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336B1 -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336B1
KR100439336B1 KR10-2002-0017044A KR20020017044A KR100439336B1 KR 100439336 B1 KR100439336 B1 KR 100439336B1 KR 20020017044 A KR20020017044 A KR 20020017044A KR 100439336 B1 KR100439336 B1 KR 100439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t
receiving plate
sanitary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174A (ko
Inventor
성정민
Original Assignee
성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정민 filed Critical 성정민
Priority to KR10-2002-0017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336B1/ko
Priority to CNA028088883A priority patent/CN1527681A/zh
Priority to PCT/KR2002/000760 priority patent/WO2002087405A1/en
Publication of KR20030078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05Auxiliary or portable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용공간을 갖는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좌판과, 상기 좌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을 덮어주는 덮개와, 상기 좌판과 덮개 사이에 소변을 받을 수 있게 설치된 받이판과,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받이판에 설치된 위생시트로 이루어진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이판의 중앙이 개구되도록 상기 받이판의 후방 및 양측방을 전방으로 절결하여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받이판에는 소변이 외부로 튀지 못하도록 상기 위생시트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좌변기의 좌판과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받이판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받이판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재료의 절감 및 받이판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좌변기의 두께 및 전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받이판에 세정부재를 설치하여 좌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A SANITARY SUPPORTING DEVICE FOR A SEAT CHAMBER POT}
본 발명은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좌판과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받이판의 구조를 변경하여 받이판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뿐만 아니라 받이판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좌변기의 두께 및 전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화장실은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주요 생활공간으로 인식되어 있는 바,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는 점차 서구화되는 추세에 따라 일반적으로 좌변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이와 같은 좌변기는 남성화장실일 경우 남성들은 소변기가 부족때 좌변기에 소변을 보게 되는데, 소변을 볼시 좌판에 오물이 묻지 않도록 덮개와 좌판을 상측으로 제쳐놓고 난 후 소변을 보아야 하는데, 대부분의 남성들은 공중 화장실의 좌변기의 불결함 때문에 좌변기의 좌판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꺼려하게 되어 좌판을 상측으로 제치지 않고 소변을 보게 되고 이로 인해 소변의 일부가 튀면서 좌판에 묻게 되었을 뿐더러 소변이 좌변기의 외부로 튀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나 기타 물품에 묻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1과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된 국내 특허출원 제 2001-22686호(명칭 :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을 볼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변기본체(20)와, 상기변기본체(2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판(30)과, 상기 좌판(3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좌판(30)을 덮어줄 수 있도록 된 덮개(60)로 이루어진 좌변기(10)에 있어서, 상기 좌판(3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소변을 받을 수 있게 받이홈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받이홈부(41)의 일측으로는 소변이 상기 수용공간(22)으로 흐를 수 있게 배출공(42)이 형성된 받이판(4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받이판(40)의 외측면과 상기 덮개(60)의 내측면에 위생시트(5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위생시트(50)에 의해 소변이 좌판(30)에 묻지 않게 되지만, 받이판(40)을 두껍게 제작해야되고, 위생시트(50)가 상기 받이판(40)의 외측면과 상기 덮개(6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어 좌변기(10)의 두께가 두꺼워질 뿐만 아니라 전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좌변기의 좌판과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받이판의 구조를 변경하여 받이판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뿐만 아니라 받이판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좌변기의 두께 및 전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수용공간을 갖는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좌판과, 상기 좌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을 덮어주는 덮개와, 상기 좌판과 덮개 사이에 소변을 받을 수 있게 설치된 받이판과,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받이판에 설치된 위생시트로 이루어진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이판의 중앙이 개구되도록 상기 받이판의 후방 및 양측방을 전방으로 절결하여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받이판에는 소변이 외부로 튀지 못하도록 상기 위생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종래 화장실에 설치된 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좌변기 110 : 변기본체
112 : 수용공간 120 : 좌판
130 : 받이판 132 : 가이드부
134 : 보조 가이드부 140 : 위생시트
142 : 주름부 150 : 덮개
160 : 급수관 170 : 세정부재
171 : 배출공 176 :보조 급수관
177 :작동스위치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좌변기(100)는 변기본체(110)와, 좌판(120)과, 받이판(130)과, 위생시트(140) 및 덮개(150)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변기본체(110)는 용변을 볼 수 있게 수용공간(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판(120)은 상기 변기본체(1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방부가 개구된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이판(130)은 상기 좌판(12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중앙이 개구되어 개구부(131)가 형성될 수 있게 상기 받이판(130)의 후방 및 양측방을 전방으로 절결하여 가이드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부(132)의 전방과 상기 받이판(130)의 전방에는 상기 가이드부(132)가 접힐 수 있게 접힘선(13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32)의 후방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부(132)가 일정 각도 경사질 수 있도록 보조 가이드부(134)가 경첩(135)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보조 가이드부(134)는 상기 변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채워진 물에 닿지 않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받이판(130)은 상기 좌판(120)에 형합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생시트(140)는 좌변기(100)에 소변시 소변이 사용자의 신체 및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 시켜 주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132)와 받이판(130)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위생시트(140)에 의해 가이드부(132)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생시트(140)는 투명한 비닐수지 또는 셀로판지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덮개(150)는 상기 좌판(12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받이판(130)과 좌판(120) 및 변기본체(110)를 덮어주게 된다.
