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232B1 -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99232B1 KR100699232B1 KR1020040027535A KR20040027535A KR100699232B1 KR 100699232 B1 KR100699232 B1 KR 100699232B1 KR 1020040027535 A KR1020040027535 A KR 1020040027535A KR 20040027535 A KR20040027535 A KR 20040027535A KR 100699232 B1 KR100699232 B1 KR 100699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valve
- drain
- discharge
- control 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변기로부터 변 등이 포함된 오수를 분출하기 위한 다량의 물을 저장하고, 변기의 사용이후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개선된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가 개시된다. 오물 배출장치는 변기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급격한 배출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저장배출부재를 포함한다. 제 1 밸브부재는 저장배출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변기탱크로 배출되는 물의 통과를 제어한다. 배수부재는 변기와 보조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며 나선상의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변기 내의 오수를 배수구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오물 배출장치는 소변이나 대변 이후 변기의 오물을 배출시킬 때, 저장 파이프에 의한 물의 배출은 와류가 없이 부드럽고 빠른 속도로 내려가기 때문에 소량의 물로도 오물이 포함된 오수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게다가, 오수의 배출 소음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변기 어셈블리, 오물 배출장치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기의 오물 배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 - A 선에 따른 결합상태 정단면도;
도 3은 오물이 배출되기 이전을 보여주는 도 1의 B - B 선에 따른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오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의 B - B 선에 따른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배수부재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는 도 1에서 보여준 저장배출부재의 저면도;
도 7은 도 1에서 보여준 저장파이프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도 1에서 보여준 저장파이프의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1에서 배수 제어구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1은 도 1에서 배수 제어구의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보여준 제 2 결합판의 사시도; 및
도 13은 도 11에서 보여준 제 1 결합판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변기 어셈블리
110 : 변기 탱크 110a : 제 1 삽지공
110b : 덮개 112 : 변기
114 : 화장실 바닥 114a : 제 2 삽지공
116 : 주 연결관 118 : 보조 연결관
120 : 배수 제어구 120a : 제 1 제어실
120b : 제 1 출구 122 : 저장 파이프
130 : 배수 제어구 130a : 제 2 제어실
130b : 제 2 출구 130c : 개구
132 : 가이드 관 136 : 제 1 결합판
137 : 제 2 결합판 138 : 제 1 개폐구
139 : 제 2 개폐구 140 : 제 1 밸브체
150 : 제 2 밸브체 160 : 제 3 밸브체
170 : 배수관
본 발명은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 욕조, 세면대 및 싱크대 등의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변기로부터 변 등이 포함된 오수를 분출하기 위한 다량의 물을 저장하고, 변기의 사용 이후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개선된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는 사용자가 변기에서 용변 및 소변 등의 용무를 보고 나서, 변기 내에 위치된 변 등이 포함된 오수를 변기탱크에 보관된 물을 이용하여 배수구 등으로 분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개선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종래의 기술로서,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반복하여 저장하는 변기탱크, 그 변기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밸브부재, 사용자가 용변 및 대변을 위해 착석할 수 있는 변기 및 변기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변기 내의 오수를 배수구 등으로 분출하기 위한 배수관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변기의 오물 배출장치는 사용자가 용변 및 소변의 용무를 본 다음, 변기탱크의 물을 내려 오수를 배출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대변이나 소변의 구분 없이 다량의 물을 사용해야만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수가 배수관으로 통과할 때, 오수의 급격한 배출로 인해 오수가 배출관에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변기탱크로부터 배수는 마치 커다란 통에서 좁은 배출구를 통해 내려가야 하기 때문에 서로 충돌하여 와류가 생겨 배수 시간이 오래 걸리는 폐단도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대변이나 소변 등의 용무를 볼 경우,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물자 절약을 할 수 있고, 오수의 