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292Y1 - 초 절수 개량형 변기 - Google Patents
초 절수 개량형 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6292Y1 KR200216292Y1 KR2020000026061U KR20000026061U KR200216292Y1 KR 200216292 Y1 KR200216292 Y1 KR 200216292Y1 KR 2020000026061 U KR2020000026061 U KR 2020000026061U KR 20000026061 U KR20000026061 U KR 20000026061U KR 200216292 Y1 KR200216292 Y1 KR 20021629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rod
- fixed
- toilet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 절수 개량형 변기에 관한 것으로, 배설물이 적치되는 변조와 연통되도록 본체의 하측에 연결된 파이프의 내주연에 상하 2단으로 설치되고 배설물의 자중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차단판을 갖는 밸브와; 상기 본체의 후단에 조립되는 베이스와; 상기 본체의 상면 후측에 고정된 커버지지구에 의해 지지되며 승하강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좌커버와; 상기 착좌커버의 후단 하면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상에 배치되어 지지축을 중심으로 시이소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후단이 내장되며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세척수가 수용되는 수조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착좌커버 및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변기에 착좌시 및 용변을 본 후 일어섰을 때 자동으로 소량의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여 변기 사용상의 편의성 증진은 물론 세척수의 소모량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초 절수 개량형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변기에 착좌시 및 용변을 본 후 일어섰을 때 자동으로 소량의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여 변기 사용상의 편의성 증진은 물론 세척수를 절수할 수 있도록 한 초 절수 개량형 변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화장실용 변기는 물을 이용하여 배설물을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처리하기 때문에 모든 현대식 건축물이나 아파트, 가옥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세식 양변기는 매우 편리하고 위생적인 반면에 물을 너무 많이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통상, 1회 사용되는 물의 양은 13ℓ정도 소요되며, 여자의 경우 자기의 변 소리를 무마시키기 위해 두번 이상 세척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통계에 의하면 매일 수세식 양변기를 통해 버려지는 물이 대략 500만톤에 육박한다고 하니 이를 1년동안 소모량으로 환산하여 본다면 실로 엄청난 양의 물이 배설물의 세척수로 낭비되고 있음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세척수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초 절수 개량형 변기를 제작, 공급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국가적 이익을 크게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종래에도 양변기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줄이기 위한 수많은 노력들이 있어 왔다.
이를테면, 등록실용 제150862호[중수도를 이용하는 절수형 양변기], 등록실용 제179569호 [절수형 변기], 등록특허 제151307호 [절수용 수세식 변기]를 비롯하여 실용공고 제96-10623호 [양변기용 버튼식 절수장치], 공개실용 제99-18528호 [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 공개실용 제98-17135호 [양변기용 절수형 대,소변 분리 개폐장치]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하고 우수한 종류의 절수형 변기들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공보들에 공개된 절수형 변기들은 거의 대부분이 양변기의 구조 자체를 바꾸지 않고 절수에 필요한 요소들을 부가하거나 혹은 세척수가 수용되는 수용조의 구조만을 단순히 바꾸는 정도에 지나지 않아 실질적인 절수기능이 미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배설물이 낙하되어 임시 저장되는 변기의 하부면에는 'U'형 혹은 'S'형의 트랩(TRAP)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아무리 수용조의 구조를 개선한다고 할 지라도 상기 트랩에 의해 갇혀져 유지되는 물 만큼은 항상 버려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대다수의 절수형 변기는 전시효과에 지나지 않으며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는 극히 미약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양변기가 갖는 트랩구조를 완전히 달피하여 2단 개폐가능한 밸브형상으로 구조를 변경함은 물론 사용자가 변기에 착좌시 및 용변을 본 후 일어섰을 때 자동으로 소량의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변기 사용상의 편의성 증진은 물론 세척수도 절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용변중 필요하다고 느낄때에 우측이나 좌측 손걸이에 부착된 작동버튼을 눌러 필요한 양의 세척수를 변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은 배설물이 적치되는 변조와 연통되도록 본체의 하측에 연결된 파이프의 내주연에 상하 2단으로 설치되고 배설물의 자중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차단판을 갖는 밸브와; 상기 본체의 후단에 조립되는 베이스와; 상기 본체의 상면 후측에 고정된 커버지지구에 의해 지지되며 승하강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좌커버와; 상기 착좌커버의 후단 하면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상에 배치되어 지지축을 중심으로 시이소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후단이 내장되며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세척수가 수용되는 수조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착좌커버 및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초 절수 개량형 변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투시하여 보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초 절수 개량형 변기에 사용된 밸브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초 절수 개량형 변기의 착좌커버 및 구동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초 절수 개량형 변기의 작동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초 절수 개량형 변기의 작동부중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착좌커버,
30 : 구동부, 40 : 하우징,
42 : 베이스, 44 : 수조,
50 : 작동부.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초 절수 개량형 변기의 설치상태 및 내부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초 절수 개량형 변기는 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착좌커버(20)와, 상기 착좌커버(2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30)와,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세척수를 일정량 배출시키도록 작동되는 작동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일반적인 양변기와 동일한 재질과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되 기존과 같은 'U'형 혹은 'S'형의 트랩이 제거된 구조를 가지며, 배설물이 낙하되는 본체(10) 내경에는 도 2의 도시와 같은 밸브(60,60')가 내장된다.
