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651U - 복합 위생 변기 - Google Patents
복합 위생 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8651U KR20100008651U KR2020090002002U KR20090002002U KR20100008651U KR 20100008651 U KR20100008651 U KR 20100008651U KR 2020090002002 U KR2020090002002 U KR 2020090002002U KR 20090002002 U KR20090002002 U KR 20090002002U KR 20100008651 U KR20100008651 U KR 2010000865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water
- reservoir
- basin
- brus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title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Lavatory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toil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공공화장실 등에 위생 개선과 절약을 동시에 고려한 위생시설 고안이다.
대다수 공공장소 또는 상업 지역 화장실 같은 곳은 많은 사용자에 의해 오염이 되기 쉽고 수시 청결이 불가능하여 사용자들이 위생 피해를 입게 된다. 예로 공공 화장실 구조상 용변 후 깨끗하지 않은 상태로 칸막이 문을 열고 세면대까지 씻기 위해 나오는 동안 주변까지 오염을 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이다.
본 고안을 설치하면 변기에 사용될 상수를 저수조에 부착된 세면기에서 일차 손 세척에 사용한 후 세척수는 거름망과 여과기를 거쳐 저수조에 저장되어 변기 세정에 다시 활용되는 기능이 있다. 저수조 한편에는 변기 세정을 위한 손 청소기와 물 분사가 가능한 변기 솔과 그리고 세정액 분무기가 일체형으로 구비되 있어 필요할 때 직접 청소할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변기 막힘도 대처 기능이 있어 공공 지역 화장실의 위생과 관리에 매우 유용하다.
화장실 위생에 필수적 요소를 적절히 접목시키고 물까지 부분 재활용이 되어 공공지역 위생환경에 좋은 본보기 고안으로 생활 환경에 필수 시설이다.
위생 변기, 변기 물통, 수세 솔, 손 세면기, 절수 저수조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많은 공공 장소 등의 화장실에 사용자의 위생 안전을 위한 복합 위생 기구로 구성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기능들은 화장실 위생에 필수적 요소를 바탕으로 설계되었다.
부착된 세면기의 경우 저수조에서 변기 세척을 위해 사용될 상수(150)를 세면기(100)에서 먼저 사용하게 된다. 도면 2번 3번을 참고.
상수(150)는 손 세척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저수조의 수위가 낮아지면 밸브(170)가 열려 자동으로 세면기 수도꼭지(180)로 나와 고임 없이 흐르며 거름망(110)과 여과기(120)를 통과하여 저수조(130)에 저장이 된다. 저수조의 세척수 수위가 만조가 되면 다시 밸브(170)가 닫혀 세면기 수도가 자동 단수된다.
저수조는 가운데 칸막이를 사이로 두 칸으로 되어있다. 상수가 바로 저장되는 칸(135)과 일차 세면기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저장하여 제 사용하는 세척수 칸(130)으로 나뉜다.
둘로 나뉜 저수조는 각 칸에 변기로 배수되는 배수로가 각각 있다. 세척수 칸(130)의 물은 변기의 하나의 통관으로 된 배출구(140) 쪽으로 방출되며 상수 칸(135)은 변기 내벽 상부에 배열된 미세 배출구를 통해 내벽 세척을 위해 방출되 는 구조다.
분리 배출관을 사용하는 이유는 여과기를 거쳐도 물에 미세 침전물이 있을 경우 미세 배출구의 막힘을 쉽게 유발하기 때문이고 작고 수가 많은 미세관을 수시 청소하기 용이하지 않다.
분무기(300) 아래는 고체로 된 변기 세정제를 넣는 망으로 된 케이스(125)로 세척수의 악취 나 세균번식 등을 방지를 위해 저수조에 저장되는 세척수에 세정제가 적절히 용해가 된다.
세면기와 변기는 배수구의 막힘 발생 시 넘치지 않게 별도의 배수구(190)를 설치 넘치지 않고 세면기 방류 관(195)과 변기 방류 관(560)을 통해 변기 뒤쪽에 비치된 집수 통(510)에 모이게 한다.