배출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변기의 오물 배출장치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빠른 속도로 배출되기 때문에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변기의 오물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수 및 하수의 배출 과정에서 소음을 예방할 수 있는 변기의 오물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으로 제 1 삽지공이 관통되는 중공의 변기탱크, 상기 변기탱크와 주 연결관으로 연결되며 화장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변기로 이루어진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급격한 배출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저장배출부재 및
상기 저장배출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변기탱크로 배출되는 물의 통과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밸브부재; 및
상기 변기와 보조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며 나선상의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변기 내의 오수를 배수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저장배출부재는 상기 변기탱크의 제 1 삽지공으로 설치되는 중공의 제 1 삽지관이 폐쇄된 단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부에는 제 1 제어실이 형성되며, 일 측면에 제 1 출구가 관통되는 배수 제어구; 및 상기 배수 제어구의 바깥으로 경사 상으로 감겨지고 상기 배수 제어구의 상기 제 1 출구와 연결되는 상기 저장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밸브부재는 상기 배수 제어구의 상기 제 1 출구를 일부 폐쇄하는 제어변; 상기 배수제어구의 상기 제 1 삽지관의 내부를 폐쇄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개폐밸브와 제어변이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 제어구의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 1 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기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에 있어서, 변기탱크의 내부에는 배수 제어구와, 그 배수 제어구의 외부로 저장 파이프를 경사 상으로 감아 설치한다. 게다가, 배수부재는 나선상으로 형성하고, 배수부재에는 제 3 밸브체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는 변기, 욕조, 세면대 및 싱크대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소변이나 대변 이후 변기의 오물을 배출시킬 때, 저장 파이프의 경사로 와류가 발생됨이 없이 물의 속력이 빨라지기 때문에 소량의 물로도 오물이 포함된 오수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게다가, 오수의 배출 소음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기의 오물 배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기의 오물 배출장치을 분해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A - A 선에 따른 결합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오물이 배출되기 이전을 보여주는 도 1의 B - B 선에 따른 결합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오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의 B - B 선에 따른 결합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배수부재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저장배출부재의 저면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변기 어셈블리(100)는 변기 탱크(110), 변기(112), 덮개(110b)를 포함한다. 변기 탱크(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중공의 형상을 갖는다. 변기(112)는 변기 탱크(110)와 주 연결관(116)으로 연결된다. 덮개(110b)는 변기 탱크(110)의 개방된 상부로 덮여진다. 변기 탱크(110)에는 제 1 삽지공(110a)이 바닥면에 관통된다. 변기 탱크(110)는 화장실의 벽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기(112)는 화장실의 바닥이나 벽 등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물 배출장치는 저장배출부재, 밸브부재, 배수부재를 포함한다.
저장배출부재는 배수 제어구(120),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저장 파이프(122), 제 1 개폐구(138) 및 제 1 밸브체(140)를 포함한다. 저장배출부재는 변기 탱크(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배수 제어구(120)에는 상부가 개구된 제 1 제어실(120a)이 내부에 형성된다. 배수 제어구(120)에는 변기 탱크(110)의 제 1 삽지공(110a)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 1 삽지관(120c)이 아래 방향으로 돌출 된다. 배수 제어구(120)에는 물의 제 1 출구(120b)가 일측 하단에 형성된다. 배수 제어구(120)의 제 1 제어실(120a)에는 공기 배출관(124)이 설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관(124)은 제 1 개폐구(138)의 제 1 배출공(138a)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배수 제어구(120)의 상부로 돌출 된다.
배수 제어구(120)의 일 측면에는 변기 탱크(110)를 통과한 원수 공급관(SP)의 일단이 연결된다. 그 원수 공급관(SP)의 고정 단부에는 배수 제어구(120)의 제 1 제어실(120a)에 위치되도록 공급 밸브(SV)가 설치된다. 공급 밸브(SV)에는 제 1 제어실(120a)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부구(F)가 설치된다. 원수 공급관(SP)에는 외부의 급수원(도시 안됨)으로부터 물이 공급된다.
