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452A -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 Google Patents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452A
KR20100112452A KR1020090030965A KR20090030965A KR20100112452A KR 20100112452 A KR20100112452 A KR 20100112452A KR 1020090030965 A KR1020090030965 A KR 1020090030965A KR 20090030965 A KR20090030965 A KR 20090030965A KR 20100112452 A KR20100112452 A KR 2010011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support
hinge
collecting
inclin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102009003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2452A/ko
Publication of KR2010011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2Urinals without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이 포집된 포집부가 구성된 포집수단을 내측에 구성되고 하단에 소변 배수를 단속하는 제1배출수단 또는 회동수단이 구성된 트랩의 하방에 소변의 배수를 단속하는 제2배출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제1배출수단 또는 회동수단을 통해 소변이 배출될 때 기존에 수집된 장시간 체류 중인 소변에 의해 악취가 역류하여 배뇨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예방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상단에 단턱이 형성되고 하방에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는 걸림편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걸림편에 걸림 고정되고 내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단턱부와 하방에 제1경사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마련된 힌지와 상기 힌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2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제1배출수단; 내측에 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공간의 바닥면에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에 받침 지지되는 포집부가 구성된 포집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 단턱에 안착되고 상단에 유도면과 상기 유도면의 중앙에 유도공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삽입홈이 구성된 유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랩, 시폰, 야외소변기

Description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The doesn't need water type of urinal}
본 발명은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이 포집된 포집부가 구성된 포집수단을 내측에 구성되고 하단에 소변 배수를 단속하는 제1배출수단 또는 회동수단이 구성된 트랩의 하방에 소변의 배수를 단속하는 제2배출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제1배출수단 또는 회동수단을 통해 소변이 배출될 때 기존에 수집된 장시간 체류 중인 소변에 의해 악취가 역류하여 배뇨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예방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비교적 저렴한 상수도 요금으로 인하여 실생활에서 물부족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지만,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4mm 로 세계평균 973mm 보다 1.3배 높지만 인구밀도가 높아 1인당 연 강수량은 2,755㎥ 로, 세계 1 인당 연강수량 22,096㎥ 의 12.5% 에 불과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에 내리는 비의 양을 수자원 총량으로 보면 연간 약 1,267억㎥ 정도 인데, 이중 지하로 스며들거나 증발되는 양을 제외하고 하천으로 흘러가는 물의 양은 697억㎥ 이다. 이중 467억㎥ 은 홍수시에 한꺼번에 흘러가고, 평상시 유출량은 230억㎥ 에 불과하다. 또한 수자원 이용량 301억㎥ 중 자연하천수 취수가 57% 나 되어 조금만 가물어도 하천에서의 취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수자원이 갈수록 고갈되어간다는 우려에 따라 상수도 요금도 절약하고 수자원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제품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물부족 현상에 있어서, 요즈음 대부분의 화장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세식 소변기도 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제품 중의 하나인데, 종래의 수세식 소변기는 하부의 배수로에 U자형 트랩을 설치하여 용변 후 물로 수세하면 최종적으로 U자형 트랩에 물이 고여 악취의 방출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버튼식 밸브의 조작이나 센서감지에 의해 수세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수세를 위한 물 사용량이 많고 버튼식 밸브구조와 인체감지센서의 설치에 따른 추가 비용부담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버튼이나 인체감지센서의 잦은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물의 낭비가 심하고 수리비용도 많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무수(無水)소변기가 제안되었으며, 그 중 하나는 지폰(siphone)형 트랩이 있으며, 이는 도 1을 참조하면, 지폰형 트랩(1)은 하우징(2)의 내측에 부력에 의해 승강하는 부력체(3)와 상기 하우징(2)의 상단에 마련되고 부력체(3)가 상승하면 내측이 폐쇄되며 하강하면 개방되는 고무덮개(4) 및 상기 하우징(2)의 일측에 마련되고 일정수위로 소변이 채워 지면 배출되는 배출구(5)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는 고무덮개(4)를 통해 진입된 소변이 무다s으로 배출구(5)를 통해 배출됨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의 배플(baffle)이 마련된다.
따라서, 지폰형 트랩(1)은 하우징(2)의 내부에 일정량의 액체(경우에 따라서는 물 또는 소변을 사용한다.)가 채워져 부력체(3)는 상승되어 고무덮개(4)를 밀폐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 용변 즉, 소변을 보면 소변이 고무덮개(4)의 상단에 담수되며 이를 통해 담수압력에 의해 부력체(3)가 하강함에 따라 고무덮개(4)를 개방시켜 하우징(2)의 내부로 진입된다.
