몸을 제대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들 뿐만 아니라 어린 유아들은 화장실 사용에 있어서 상당히 불편한 단점을 갖고 있으며, 일 예로 외출시 급히 용변을 봐야 하는 상황에서는 불편한 점이 가중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면서도 비데 기능을 구비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몸을 제대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들, 유아 등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좌변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좌변기에 앉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물통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는 비데 기능이 구비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좀 더 편한 자세에서 용변을 보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배출홀 및 상기 배출홀 주변에 형성되는 공기튜브 안착단을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부;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에는 상기 공기튜브 안착단에 안착 결합되도록 공기튜브가 마련되는 시트부;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공기튜브와 공기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물통부; 및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물통부와 물공급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물통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에 안착한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아리 지지부 몸체; 및 상기 종아리 지지부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치형이 형성되는 회전 치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는 상기 종아리 지지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종아리 지지부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지지부 회전부는, 상기 치형과 치형 결합하는 스퍼 기어; 및 상기 스퍼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종아리 지지부 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치형부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등받이 프레임;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등받이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하단에는 회전 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는 상기 회전 기어와 치형 결합하여 상기 등받이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등받이부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 회전부는, 상기 회전 기어와 치형 결합하는 회전구동기어; 및 상기 회전구동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등받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는 상기 물통부를 삽입하기 위한 물통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물통부 삽입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물통부의 하부 영역이 삽입되도록 물통부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부는, 상부에 물 주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물통부 체결홈에 삽입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물이 수용되는 물통 본체; 상기 물통 본체의 물 주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공기호스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주입마개; 상기 물 주입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호스를 통해 공기가 상기 물통 본체 측으로 유입하는 경우 개방되는 마개; 및 상기 물통 본체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압축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축 또는 팽창에 따라 상기 결합부 내측의 물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차단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마개부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단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부 체결홈에는 가압봉이 더 마련되며, 상기 물통부를 상기 물통부 삽입홈 및 상기 물통부 체결홈에 삽입한 경우, 상기 이동바는 상기 가압봉에 의해 가압되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호스의 일단은 상기 물통부 체결홈 내측의 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물통부 체결홈을 형성하는 측벽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기튜브는, 공기튜브 본체; 상기 공기튜브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튜브 본체의 가압시 상기 공기튜브 본체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공기튜브 본체의 미가압시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튜브 내측으로 유입하도록 하는 공기튜브 마개; 및 상기 공기튜브 본체와 상기 공기호스의 결합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튜브 본체의 가압시 상기 공기튜브 본체 내측의 공기가 상기 공기호스로 유입되도록 개방되는 공기튜브 공기공급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튜브 본체는 두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기튜브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공기튜브 본체의 내측 상면과 내측 저면에 접촉하도록 스프링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 호스에는 상기 물통부에 수용된 물이 선택적으로 상기 분사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도록 상기 물공급 호스의 유로 개방을 온/오프(ON/OFF)하는 온오프 밸브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종아리 지지부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와, 상기 온오프 밸브는 하나의 제어기 본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을 경유한 사용자의 용변을 수거하는 용변 수납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는, 복수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이동바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절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절첩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 호스에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부로 외부의 공기를 추가로 유입시키는 보조공기유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좌변기에 앉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수축하는 공기튜브를 마련하여 공기튜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물통 본체에 저장된 물을 분사노즐부를 통해 분사하는 비데 기능이 구비될 뿐만 아니라, 회전 가능한 등받이부와 종아리 지지부 등을 마련하여 사용자가 좀 더 편한 자세에서 용변을 보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에서 공기튜브와 물통부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에서 물통부와 분사노즐부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에서 공기튜브와 물통부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에서 물통부와 분사노즐부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는, 사용자 및 제3자가 좌변기를 사용하기 편한 위치로 쉽게 이동할 수 있어, 거동(擧動)이 불편한 노약자 및 환자들 뿐만 아니라 유아(幼兒)가 용변을 용이하게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에서 공기튜브와 물통부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에서 물통부와 분사노즐부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이하, '좌변기'라 한다)는, 베이스 몸체부(110)와, 베이스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140)와, 베이스 몸체부(1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에는 후술하는 베이스 몸체부(110)의 공기튜브 안착단(111)에 안착 결합되도록 공기튜브(151)가 마련되는 시트부(150)와, 베이스 몸체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튜브(151)와 공기호스(161)를 통해 연결되는 물통부(160)와, 베이스 몸체부(110)에 고정되며 물통부(160)와 물공급 호스(181)를 통해 연결되어 물통부(160)로부터 공급된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부(18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베이스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부(150)에 안착한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부(190)를 더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 몸체부(110)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대략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본 용변이 하측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배출홀(112)이 형성되며, 배출홀(112) 주변에는 단차진 공기튜브 안착단(111)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몸체부(110)에는 사용자의 팔 등을 걸칠 수 있도록 팔걸이(113)가 더 마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베이스 몸체부(110)에는 베이스 몸체부(11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격리하면서 베이스 몸체부(110)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다리부(114)가 결합된다. 여기서, 복수의 다리부(114) 하단에는 사용자가 베이스 몸체부(110)를 원하는 장소로 보다 쉽게 이동하도록 각각 이동바퀴(115)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베이스 몸체부(110)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배출홀(112)을 경유한 사용자의 용변을 수거하는 용변 수납함(116)을 더 포함한다.