저장 파이프(122)는 배수 제어구(120)의 외주면을 따라 상, 하로 겹쳐진 상태에서 감겨져 설치된다. 1열 이상의 저장 파이프(122)는 경사를 높여 물의 흐름을 빠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저장 파이프(122)는 일단이 각각 개방되거나 별도의 망체로 폐쇄될 수 있다. 하나의 저장 파이프(122)의 타단은 다른 저장 파이프(122)의 하부 위치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저장 파이프(122)의 타단은 배수 제어구(120)의 측면 부위, 즉 변기 탱크(110)의 제 1 출구(120b) 측에 연결된다(도 4 참조). 참고로, 배수 제어구(120)의 상단은 한 쌍의 저장 파이프(122)의 상단과 동일하거나 다소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저장 파이프(122)는 측면에서 볼 때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된다. 이는 저장 파이프(122)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배수 제어구(120) 내로 분출될 때 높은 압력으로 분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1 개폐구(138)는 제 1 배출공(138a)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체이다. 제 1 개폐구(138)는 상단이 경사진 제 1 문턱부(138b) 및 제 1 삽지관(120c)의 중공 내로 끼워지는 제 1 삽지부(138c)로 구분된다. 제 1 플렌지(138d)는 제 1 문턱부(138b)와 제 1 삽지부(138c)의 경계선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개폐구(138)는 주 연결관(116)에 의해 변기(112)와 연결된다.
제 1 밸브체(140)는 제 1 링크(146), 개폐 밸브(142) 및 제어변(144)이 포함된다. 제 1 링크(146)는 중앙 부위가 접혀져 형성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의 각도는 예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개폐 밸브(142)는 제 1 링크(146)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제어변(144)은 제 1 링크(146)의 타단에 연장 형성된다. 개폐 밸브(142)는 제 1 개폐구(138)의 제 1 배출공(138a)을 폐쇄하도록 원구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변(144)은 원판 형상이 바람직하나 그 밖의 형태도 가능하다. 제 1 링크(146)의 접혀진 부위는 배수 제어구(120)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특히, 제어변(144)은 배수 제어구(120)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배수 제어구(120) 내로 공급된 물이 제 1 출구(120b)를 통해 저장 파이프(122)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개폐 밸브(142)에는 견인줄(P)의 일단은 일 측으로 연결되고, 그 견인줄(P)은 사용자에 의해 잡아 당겨져 개폐 밸브(142)가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한다. 견인줄(P)의 타단은 변기 탱크(110)의 일 측면을 관통하여 급수제어레버(SL)에 연결된다.
제 2 개폐구(139)는 제 2 배출공(139a)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체이다. 제 2 개폐구(139)는 화장실 바닥(114)의 제 2 삽지공(114a)에 저면으로부터 끼워져 설치된다. 제 2 개폐구(139)는 바닥(114)의 제 2 삽지공(114a)으로 끼워지는 제 2 삽지부(139b), 그 제 2 삽지부(139b)의 하부로 연장되며 하단이 경사진 제 2 문턱부(139c) 및 제 2 문턱부(139c)와 제 2 삽지부(139b)의 경계선 상에 일체로 형 성되는 제 2 플렌지(139d)를 포함한다. 변기(112)는 보조 연결관(118)에 의해 제 2 개폐구(139)와 연결된다.
배수관(170)은 나선형으로 형성되나, 서로간의 간격이 다소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배수관(170)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급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오수가 배수될 때 보다 신속히 배출되며 부딪히는 소음을 없앨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수관(170)은 변기용으로 바람직하다(도 3 및 도 4 참조). 배수관(170)의 상부에는 밸브함(176)이 일체로 형성된다. 밸브함(176)의 내부에는 밸브 작동실(178)이 형성된다.
또한, 욕조, 세면대, 바닥 및 싱크대 등에 적용되는 배수관(170)은 유자부(U-shaped)(172) 및 유자부(172)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하부로 형성되는 나선부(174)를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유자부(172)는 오수의 배출 작업시 악취가 변기 내로 역류되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선부(174)는 오수가 배출될 때 나선부(174)를 따라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급격한 배출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5 참조).