상기 밸브(60)는 두 개의 차단판(62a,62b)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밸브(60)의 하측에 위치되는 밸브(60')는 하나의 차단판(62')을 구비하고 있다.
각 차단판(62a,62b,60')의 하면 중앙에는 'U'형상의 작동부재(64)가 고정되고, 상기 작동부재(64)의 타단은 본체(10)와 연통되는 파이프(14)의 배출구(12)의 내주연을 이루는 내벽(16,18)의 하단면으로부터 각각 하향연장된 고정축(66)에 연결된다.
상기 작동부재(64)와 고정축(66)간에는 힌지(68)에 의해 작동부재(64)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작동부재(64)의 힌지(68) 인접측에는 무게추(70)가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무게추(70)는 상기 작동부재(64)를 회전자재되게 하는 구동원으로써 상기 차단판(62a,62b,62')에 압하력(배설물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항상 상기 차단판(62a,62b,62')을 상향회전시켜 상기 배출구(12)를 폐쇄하도록 작동된다.
또한, 청소의 용이성과 청소시 상기 차단판(62a,62b,62') 및 작동부재(6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차단판(62a,62b,62')이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내벽(16,18)에 지지되는 지지대(72)가 상기 작동부재(64)의 하부 일측에 경사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각 내벽(16,18)의 하단면에는 그 주연을 따라 반원형 혹은 원형상의 요입부(74)가 삼각형상을 이루며 상향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74)와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76)가 상기 차단판(62a,62b,62')상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이들이 개폐작동되면서 상호 삽입되어 완전한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변조(배설물이 적층되는 곳)로부터 발생된 악취가 역류되어 상승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특히, 상측에 설치된 밸브(60)는 두개의 차단판(62a,62b)을 갖는 바, 각 차단판(62a,62b)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되 그들의 중앙부는 상하방향으로 일부 겹치도록 배설된다.
그리고, 상측에 위치되는 차단판(62a)의 무게추(70)가 하측에 위치되는 차단판(62b)의 무게추보다 무겁게 하여 배설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두개의 차단판(62a,62b)이 개폐작동될 때에 상기 상측의 차단판(62a)이 먼저 닫힐 수 있도록 하여 줌이 바람직하다.
배설물은 상측, 하측 혹은 상,하 양측 차단판(62a,62b)에 일정량 적치되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해 무게추(70)가 밀려 회전되면서 하측 차단판(62a)이 먼저 개방되게 되고 이어 동시에 상측 차단판(62a)이 개방되면서 그 위에 안착되어 있던 배설물이 하방향으로 낙하되게 된다.
낙하와 동시에 상측 차단판(62a)이 먼저 폐쇄되게 되고 이어 하측 차단판(62b)이 폐쇄되면서 상측 밸브(60)의 개폐작동이 완료되고, 이어 낙하된 배설물이 하측 밸브(60)의 차단판(62')에 적치되게 된다.
상기 차단판(62')에서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작동이 일어나게 되고 최종적으로 배설물은 변조로 낙하되게 된다.
