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000B1 - 소변기 - Google Patents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000B1
KR102209000B1 KR1020200010859A KR20200010859A KR102209000B1 KR 102209000 B1 KR102209000 B1 KR 102209000B1 KR 1020200010859 A KR1020200010859 A KR 1020200010859A KR 20200010859 A KR20200010859 A KR 20200010859A KR 102209000 B1 KR102209000 B1 KR 102209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urine
discharge
ur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지앤드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지앤드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지앤드엠
Priority to KR102020001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소변과 세척수가 우회되면서 배수되도록 하여 소변, 벌레,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기존 소변기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고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며, 소변을 본 후 제자리에서 손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는, 소변을 받는 내부공간 및 소변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배출구를 통해 낙하되는 소변을 배출하는 배출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트랩은 소변과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소변기{URINAL}
본 발명은 하는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소변기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고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소변, 벌레,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용 화장실에는 그 벽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소변기가 설치 된다.
소변기는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가 건물의 배수관에 연통되고, 그 상단에는 소변기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급수변이 갖추어지게 된다.
상기한 소변기의 경우에는 소변기를 사용하고 나서 급수변을 조작하면 세정수가 소변기를 세정하면서 배수구를 통해 배수관으로 배출된다.
또한, 소변기를 세척하는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소변기의 상측 소정 위치에 인체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용변을 본 후, 세정수가 자동으로 급수되도록 하는 자동급수장치가 제안되어 실용화된 상태이다.
한편, 화장실에 설치되는 남성용 소변기는 사용자가 소변기에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자동급수장치 또는 푸시 버튼(미도시)를 구비하여 용변을 본 후, 소변기의 세척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급수장치의 경우 세척노즐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 및 적외선 센서 등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변기는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미도시)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를 소변기의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와, 유입구와 배수구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는 본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의 상부에는 오물이 배수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배수구 캡이 안착된다.
상기한 종래의 일예에 따른 소변기의 경우는 소변기를 사용하고 나면 상기 자동급수장치의 적외선 센서가 인체를 감지하여 세척노즐(12)로부터 세정수가 급수되도록 함으로써, 세정수가 소변기의 내주면을 세척한 후, 배수구를 통해 배수관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배수관은 대개 건물의 정화조에 연통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정화조로부터의 악취가 상기 배수구 측으로 역류하게 되면 사용자가 심한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종래의 소변기는 배수관의 내부에는 "U"자형 트랩이 설치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세정수의 저수량이 많게 된다. 또한 상기 "U"자형 트랩에 오물 또는 요석 등이 지속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악취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자주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변기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8846호(2004. 12. 03.)에는 상면에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의 비산방지돌기가 서로 조밀하게 돌설되고, 중앙부에는 다수의 소변배출공이 형성된 비산방지판; 및 상기 비산방지판의 하부에 결합되되, 중앙부에는 내주면 일측의 유동선을 축으로 상하유동하여 그 외주면의 소변배출구를 개폐시키도록 커버가 구성된 악취차단판을 포함하는 남성용 소변기의 소변비산방지 및 악취차단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0723호(2018. 01. 31.)에는 소변 용기가 설치된 하우징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사이펀 원리에 의해 작동하는 저수조가 부착되고, 저수조에 저수된 물로 소변용기를 세척할 때 높은 수압의 세척수로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출파이프에는 "U"자형 트랩과 악취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합성 섬유사에 의해 직조된 부직포에 이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프리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이중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가 부착된 위생 소변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소변기는 "U"자형 트랩을 사용함으로써, 수세를 위한 세정수의 사용량이 많게 되고, 또한 요석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주 청소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화조로부터의 악취가 배수구 측으로 역류하게 되면 소변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심한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즉, 상기 배수구는 통상 하부의 정화조 등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정화조의 악취 및 벌레가 화장실 내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8846호(2004. 12. 03.)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0723호(2018. 01. 3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변과 세척수가 우회되면서 배수되도록 하여 소변, 벌레,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소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기존 소변기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고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며, 소변을 본 후 제자리에서 손을 세척할 수 있는 소변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는, 소변을 받는 내부공간 및 소변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배출구를 통해 낙하되는 소변을 배출하는 배출트랩,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배출트랩이 배치되어 소변을 수집하는 수집함,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 주변에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여 분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 상기 분사부에서 낙하되는 세척수를 수집하는 부가 수집함, 상기 수집함에 수집된 사용 세척수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공급하는 사용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트랩은 소변과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트랩은, 상기 본체부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에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브관을 포함하며,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된 분기관, 상기 배출트랩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출트랩의 배출로와 연결되는 배출로가 형성되고, 파형 형상 또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트랩은 상기 서브관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평행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유리, 범랑,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료로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는, 기존 소변기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고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며, 소변, 벌레,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소변을 본 후 제자리에서 신속하게 손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에 적용된 배출트랩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1)는, 본체부(10), 배출트랩(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소변을 수집하여 처리하는 구성이다.