용변 수납함(116)은 상측이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몸체부(11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부(미도시)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베이스 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용변 수납함(116)은 후술하는 종아리 지지부(190)에 걸리지 않으면서 보다 용이하게 베이스 몸체부(110)에 결합되도록 베이스 몸체부(110)의 후방으로부터 베이스 몸체부(11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이스 몸체부(110)의 후방이라 함은 구체적으로 등받이부(140)의 후방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절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절첩시트(117)를 포함한다.
절첩시트(117)는 시트부(150)의 상측에 배치되며, 베이스 몸체부(110)에 형성된 끼움공(미도시)에 일부가 삽입되어 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절첩시트(117)는 상호 간에 경첩으로 고정되는 제1 및 제2 절첩시트(118,119)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는 용변을 보지 않을 경우, 제1 및 제2 절첩시트(118,119)를 펼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의자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용변을 보고자 하는 경우 제1 및 제2 절첩시트(118,119)를 접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아리 지지부(190)는 베이스 몸체부(110)의 전방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필요시 상측으로 들어올려져서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용변을 보거나, 절첩시트(117)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보다 편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종아리 지지부(190)는, 베이스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아리 지지부 몸체(191)와, 종아리 지지부 몸체(191)의 일면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치형(193)이 형성되는 회전 치형부(192)를 포함한다.
종아리 지지부 몸체(191)는, 사용자의 종아리 등이 종아리 지지부 몸체(191)에 접촉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편안한 감촉을 제공하도록 내측에 솜 등의 완충재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아리 지지부 몸체(191)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표면에 가죽 또는 비닐 등이 부착될 수 있다.
회전 치형부(192)는 종아리 지지부 몸체(191)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치형부(192)가 2개로 마련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 치형(193)은 2개의 회전 치형부(19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2개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몸체부(110)는 종아리 지지부(190)를 회전시키기 위한 종아리 지지부 회전부(121)를 포함한다. 종아리 지지부 회전부(121)는, 종아리 지지부 몸체(191)의 치형(193)과 치형 결합하는 스퍼 기어(122)와, 스퍼 기어(12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치형(193)이 2개의 회전 치형부(192) 모두에 형성되는 경우 종아리 지지부 회전부(121)는 대응하도록 2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치형(193)이 2개의 회전 치형부(19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경우 종아리 지지부 회전부(121)는 치형(193)이 형성된 회전 치형부(192)에 인접하도록 1개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모터(123)의 제어 및 종아리 지지부 몸체(191)의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종아리 지지부 회전부(121)는 1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후술하는 제2 스위치(197)를 동작시켜 구동모터(123)를 구동시킴으로써 치형(193)과 치형 결합된 스퍼 기어(122)를 회전시켜 종아리 지지부 몸체(191)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123)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이며, 작은 부피에서도 보다 큰 토크(torque)를 발생하도록 기어드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치형부(192)는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베이스 몸체부(110)에 힌지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종아리 지지부 몸체(191)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140)는, 사용자가 시트부(150)에 앉은 경우 사용자의 등부를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베이스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등받이부(140)는, 베이스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호 간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등받이 프레임(141)과, 등받이 프레임(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등받이 프레임(141)에 결합되는 등받이 몸체(1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등받이 프레임(141)은 상호 간에 이격되게 2개가 마련되며, 각각의 하단에는 회전 기어(143)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기어(143)는 2개의 등받이 프레임(141) 중 어느 하나의 하단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격된 등받이 프레임(141)은 상호 간을 연결시키는 등받이 몸체(142)를 통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몸체부(110)는, 회전 기어(143)와 치형 결합하여 등받이부(140), 구체적으로 등받이 프레임(141)을 회전하기 위한 등받이부 회전부(124)를 포함한다.
