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577B1 - 배수 역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수 역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577B1
KR101683577B1 KR1020150172438A KR20150172438A KR101683577B1 KR 101683577 B1 KR101683577 B1 KR 101683577B1 KR 1020150172438 A KR1020150172438 A KR 1020150172438A KR 20150172438 A KR20150172438 A KR 20150172438A KR 101683577 B1 KR101683577 B1 KR 101683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opening
casing
plat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원
Original Assignee
박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원 filed Critical 박성원
Priority to KR1020150172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기, 싱크대, 화장실 바닥 등의 배수구에 구비되어 소변이나, 오수 등을 포함하는 유체를 신속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악취 또는 벌레 등이 배수구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 역류 방지장치{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OF DRAINAGE}
본 발명은 배수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기, 싱크대, 화장실 바닥 등의 배수구에 구비되어 소변이나, 오수 등을 포함하는 유체를 신속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악취 또는 벌레 등이 배수구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화장실 등에는 사용자의 오줌을 받아내기 위한 소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소변기는 사용자의 용변시 소변과 물이 함께 배수관을 따라 배출됨과 아울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소변 및 오수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고임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소변기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관에 잔류수가 남아 있음으로써 그 잔류수에 포함된 소변에 의해 악취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변시 소변기 내부에 잔류된 소변이 외부로 튀면서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6553호(2012.7.1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기, 싱크대, 화장실 바닥 등의 배수구에 구비되어 소변이나, 오수 등을 포함하는 유체를 신속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악취 또는 벌레 등이 배수구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입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유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부는, 상부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상부케이싱; 및 하부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의 하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하부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부케이싱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및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유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개폐판이 자동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상부케이싱의 상부에 위치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상기 상부케이싱으로부터 떠받쳐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싱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며, 유체가 배출되는 한편, 이물질의 배출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물질차단부재는, 다수의 중공이 형성되는 차단판; 상기 차단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싱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는 측벽; 및 상기 차단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케이싱은, 상부가 상기 측벽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후면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물질차단부재는, 상기 차단판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중공을 통과하는 유체가 상기 경사면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차단부재를 상기 상부케이싱으로부터 인출하거나, 그 상부케이싱으로 인입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하단부가 상기 파지바에 나사결합되고, 상단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에 결합되는 역류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을 통과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상부조절부; 상,하부가 개방되며, 그 상부가 상기 상부조절부의 하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하부로 갈수록 사이 폭이 좁아지는 중앙조절부; 및 상기 중앙조절부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대향되는 한 쌍의 배수판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배수판은, 서로 인접하거나 접한 상태로부터 상기 중앙조절부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가압에 의해 이격되면서 그 사이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그 유체의 가압해제에 따라 서로 인접하거나 접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개폐판은, 전,후단부를 가지며, 그 후단부가 상기 배출구를 이루는 둘레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그 전,후단부 사이 중앙부가 힌지축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개폐판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무게추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개폐판의 후단부와 상기 하부케이싱을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변기, 싱크대, 화장실 바닥 등의 배수구에 구비되어 소변이나, 오수 등을 포함하는 유체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악취 또는 벌레 등이 배수구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역류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역류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역류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역류 방지장치에서 개폐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역류 방지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결합수단, 이물질차단부재, 하부케이싱 및 역류방지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역류 방지장치(1)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 및 유입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는 수용부(10) 및 상기 배출구(12)로 배출되는 유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배출구(12)를 개폐하는 개폐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 역류 방지장치(1)는 소변기, 싱크대, 화장실 바닥 등의 배수구에 구비되어 소변이나, 오수 등을 포함하는 유체가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악취나, 벌레 등이 배수구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용부(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상부케이싱(13) 및 하부에 상기 배출구(12)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3)의 하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하부케이싱(14)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케이싱(13)은 배수구를 이루는 둘레에 결합되며,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케이싱(14)은 상부가 상기 상부케이싱(13)의 하부 내측으로 인입되며, 후면은 상기 상부케이싱(13)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상기 배출구(12) 방향으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경사면(14a)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싱(14)은 상기 배출구(12)로부터 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개폐부(20)는 상기 하부케이싱(14)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12)를 개폐하는 개폐판(21) 및 상기 배출구(12)로 배출되는 유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개폐판(21)이 자동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수단(22)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판(21)은 전,후단부를 가지며, 그 후단부가 힌지축(23)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싱(14)의 하부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12)를 이루는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23)은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하부케이싱(14)의 후면 하부 양측에 연결된다.