한편, 밸브함(176)의 밸브 작동실(178)에는 제 2 밸브체(150)가 설치된다. 제 2 밸브체(150)는 중앙이 접혀져 형성된 제 2 링크(154), 제 2 링크(15)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완충 밸브(152) 및 제 2 링크(154)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무게추(156)를 포함한다. 제 2 링크(154)는 밸브함(176)의 밸브 작동실(178)의 천장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완충 밸브(152)는 제 2 개폐구(139)의 제 2 문턱부(139c)에 접촉되어 제 2 배출공(139a)을 폐쇄시킬 수 있다. 완충 밸브(152)는 배수관(170)의 유자부(17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무게추(156)는 밸브 작동실(178)의 내부에 위치되어 완충 밸브(152)가 항상 제 2 배출공(139a)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저장 파이프(122)의 내부로 물이 채워지는 과정을 우선적으로 설명하면, 배수 제어구(120)의 제 1 제어실(120a)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하강하면, 부구(F)도 함께 하강한다. 그 부구(F)가 셋팅된 만큼 충분히 하강하게 되면, 그 부구(F)에 연결된 공급 밸브(SV)가 개방된다. 물은 원수 공급원(도시 안됨)으로부터 원수 공급관(SP)을 통해 배수 제어구(120)의 제 1 제어실(120a)로 공급된다. 이렇게 공급된 물이 제 1 제어실(120a)의 바닥으로부터 채워지기 시작하면, 제 1 밸브체(140)의 제어변(144)과 제 1 제어실(120a)의 벽면 사이의 틈 사이에 노출되는 제 1 출구(120)를 통해 저장 파이프(122)들의 내부에 공급되기 시작한다. 이렇게 공급되는 물은 배수 제어구(120)의 제 1 제어실(120a)로 채워지는 수위가 높아감에 따라 점차적으로 저장 파이프(122)에 공급된다. 이 과정에 의해, 물이 제 1 제어실(120a) 및 저장 파이프(122)의 최 상단까지 채워지게 되면, 부구(F)는 공급 밸브(SV)를 폐쇄하여 원수 공급관(SP)을 통한 물의 공급을 중단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제어실(120a) 내의 물의 수위는 더 이상 높아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는 도 3에서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다시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변기(112)를 사용한 이후 오수를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변기(112)에 앉거나 일어선 상태에서 대변이나 소변의 용무를 본다. 이어, 사용자는 변기 탱크(110)의 외부로 노출된 급수 제어레버(SL)를 일 측으로 회전시키면, 견인줄(P)은 상부로 당겨진다. 이에 따라, 제 1 밸브체(140)의 제 1 링크(146)가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제 1 밸브체(140)의 개폐 밸브(142)는 제 1 문턱부(138b)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제 1 배출공(138a)을 개방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 1 링크(146)에 의해 함께 연결된 제어변(144) 역시 제 1 출구(120b)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떨어진다.