그리고 진입된 소변은 일정수위에 도달되면 배출구(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소변의 담수압력에 의해서만 부력체의 하강으로 고무덮개를 개방시킴으로써, 소변악취가 외부로 방출됨을 방지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무수(無水)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지폰형 트랩(이하, '종래발명 1'이라 한다)은 하우징(2)의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부력보다 작은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부력체(3)가 하강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이는 소변이 최초부터 중간까지는 일정량의 배출되나 점차적으로 마무리시점에서는 소변량이 현격하게 줄어들고, 이러한 잔량의 소변량은 부력체를 하강시키지 못하는 담수압력을 가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고무덮개 상단에 수집된 상태를 이루므로, 잔량의 소변에 의해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무수형 소변기는 도 2를 참고할 때, 미국특허 제 6, 053, 197호 및 미 국특허출원 제 09/855, 735호에 공개된 악취트랩(20)이 원통형 하우징(22), 하측부분(24) 및 커버(26) 또는 상측부분을 가져서 내부공간(27)을 형성한다.
내부에서 상기 악취트랩(20)이 상기 커버(26)로부터 하향으로 연장구성되고 커버(26)에 고정되는 수직의 배플(baffle)(28), 상기 배플(28)에 고정되고 경사를 이루는 수평의 배플(30) 및 상기 하측부분(24)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오버플로우라이저(32)를 포함한다. 유출구(34)를 통해 트랩(20)의 내부공간(27)으로부터 방출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오버플로우 라이저(32)가 벽단면을 가지고, 상기 유출구(34)가 외부의 배출장치와 연결된다. 유입구(36)가 내부공간(27)을 향한 개구부를 형성한다.
물 및 소변의 혼합물과 같은 폐수의 전달액체(38)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공간이 적응되고, 오일성분의 밀봉제층(40)이 상기 폐수위에 부유한다. 따라서 폐수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입부(36)를 통해 악취트랩(20)으로 유입되고, 상기 밀봉제층(40)을 통과하여 유동하며, 오버플로우 라이저(32)로 이동할 때 상부 및 하부의 배플(30)을 부유하고, 유출구(34)를 통해 악취트랩(20)을 이탈한다.
커버(26)가 또한 상기 유입구(36)에 의해 둘러싸이고 중심에 위치한 개구부(42)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의 악취트랩(이하, '종래발명 2'라 한다)은 하우징의 내부에 오일성분의 밀봉제층(40)을 가지고 있으므로, 청소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발명 1, 2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항상 일정량의 액체가 담수 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되고, 이는 4계절이 뚜렷한 국내 즉, 겨울철 영하(-)의 날씨에서는 하우징에 담수된 액체가 얼어버리기 때문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 취약한 문제점으로 종래발명 1, 2는 난방시설이 좋은 건물 실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사용의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변은 액체 즉, 물과 혼합될 경우 화학적 반응에 의해 요석을 생성하게 되고, 이러한 요석은 관의 내부에 흡착됨에 따라 유체의 이동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역류 또는 퇴적물이 쌓여 결국, 트랩의 내부 또는 관의 내부가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발명 1,2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장점으로 물을 아낄 수 있다는 효과는 가지고 있으나, 소변의 잔량이 남거나 또는 요석의 생성으로 트랩의 내부 또는 관을 막히게 하고, 이로 인해 소변 또는 요석에 의해 악취가 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랩의 내부에 소변 또는 물과 같은 액체가 담수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소변뿐만 아니라 요석 발생을 예방하도록 함에 따라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외부환경에 구애됨이 없이 실내,외에 적용이 가능한 제품의 한계성을 극 복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생물이 포집된 포집부가 구성된 포집수단을 내측에 구성되고 하단에 소변 배수를 단속하는 제1배출수단 또는 회동수단이 구성된 트랩의 하방에 소변의 배수를 단속하는 제2배출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제1배출수단 또는 회동수단을 통해 소변이 배출될 때 기존에 수집된 장시간 체류 중인 소변에 의해 악취가 역류하여 배뇨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예방하는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는 배출부에 트랩이 마련된 소변기에 있어서, 상기 트랩은 상기 배출부에 안착되도록 상단에 단턱이 형성되고 하방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는 자체 탄성을 가지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걸림편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의 걸림편에 걸림 고정되고 내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단턱부와 하방의 어느 일측에 하향된 제1경사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힌지와 상기 힌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경사부의 대칭되게 마련되는 제2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제1배출수단, 상기 하우징의 상단 내측에 마련되고 내측에 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공간의 바닥면에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에 받침 지지되는 미생물이 포집된 고체상태의 포집부가 구성 된 포집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 단턱에 안착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하향되는 유도면과 상기 유도면의 중앙에 유도공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포집수단의 걸림턱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이 구성된 유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출부에 트랩이 마련된 소변기에 있어서, 상기 트랩은 상기 배출구에 안착되고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외통공이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단 