상기 개폐판(21)은 후면부에 양단부를 관통하는 연결바(21a)가 형성되면서 상기 힌지축(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21)은 후단부가 상기 힌지축(23)보다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22)은 상기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후방에 위치되면서 유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개폐판(21)이 자동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개폐수단(22)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21)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무게추(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게추(24)는 상기 배출구(12)로 배출되는 유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개폐판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가압 해제에 따라 차단될 수 있는 정도의 무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판(21) 및 상기 무게추(24)는 실리콘 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21)은 상기 무게추(24)의 하중에 의해 상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배출구(12)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개폐판(21)은 상기 배출구(12)로 배출되는 유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배출구(12)를 개폐하여 유체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개폐수단(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21)의 후단부와 상기 하부케이싱(14)을 연결하는 스프링(2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25)은 상기 배출구(12)로 배출되는 유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개폐판(21)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가압 해제에 따라 차단될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25)은 일반적인 형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출구(12)로 배출되는 유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개폐판(21)의 개방에 의해 수축되는 한편, 그 유체의 배출이 멈춤에 따라 원상태로 이완되면서 그 개폐판(21)이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 역류 방지장치(1)는 상기 상부케이싱(13)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0)는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싱(13)의 상부에 위치되는 커버(31) 및 상기 커버(31)를 상기 상부케이싱(13)으로부터 떠받쳐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32)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31)는 상기 상부케이싱(13)의 상부 외경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며, 상부면이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케이싱(13)은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바(32)가 안착되는 플랜지(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바(32)는 상기 커버(31)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5)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커버(31)와 상기 상부케이싱(31) 간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이격공간(33)을 형성한다.
상기 배수 역류 방지장치(1)는 도 2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싱(13)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는 이물질차단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40)는 상기 유입구(12)로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하부케이싱(14)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담배꽁초나, 껌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상기 하부케이싱(14)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물질차단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중공(41a)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싱(13)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는 차단판(41), 상기 차단판(41)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42) 및 상기 차단판(4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바(43)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판(41)은 상기 상부케이싱(13)의 하부 내경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며, 상기 다수의 중공(41a)은 이물질이 통과되지 않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 역류 방지장치(1)는 상기 다수의 중공(41a)을 통해 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음으로써 유체의 고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로 인해 겨울철 등에 따른 영하의 기온에 의해 상기 수용부(10)에 존재하는 유체가 동결되는 등에 따른 악취와 함께 유체의 배출 장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벽(42)은 상기 상부케이싱(13) 간을 기밀하게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측벽(42)에는 패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4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판(4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중공(41a)을 통과하는 유체가 상기 경사면(14a)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판(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44)은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차단부재(40)는 상기 측벽(42)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42)과 인접하는 상기 상부케이싱(13)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그 상부케이싱(1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싱(1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내측면에 상기 차단판(41)이 안착되는 돌출턱(1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싱(14)은 상부가 상기 측벽(42)의 하부 외측에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바(43)는 상기 차단판(41)의 중앙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방향으로의 인위적인 당김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싱(13)으로부터 상기 차단판(41)이 함께 인출되면서 그 차단판(41)에 걸러진 이물질 등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차단부재(40), 상기 하부케이싱(14) 및 후술되는 역류방지수단(60)이 상호 연결되면서 청소나, 청결상태 유지 등을 위해 함께 교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배수 역류 방지장치(1)는 상기 이물질차단부재(40)를 상기 상부케이싱(13)으로부터 인출하거나, 그 상부케이싱(13)으로 인입하기 위한 결합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5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상기 파지바(43)에 나사결합되고 상단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51) 및 상기 연결바(51)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바(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역류 방지장치(1)는 소변기 등의 청소에 따라 상기 수용부(10)로부터 상기 커버부(30)를 분리한 후, 상기 손잡이바(52)를 파지한 상태로부터 인위적인 당김에 따라 상기 차단판(41)을 인출하여 그 차단판(41)에 걸러진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 역류 방지장치(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50)과 함께 상기 이물질차단부재(40), 상기 하부케이싱(14) 및 후술되는 역류방지수단(60)이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상부케이싱(13)으로부터 분리하여 함께 교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에 쌓인 오염물질로 인한 악취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배수 역류 방지장치(1)는 상기 하부케이싱(14)의 내측에 결합되는 역류방지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수단(60)은 도 2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3)을 통과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상부조절부(61), 상,하부가 개방되며 그 상부가 상기 상부조절부(61)의 하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하부로 갈수록 사이 폭이 좁아지는 중앙조절부(62) 및 상기 중앙조절부(62)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대향되는 한 쌍의 배수판(63)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케이싱(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내측면에 상기 상부조절부(61) 또는 상기 중앙조절부(62)가 안착되는 안착턱(14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조절부(61), 상기 중앙조절부(62) 및 상기 한 쌍의 배수판(63)은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배수판(63)은 가요성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14a)의 전방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면서 그 경사면(14a)과 동일한 경사를 이룬다.