변조로부터 발생된 악취는 두개의 밸브(60,60')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는 바, 특히 삼각형상으로 맞물려 있는 요입부(74)와 돌출부(76)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76)의 높이에 대응되는 정도의 세척수가 잔류되게 되므로 악취의 역류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밸브(60,60')는 성형시 도시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두개의 밸브를 별도 제작하여 조립함으로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본체(10)로부터 근접거리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밸브(60,60')가 채용된 본 고안의 초 절수 개량형 변기의 설치구조는 도 3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착좌커버(2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기존의 양변기에 사용되는 착좌커버와 유사한 형상을 갖되, 그 후단부가 대략 사각형상으로 돌출되어 회전작동부(22)를 이루고 상기 회전작동부(22)의 양단에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축(24)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회전축(24)은 본체(10)의 상면 후단부에 고정된 한쌍의 커버지지구(26)에 상하유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커버지지구(26)는 대략 사각바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으로는 장방형의 긴 가이드홈(26b)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고정나사(26a)가 형성되며, 상단측 대향면에는 삽입홀(26c)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나사(26a)는 상기 커버지지구(26)를 본체(10)에 고정시켜 입설지지되게 하여 주는 수단이며, 가이드홈(26b)에는 이를 따라 승하강가능하게 상기 회전축(24)이 삽입고정되고, 삽입홀(26c)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착좌커버(20)의 상면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변기 본체(10) 폐쇄용 커버(미도시)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부위이다.
구동부(30)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그 길이 일부에 하방향으로 'W'형상으로 절곡된 구동바(32)와, 상기 구동바(32)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구동로울러(34)와, 상기 구동바(32)를 시이소운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축(48)과, 상기 지지축(48)이 고정되는 지지돌기(46)와, 상기 구동바(32)의 일단 하면에 고정되어 탄성복귀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6)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바(32)는 상기 착좌커버(20)에 의해 작동되도록 그 일단이 착좌커버(20)의 회전작동부(22) 직하방에 위치되고, 그 타단은 스프링(36)에 의해 베이스(42)에 고정됨과 동시에 구동로울러(3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바(32)는 'W'형상의 절곡부(33)가 상기 지지축(48)에 안착고정되어 이 지지축(48)을 중심으로 구동바(32)의 양단이 시이소운동(지렛대와 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절곡부(33)는 상기 착좌커버(20)측 단부로부터 구동로울러(34)측에 이르는 거리를 대략 1:2으로 분할하는 지점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곡부(33)로부터 착좌커버(20)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바(32)의 단부까지의 길이를 더 짧게 형성함으로서 착좌커버(20)의 미세한 승하강작동에 대해서도 구동로울러(34)가 장착된 대향측 단부는 큰폭의 운동거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줌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축(48)은 베이스(42)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46)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42)는 작동부(50)가 안착고정되는 부위로서 본체(10)의 후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바(32)의 착좌커버(20)측 단부에는 상향돌출된 제1,2안내바(38a,38b)가 구비되는 바, 상기 제1,2안내바(38a,38b)의 상호 이격거리(W)는 상기 착좌커버(20)의 회전작동부(22)의 배면(22')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배면(22')이 상기 이격거리(W)의 이등분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여 회전작동부(22)가 개폐될 때에 상기 배면(22')이 제1안내바(38a)와 접촉됨으로써 수조(44)에 수용되어 있던 세척수가 일정량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줌이 바람직하다.
작동부(50)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베이스(42)의 상면에 안착고정된 하우징(40)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40) 내부에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수조(44)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50)는 구동부(3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수조(44)의 배출구(52)를 개방시킴으로써 수조(44)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가 베이스(42)를 관통하여 본체(10)의 상측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미도시)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40)은 전판(40a)과 후판(40b)으로 구분하되 전판(40a)은 상기 베이스(42)에 일체로 고정시킨 단순한 사각판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후판(40b)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하여 상술한 수조(44)를 비롯하여 작동부(50)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이 세팅된 상태에서 상기 전판(40a)에 나사 혹은 볼트 체결방식으로 고정토록 함으로써 용이한 조립성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44)에는 외부공급원으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유입구(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54)는 마개(5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마개(55)는 로드(56)에 의해 고정되며, 로드(56)의 일단에는 부레(57)가 설치되어 수조(44)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량이 일정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유입구(54)를 폐쇄하게 된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베이스(42)의 양측에서 착좌커버(20)의 양측 상부로 팔걸이(100)를 연장형성하고, 팔걸이(100)의 일측에는 작동버튼(110)을 구비한다.
작동버튼(110)은 축(13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로드(140)의 일단에 연결되고 로드(140)의 타단에는 배출구(52)를 개폐시킬 수 있는 와이어(150)가 연결된다.
탄성스프링(120)은 작동버튼(110)을 복귀시키기 위해 로드(140)의 상단에 고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배출구(52)의 상측에는 이를 개폐할 수 있는 마개(58-1)가 구비되고, 상기 마개(58-1)는 제1로드(58-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로드(58-2)는 링크(58-3)에 의해 제2로드(58-4)와 직교되게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일부에는 부구(58)가 고정된다.