등받이부 회전부(124)는, 전술한 종아리 지지부 회전부(121)와 상호 치형 결합된 상태의 기어를 회전하여 등받이 프레임(141)을 회전하는 것으로서, 회전 기어(143)와 치형 결합하는 회전구동기어(125)와, 회전구동기어(125)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구동모터(126)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구동모터(126)의 제어 및 등받이 프레임(141)의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등받이부 회전부(124)는 2개의 등받이 프레임(141) 중 회전 기어(143)가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141)에 인접하도록 1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후술하는 제1 스위치(196)를 동작하여 회전구동모터(126)를 구동함으로써 회전 기어(143)와 치형 결합된 회전구동기어(125)를 회전하여 등받이 프레임(141)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등받이 프레임(141)은 등받이 몸체(142)를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되므로 회전구동모터(126)를 구동했을 때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회전구동모터(126)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적용되며, 작은 부피에서도 보다 큰 토크(torque)를 발생하도록 기어드 모터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구동모터(123) 및 회전구동모터(126)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별도의 배터리(미도시)가 베이스 몸체부(110)에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미도시) 이외에 구동모터(123) 및 회전구동모터(126)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 공급선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150)는, 사용자가 용변을 볼 경우 사용자의 엉덩이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시트(152)와, 시트(152)의 하면에 마련되는 공기튜브(151)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트부(150)는 베이스 몸체부(1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베이스 몸체부(110)에는 시트(152)의 회전축(미도시)이 삽입되는 수직장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직장공(미도시)은 베이스 몸체부(11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시트부(150)를 베이스 몸체부(110)에 결합하는 경우, 공기튜브(151)는 베이스 몸체부(110)의 공기튜브 안착단(111)에 안착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튜브(151)는, 공기튜브 본체(153)와, 공기튜브 본체(153)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안착에 의한 공기튜브 본체(153)의 가압시 공기튜브 본체(153)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공기튜브 본체(153)의 미가압시 외부 공기가 공기튜브(151) 내측으로 유입하도록 하는 공기튜브 마개(154)와, 공기튜브 본체(153)와 공기호스(161)의 결합부위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안착에 의한 공기튜브 본체(153)의 가압시 공기튜브 본체(153) 내측의 공기가 공기호스(161)로 유입되도록 개방되는 공기튜브 공기공급 마개(15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튜브 본체(153)는 대략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시트(152)와 대응하도록 대략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두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튜브 본체(153)는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통상의 자바라(zabara)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자 시트(152)에 안착한 경우, 공기튜브 본체(153)는 사용자의 중량에 의해 가압되어 두께 방향으로 수축하는 상태가 되며, 반대로 사용자가 시트(152)로부터 일어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어 두께 방향으로 팽창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튜브 본체(153)의 팽창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공기튜브 본체(153) 내측에 스프링(156)이 더 마련된다.
이러한 스프링(156)은 통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스프링(156)은 그 상단부 및 하단부가 공기튜브 본체(153)의 내측 상면 및 내측 저면에 접촉하도록 공기튜브 본체(153) 내부에 구비된다.
공기튜브 마개(154)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2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시트(152)에 앉은 상태에서 일어나는 경우 외부의 공기는 공기튜브 마개(154)를 통해 공기튜브 본체(153) 내측으로 유입되는데 스프링(156)의 탄성력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공기튜브 공기공급 마개(155)는 폐쇄된 상태를 갖는다.