본체부(10)는 화장실의 내부 벽면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하단이 화장실 내부 바닥면(13)에 닿는 길이 또는 바닥과 이격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직선과 곡선이 조합된 형상,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본체부(10)가 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본체부(10)는 서로 접하는 일측에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경사를 갖는 한 쌍의 측벽(11), 측벽(11)의 하측을 연결하는 바닥면(13), 측벽(11)의 상측을 연결하는 상면(12)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본체부(10)의 전방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소변을 받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측벽(11)은 소변을 흘러내리는 면으로, 사용자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측벽(11)은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소변이 본체부(10)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바닥면(13)은 측벽(11)에 하부에 배치되며 양측이 측벽(11)의 하단과 연결된다.
이러한 바닥면(13)에는 측벽(11)을 타고 흘러내린 소변과 세척수가 모인다.
따라서, 바닥면(13)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소변과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3a)가 형성된다.
이때, 바닥면(13)은 소변과 세척수를 배출구(13a)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구배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12)에는 측벽(11)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14)가 설치된다.
세척수공급부(14)는 소변을 세척할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1세척수유입호스(141), 제1세척수유입호스(141)와 연결되어 내부에 세척수를 저장하는 제1세척수저장용기(142), 제1세척수저장용기(142) 및 측벽(11)의 상측에 형성된 제1장착홀(11a)에 고정되는 제1세척수배출호스(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세척수배출호스(143)는 본체부(10)의 상면(12)에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S1)에 의해 제1세척수저장용기(142)에 저장된 세척수를 측벽(11)에 공급한다.
이때, 세척수공급부(14)는 본체부(10)의 상면(12)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지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아니하도록 화장실의 벽면에 매립될 수 있다.
세척수공급부(14)가 화장실의 벽면에 매립될 경우 제1세척수배출호스(143)는 그 일부분이 측벽(11)의 상측을 관통하여 본체부(10)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센서(S1)는 사용자와 마주하는 상면(12)의 전면에 설치되어 본체부(10)의 전방에 사용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위치하였을 경우 제1세척수배출호스(143)에 설치된 밸브(미도시)를 개방시켜 제1세척수저장용기 내의 세척수가 측벽(11)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체부(10)는 유리, 범랑, 스테리인리스 강, 알루미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료로 제작된다.
본체부(10)를 기존 도기나 자기로 제작되는 소변기에 비해 저렴한 유리, 범랑, 스테리인리스 강, 알루미늄과 같은 재료로 제작하면 제작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소변기에 비해 매우 저렴한 가격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유리, 범랑, 스테리인리스 강, 알루미늄은 자기나 도기에 비해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운반 및 시공이 유리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유리, 범랑, 스테리인리스 강, 알루미늄으로 본체부(10)를 제작하는 경우, 본체부(10)의 외면을 물감, 페인트, 사인펜 등으로 그림이나 문자를 그려 넣어 장식하기가 용이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1)를 어린이집, 놀이공원, 키즈카페, 초등학교와 같이 어린 아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장소에 적용할 경우, 본체부(10)에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나 문자 등으로 장식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1)를 공원, 회사, 역내 화장실 등에 적용할 경우,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연령에 부합할 수 있는 내용으로 장식하면 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체부(10)의 하부에는 낙하되는 소변 및 세척수를 수집하는 수집함(30)이 배치된다.
수집함(30)은 상면(12)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변 및 세척수가 수집되는 수집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집함(30)에는 수집된 소변 및 세척수를 지정된 장소로 배출하는 배출관(31)이 설치된다.