집수 통(510)에 경우 내용물의 일정 무게가 통을 지지하는 받침대(520)와 받침대에 지렛대로 연결된(530) 상수 밸브(540)에 전달되어 잠기도록 하여 사용자가 배수를 더 시켜도 수도 공급이 원천 차단이 되어 오물이 넘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변기 막힘의 해결 후 집수 통을 비워주면 밸브가 열려 정상 사용 가능한 구조이다.
추가 기능은 밸브가 차단이 되는 동시에 변기 막힘을 화장실 관리자에게 알리는 전등 또는 경보기로 연결이 되는 기능이 있다.
저수조 측면에 구비된 거치대 형식의 청소 도구는 펄프 청소기(200)와 그 옆에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는 분무기(300)와 변기 내부 청소용 변기 솔(400)로 되어 있다.
우선 펄프 청소기(200)의 경우 편리한 기능으로 하나는 여과기(120)의 윗자리에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펄프 청소기(200)는 변기 앉는 자리와 같은 곳에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며 바로 옆에 구비된 세정액 분무기(300) 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전후로 더러워진 펄프 청소기의 (펄프 230)에 세정액을 뿌리고 다시 제자리에 놓은 후에 옆 작동단추(250)를 누르면 물 분사기(260)를 통해 펄프 청소기에 물이 분사되어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 청소기(200) 자체는 하부에 (펄프 230)와 물을 짜주는 굴림 봉(210) 그리고 굴림 봉은 손잡이(220)가 전후로 움직임을 따라 상하(290)로 움직이며 물을 짜게 된다.
몸체 판은 자석이 달린 저수조 턱(280)에 안착 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전후로 움직여도 미끄러지거나 쉽사리 분리되지 않는다.
몸체 판 중앙(270)에는 굴림 봉의 높낮이의 변화로 물을 짜는 역할을 돕는 양각 가이드 부분으로 되어 있어 손잡이(220)의 전후 운동에 따라 롤러(290)는 가이드 높이에 맞추어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세척을 돕고 사용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기능도 있다.
도면 4에서 몸체와 손잡이가 만나는 부분(240)도 자석이 있어 청소시 손잡이가 몸체와 따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을 도와준다.
세정액 분무기(300)는 손잡이 부분 둘레(310)가 저수조에 안착 시 뚜껑 역할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아래(320)는 세정액 용기 부분으로 기능상 일반 분무기와 다른 점은 없다.
변기 솔(400)은 상수(150)에 전화선(410)과 같이 유연한 관으로 연장되어 변기 솔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어 변기 청소 시 손잡이에 방아쇠(420)를 이용해 솔 사이사이로 물을 분사시키며 청소를 할 수 있다.
변기 솔 손잡이 아래 이음 세(470)를 분리시키면 손잡이를 물 분사기로 사용이 가능해 화장실 주변까지 물청소를 할 수 있고 변기 솔을 담아두는 거치대 는 솔 자체 오물 등을 세척하기 위한 내부 솔(430)이 있으며 거치대 내부에서 외부(440)로 나온 손잡이를 이용해 상하 운동으로 솔을 닦아주는 역할을 한다.
물 분사(420)를 하며 솔 청소(430)를 하면 자체 세척이 쉽게 되며 여기서 배출된 오수는 변기로 연결된 배수관(460)으로 배수된다.
변기의 막힘으로 오수가 역류하지 않게 배수관 끝(450)에는 방지 기능이 있다.
상수관 구조는 원 상수관(150)에서 첫 변기 넘침 밸브(540)를 지나 배관이 둘로 갈리는데 여기서 페달식 밸브(160)를 거쳐 세면기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다시 네 가지로 관이 나뉜다.
하나는 저수조 상수 칸에 공급하는 관(170)으로 수위 차단 밸브에 의해 제어된다.
두 번째는 세척수 칸에 수위 밸브(175)를 거쳐 다시 세면기로 연결된다.
세 번째는 펄프 청소기 세척을 위해 버튼 밸브(250)를 통해 분사기(260)에 연결된다.
네 번째는 중간 밸브를 거쳐 전화선 나선형 타입의 수도관(410)으로 연장되어 변기 솔(400)에 연결되고 방아쇠(420)로 제어된다.
청소도구에 공급되는 상수관은 중간 잠금장치가 각각 부착되어 관리 및 교체 또는 개별 사용을 중단할 필요할 경우에 단수가 가능하다.