한편,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자 시트(152)에 앉는 경우, 공기튜브 본체(153)는 사용자의 중량에 의해 수축하게 되며 이때 공기튜브 마개(154)는 폐쇄되어 공기튜브 본체(153) 내측의 공기가 공기호스(161)가 아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튜브 본체(153)가 수축하는 경우 공기튜브 공기공급 마개(155)는 개방된 상태를 갖게 되며, 공기튜브 본체(153) 내측의 공기는 개방된 상태의 공기튜브 공기공급 마개(155)를 거쳐 공기호스(161)로 유입된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공기호스(161)로 유입된 공기는 물통부(160)로 유입된 후 물통부(16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 물공급 호스(181)로 유입되도록 한 후 최종적으로 분사노즐부(180)를 통해 사용자의 엉덩이부를 향해 분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튜브 본체(153) 상에 안착하는 사용자의 몸무게 등이 작은 경우, 공기튜브 본체(153)로부터 물통부(160)로의 공기 유입을 보완하여 사용자의 몸무게 등에 크게 상관없이 물통부(160)로 충분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별도의 보조공기유입부(157)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보조공기유입부(157)는 베이스 몸체부(110)에 설치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 등으로 쉽게 누를 수 있는 푸쉬바(158)와, 푸쉬바(158)를 수용하며 물통부(160)와 보조 공기튜브(159)를 통해 연결되는 보조공기유입몸체(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푸쉬바(158)를 가압하는 경우 보조 공기튜브(159)를 통해 물통부(160)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공기유입몸체(미도시) 내에는 공기압축에 의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통상의 공기압축식 분무기, 공기압축식 분사기 등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조 공기튜브(159)는 물통 본체(164)와 별도의 보조 마개(176)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 마개(176)를 생략한 채 보조 공기튜브(159)는 공기튜브(151)와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푸쉬바(158)를 가압함에 따라 물통부(160)로 추가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튜브 본체(153)만으로 물통부(160) 측으로 충분한 공기가 유입되기 힘든 경우 이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통부(160)는, 베이스 몸체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은 시트부(150)의 공기튜브(151)와는 공기호스(161)를 통해 연결되며 타측은 물공급 호스(181)를 통해 분사노즐부(180)와 연결된다.
한편, 도 3,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몸체부(110)의 후방 영역에는 물통부(160)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물통부 삽입홈(127)이 형성되며, 물통부 삽입홈(127)의 바닥면에는 물통부(160)의 하부 영역,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결합부(163)가 삽입되도록 물통부 체결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물통부 체결홈(128)을 형성하는 일측 벽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공에는 물공급 호스(181)가 결합된다. 관통공(미도시)와 물공급 호스(181)의 상호 연결부위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패킹(미도시) 등이 마련됨은 물론이다.
도 3,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통부(160)는, 상부에 물 주입구(16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물통부 체결홈(128)에 삽입되는 결합부(163)가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물이 수용되는 물통 본체(164)와, 물통 본체(164)의 물 주입구(16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호스(161)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주입마개(165)와, 물 주입구(162)의 일측에 마련되어 공기호스(161)를 통해 공기가 물통 본체(164) 내측 방향으로 유입하는 경우 개방되는 마개(166)와, 물통 본체(164)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압축 스프링(167)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압축 스프링(167)의 압축 또는 팽창(즉,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따라 결합부(163) 내측의 물 배출구(168)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차단마개부(169)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물통 본체(164)로부터 주입마개(165)를 분리한 후 물 주입구(162)를 통해 물통 본체(164) 내측 공간으로 물을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주입마개(165)에는 공기호스(161)로부터 물통 본체(164)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밀 유지를 위한 고무패킹(171) 등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통 본체(164)의 하부에는 돌출된 결합부(163)가 형성되며, 결합부(163)는 내측이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물 배출구(168)를 형성한다. 한편, 결합부(163)의 내측 영역에는 압축 스프링(167)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부(172)가 마련되어 있으며 스프링 지지부(172)에는 물통 본체(164) 내부에 수용된 물이 물 배출구(168)를 경유한 후 물공급 호스(181)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물공급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차단마개부(169)는, 이동바(173)와, 이동바(173)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단마개(174)를 포함한다. 이동바(173)의 하단에는 단면이 확장되는 확장부(175)가 마련되어 있으며, 압축 스프링(167)은 그 일단이 스프링 지지부(172)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확장부에 접촉하면서 이동바(173)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부(163) 내측에 마련된다.
