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682Y1 - 변기뚜껑 닫힘장치 - Google Patents

변기뚜껑 닫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682Y1
KR200250682Y1 KR2020010021973U KR20010021973U KR200250682Y1 KR 200250682 Y1 KR200250682 Y1 KR 200250682Y1 KR 2020010021973 U KR2020010021973 U KR 2020010021973U KR 20010021973 U KR20010021973 U KR 20010021973U KR 200250682 Y1 KR200250682 Y1 KR 200250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lid
toilet bowl
push ro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홍선
인영만
Original Assignee
인홍선
인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홍선, 인영만 filed Critical 인홍선
Priority to KR2020010021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682Y1/ko

Links

Landscapes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통부(a)와 뚜껑(c)을 구비하는 변기부(b)로 구성되는 공지의 양변기(A)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A)의 물통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레버(100)의 몸통부(110)에 오목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11)에는 밀대(130)가 수평상태로 설치되어지며, 상기 밀대(130)는 변기 물통부에 형성된 부착판(200)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되어 변기뚜껑의 배면을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 밀판(300)의 경사면(320)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진 변기뚜껑닫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변기사용자들이 귀찮다는 이유로 내려놓질 않는 변기뚜껑을 무조건 용변후에는 항상 닫아둘 수 있도록 구성하되 물 내리는 한번의 동작만으로도 변기의 뚜껑까지 닫히도록 하므로써 다음 변기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게 되며, 언제나 변기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변기뚜껑 닫힘장치{Closer of toilet bowl cover}
본 고안은 변기뚜껑닫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을 내리기 위해 레버를 누르는 한번의 동작만으로도 변기뚜껑을 닫을 수 있도록 하기위한 변기뚜껑 닫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변기에는 대개 뚜껑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은 남자들의 용변시에는 방해가 되므로 남자들은 상기 뚜껑을 열어 둔 상태에서 용변을 보게된다.
그러나 대개의 변기 사용자들은 열어 둔 뚜껑을 귀찮다는 이유로 내려놓질 않아 다음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변기가 청결해 보이질 않게 된다.
또 뚜껑이 오픈된 상태에서는 화장실 냄새가 변기 밖으로 누출되는 단점을 갖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변기가 갖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은 변기의 레버의 몸통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에는 밀대가 수평상태로 내장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밀대는 변기물통에 형성된 부착판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밀판의 경사면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변기뚜껑 닫힘장치 10: 레버고정구
100: 레버(lever) 110: 몸통부
111: 오목부 112: 요홈
120: 손잡이 130: 밀대(push-bar)
131: 고정링 132: 와셔
133: 나사 200: 부착판
210: 접착테이프 220: 힌지부
230: 축 300: 밀판(push-board)
310: 힌지부 320: 경사면
330: 바퀴 340: 축
A: 양변기 a: 물통부
b: 변기부 c: 변기뚜껑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 변기뚜껑 닫힘장치(1)는 물통부(a)와 뚜껑(c)을 구비하는 변기부(b)로 구성되는 공지의 양변기(A)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A)의 물통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레버(100)의 몸통부(110)에 오목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11)에는 밀대(130)가 수평상태로 설치되어지며, 상기 밀대(130)는 변기 물통부에 형성된 부착판(200)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되어 변기뚜껑의 배면을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 밀판(300)의 경사면(320)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밀대(130)는 원형의 고정링(131)과 일단에 길게 뻗은 막대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링(131)을 레버(100)의 오목부(111)에 내장하고 막대는 요홈(112)에 끼운 상태로 고정시켜 와셔(132)와 나사(133)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부착판(200)은 배면에 접착테이프(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100)로 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물통부의 표면에 설치되어진다.
상기 부착판(200)에는 힌지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에는 밀판(300)의 힌지부(310)가 축(230)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어진다.
상기 밀판(300)의 안쪽면에는 아래는 폭이 좁고, 윗부분은 폭이 넓은경사면(320)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경사면(320)과 밀대(130)의 지렛대작용에 의해 상기 밀판(300)이 구동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밀판(300)의 하단부에는 바퀴(330)가 축(340)에 의해 결합되어질 수도 있는데 상기 바퀴(330)는 밀판(300)이 변기뚜껑을 밀때 마찰력을 줄이고자 할 때 필요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가 용변후 레버(100)의 손잡이(120)을 아랫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반대편에 형성된 밀대(130)는 윗방향으로 들리게 되고, 이때 경사면(320)의 하부에 위치해 있던 밀대(130)가 들리면서 폭이 넓은 부분의 경사면(320)을 밀게 되므로 결국 밀판(300)은 상기 밀판(300)에 기대져 있는 상태의 변기뚜껑(c)을 전방으로 밀게 되어 결국 뚜껑은 중력에 의해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변기뚜껑(c)이 중력에 의해 변기 상단에 떨어지는 순간 상당한 충격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변기뚜껑의 저면에 스펀지나 고무와 같은 충격완충수단(40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변기사용자들이 귀찮다는 이유로 내려놓질 않는 변기뚜껑을 무조건 용변후에는 항상 닫아둘 수 있도록 구성하되 물 내리는 한번의 동작만으로도 변기의 뚜껑까지 닫히도록 하므로써 다음 변기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게 되며, 언제나 변기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물통부(a)와 뚜껑(c)을 구비하는 변기부(b)로 구성되는 공지의 양변기(A)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A)의 물통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레버(100)의 몸통부(110)에 오목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11)에는 밀대(130)가 수평상태로 설치되어지며, 상기 밀대(130)는 변기 물통부에 형성된 부착판(200)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되어 변기뚜껑의 배면을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 밀판(300)의 경사면(320)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뚜껑 닫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300)의 하단부에는 바퀴(3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뚜껑 닫힘장치.
KR2020010021973U 2001-07-20 2001-07-20 변기뚜껑 닫힘장치 KR200250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973U KR200250682Y1 (ko) 2001-07-20 2001-07-20 변기뚜껑 닫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973U KR200250682Y1 (ko) 2001-07-20 2001-07-20 변기뚜껑 닫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682Y1 true KR200250682Y1 (ko) 2001-11-17