내측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걸림부에 하단이 지지되고 내측에 수집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공간의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단에 단속부가 형성된 제2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의 수집공간에 마련되되 배수공을 밀착하며 상기 제2지지부의 수집공간으로 수집되는 소변에 의한 부력발생으로 승강하는 볼, 상기 제1지지부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상단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면에 소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의 저면으로 하향되게 돌출되어 상기 볼이 부력에 의해 상승한 후 하강할 때 임의 위치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안내부재가 형성된 제3지지부, 상기 제3지지부의 저장공간에 마련되는 미생물이 포집된 고체상태의 포집부가 구성된 포집수단, 및 상기 제2지지부의 배수공을 단속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1 또는 제2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힌지와 상기 회동판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 또는 제1지지부의 하방에 연결되고 어느 일측에 자체 탄성을 가지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걸림편이 마련된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걸림편에 걸림 고정되고 내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단턱부와 하방의 어느 일측에 하향된 제1경사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힌지와 상기 힌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경사부의 대칭되게 마련되는 제2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제2배출수단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경사부 또는 회동판의 일단에 마련된 힌지 또는 회동힌지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제2경사부 또는 회동판을 단속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무게중심추와, 상기 무게중심추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제2영구자석, 및 상기 제1배출수단 또는 제2지지부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2영구자석과 같은 극성을 가지어 제2경사부 또는 회동판이 힌지 또는 회동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무게중심추의 제2영구자석이 근접될 때 척력으로 제2경사부 또는 회동판을 복귀시키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제1영구자석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트랩의 내부에 소변 또는 물과 같은 액체가 담수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소변뿐만 아니라 요석 발생을 예방하도록 함에 따라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외부환경에 구애됨이 없이 실내,외에 적용이 가능한 제품의 한계성을 극복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미생물이 포집된 포집부가 구성된 포집수단을 내측에 구성되고 하단 에 소변 배수를 단속하는 제1배출수단 또는 회동수단이 구성된 트랩의 하방에 소변의 배수를 단속하는 제2배출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제1배출수단 또는 회동수단을 통해 소변이 배출될 때 기존에 수집된 장시간 체류 중인 소변에 의해 악취가 역류하여 배뇨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수형 트랩의 설치된 소변기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수형 트랩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수형 트랩의 사용상태 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물을 사용하지 않는 소변기에는 소변을 배출할 때 역류 또는 잔량의 소변으로 악취가 발생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1트랩(100)을 구성한다.
상기 제1트랩(100)은 소변기의 배출부에 고정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방에 고정되어 일정량의 소변이 수집될 때 배출되도록 단속하는 제1배출수단(12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미생물이 포집된 포집부가 구성된 포집수단(13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포집수단(130)이 임의로 착탈되는 것을 단속하는 유도수단(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하방에는 상광하협 형상의 배출 구(112)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112)에는 상기 제1배출수단(120)을 고정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걸림편(112)이 구성된다.
물론, 상기 걸림편(114)은 배출구(112)를 통해 배수되는 소변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114)은 배출구(112)와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는 상기 포집수단(1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의 단턱(11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하방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연결호스가 구성된다.
상기 제1배출수단(120)은 내측에 소변이 배수되도록 통공(122)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 하우징(110)의 배출구(112)에 걸림되는 단턱부(124)가 형성되며, 하단 어느 일측에 중앙 하방으로 경사면을 가지는 제1경사부(126)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제1경사부(126)의 끝단을 단속하는 제2경사부(128)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경사부(128)는 제1배출수단(120)에 고정되는 힌지(12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힌지(127)에 의해 회동된 후 원상태 즉, 제1경사부(126)의 끝단을 단속하는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9)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126)(128)는 상호 대칭된 형상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제1배출수단(120)의 통공(122)을 통해 배수되는 소변이 잔량없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는 형상이다.