상기 부구(58)는 상기 마개(58-1)가 개방된 후 곧바로 배출구(52)를 폐쇄하지 못하도록 수조(44)에 저수된 세척수의 부력에 의해 서서히 가라앉도록 하여 주는 부재이다.
상기 제2로드(58-4)는 회전축(58-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단은 전기한 바와 같이 링크(58-3)에 의해 제1로드(58-2)와 연결되고 타단은 완충부재(58-6)의 슬라이딩홈(58-7)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완충부재(58-6)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형의 긴 슬라이딩홈(58-7)이 형성된 관상체로서 상기 제2로드(58-4)의 일단을 하방향으로 당겨 제1로드(58-2)가 회전축(58-5)을 중심으로 상향이동가능하게 하여 주는 부재이다.
상기 슬라이딩홈(58-7)은 상기 완충부재(58-6)가 제2로드(58-4)에 비해 상대적으로 빨리 복귀되기 때문에 그 시간차를 두어 상기 마개(58-1)가 개방직후 곧바로 배출구(52)를 폐쇄하지 못하도록 하여 줌으로써 배출되는 세척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완충부재(58-6)의 하단에는 완충스프링(58-8)이 개재되는 바, 상기 완충스프링(58-8)의 일단은 완충부재(58-6)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체(58-9)의 상단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스프링(58-8)은 상기 완충부재(58-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완충부재(58-8)의 하향작동시 단시간에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지지체(58-9)는 상기 하우징(40) 내벽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3로드(58-10)가 관통되어 그 상단이 완충부재(58-6)의 하단에 고정되도록 안내하여 준다.
즉, 상기 지지체(58-9)는 상기 제3로드(58-10)가 원활하게 승하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3로드(58-10)의 하단은 제2작동로드(59-8)를 관통하여 하향 연장된 후 고리형상의 연결부(152)에 의해 와이어(150)와 연결된다.
와이어(150)는 지지부재(58-11)에 의해 지지되면서 도 5에 도시된 작동버튼(110)과 연결된다.
상기 작동버튼(110)은 팔걸이(100)의 어느 일측에 설치하여 이를 누름으로써 상기 제3로드(58-10)를 직접 하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공지의 푸시버튼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로드(59-8)는 상기 제3로드(58-10)와 직교되고 제3로드(58-10)가 관통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바, 상기 제2작동로드(59-8)의 작동시 상기 제3로드(58-10)가 연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2작동로드(59-8)를 관통한 인접 하측인 상기 제3로드(58-10)에는 스토퍼(59-9)가 고정된다.
또한, 제2작동로드(59-8)는 회전축(59-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대향단에는 제1작동로드(59-5)가 링크(59-6)에 의해 직교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작동로드(59-5)는 그 단부에 작동추(59-4)를 구비하고 있고, 또다른 지지체(59-5a)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작동추(59-4)는 반원형상을 이루고 일정한 두께를 가진 판으로서 그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작동안내부재(59-3)의 상측에 안착된다.
상기 작동안내부재(59-3)는 도 7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요입된 호형상의 부재로서, 예컨대 부채꼴형태를 이루며 동일한 폭을 갖고 쌍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안내부재(59-3)의 중심은 고정축(59-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일부는 스프링(59-2)에 의해 하우징(4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작동안내부재(59-3)의 스프링(59-2) 연결부위 인접측에는 동력전달부(59)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59)에는 전술한 구동바(32)에 구비된 구동로울러(34)가 밀착고정된다.
작동추(59-4)의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상기 작동안내부재(59-3)에는 안내로울러(59-6)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40) 내부에 음향칩을 내장하고 상기 구동바(32)의 시이소운동에 따라 연동되어, 즉 전술한 착좌커버(20)가 하향이동하는 순간 스위치가 온(ON) 되도록 하여 상기 음향칩을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는 순간 동시에 폭포소리 혹은 음악 멜로디와 같은 다양한 음향 및 음악이 흘러나오도록 하여 변기 사용환경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초 절수 개량형 변기를 사용하기 위해 본체(10)의 착좌커버(20)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착좌커버(20)로 전달되면서 착좌커버(20)의 후단부인 회전작동부(22)가 커버지지구(26)의 가이드홈(26b)을 따라 하향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회전작동부(22)는 이와 접해있던 구동바(32)의 선단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되는 압하력에 의해 상기 구동바(32)는 지지축(48)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그 후단을 상향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바(32)의 후단은 스프링(36)에 의해 항상 베이스(42)측으로 인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인장력을 극복하고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바(32)의 후단에 고정되어 있던 구동로울러(34)가 동력전달부(59)의 최초 A지점으로부터 B지점으로(도 5에 도시됨) 이동되면서 작동안내부재(59-3)를 고정축(59-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작동안내부재(59-3)의 강제회전력은 이에 거치되어 있던 작동추(59-4)를 밀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작동로드(59-5)도 상향이동되게 된다.