Family

ID=7310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973U KR200250682Y1 (ko) 2001-07-20 2001-07-20 변기뚜껑 닫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6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571B1 (ko) * 2012-08-16 2014-03-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의 시트커버 자동 닫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571B1 (ko) * 2012-08-16 2014-03-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의 시트커버 자동 닫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4122B2 (en) Actuator
USD485337S1 (en) Combination toilet seat and bidet set
KR100869762B1 (ko) 대소변 겸용 변기
JP2010037903A (ja) 洋式便器
KR200250682Y1 (ko) 변기뚜껑 닫힘장치
CN210043913U (zh) 一种儿童座便器
KR100596501B1 (ko) 좌변기용 시트
JP3894427B2 (ja) 洋風水洗式便器
KR200147080Y1 (ko) 화장실 변기의 자동 개방식 씨트
KR200180429Y1 (ko) 좌변기 중간덮개 개폐장치
JP2002322716A (ja) 水洗式便器
US11583148B1 (en) Toilet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a self-rising toilet seat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0439336B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0337235Y1 (ko) 좌변기용 시트
KR200406358Y1 (ko) 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KR200240467Y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JPH03187431A (ja) 便器
KR200278508Y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JP3346210B2 (ja) 手洗付ロータンク
JPS5930078Y2 (ja) 簡易水洗便器の洗浄水供給装置
JP4432105B2 (ja) 便器装置
JP2002282172A (ja) 便座装置
KR200306662Y1 (ko)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
KR200259478Y1 (ko) 덮개가 장착된 좌변기
KR200216292Y1 (ko) 초 절수 개량형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