상기 포집수단(130)은 내측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수용공간(132)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으로 걸림턱(134)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32)의 바닥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받침부재(136), 및 상기 받침부재(136)에 받침되는 미생물이 포집된 포집부(138)로 구성된다.
상기 포집부(138)의 미생물은 소변을 영양분으로 하여 소변 또는 요석을 제거하는 미생물로써, 이러한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미생물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포집부(138)는 고체상태 즉, 덩어리형태로 존재하며 소변에 의해 침식됨에 따라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포집수단(130)의 포집부(138)를 충전하여주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포집수단(130)의 수용공간(132) 바닥면에는 다수의 배출공(139)이 형성되어 소변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구성하며, 또는 바닥면뿐만 아니라 측벽에도 다수의 배출공(139)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도수단(140)은 상단에 내측 하방으로 경사진 유도면(142)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면(142)의 중앙에는 소변이 배수되도록 유도공(14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도슈단(140)의 외주연은 하방으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상기 포집수단(130)의 걸림턱(134)이 삽입되는 삽입홈(14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수단(140)의 외주연은 하우징(110)의 단턱(116)에 안착될 때 중간 또는 억지끼워맞춤 형태로 삽입 고정되어 임의로 상기 하우징(11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도수단(140)의 유도공(144)은 포집수단(130)에 마련된 포집부(138)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소변에 의해 외부로 비산됨을 방지하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유도수단(140)의 유도면(142)을 따라 소변이 유도되어 유도공(144)을 통해 배수됨에 따라 배수되는 소변과 포집부(138)가 원활하게 접촉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유도수단(140)의 상방에는 토사물 즉, 일정크기를 가지는 덩어리가 걸리되도록 하는 걸름망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트랩(100)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변기의 배출부에 상기 제1트랩(10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배뇨하게 되면, 소변은 걸름망을 통해 1차 걸름되고, 아울러, 하방에 마련된 유도수단(140)의 유도면(142)에 의해 중앙의 유도공(144)으로 배수된다.
아울러, 배수된 소변은 포집수단(130)의 포집부(138)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포집부(138)에 포집된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상기 소변과 함께 미생물이 수용공간(132)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공(139)을 통해 하방으로 배수된다.
물론, 포집수단(130)의 수용공간(132) 바닥면에 잔존하는 소변은 활성화된 미생물에 의해 제거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잔존하는 잔량의 소변에 의한 악취뿐만 아니라 장시간 잔류함에 따라 요석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여, 항상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포집수단(130)의 하방으로 배수된 미생물이 포함된 소변은 제1배출수 단(120)의 통공(122)에 1차 수집되고, 이렇게 수집된 소변량이 탄성부재(129)의 탄성력을 이기는 압력만큼 이루어지면 상기 탄성부재(129)에 지지된 제2경사부(128)가 힌지(127)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더불어, 상기 회동된 제2경사부(128)는 제1경사부(126)의 하단을 개방시킴으로 개방공간을 통해 소변을 배수하게 되고, 특히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126)(128)는 하향되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변의 잔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배출수단(120)의 내부에 소량의 소변이 잔류하여도 미생물이 포함된 상태이므로, 상기 미생물의 활성화에 의해 소변의 악취 및 요석 발생을 예방하게 된다.
또한, 제1배출수단(120)의 통공(122)에 수집된 소변의 배수가 이루어지면 제2경사부(128)를 탄성지지 하는 탄성부재(129)의 탄성력으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제2경사부(128)는 역회동되어 제1경사부(126)의 하단에 밀착됨에 따라 배수된 소변의 악취가 상승됨을 차단함에 따라 소변 악취 및 요석 발생을 예방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작용으로 포집수단(130)에 마련된 포집부(138)는 일정시간 경과 후 소멸되므로, 포집부(138)를 충전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유도수단(140)을 하우징(110)에서 빼낸 후 삽입홈(146)에 안착된 포집수단(130)을 이탈시켜 포집수단(130) 전체를 교체하거나 또는 이탈된 포집수단(130)의 수용공간(132)에 마련된 받침부재(136) 새로운 포집부(138)를 안착시킨 리필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관리자의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혀 물을 사용하지않음에 따라 물의 낭비를 억제함과 아울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종래발명 1 및 2와 같이 트랩의 내부에 물 또는 소변이 항상 일정량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므로, 물을 사용하기 어려운 산 또는 야외 공공시설물의 화장실에도 적용가능한 사용의 한계성을 극복한 것이다.