이 상태가 되면, 먼저, 배수 제어구(120)의 제 1 제어실(120a)에 저장된 물이 제 1 개폐구(138)의 제 1 배출공(138a) 및 주 연결관(116)을 경유하여 변기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 의해, 제 1 제어실(120a)의 수위가 어느 정도 낮아 지면, 저장 파이프(122)에 저장된 물이 배수 제어구(120)의 제 1 출구(120b)를 통해 제 1 제어실(120a)로 유입된다. 즉, 제 1 제어실(120a)에는 기존의 잔류된 물과 저장 파이프(122)로부터 유입된 물이 함께 섞여져 제 1 배출공(138a) 및 주 연결관(116)으로 배출된다. 무엇보다도 특히, 경사상으로 배치된 저장 파이프(122)의 물이 제 1 제어실(120a)로 유입되기 때문에 제 1 배출공(138a)을 통한 배출 압력이 저장 파이프(122)의 경사도 만큼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그 결과, 소량의 물만으로도 변이나 기타 오물 등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변기(112)에 유입된 물은 보조 연결관(118) 을 경유하여 배수관(170)로 배출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변기(112) 내로 유입된 물은 변 등이 포함된 배설물과 함께 제 2 개폐구(139)의 제 2 배출공(139a)을 통과하여 배수관(170)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수관(170) 내의 제 2 밸브체(150)는 물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제 2 밸브체(150)가 제 2 링크(154)의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면, 제 2 밸브체(150)의 완충 밸브(152)는 제 2 개폐구(139)의 제 2 문턱부(139c)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된다. 이와 동시에, 완충 밸브(152)의 반대편에 위치된 무게추(156)는 밸브 작동실(170)의 내부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오물이 포함된 물(이하, "오수"라 칭함)은 제 2 개폐구(139)의 제 2 배출공(139a)을 통해 배수관(170)의 내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오수는 배수관(170)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데, 이 과정에서 오수는 배수관(170)의 유자부(172)와 나선부(174)을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그 결과, 오수의 급격한 배출이 방지되어 배수관(170)의 내벽에 부딪힘으로 인한 소음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술된 오수의 배출 작업이 완료되면, 제 2 밸브체(150)의 완충 밸브(152)를 밀고 있던 물의 배출 작업이 정지된다. 그 순간, 제 2 밸브체(150)는 무게추(156)의 자중에 의해 제 2 링크(154)의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제 2 밸브체(150)의 완충 밸브(152)는 제 2 개폐구(139)의 제 2 문턱부(139c)에 다시 접촉되어 제 2 배출공(139a)을 폐쇄시킨다. 이는 사용자가 변기에 소변을 볼 경우, 변기 내에 고여 있는 물에 소변이 떨어져서 나는 소음이 배수관을 통해 아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배수관(170)의 내부에서 발생된 공기는 공기 배출관(124)을 통해 배수 제어구(120)의 상부로 자동 배출된다.
도 7은 도 1에서 보여준 저장 파이프(122)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그 절단면이 대략 타원형상이다. 도 8은 도 1에서 보여준 저장 파이프(122)의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그 절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이다. 이와 같은 저장 파이프(122)는 그 높이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2열 배치가 아닌 1열 배치만으로도 필요한 경사도를 얻을 수 있다. 이때의 경사도는 저장 파이프(122)를 측면 상에서 볼 때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말한다. 아울러, 욕조, 세면대 등에 적용되는 배수관(170)은 밸브함(176) 및 제 2 밸브체(150)가 반드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도 1에서 배수 제어구(120) 및 밸브체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제어구(130)는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배수 제어구(130)는 내부에 제 2 제어실(130a)이 형성된다. 배수 제어구(130)의 제 2 제어실(130a)의 하부에는 개구(130c)가 형성된다. 배수 제어구(130)의 제 2 제어실(130a)에는 제 3 밸브체(160)가 상, 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 3 밸브체(160)의 하단에는 개구(130c)를 폐쇄시키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제 3 밸브체(160)에는 견인줄(P)이 상면에 설치된다. 견인줄(P)의 자유 단부는 제 3 밸브체(160)의 상면으로부터 제 2 제어실(130a)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제 3 밸브체(160)에는 수직으로 공기구멍(도시안됨)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 제어구(130)의 하부 일 측에는 제 2 출구(130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사요자가 견인줄(P)을 상부로 잡아 당기면, 제 3 밸브체(160)는 배수 제어구(130)의 제 2 제어실(130a)의 내부에서 하부의 개구(130c)를 막고 있던 상태에서 상승된다. 그 결과, 제 2 출구(130b)가 개방되어 저장 파이프(122)의 물이 배수 제어구(130)를 통해 변기(112)로 공급된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서 배수 제어구(130)의 다른 응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보여준 제 2 결합판(137)이고, 도 13은 도 11에서 보여준 제 1 결합판(136)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밸브체(160)에는 안내공(162)이 수직으로 관통된다. 