상기 제1작동로드(59-5)의 상향이동에 따라 이와 연결된 제2작동로드(59-8)는 회전축(59-7)을 중심으로 하향이동되게 되고 스토퍼(59-9)와 간섭되면서 제3로드(58-10)를 하방향으로 밀게 된다.
상기 제3로드(58-10)의 하향이동에 따라 완충부재(58-6)는 완충스프링(58-8)을 압축하면서 동시에 하향이동되게 되고 상기 완충부재(58-6)의 슬라이딩홈(58-7)에 삽입되어 있던 제2로드(58-4)도 함께 이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로드(58-4)는 회전축(58-5)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제1로드(58-2)가 상향이동되면서 마개(58-1)를 배출구(52)로부터 이격시켜 세척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동시에, 상기 완충부재(58-6)는 완충스프링(58-8)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하향이동되어 있던 제2로드(58-4)의 단부는 상기 완충부재(58-6)의 슬라이딩홈(58-7)을 따라 상기 마개(58-1)가 하강하는 속도와 대응되는 속도로 상향이동되게 된다.
한편, 작동추(59-4)는 작동안내부재(59-3)의 부채꼴형상을 완전히 넘어가서 인접한 부채꼴형상 내부에 머무르게 되는 바, 사용자가 일어서지 않는 한 착좌커버(20)에는 항상 압하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작동안내부재(59-3)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의 배설물는 전술한 밸브를 통해 변조로 낙하되기 때문에 악취의 역류는 방지된다.
아울러, 용변을 마친 사용자가 일어서게 되면 착좌커버(20)에 작용하고 있던 압하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스프링(36,59-2)의 복귀력이 작용되어 상기 착좌커버(20)의 회전작동부(22)는 커버지지구(26)의 가이드홈(26b)을 따라 원래 위치로 상향이동되게 되며 작동안내부재(59-3)도 고정축(59-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원래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위치 변경되어 있던 작동추(30)도 작동안내부재(59-3)의 부채꼴형상의 테두리면을 따라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다시한번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이동되면서 마개(58-1)를 개방시켜 배출구(52)를 통해 세척수를 배수하게 된다.
배수된 세척수는 밸브(60,60')의 내주연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주변에 묻어있던 배설물을 깨끗하게 세척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초 절수 개량형 변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변기의 배설물 배출구조를 완전하게 개조함으로써 악취를 최대한 차단하면서 최소한의 세척수를 사용하게 되어 세척수 절수효과가 현저히 상승된다.
둘째, 별도의 조작없이도 용변을 보기위해 착좌하는 순간 및 용변완료 후 착좌위치에서 벗어나는 순간마다 자동적으로 세척수가 배출되어 변기 내부를 세척토록 함으로써 변기 사용상의 편의성 증진을 극대화시킨 장점이 있다.
세째, 착좌와 동시에 음악 혹은 음향이 자동적으로 흘러나오도록 음향칩을 부가설치함으로써 화장실 환경개선에 일종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 배설물이 적치되는 변조와 연통되도록 본체(10)의 하측에 연결된 파이프(14)의 내주연에 상하 2단으로 설치되고 배설물의 자중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차단판(62a,62b,62')을 갖는 밸브(60,60')와;상기 본체(10)의 후단에 조립되는 베이스(42)와;상기 본체(10)의 상면 후측에 고정된 커버지지구(26)에 의해 지지되며 승하강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좌커버(20)와;상기 착좌커버(20)의 후단 하면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42)상에 배치되어 지지축(48)을 중심으로 시이소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30)와;상기 구동부(30)의 후단이 내장되며 상기 베이스(42)상에 설치되고 세척수가 수용되는 수조(44)를 구비한 하우징(40)과;상기 하우징(40) 내에 구비되고 상기 착좌커버(20) 및 구동부(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조(4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절수 개량형 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커버(20)는 그 후단이 사각형상으로 돌출되어 회전작동부(22)를 이루고,상기 회전작동부(22)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축(24)이 돌출형성되며,상기 회전축(24)은 상기 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커버지지구(26)의 가이드홈(26b)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절수 개량형 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는 일단이 상기 착좌커버(20)의 후단 하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베이스(42)의 하우징(40) 내부로 관통배설된 구동바(32)가 구비되고;상기 구동바(32)의 길이방향 일부에는 'W'형상을 갖는 절곡부(33)가 형성되며;상기 절곡부(33)의 하측은 베이스(42)상에 형성된 지지돌기(46)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축(48)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되고;상기 구동바(32)의 하우징(40)측 단부 상면에는 구동로울러(34)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상기 구동로울러(34)의 하측 구동바(32)의 단부는 스프링(36)에 의해 베이스(4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절수 개량형 변기.