(제2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중 무수형 트랩의 사용상태 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트랩은 하우징(110)의 하방으로 연결관(150)을 더 구성하고, 상기 연결관(150)의 어느 일측에는 제2배출수단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관(150)에는 상기 제2배출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편(152)이 복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걸림편(152)을 형성하지 않고 하방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광하협 형상에 제2배출수단이 걸림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제2배출수단은 제1트랩을 통해 배수된 소변을 수집하여, 일정량의 이상의 소변이 수집될 때 하방으로 배수하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제2배출수단은 제1실시 예의 제1배출수단(12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성 설명은 상술된 바와 같음으로 별 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제1 및 제2배출수단을 구성한 것은, 제1실시 예와 같이 제1배출수단만을 구성할 경우 제1배출수단을 통해 소변이 배출될 때 기존의 배출된 소변들이 수집된 상태에서 장시간 체류로 인해 독성을 가진 악취가 상승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복수의 배출수단을 구성하여, 1차적으로 제1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된 소변이 제2배출수단에 잠시 머무는 동안 제1배출수단을 통해 소변 배출이 완료되면 이후 제2배출수단이 작동됨에 따라 기존의 수집된 장시간 체류한 소변들에 의해 생성된 악취가 제2배출수단에 의해 억제됨에 따라 사용자에게로 전달될 수 있는 불쾌한 악취를 원천봉쇄하게 되는 것이다.
(제3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무수형 트랩의 사용상태 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에 따른 제2트랩(200)은 소변기의 배출부에 고정되는 제1지지부(210)와, 상기 제1지지부(210)의 하방에 마련되는 제2지지부(220)와, 상기 제2지지부(220)의 내부에 마련되는 볼(230)과, 상기 제2지지부(2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지지부(240)와, 상기 제3지지부(240)의 상단에 마련되는 포집수단(130), 및 상기 제2지지부(220)의 하단을 단속하는 회동수단(250)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제1지지부(210)의 상단에는 걸름망이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210)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212)의 바닥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외통공(214)이 형성된 걸림부(216)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지지부(210)는 소변기의 배출부에 중간 또는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 고정되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고, 또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210)를 소변기의 배출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지지부(210)의 상단 내측면에는 제3지지부(240)가 체결되도록 암나사공(218)이 형성되어, 상기 제3지지부(240)를 체결 고정하는 것으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중간 또는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제3지지부(240)가 제1지지부(210)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220)는 제1지지부(210)의 걸림부(216)에 의해 하단이 지지고정되고, 상단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집공간(222)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공간(222)의 바닥면에는 소변이 배수되도록 배수공(2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제3지지부(240)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단속부(226)가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또는 제2지지부(210)(220)의 하방 어느 일측에는 제1영구자석(228)이 마련되고, 상기 제1영구자석(228)은 제2지지부(220)의 하방 일측에 마련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볼(230)은 제2지지부(220)의 수집공간(222)에 마련되되 배수공(224)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배수공(224)에 밀착됨에 따라 임의로 상기 배수공(224)을 소변이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볼(230)은 제2지지부(220)의 수집공간(222)으로 소변이 수집될 경우 수집된 소변에 의한 부력으로 상승하여, 결국 단속된 배수공(224)을 개방시켜 소변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3지지부(240)는 내측에 포집수단(130)이 안착되는 저장공간(242)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 제1지지부(210)에 형성된 암나사공(218)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244)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242)의 바닥면에는 소변의 배수가 원활하도록 소통공(246)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3지지부(240)의 하방에는 상기 제2 및 제3지지부(220)(240) 사이에 마련된 볼(230)이 소변의 부력으로 승강할 때 일정범위를 이탈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248)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안내부재(24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격벽과 같은 볼(230)이 부력에 의해 상승한 후 하강할 때 임의 위치로 이탈되지 않고 배수공(224)을 단속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포집수단(130)은 내측에 포집부(138)가 마련된 것으로, 이는 제1실시 예에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미생물이 포집된 포집부(138)에 의해 소변 및 요석의 발생을 예방함에 따라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동수단(250)은 제2지지부(220)의 배수공(224)을 단속하는 수단이다.