제 3 밸브체(160)의 안내공(162)에는 제 1 결합판(136)이 수평으로 억지 끼움 된다. 제 1 결합판(136)에는 다수의 배수공(136a)이 관통된다. 가이드 관(132)의 하단은 제 1 결합판(136)에 나사 체결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된다. 가이드 관(132)의 자유단부는 제 1 결합판(136)의 표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 된다. 이때, 가이드 관(132)은 제 3 밸브체(160)의 안내공(162)으로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배수 제어구(130)의 개방된 상단에는 제 2 결합판(137)이 결합된다. 이렇게 되면, 가이드 관(132)의 자유 단부는 제 2 결합판(137)에 끼워져 결합된다. 제 2 결합판(137)에는 견인줄(P)이 관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태에서는, 제 3 밸브체(160)는 가이드 관(132)에 끼워져 이동되기 때문에 좌우 유동 없이 외부의 간섭 없이 쉽게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에 따르면, 배수 제어구의 바깥으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저장 파이프를 상, 하로 배열하여 감아 변기 탱크 내에 설치함으로써, 소변이나 대변 이후 변기의 오물을 배출시킬 때, 저장 파이프에 의한 물의 속력이 빨라지기 때문에 와류가 발생됨이 없이 소량의 물로도 오물이 포함된 오수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게다가, 배수부재는 나선형으로 배열 형성하고, 배수부재의 상단에 무게추로 복귀되는 제 2 밸브체를 설치함으로써, 변기로부터 오수 배출시 일차적으로 제 2 밸브체의 완충밸브에 의해, 이차적으로 오수가 나선형의 배수부재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오수의 배출 소음이 크게 감소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9)
- 바닥으로 제 1 삽지공이 관통되는 중공의 변기탱크, 상기 변기탱크와 주 연결관으로 연결되며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변기로 이루어진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에 있어서,상기 변기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급격한 배출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저장배출부재 및상기 저장배출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변기탱크로 배출되는 물의 통과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부재 및상기 변기와 보조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며 나선상의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변기 내의 오수를 배수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배출부재는상기 변기탱크의 제 1 삽지공으로 설치되는 중공의 제 1 삽지관이 폐쇄된 단면으로부터 돌출 되고, 내부에는 제 1 제어실이 형성되며, 일 측면에 제 1 출구가 관통되는 배수 제어구 및상기 배수 제어구의 바깥으로 경사상으로 감겨지고 상기 배수 제어구의 상기 제 1 출구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파이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상기 배수 제어구의 상기 제 1 출구를 일부 폐쇄하는 제어변;상기 배수제어구의 상기 제 1 삽지관의 내부를 폐쇄하는 개폐밸브 및상기 개폐밸브와 제어변이 양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배수 제어구의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 1 링크를 포함하는 제 1 밸브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는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자부, 상기 유자부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는 나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의 일단에는상부가 개방된 밸브 작동실이 내부에 형성된 밸브함이 설치되고,상기 밸브함의 내부 작동실의 내부에는 상기 밸브 작동실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제 2 밸브체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체는상기 밸브 작동실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완충밸브;상기 완충밸브가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함의 천장 내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링크; 및상기 제 2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밸브를 상기 밸브 작동실의 개방된 상부로 폐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무게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배출부재는 외주면 일측으로 제 2 출구가 형성되고, 수직으로 제 2 제어실이 형성되며, 제 2 제어실 내의 내벽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관형상의 배수 제어구이고,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배수 제어구의 제 2 제어실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으로 견인줄이 연결되며, 중앙으로 안내공이 관통되며, 상기 제 2 제어실의 제 2 출구를 폐쇄하기 위한 제 3 밸브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제어구에는 