[문헌 1] 20-0395208
많은 이들이 사용하게 되는 공공장소 등에 다수로 설치된 변기는 쉽게 오염이 되어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청소하더라도 부족한 경우가 많다.
공공 건물 등에 화장실은 대부분 다수의 변기가 칸막이로 나누어진 곳에 각각 나누어 배치되 있어 안에서 사용하게 된다.
사용 후 청결하지 못한 상태에서 손을 씻지도 못한 상태에서 나와야 하는 경우 손이나 이외의 부위에 오염물이 칸막이 벽과 문을 더럽히는 원인이 되게 된다. 특히 화장지 등이 부족한 경우 더더욱 심각하게 오염이 될 수 있다.
간혹 구비된 화장지가 부족하거나 사용 후 변기가 막혀 물이 넘치는 문제는 사람이 많이 오가는 공공 지역 화장실에서는 적지 않게 발생한다.
사용하는 이가 유일하게 사용가능한 변기가 지저분한 상황에도 내부에 그 아무런 청소 수단이 없어서 사용이 곤란한 상황이 발생한다.
가정에서도 변기를 청소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하는 필수도구인 변기 솔이 있지만 대체로 자체가 청결하지 못한 도구 중에 하나로 미관상 보기에도 안 좋아서 눈에 띄지 않게 구석진 곳에 방치하다 보면 곰팡이 등 균이 많이 번식하는 위생 문제의 요인이 된다.
본 복합 위생 변기의 발명을 적용하면 위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가 매번 드나들어도 내부에서 손을 씻고 칸막이 문 등을 열고 나온다면 오염이 줄고 물 자체도 세척수로 사용이 된 후 다시 재사용이 되어 낭비를 줄이게 된다.
전 사용자가 변기를 깨끗이 사용하지 않고 나온 경우에도 후 사용자가 저수조 옆에 비치된 청소도구를 이용해 스스로 청소를 손쉽게 하여 사용을 할 수 있어 사용자와 화장실 둘 모두의 위생과 청결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유용한 청소도구로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청소가 되어 관리에도 용이한 점으로 기존 시설보다 나은 관리가 된다.
혹시 변기와 세면기가 막히는 상황에도 넘침 방지로 집수 통과 상수 차단 기능이 있어 오물이 넘쳐 엉망이 되는 상황을 방지해 주며 변기 막힘을 관리자에게 알려 바로 대처하게 한다.
종래의 고안은 대부분 세면기에서 사용되고 버려지는 오수를 재활용하는 기능이 주력이며 주로 주거 장소 화장실 등에 적절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나 위생 문제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오수의 정화기능이 강화된 고안은 설비의 구조가 복잡하거나 고가인 단점이 있으며 건축구조의 변경 이외에 가용공간을 차지하는 등의 요구사항이 있다.
이외에 경우는 오수의 완전 정화가 되지 않으면 결국 변기 구조상 변기 내벽을 세척하는 미세 배출구는 오수의 작은 침전물로도 쉽게 막힐 수 있는 문제에 노출된 고안이다.
여러 개의 작은 미세 배출구는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기존 구조는 적절 하지 않다.
본 고안은 공공화장실 또는 상업 지역 화장실 등 다 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화장실 위생 문제를 주 해결 목표로 고안하게 되었으며 동시에 상수의 낭비를 줄이고 넘침 방지라는 기능으로 변기가 막힘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대중 화장실 일반 구조상 화장실 내 칸막이 벽으로 분리된 실에 변기가 설치되어 있고 용변을 본 후 청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칸막이 실을 나와서야 비로소 씻을 수 있는 구조가 대부분이기에 오염과 전염의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변기 세척을 작동하면 자연적으로 저수조의 세척수가 변기로 방출되며 수위가 낮아져 밸브가 열리고 공급 상수가 세면기를 통해 나오게 된다. 사용자는 자동적으로 나오는 수도에 자연히 손을 씻게 되는 효과가 있다.
오수는 저수조에 저장되고 여분은 수위를 넘을 경우 변기로 흘러들게 되어 있다.