- 제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50)는 상기 구동바(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하우징(40)에 고정되는 부채꼴형상의 작동안내부재(59-3)와;상기 작동안내부재(59-3)를 탄성복귀시키도록 그 일측단과 하우징(40) 사이에 고정되는 스프링(59-2)과;상기 작동안내부재(59-3)의 상면테두리에 거치되고 그 작동과 연동되는 작동추(59-4)와;상기 작동추(59-4)에 연결된 제1작동로드(59-5)와;상기 제1작동로드(59-5)와 링크(59-6) 연결되고 회전축(59-7)을 중심으로 회전작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작동로드(59-8)와;상기 제2작동로드(59-8)의 자유단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배설되고 하방향으로만 연동될 수 있도록 관통된 제2작동로드(59-8)의 직하방위치에 스토퍼(59-9)가 구비된 제3로드(58-10)와;상기 제3로드(58)의 상단이 고정된 완충부재(58-6)와;상기 완충부재(58-6)와 연결되고 회전축(58-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로드(58-4)와;상기 제2로드(58-4)와 링크연결되고 하단에는 수조(44)의 배출구(52)를 개폐하는 마개(58-1)가 고정된 제1로드(58-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절수 개량형 변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58-6)는 그 길이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슬라이딩홈(58-7)을 갖는 관상체로 형성되고,상기 완충부재(58-6)의 하방에는 상기 제3로드(58-10)가 관통지지되는 지지체(58-9)가 하우징(40)에 고정되며,상기 완충부재(58-6)의 하단과 상기 지지체(58-9) 사이에는 완충스프링(58-8)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절수 개량형 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6061U KR200216292Y1 (ko) | 2000-09-16 | 2000-09-16 | 초 절수 개량형 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6061U KR200216292Y1 (ko) | 2000-09-16 | 2000-09-16 | 초 절수 개량형 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6292Y1 true KR200216292Y1 (ko) | 2001-03-15 |
Family
ID=7307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6061U KR200216292Y1 (ko) | 2000-09-16 | 2000-09-16 | 초 절수 개량형 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6292Y1 (ko) |
-
2000
- 2000-09-16 KR KR2020000026061U patent/KR20021629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093918A (zh) | 节水坐便器 | |
US20010049841A1 (en) | Toilet stool with economized water | |
KR100944385B1 (ko) |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 |
US20010052147A1 (en) | Toilet stool with economized water | |
KR101180097B1 (ko) | 수조가 없는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 |
CN204298916U (zh) | 节水蹲便器 | |
KR100499662B1 (ko) | 절수가 가능한 변기 | |
KR200216292Y1 (ko) | 초 절수 개량형 변기 | |
KR200457162Y1 (ko) | 대변 및 소변에 따라 물내림양을 조절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용 플러시밸브 구조 | |
KR100498243B1 (ko) |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 |
KR100354527B1 (ko) | 절수형 수세식 변기 | |
KR200374754Y1 (ko) | 개량 좌변기 | |
CN101105047A (zh) | 智能节水坐便器 | |
KR100699232B1 (ko) |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
KR200366357Y1 (ko) | 변기의 절수구조 | |
KR101650682B1 (ko) |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 |
CN2763366Y (zh) | 脚踏式球体密封坐便器 | |
KR200180709Y1 (ko) | 변기용 더블 후레쉬밸브 | |
KR200366358Y1 (ko) | 변기의 절수구조 | |
KR100540350B1 (ko) | 양변기 | |
KR950007728B1 (ko) | 공간활용 및 용수절약형 절첩식 자동변기 | |
KR200273646Y1 (ko) | 배분구를 자동으로 막는 야외용 변기 | |
KR20010015995A (ko) | 절수형 양변기 | |
KR200399352Y1 (ko) | 양변기 | |
KR100335532B1 (ko) | 자동개폐식변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