이하, 미설명부호 (115)은 상기 변기본체(110)의 후방에 형성되어 변기본체(110)에 물을 공급하는 수조이고, (117)은 상기 변기본체(110)에 상기 좌판(120)과 받이판(130) 및 덮개(150)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변기본체(110)의 상부에 좌판(120)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좌판(120)의 상부에는 상기 받이판(130)과 상기 덮개(15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런 다음 위생시트(140)를 받이판(130)과 가이드부(132)에 부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부(132)는 접힘선(139)을 기점으로 후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가이드부(134)는 변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채워진 물과 닿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면 수조(115)에 물이 채워질 수 있게 급수관(160)을 상기 수조(115)에 연결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남성이 좌변기(100)에 소변을 보고자 할 경우 상기 덮개(150)를 상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덮개(150)가 상측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32)는 접힘선(139)을 기점으로 후방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소변을 보면 소변은 상기 받이판(130)의 가이드부(132)에 낙하되고, 상기 받이판(130)의 가이드부(132)에 낙하된 소변은 위생시트(140)가 부착된 상기 가이드부(132)의 후방으로 흐르면서 상기 변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2)으로 낙하하게 됨으로써 소변이 좌판(120)에 묻지 않게 되어 좌변기(100)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 기술보다 받이판(130)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재료의 절감 및 받이판(130)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좌변기(100)의 전체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써, 이는 받이판(130)에 다수의배출공(171)이 형성된 세정부재(170)가 부착되고, 상기 세정부재(170)에는 작동스위치(177)가 구비되고 그 일단이 상기 변기본체(110)의 후방에 설치된 수조(115)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60)에 연결 설치된 보조 급수관(176)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 급수관(176)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공(171)을 통해 배출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받이판(130)과 가이드부(132)에는 위생시트(14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세정부재(170)는 상기 받이판(130)의 가장 자리에 형합되도록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남성이 좌변기(100)에 소변을 보고자 할 경우 상기 덮개(150)를 상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덮개(150)가 상측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32)는 접힘선(139)을 기점으로 후방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소변을 보면 소변은 상기 받이판(130)의 가이드부(132)에 낙하되고, 상기 받이판(130)의 가이드부(132)에 낙하된 소변은 위생시트(140)가 부착된 상기 가이드부(132)의 후방으로 흐르면서 상기 변기본체(110)의 수용공간(112)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한 소변의 용무가 완료되면 작동스위치(177)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물은 보조 급수관(176)을 통해 세정부재(170)으로 이동하고, 상기 세정부재(170)로 유입된 물은 물의 압력에 의해 다수의 배출공(171)을 통해 배출되면서 받이판(130)으로 이동하고, 상기 받이판(130)으로 이동된 물은 위생시트(140)에 묻은 소변이나 이물질을 세척하게 되는 것으로, 좌변기(100)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변기(100)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로써, 이는 받이판(130)과 가이드부(132)에 부착되는 위생시트(140)에 다수의 주름부(142)가 형성되도록 주름지게 형성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에 따르면 좌변기를 이루는 좌판과 덮개 사이에 중앙이 개구되도록 후방 및 양측방을 전방으로 절결하여 가이드부를 형성된 받이판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받이판에는 소변이 외부로 튀지 못하도록 상기 위생시트가 부착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좌변기의 좌판과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받이판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받이판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재료의 절감 및 받이판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좌변기의 두께 및 전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받이판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세정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세정부재에는 작동스위치가 구비되고 그 일단이 상기 변기본체의 후방에 설치된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에 연결 설치된 보조 급수관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 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변후 좌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변기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수용공간(112)을 갖는 변기본체(110)와, 상기 변기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좌판(120)과, 상기 좌판(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120)을 덮어주는 덮개(150)와, 상기 좌판(120)과 덮개(150) 사이에 소변을 받을 수 있게 설치된 받이판(130)과,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받이판(130)에 