한편, 물통부 체결홈(128)에는 돌출된 형상의 가압봉(129)이 더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몸체부(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물통부(160)를 베이스 몸체부(110)에 결합하고자 물통부(160)를 물통부 삽입홈(127) 및 물통부 체결홈(128)에 삽입할 경우, 이동바(173)는 가압봉(129)에 의해 가압되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차단마개(174)는 물 배출구(168)를 개방시키게 되며 물통 본체(164) 내측의 물은 공기호스(161)를 통해 물통 본체(164)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가압된 후 물 배출구(168)를 경유하여 고속으로 물공급 호스(181)로 유입된다. 한편, 사용자가 베이스 몸체부(110)로부터 물통부(160)를 분리할 경우 압축 스프링(16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바(173)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차단마개(174)는 물 배출구(168)를 폐쇄하여 물통 본체(164)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물통부(160)와 분사노즐부(180)를 연결하는 물공급 호스(181)는, 그 일단이 물통부 체결홈(128) 내측의 공간과 연통하도록 물통부 체결홈(128)을 형성하는 측벽에 관통 결합된다. 여기서, 물공급 호스(181)와 물통부 체결홈(128) 사이의 결합부위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고무패킹(미도시)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공급 호스(181)에는 물통부(160)에 수용된 물이 선택적으로 분사노즐부(180)를 통해 분사되도록, 즉 물공급 호스(181)의 유로 개방을 온/오프(ON/OFF)하도록 온오프 밸브(195)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온오프 밸브(195)는 볼 밸브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140)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즉, 회전구동기어(125)를 회전하도록 회전구동모터(126)에 동작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스위치(196)와, 종아리 지지부(190)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즉, 스퍼 기어(122)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123)에 동작 전원을 인가하는 제2 스위치(197)와, 전술한 온오프 밸브(195)는 하나의 제어기 본체(198)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기 본체(198)는 베이스 몸체부(11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시트(152)에 앉은 상태에서 제1 스위치(196) 및 제2 스위치(197)를 동작시켜 등받이 프레임(141), 종아리 지지부 몸체(191)의 회전 상태를 조절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온오프 밸브(195)를 동작시켜 물공급 호스(181)의 물이 선택적으로 분사노즐부(180)를 통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노즐부(180)는 물공급 호스(181)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물공급 호스(181)의 타단이 연결된 케이스(182)와, 케이스(182) 내부에 장착되어 물공급 호스(181)을 통하여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이동하는 분사구(183)와, 분사구(183)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84)을 포함한다. 한편, 분사구(183)에는 다수개의 분사공(185)이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공급 호스(181)에는 필터(186)가 설치된다. 이러한 필터(186)는 워터 필터로서 물통부(160)와 분사노즐부(180) 사이에 설치되어 물이 분사노즐부(18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기 전에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게 된다. 따라서 분사노즐부(180)를 통해 보다 정화된 상태의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유아 및 환자 등과 같이 오염물질에 대해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좌변기를 사용할 경우 필터(186)를 통해 보다 정화된 상태의 물이 분사노즐부(180)를 통해 분사되므로 건강상에 불이익이 가해지는 것을 보다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의 작동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시트(152)에 앉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공기튜브(151)는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며, 공기튜브 공기공급 마개(155)는 폐쇄된 상태를 갖는다. 이때, 물통 본체(164)에는 일정 이상의 물이 수용되어 있다.
다음,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자 시트(152)에 앉으면 공기튜브(151)는 수축하게 되고 이때 공기튜브 공기공급 마개(155)가 개방되면서 공기튜브(151) 내측의 공기가 공기호스(161)를 경유한 후 물통 본체(164)로 유입된다.