한편, 배출트랩(20)은 배출구(13a)를 통해 낙하되는 소변을 배출하면서 소변, 벌레, 악취가 본체부(10)의 내부공간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배출트랩(20)은 상면(12)과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배출로가 형성된 관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출트랩(20)은 수집함(30)의 수집공간에 수용되며, 상면(12) 개구 된 부분은 바닥면(13)의 하방에서 배출구(13a)에 연결된다.
그리고, 배출트랩(20)은 연속되게 이어지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배출로도 스크류 형상을 이룬다. 이로 인해, 배출구(13a)를 통해 낙하된 소변과 세척수는 배출트랩(20)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후, 배출로의 형성경로를 따라 우회하면서 낙하된 다음, 배출트랩(20)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수집함(30)에 낙하된다.
배출트랩(20) 및 배출로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집함(30)에 수집된 소변과 소변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가스, 수집함(30)에 발생되는 벌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매우 효율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1)는 사용자에게 쾌적하고 위생적인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배출트랩(20)은 스크류 형상 이외에도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파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즉, 배출트랩(20)이 파형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배출로도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변, 벌레,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1)는 소변을 본 이후에 손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40), 인체 감지 유,무에 따라 분사부(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S2), 분사부(40)에서 낙하되는 세척수를 수집하는 부가 수집함(30), 수집함(30)에 수집된 사용 세척수를 측벽(11)에 공급하는 사용 세척수 공급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분사부(40)는 내부에 사용자에 손을 세척할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2세척수유입호스(41), 제2세척수유입호스(41)와 연결되어 내부에 세척수를 저장하는 제2세척수저장용기(42), 제2세척수저장용기(42) 내의 세척수를 사용자의 손에 공급하는 제2세척수배출호스(43)를 포함한다.
이때, 제2세척수저장용기(42)는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소변기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벽면에 고정되는 선반(70)의 상면(1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세척수배출호스(43)는 금속관 또는 호스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S2)는 제2세척수배출호스(43)의 배출구(13a) 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배출구(13a) 측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였을 경우 제2세척수배출호스(43)에 설치된 밸브(미도시)를 개방시켜 제2세척수저장용기(42) 내의 세척수가 사용자의 손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부가 수집함(30)은 상면(12)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집공간이 형성된다.
부가 수집함(30)은 선반(70)의 상면(12)에 고정되며 제2세척수배출호스(43)의 배출구(13a) 하측에 배치되어, 배출부재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를 수집한다.
사용 세척수 공급부(60)는 금속관 또는 호스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 세척수 공급부(60)는 일측이 부가 수집함(30)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면(12)에 형성된 제2고정홀(12a)에 고정된다.
이때, 사용 세척수 공급부(60)의 배출구는 양측벽(11)이 접하는 지점 상측에 배치되어 부가 수집함(30) 내의 사용 세척수를 측벽(11)에 공급하여 소변을 세척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1)는 소변기 본 사용자가 그 자리에서 바로 손을 깨끗하게 씻을 수 있도록 하여 세면대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운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을 1차로 세척한 사용 세척수를 바로 본체부(10)에 공급하여 2차로 세척함에 따라 절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 세척수가 본체부(10)에 바로 공급되는 구조이므로 화장실 바닥이나 소변기(1) 외면으로 물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화장실이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과 청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에 적용된 배출트랩(20)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에 적용된 배출트랩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트랩(20)은 분기관(21), 가지관(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기관(21)은 배출구(13a)에 연결되며 대략 'ㅗ'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메인관(211), 메인관(211)에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브관(212)을 포함하며, 내부에는 배출구(13a)와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트랩(20)은 서브관(212)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평행을 이룬다.
가지관(22)은 하나 이상이 배출트랩(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배출트랩(20)의 배출로와 연결되는 배출로가 형성된다.