여기서 세척수의 배수구는 반대편의 상수의 배수구보다는 낮고 하나의 넓은 관으로 된 배수구로 방출이 되게 되어 있어 변기 내벽 세척용 미세 배출구의 오염과 침전으로 막힘을 일으키지 않는다.
다수의 미세 배출구로는 깨끗한 상수가 방출되며 변기 내벽을 세척한다. 관이 넓은 재활용수 쪽 단일 배출구는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어 막힘으로 인한 문제 해결이 된다.
본 고안 변기는 자체 크기가 조금 커지는 것 외에 건축구조를 바꿔야 하는 등의 요구문제가 없어 기존 시설과 교체에도 전혀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상수는 변기세척을 하면 저수조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세면기에 자동으로 나오게 되어 있다.
저수조에 물이 차면 저절로 단수가 되고 더 필요할 경우에는 발판 형식으로 된 밸브 개폐기를 밟으면 물이 더 나와서 사용하면 된다.
변기 앉는 자리가 더러운 경우는 세면기 맞은 편에 청소도구인 펄프 청소기(200)와 세정액 분무기(300)를 사용하여 청소를 하면 된다.
펄프 청소기는 바로 옆에 누름 장치를 이용하여 물이 분사되면 손잡이를 전후로 움직여 청소기를 세척할 수 있다.
분무기 아래는 변기 내부를 청소할 때 사용하는 변기 솔(400)이 있어 변기 안을 청소할 경우에 사용되며 손잡이가 분리되며 손잡이는 물 분사기로 전체 청소를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변기 솔 또한 거치대 안에 움직이는 솔이 부착되어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를 상하로 움직이면 변기 솔이 마찰하며 세정이 된다.
변기는 아래 후면에 집수 통(500)이 있는데 변기가 막히거나 세면기 배수구가 막힐 경우 넘침 구로 오수가 흘러 모이는 곳으로 오수가 차기 시작하면 상수 원 밸브가 잠겨 오수가 더 넘치지 않게 한다.
동시에 세면기와 변기 막힘을 관리자 쪽에 알리는 기능이 있어 관리자는 막 힘을 해결하고 집수 통을 비우면 다시 급수 밸브가 열리게 되는 방식이다.
제1도는 총 구조를 나타낸 전체 구조도.
제2도는 세면기 기능을 나타낸 구조도.
제3도는 세면기 수도 및 오수 넘침 대처 구조도.
제4도는 청소도구 기능 구조도.
제5도는 청소도구 기능 구조도.
Claims (3)
- 저수조에 세면기를 연결하여 변기 사용 후 바로 손 세척을 할 수 있게 한 부분.변기 세척용으로 사용될 상수를 세면기에서 우선 사용하도록 저수조의 수위에 낮아짐과 함께 저수조를 채우기 위한 공급 상수를 세면기를 통해 자동으로 물이 나오게 한 기능.세면기는 수도 밸브가 따로 없이 흐르는 방식으로 세척수는 거름망과 여과기를 거쳐 정화된 후 저수조에 저장되며 적정 수위에 도달하면 세면기의 공급 상수가 차단되는 기능.상수가 차단된 상태에서 세면기 사용이 더 필요한 경우 페달식 밸브를 이용해 추가 사용가능한 기능. 추가사용분 세척수는 저수조를 통해 변기로 바로 배출된다.저수조는 두 칸으로 세면기에 사용된 세척수가 저장되는 칸과 상수가 바로 저장되는 칸으로 분리되고 변기도 저수조의 물이 배출되는 배수관이 둘이다.하나는 상수가 저장된 저수조 배수관으로는 변기의 내벽 세척을 위해 내벽 상부에 여러 미세 배출구로 배수되며 세척수는 하나의 통관으로 되어 있는 배수관으로 미세 배출구보다 아래쪽으로 배수된다.
- 변기의 앉는 부분 세척을 위한 펄프 청소기 그리고 변기 내부 청소를 위한 청소 솔 그리고 세척 및 살균을 위한 세정액 분무기를 저수조와 변기에 연결이 된 기능성 거치대 를 접목시킨 구조.상수에 연결된 물 분사기를 사용 청소도구가 변기를 청소하고 청소도구 자체도 청소하는 기능.펄프 청소기의 경우 손잡이를 움직여 펄프 스펀지 부분의 물 제거와 세척 기능.변기 솔의 경우 손잡이와 솔 부분을 분리시키면 물 분사기로 물 청소시 사용하는 기능.변기 솔 거치대 내에는 수동으로 움직이는 솔 청소기가 부착되어 솔 자체 세척 보조 기능.