상기 회동수단(250)은 제1 또는 제2지지부(210)(220)의 어느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힌지(252)와, 상기 회동힌지(252)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부(220)의 배수공(224) 하단을 단속하며 상기 회동힌지(252)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판(254)과, 상기 회동힌지(252)가 마련된 회동판(254)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판(254)이 배수공(224)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무게중심추(256)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판(254) 또는 무게중심추(256)의 어느 일측에는 제1영구자석(228)과 같은 극성을 가진 제2영구자석(258)이 마련되되, 상기 제2영구자석(258)은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중심추(256)의 일측에 마련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동판(254)이 제2지지부(220)의 수집공간(222)으로 수집된 소변량에 의해 회동힌지(252)를 중심으로 회동되면, 상기 회동판(254)과 함께 무게중심추(256)가 회동되면서 상기 무게중심추(256)에 마련된 제2영구자석(258)과 제2지지부(220)에 마련된 제1영구자석(228)이 상호 밀착되나, 상기 제1 및 제2영구자석(228)(258)은 같은 극성을 가짐에 따라 척력에 의해 상호 밀어내어 상기 척력에 의해 회동판(254)이 회동힌지(252)를 중심으로 역 회동한다.
아울러, 상기 회동수단(250)은 무게중심추(256)와 제1 및 제2영구자석(228)(258)에 의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실시 예의 탄성부재로 치환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회동판(254)이 제2지지부의 수집공간에 수집된 소변량에 의해 회동될 때 역회동되도록 복귀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회동수단은 제1실시 예의 탄성부재를 치환하여 제1실시 예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배수공(2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일정각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배수공(224)으로 수집된 소변이 배수가 이루어진 후 회동판(254)이 빠르게 복귀되어 소변에 의한 악취의 상승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배수공을 기울기 없이 수평으로 형성하고, 영구자석 또는 탄상부재에 의해 회동판이 빠른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폰형 트랩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악취트랩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수형 트랩의 설치된 소변기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수형 트랩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수형 트랩의 사용상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중 무수형 트랩의 사용상태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무수형 트랩의 사용상태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제1 및 제2트랩 110: 하우징
112: 배출구 114, 152: 걸림편
116: 단턱 120: 제1배출수단
122: 통공 124: 단턱부
126, 128: 제1 및 제2경사부 127: 힌지
129: 탄성부재 130: 포집수단
132: 수용공간 134: 걸림턱
136: 받침부재 138: 포집부
140: 유도수단 142: 유도면
144: 유도공 146: 삽입홈
150: 연결관 210: 제1지지부
212: 수납공간 214: 외통공
216: 걸림부 218: 암나사공
220: 제2지지부 222: 수집공간
224: 배수공 226: 단속부
230: 볼 240: 제3지지부
242: 저장공간 244: 수나사부
246: 소통공 248: 안내부재
250: 회동수단 252: 회동힌지
254: 회동판 256: 무게중심추
258: 제2영구자석

Claims (4)

  1. 배출부에 트랩이 마련된 소변기에 있어서, 상기 트랩은
    상기 배출부에 안착되도록 상단에 단턱이 형성되고 하방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는 자체 탄성을 가지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걸림편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의 걸림편에 걸림 고정되고 내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단턱부와 하방의 어느 일측에 하향된 제1경사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힌지와 상기 힌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경사부의 대칭되게 마련되는 제2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제1배출수단;
    상기 하우징의 상단 내측에 마련되고 내측에 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공간의 바닥면에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에 받침 지지되는 미생물이 포집된 고체상태의 포집부가 구성되며 바닥면 또는 측벽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포집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 단턱에 안착되고 상단에 내측으로 하향되는 유도면과 상기 유도면의 중앙에 유도공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포집수단의 걸림턱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이 구성된 유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2. 배출부에 트랩이 마련된 소변기에 있어서, 상기 트랩은
    상기 배출구에 안착되고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외통공이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단 내측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걸림부에 하단이 지지되고 내측에 수집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공간의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단에 단속부가 형성된 제2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의 수집공간에 마련되되 배수공을 밀착하며 상기 제2지지부의 수집공간으로 수집되는 소변에 의한 부력발생으로 승강하는 볼;
    상기 제1지지부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상단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면에 소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의 저면으로 하향되게 돌출되어 상기 볼이 부력에 의해 상승한 후 하강할 때 임의 위치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안내부재가 형성된 제3지지부;