물통 본체(164)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물통 본체(164) 내측 공간의 공기압을 상승하게 되며, 물통 본체(164) 내부의 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승된 공기압에 의해 가압되어 물공급 호스(181)로 유입된다. 이때, 사용자가 온오프 밸브(195)를 개방하면 물공급 호스(181) 내측의 물은 최종적으로 분사노즐부(18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덧붙여, 사용자는 제1 스위치(196)를 동작시켜 등받이 프레임(141)이 베이스 몸체부(110)의 후방 측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 스위치(197)를 동작하여 종아리 지지부 몸체(191)가 베이스 몸체부(110)의 전방 측을 향해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절첩시트(117)를 펼쳐서 의자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141)과 종아리 지지부 몸체(191)를 회전시키면 사용자는 절첩시트(117)에 앉은 상태에서 좀 더 편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10: 베이스 몸체부 111: 공기튜브 안착단
115: 이동바퀴 116: 용변 수납함
117: 절첩시트 121: 종아리 지지부 회전부
122: 스퍼 기어 123: 구동모터
124: 등받이부 회전부 125: 회전구동기어
126: 회전구동모터 127: 물통부 삽입홈
128: 물통부 체결홈 129: 가압봉
140: 등받이부 141: 등받이 프레임
143: 회전 기어 150: 시트부
151: 공기튜브 152: 시트
154: 공기튜브 마개 156: 스프링
160: 물통부 161: 공기호스
163: 결합부 167: 압축 스프링
169: 차단마개부 172: 스프링 지지부
173: 이동바 174: 차단마개
175: 확장부 180: 분사노즐부
181: 물공급 호스 183: 분사구
184: 복귀스프링 185: 분사공
190: 종아리 지지부 191: 종아리 지지부 몸체
192: 회전 치형부 193: 치형
195: 온오프 밸브 196: 제1 스위치
197: 제2 스위치 198: 제어기 본체
115: 이동바퀴 116: 용변 수납함
117: 절첩시트 121: 종아리 지지부 회전부
122: 스퍼 기어 123: 구동모터
124: 등받이부 회전부 125: 회전구동기어
126: 회전구동모터 127: 물통부 삽입홈
128: 물통부 체결홈 129: 가압봉
140: 등받이부 141: 등받이 프레임
143: 회전 기어 150: 시트부
151: 공기튜브 152: 시트
154: 공기튜브 마개 156: 스프링
160: 물통부 161: 공기호스
163: 결합부 167: 압축 스프링
169: 차단마개부 172: 스프링 지지부
173: 이동바 174: 차단마개
175: 확장부 180: 분사노즐부
181: 물공급 호스 183: 분사구
184: 복귀스프링 185: 분사공
190: 종아리 지지부 191: 종아리 지지부 몸체
192: 회전 치형부 193: 치형
195: 온오프 밸브 196: 제1 스위치
197: 제2 스위치 198: 제어기 본체
Claims (20)
- 배출홀 및 상기 배출홀 주변에 형성되는 공기튜브 안착단을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부;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에는 상기 공기튜브 안착단에 안착 결합되도록 공기튜브가 마련되는 시트부;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공기튜브와 공기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물통부; 및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물통부와 물공급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물통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에 안착한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종아리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아리 지지부 몸체; 및
상기 종아리 지지부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치형이 형성되는 회전 치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는 상기 종아리 지지부를 회전하기 위한 종아리 지지부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 지지부 회전부는,
상기 치형과 치형 결합하는 스퍼 기어; 및
상기 스퍼 기어를 회전하게 하여 상기 종아리 지지부 몸체를 회전하게 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치형부는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등받이 프레임;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등받이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하단에는 회전 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는 상기 회전 기어와 치형 결합하여 상기 등받이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등받이부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회전부는,
상기 회전 기어와 치형 결합하는 회전구동기어; 및
상기 회전구동기어를 회전하여 상기 등받이부를 회전하는 회전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는 상기 물통부를 삽입하기 위한 물통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물통부 삽입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물통부의 하부 영역이 삽입되도록 물통부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부는,
상부에 물 주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물통부 체결홈에 삽입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물이 수용되는 물통 본체;
상기 물통 본체의 물 주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공기호스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주입마개;
상기 물 주입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호스를 통해 공기가 상기 물통 본체 측으로 유입하는 경우 개방되는 마개; 및
상기 물통 본체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압축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축 또는 팽창에 따라 상기 결합부 내측의 물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차단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마개부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단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부 체결홈에는 가압봉이 더 마련되며, 상기 물통부를 상기 물통부 삽입홈 및 상기 물통부 체결홈에 삽입한 경우, 상기 이동바는 상기 가압봉에 의해 가압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호스의 일단은 상기 물통부 체결홈 내측의 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물통부 체결홈을 형성하는 측벽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튜브는,