설치된 위생시트(140)로 이루어진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이판(130)의 중앙이 개구되도록 상기 받이판(130)의 후방 및 양측방을 전방으로 절결하여 가이드부(132)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132)와 상기 받이판(130)에는 소변이 외부로 튀지 못하도록 상기 위생시트(14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이판(130)에는 다수의 배출공(171)이 형성된 세정부재(170)가 부착되고, 상기 세정부재(170)에는 작동스위치(177)가 구비되고 그 일단이 상기 변기본체(110)의 후방에 설치된 수조(115)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60)에 연결 설치된 보조 급수관(176)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 급수관(176)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공(171)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10-2002-0017044A 2001-04-26 2002-03-28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100439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044A KR100439336B1 (ko) 2002-03-28 2002-03-28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CNA028088883A CN1527681A (zh) 2001-04-26 2002-04-25 抽水马桶的清洁装置
PCT/KR2002/000760 WO2002087405A1 (en) 2001-04-26 2002-04-25 Sanitizing apparatus for a toile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044A KR100439336B1 (ko) 2002-03-28 2002-03-28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272U Division KR200278508Y1 (ko) 2002-03-28 2002-03-28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174A KR20030078174A (ko) 2003-10-08
KR100439336B1 true KR100439336B1 (ko) 2004-07-07

Family

ID=3237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044A KR100439336B1 (ko) 2001-04-26 2002-03-28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850B1 (ko) 2006-12-18 2007-11-07 박종음 양변기용 남성소변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719A (ja) * 1989-07-21 1991-03-11 Fujikura Ltd 酸化物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5182818A (en) * 1991-08-06 1993-02-02 Nawoj John P Child commode seat apparatus
US5412815A (en) * 1994-05-31 1995-05-09 Gordon Ellis And Company Toilet seats
WO1997041765A1 (en) * 1996-05-07 1997-11-13 Advies-En Realisatieburo 'op Maat' Device for mounting above a toilet pot, and a toilet assembly
JP2000087414A (ja) * 1998-09-08 2000-03-28 Tatsuo Goto 飛散防止板付き便座
KR200240467Y1 (ko) * 2001-04-26 2001-10-12 성정민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719A (ja) * 1989-07-21 1991-03-11 Fujikura Ltd 酸化物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5182818A (en) * 1991-08-06 1993-02-02 Nawoj John P Child commode seat apparatus
US5412815A (en) * 1994-05-31 1995-05-09 Gordon Ellis And Company Toilet seats
WO1997041765A1 (en) * 1996-05-07 1997-11-13 Advies-En Realisatieburo 'op Maat' Device for mounting above a toilet pot, and a toilet assembly
JP2000087414A (ja) * 1998-09-08 2000-03-28 Tatsuo Goto 飛散防止板付き便座
KR200240467Y1 (ko) * 2001-04-26 2001-10-12 성정민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850B1 (ko) 2006-12-18 2007-11-07 박종음 양변기용 남성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174A (ko)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29153S1 (en) Tank for a water closet
GB1595026A (en) Combination water closet and bidet
WO2008136015A2 (en) Splashless european commode with invisibility / w.c. / toilet / sanitary ware and indian floor mounted toilet pan with invisibility
JP4064994B2 (ja) バキューム式トイレ装置
USD540449S1 (en) Toilet seat urine shield
USD471621S1 (en) Tank for water closet
JP2010037903A (ja) 洋式便器
KR100439336B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0278508Y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WO2009006781A1 (fr) Urinoir rotatif
KR200240467Y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JP2007167599A (ja) 男性用小型便器収納便座
KR20020083266A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0381519Y1 (ko) 좌변기의 일회용 변기커버
KR102480617B1 (ko) 소변 비산 방지장치
USD507045S1 (en) Commode chair
KR102503449B1 (ko) 소변튐 방지 좌변기
JP3859061B2 (ja) 洋風水洗式便器
WO2002087405A1 (en) Sanitizing apparatus for a toilet bowl
KR200333392Y1 (ko) 일회용 변기시트 커버
JP5028928B2 (ja) トイレの手洗い装置
JPH10276936A (ja) 洋式トイレの男性小用便蓋及び洗浄式便座・便蓋
JPH09324455A (ja) 洗浄水ロータンク付大小便兼用トイレ
KR200250682Y1 (ko) 변기뚜껑 닫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