제 1 결합판, 가이드 관 및 제 2 결합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결합판은 상기 배수 제어구의 내벽 하부에 결합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되고,상기 가이드 관은 상기 제 1 결합판의 중앙으로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 3 밸브체의 안내공을 관통하여 상기 배수 제어구의 개방된 단부로 돌출되고,상기 제 2 결합판은 상기 가이드 관의 자유단부에 끼워지며 상기 배수 제어구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7535A KR100699232B1 (ko) | 2004-04-21 | 2004-04-21 |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7535A KR100699232B1 (ko) | 2004-04-21 | 2004-04-21 |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2736A KR20050102736A (ko) | 2005-10-27 |
KR100699232B1 true KR100699232B1 (ko) | 2007-03-27 |
Family
ID=3728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7535A KR100699232B1 (ko) | 2004-04-21 | 2004-04-21 |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9923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4344B1 (ko) * | 2005-12-29 | 2007-02-22 | 김용석 | 냄새 역류방지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
US8082605B2 (en) | 2006-09-08 | 2011-12-27 | Dan Marius Andreiu | Low flow hygienic apparatus and methods |
CN110499810A (zh) * | 2019-08-07 | 2019-11-26 | 广东欧诺卫浴科技有限公司 | 一种适用双排污口坐便器 |
KR102209000B1 (ko) * | 2020-01-30 | 2021-01-28 | 주식회사 삼일지앤드엠 | 소변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4127A (ko) * | 2002-04-09 | 2002-05-08 | 권상일 | 기능성 및 방향성이 있는 주류 제조방법 |
KR20030006438A (ko) * | 2001-07-12 | 2003-01-23 | 라성물산(주) | 소나무과와 삼나무과에서 추출한 항균성원액을 함유한아이스크림과 유산균이 포함된 항균성원액 함유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각각의아이스크림 |
KR100407786B1 (ko) * | 2000-07-21 | 2003-12-01 | 이기연 | 양변기 |
-
2004
- 2004-04-21 KR KR1020040027535A patent/KR1006992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7786B1 (ko) * | 2000-07-21 | 2003-12-01 | 이기연 | 양변기 |
KR20030006438A (ko) * | 2001-07-12 | 2003-01-23 | 라성물산(주) | 소나무과와 삼나무과에서 추출한 항균성원액을 함유한아이스크림과 유산균이 포함된 항균성원액 함유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각각의아이스크림 |
KR20020034127A (ko) * | 2002-04-09 | 2002-05-08 | 권상일 | 기능성 및 방향성이 있는 주류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1004077860000 |
2002341270000 |
200306438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2736A (ko) | 2005-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15162B2 (en) | Toilet assembly | |
KR20050035899A (ko) | 변기 조립체 | |
JP2020524235A (ja) |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 |
KR100699232B1 (ko) |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
KR101492182B1 (ko) |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 |
WO2013100428A1 (ko) | 수조가 없는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 |
KR20140083494A (ko) | 초 초절수 탈취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 |
JP5412779B2 (ja) | 洋風大便器 | |
JP4411722B2 (ja) | 水洗便器 | |
KR100498243B1 (ko) |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 |
JPH09165808A (ja) | 便 器 | |
KR100499329B1 (ko) |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 |
KR102189021B1 (ko) | 절수 및 저소음 양변기 | |
KR200426389Y1 (ko) |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가 구비된 좌변기 | |
KR102482840B1 (ko) | 위생 좌변기 | |
KR20130033855A (ko) | 양변기 | |
JP2644525B2 (ja) | 便器の貯水面保持構造 | |
JP2003096887A (ja) | 水洗式大便器 | |
KR20190119254A (ko) | 위생 좌변기 | |
JPH0960094A (ja) | 簡易水洗の水封水供給方法および水封水供給装置 | |
KR20220105836A (ko) | 휴대용 보조 소변기 | |
CN108505601B (zh) | 一种防溅水蹲便器 | |
JPH06306921A (ja) | 水洗便器 | |
CN2537751Y (zh) | 阀控直排坐便体装置 | |
KR101701371B1 (ko) | 화장실의 공간활용과 세척물이 없이 소변의 배수 및 악취가 방지되는 가정용 소변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