- 세면기와 변기에는 넘침 관이 있어 배수관이 막히는 경우 오수의 수위가 세면기 또는 변기 밖으로 넘치기 전에 배출시켜 집수 통에 모이게 한 기능과 이 모이는 과정에서 변기에 공급되는 상수의 원 밸브가 차단되는 기능이다.단수되는 기능과 함께 세면기 또는 변기의 막힘을 알려주는 기능으로 관리자가 발견할 수 있도록 알림 등, 경보기 또는 관리 시설에 연계되어 알려주는 방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2002U KR20100008651U (ko) | 2009-02-23 | 2009-02-23 | 복합 위생 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2002U KR20100008651U (ko) | 2009-02-23 | 2009-02-23 | 복합 위생 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8651U true KR20100008651U (ko) | 2010-09-01 |
Family
ID=4419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2002U Ceased KR20100008651U (ko) | 2009-02-23 | 2009-02-23 | 복합 위생 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8651U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3372A (ko) | 2014-07-01 | 2016-01-11 | 장재성 | 절수형 좌변기 |
KR101593009B1 (ko) * | 2015-04-30 | 2016-02-12 | 이병희 |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
CN106088259A (zh) * | 2015-04-30 | 2016-11-09 | 李秉熙 | 坐便器用洗漱水回收利用装置 |
KR20170017048A (ko) * | 2015-08-04 | 2017-02-15 | 이병희 |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
-
2009
- 2009-02-23 KR KR2020090002002U patent/KR20100008651U/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3372A (ko) | 2014-07-01 | 2016-01-11 | 장재성 | 절수형 좌변기 |
KR101593009B1 (ko) * | 2015-04-30 | 2016-02-12 | 이병희 |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
CN106088259A (zh) * | 2015-04-30 | 2016-11-09 | 李秉熙 | 坐便器用洗漱水回收利用装置 |
KR20170017048A (ko) * | 2015-08-04 | 2017-02-15 | 이병희 |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6000B1 (ko) | 세면수를 변기세척수로 재활용이 가능한 절수기 장치 | |
KR200454984Y1 (ko) |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 | |
US20140283292A1 (en) | System for minimizing water usage and splash during urination | |
KR20180122061A (ko) | 세면수(水) 재활용 변기세척 절수기 장치 | |
KR20100008651U (ko) | 복합 위생 변기 | |
US7269863B1 (en) | Automatic self-cleaning toilet | |
KR101907308B1 (ko) | 생활폐수를 재활용하는 수세식 변기 | |
US20150345121A1 (en) | Recycling Flush Toilet System | |
US8185975B2 (en) | Self-rinsing toilet rim cover and method for using it | |
JP3211230U (ja) | 移動式手洗器 | |
AU739699B2 (en) | Device for saving water | |
EP3891341B1 (en) | Anti-waste sanitary system | |
CN200985528Y (zh) | 家庭循环给排水系统 | |
JP6381177B2 (ja) | 食堂用食器洗浄システム | |
KR101918037B1 (ko) | 소변기용 절수위생 배수 트랜치 | |
CN204715479U (zh) | 废水处理节水环保多功能组合柜 | |
CN103480194B (zh) | 一种废水回收装置 | |
US6944894B1 (en) | Self-cleaning toilet | |
CN218580767U (zh) | 一种防堵塞的双盆结构洗漱分离盆 | |
CA3041709A1 (en) | Universal washroom hygenic unit - new materialized washroom and washroom hygenic conception | |
CN215630455U (zh) | 一种小便池 | |
KR100274537B1 (ko) | 허드렛물을 이용하는 수세식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 |
CN209873990U (zh) | 卫生洁具 | |
KR200247255Y1 (ko) | 세면기의 허드렛물을 세척수로 사용하는 양변기 | |
CN201771026U (zh) | 生活用水二次利用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22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123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