    상기 제3지지부의 저장공간에 마련되는 미생물이 포집된 고체상태의 포집부가 구성된 포집수단; 및
    상기 제2지지부의 배수공을 단속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1 또는 제2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힌지와 상기 회동판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회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제1지지부의 하방에 연결되고 어느 일측에 자체 탄성을 가지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걸림편이 마련된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걸림편에 걸림 고정되고 내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단턱부와 하방의 어느 일측에 하향된 제1경사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힌지와 상기 힌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경사부의 대칭되게 마련되는 제2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제2배출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부 또는 회동판의 일단에 마련된 힌지 또는 회동힌지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제2경사부 또는 회동판을 단속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무게중심추와;
    상기 무게중심추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제2영구자석; 및
    상기 제1배출수단 또는 제2지지부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2영구자석과 같은 극성을 가지어 제2경사부 또는 회동판이 힌지 또는 회동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무게중심추의 제2영구자석이 근접될 때 척력으로 제2경사부 또는 회동판 을 복귀시키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제1영구자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KR1020090030965A 2009-04-09 2009-04-09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KR20100112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65A KR20100112452A (ko) 2009-04-09 2009-04-09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65A KR20100112452A (ko) 2009-04-09 2009-04-09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452A true KR20100112452A (ko) 2010-10-19

Family

ID=4313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965A KR20100112452A (ko) 2009-04-09 2009-04-09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245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660B1 (ko) * 2011-10-04 2013-08-27 스티븐 준 한 소변기용 배수 트랩
CN104278729A (zh) * 2013-07-05 2015-01-14 苏州巨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洁具
KR101597321B1 (ko) * 2015-06-29 2016-02-24 주식회사 에코웨이 악취 및 역류 방지용 배수 안내장치
KR101683577B1 (ko) * 2015-12-04 2016-12-20 박성원 배수 역류 방지장치
KR20170005733A (ko) * 2015-07-06 2017-01-16 에코홈즈 주식회사 화장실의 공간활용과 세척물이 없이 소변의 배수 및 악취가 방지되는 가정용 소변기
KR102209000B1 (ko) * 2020-01-30 2021-01-28 주식회사 삼일지앤드엠 소변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660B1 (ko) * 2011-10-04 2013-08-27 스티븐 준 한 소변기용 배수 트랩
CN104278729A (zh) * 2013-07-05 2015-01-14 苏州巨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洁具
KR101597321B1 (ko) * 2015-06-29 2016-02-24 주식회사 에코웨이 악취 및 역류 방지용 배수 안내장치
WO2017003159A1 (ko) * 2015-06-29 2017-01-05 주식회사 에코웨이 악취 및 역류 방지용 배수 안내장치
KR20170005733A (ko) * 2015-07-06 2017-01-16 에코홈즈 주식회사 화장실의 공간활용과 세척물이 없이 소변의 배수 및 악취가 방지되는 가정용 소변기
KR101683577B1 (ko) * 2015-12-04 2016-12-20 박성원 배수 역류 방지장치
KR102209000B1 (ko) * 2020-01-30 2021-01-28 주식회사 삼일지앤드엠 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4890B1 (en) Automatic cleaning assembly for a toilet bowl
KR20100112452A (ko)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AU2010223103B2 (en) Anti-siphon trap with snorkel for a waterless urinal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CN202519751U (zh) 跨层排水冲厕系统
CN201033891Y (zh) 厕所自动封闭节水蹲便器
KR20110123174A (ko) 악취 차단형 배수구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CN109183939B (zh) 一种使用生活污水冲洗的抽水马桶
CN205296368U (zh) 一种用于收集卫生间小便器附近地面液体的洁具
KR101056506B1 (ko) 씽크대 배수 구조
KR100498243B1 (ko)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KR20020014640A (ko) 어류 양식수조의 급배수장치
KR102309830B1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
CN201141154Y (zh) 抽水马桶的节水机构
CN219080556U (zh) 一种园林排水装置
CN214061898U (zh) 隐藏式地漏
KR20190037467A (ko)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KR200463865Y1 (ko) 악취방지트랩
CN212130050U (zh) 一种无味节水公厕系统
CN220868390U (zh) 一种防臭排水地漏
CN211621821U (zh) 一种带有主副止回阀的新型下水管道
CN212801821U (zh) 水池防臭下水装置
CN201771026U (zh) 生活用水二次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129

Effective date: 2012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