공기튜브 본체;
상기 공기튜브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튜브 본체의 가압시 상기 공기튜브 본체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공기튜브 본체의 미가압시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튜브 내측으로 유입하도록 하는 공기튜브 마개; 및
상기 공기튜브 본체와 상기 공기호스의 결합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튜브 본체의 가압시 상기 공기튜브 본체 내측의 공기가 상기 공기호스로 유입되도록 개방되는 공기튜브 공기공급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튜브 본체는 두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기튜브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공기튜브 본체의 내측 상면과 내측 저면에 접촉하도록 스프링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호스에는 상기 물통부에 수용된 물이 선택적으로 상기 분사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도록 상기 물공급 호스의 유로 개방을 온/오프(ON/OFF)하는 온오프 밸브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종아리 지지부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와, 상기 온오프 밸브는 하나의 제어기 본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을 경유한 사용자의 용변을 수거하는 용변 수납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는, 복수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이동바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절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절첩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호스에는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부로 외부의 공기를 추가로 유입시키는 보조공기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3348A KR20120041927A (ko) | 2010-10-22 | 2010-10-22 |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3348A KR20120041927A (ko) | 2010-10-22 | 2010-10-22 |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1927A true KR20120041927A (ko) | 2012-05-03 |
Family
ID=4626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3348A KR20120041927A (ko) | 2010-10-22 | 2010-10-22 |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4192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22319A (ja) * | 2014-07-24 | 2016-02-08 | 株式会社幸和製作所 | ポータブルトイレ |
KR20170021550A (ko) | 2015-08-18 | 2017-02-28 | 하상균 | 질 또는 항문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핸드비데 |
KR20170037204A (ko) | 2015-09-25 | 2017-04-04 | 하상균 | 세정수 분사용 압축기를 구비한 착탈식 핸드비데 |
-
2010
- 2010-10-22 KR KR1020100103348A patent/KR20120041927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22319A (ja) * | 2014-07-24 | 2016-02-08 | 株式会社幸和製作所 | ポータブルトイレ |
KR20170021550A (ko) | 2015-08-18 | 2017-02-28 | 하상균 | 질 또는 항문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핸드비데 |
KR20170037204A (ko) | 2015-09-25 | 2017-04-04 | 하상균 | 세정수 분사용 압축기를 구비한 착탈식 핸드비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3055B1 (ko) |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 |
KR19990029230A (ko) | 변기가 부착된 환자용 의자겸용 침대 | |
JP2007037608A (ja) | 浴室用折り畳み椅子 | |
WO2019233430A1 (zh) | 可折叠盛装容器、可折叠婴儿床及其可折叠支撑架 | |
CN110464236A (zh) | 一种坐式淋浴设备座椅装置及座椅折叠方法 | |
KR20210020948A (ko) | 비데 샤워기를 갖는 변기 | |
KR20120041927A (ko) | 비데 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좌변기 | |
KR20180007831A (ko) |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절첩식 휠체어 | |
CN208286927U (zh) | 一种折叠淋浴坐便椅 | |
KR102345519B1 (ko) |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 |
JP6841284B2 (ja) | 乗り物用化粧室ユニット | |
CN209891284U (zh) | 一种两用马桶 | |
KR100807347B1 (ko) | 유아용 변기 | |
KR100815399B1 (ko) | 오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좌변기 | |
KR102229198B1 (ko) | 휴대용 화장실로 사용 가능한 접이식 의자가 부착된 생존가방 | |
JP2018174970A (ja) | チェアガード及び乳幼児用いす | |
KR200399753Y1 (ko) | 휴대용 좌변기 | |
JP3118539B2 (ja) | 身体洗浄装置 | |
JP3787937B2 (ja) | シャワー装置 | |
KR20170091291A (ko) | 양변기 | |
JP3690210B2 (ja) | 携帯用シャワー装置 | |
JP6358714B2 (ja) | ミストシャワー入浴装置 | |
CN210383716U (zh) | 一种适用于老年人的洗浴护理设施 | |
KR970001509Y1 (ko) | 이동형 간이양변의자 | |
KR20110009274U (ko) | 유아용 다용도 욕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