이때, 가지관(22)은 소변, 사용 세척수, 벌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파형 형상 또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변과 사용 세척수는 투입구, 메인관(211), 서브관(212)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배출트랩(20)들을 통해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변과 사용 세척수가 배출트랩(20)의 배출로를 따라 우회하면서 배수되기 때문에, 배출트랩(20)을 하나로만 적용할 경우 배수율이 저하되어 소변과 사용 세척수가 역류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와 같이 배출트랩(20)을 복수개로 적용하면 소변과 사용 세척수를 분산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소변과 사용 세척수가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가지관(22) 들을 통해서도 배출트랩(20)의 배출로를 통해 흘러내려가는 소변과 사용 세척수의 일정량을 분산시켜 배출할 수 있음에 따라, 소변과 사용 세척수의 배수 효율을 보다 증대시키면서 역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소변기 10 : 본체부
11 : 측벽 12 : 상면
13 : 바닥면 13a : 배출구
14 : 세척수공급부 141 : 제1세척수유입호스
142 : 세1세척수저장용기 143 : 제1세척수배출호스
20 : 배출트랩 21 : 분기관
211 : 메인관 212 : 서브관
22 : 가지관 30 : 수집함
31 : 배출관 40 : 분사부
41 : 제2세척수유입호스 42 : 제2세척수저장용기
43 : 제2세척수배출호스 50 : 사용 세척수 공급부
70 : 선반

Claims (5)

  1. 소변을 받는 내부공간 및 소변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배출구를 통해 낙하되는 소변을 배출하는 배출트랩,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배출트랩이 배치되어 소변을 수집하는 수집함,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 주변에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여 분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
    상기 분사부에서 낙하되는 세척수를 수집하는 부가 수집함,
    상기 수집함에 수집된 사용 세척수를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공급하는 사용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트랩은 소변과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트랩은,
    상기 본체부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에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브관을 포함하며,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된 분기관, 상기 배출트랩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출트랩의 배출로와 연결되는 배출로가 형성되고, 파형 형상 또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트랩은 상기 서브관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는 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유리, 범랑,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료로 형성되는 소변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10859A 2020-01-30 2020-01-30 소변기 KR102209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859A KR102209000B1 (ko) 2020-01-30 2020-01-30 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859A KR102209000B1 (ko) 2020-01-30 2020-01-30 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000B1 true KR102209000B1 (ko) 2021-01-28

Family

ID=7423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859A KR102209000B1 (ko) 2020-01-30 2020-01-30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0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846Y1 (ko) 2004-08-19 2004-12-03 최병만 남성용 소변기의 소변비산방지 및 악취차단구조
KR20050102736A (ko) * 2004-04-21 2005-10-27 강흥묵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KR20100112452A (ko) * 2009-04-09 2010-10-19 김현철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KR20130103104A (ko) * 2012-03-09 2013-09-23 황윤화 소변기
KR20180010723A (ko) 2016-07-22 2018-01-31 윤형완 저수조가 부착된 위생 소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736A (ko) * 2004-04-21 2005-10-27 강흥묵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KR200368846Y1 (ko) 2004-08-19 2004-12-03 최병만 남성용 소변기의 소변비산방지 및 악취차단구조
KR20100112452A (ko) * 2009-04-09 2010-10-19 김현철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KR20130103104A (ko) * 2012-03-09 2013-09-23 황윤화 소변기
KR20180010723A (ko) 2016-07-22 2018-01-31 윤형완 저수조가 부착된 위생 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373B1 (en) Shower having a water saving system
US6698035B1 (en) Urinal anti-splashback screen
US6546566B1 (en) Water conserving urination system
US4750219A (en) Urinal device
US5862546A (en) Combination, self flush, urinal and hand wash lavatory fixture
KR102209000B1 (ko) 소변기
KR102251074B1 (ko)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JP4131440B2 (ja) 流体洗浄小便器
US6085361A (en) Sanitary toilet base band
KR20050080143A (ko) 소변기
KR20100008651U (ko) 복합 위생 변기
US5596774A (en) Self cleaning toilet
US8185975B2 (en) Self-rinsing toilet rim cover and method for using it
KR20180010723A (ko) 저수조가 부착된 위생 소변기
KR100989201B1 (ko) 매립형 양변기
US200600596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xing a toilet overflow
US11149424B2 (en) Restroom system
KR101226143B1 (ko) 친환경 화장실
AU739699B2 (en) Device for saving water
CN220433826U (zh) 一种排水组件及包含其的垃圾处理器
KR200166030Y1 (ko) 절수식 화장실구조
JPH11269976A (ja) 夾雑物除去桝
KR200163354Y1 (ko) 절수형소변장치가장착된좌변기
CA3041731A1 (en) Ultra-low flash toilet system
KR20220099357A (ko)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