상기 한 쌍의 배수판(63) 중 하나는 상기 경사면(14a)과 인접하거나, 접하면서 배출되는 유체가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배수판은 그 경사면(14a)과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유체의 가압에 따라 배수판(63) 간이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배수판(63) 중 적어도 하나의 배수판에는 유체의 배출 방향을 따라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배수판(63)은 서로 인접하거나 접한 상태로부터 그 사이로 유체가 통과됨에 따라 그 유체의 가압에 의해 이격되면서 그 사이로 유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배수판(63)은 유체의 배출이 끊김에 따라 서로 접하면서 그 사이로 악취나, 벌레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배수 역류 방지장치(1)는 소변이나, 오수 등을 포함하는 유체를 신속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악취 또는 벌레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역류 방지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배수 역류 방지장치 10 : 수용부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상부케이싱 13a : 돌출턱
14 : 하부케이싱 14a : 경사면 15 : 플랜지
20 : 개폐부 21 : 개폐판 22 : 개폐수단
23 : 힌지축 24 : 무게추 25 : 스프링
30 : 커버부 31 : 커버 32 : 지지바
33 : 이격공간 40 : 이물질차단부재 41 : 차단판
41a : 중공 42 : 측벽 43 : 파지바
44 : 가이드판 50 : 결합수단 51 : 연결바
52 : 손잡이바 60 : 역류방지수단 61 : 상부조절부
62 : 중앙조절부 63 : 배수판

Claims (9)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입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유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부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상부케이싱; 및
    하부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의 하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하부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부케이싱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및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유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개폐판이 자동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상부케이싱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며, 유체가 배출되는 한편, 이물질의 배출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부재;
    하단부가 파지바에 나사결합되고 상단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바로 이루어져 상기 이물질차단부재를 상기 상부케이싱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상기 상부케이싱으로 인입하는 결합수단; 및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에 결합되는 역류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상부케이싱의 상부에 위치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상기 상부케이싱으로부터 떠받쳐 지지하면서 그 상부케이싱 간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차단부재는,
    다수의 중공이 형성되는 차단판;
    상기 차단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싱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는 측벽;
    상기 차단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바; 및
    상기 차단판의 하부에 구비되며, 곡면 형태를 이루어 상기 다수의 중공을 통과하는 유체가 경사면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고,
    파지바는,
    상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차단판이 상기 상부케이싱으로부터 함께 인출되면서 그 차단판에 걸러진 이물질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교체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하부케이싱은,
    상부가 상기 측벽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후면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을 통과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상부조절부;
    상,하부가 개방되며, 그 상부가 상기 상부조절부의 하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하부로 갈수록 사이 폭이 좁아지는 중앙조절부; 및
    상기 중앙조절부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대향되는 한 쌍의 배수판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배수판은,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배수판에는 유체의 배출방향을 따라 공기통로가 형성되되, 하나의 배수판은 경사면과 인접하거나 접하면서 배출되는 유체가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하나의 배수판은 경사면과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유체의 가압에 따라 상기 하나의 배수판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배수판 간이 벌어질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이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유체의 가압해제에 따라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하나의 배수판과 인접하거나 접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며,
    상기 개폐판은,
    전,후단부를 가지며, 그 후단부가 상기 배출구를 이루는 둘레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그 전,후단부 사이 중앙부가 힌지축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개폐판의 후단부와 상기 하부케이싱을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역류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172438A 2015-12-04 2015-12-04 배수 역류 방지장치 KR101683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438A KR101683577B1 (ko) 2015-12-04 2015-12-04 배수 역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438A KR101683577B1 (ko) 2015-12-04 2015-12-04 배수 역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577B1 true KR101683577B1 (ko) 2016-12-20

Family

ID=5773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438A KR101683577B1 (ko) 2015-12-04 2015-12-04 배수 역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108A (ko) * 2020-05-21 2021-11-30 송기풍 포세식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471Y1 (ko) * 2004-03-08 2004-07-15 허원권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KR100591741B1 (ko) * 2005-12-21 2006-06-22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20100112452A (ko) * 2009-04-09 2010-10-19 김현철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KR101166553B1 (ko) 2012-03-13 2012-07-19 주식회사 에코쉬 무수 소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471Y1 (ko) * 2004-03-08 2004-07-15 허원권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KR100591741B1 (ko) * 2005-12-21 2006-06-22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20100112452A (ko) * 2009-04-09 2010-10-19 김현철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KR101166553B1 (ko) 2012-03-13 2012-07-19 주식회사 에코쉬 무수 소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108A (ko) * 2020-05-21 2021-11-30 송기풍 포세식변기
KR102382562B1 (ko) 2020-05-21 2022-04-05 송기풍 포세식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1188B1 (en) Improved urinal apparatus
US11066819B2 (en) Drain stopper with removable debris trap
EP3696334B1 (en) Sanitary fixture
US8112823B2 (en) Combination garbage disposal scraper, safety poker and deodorizer
JP4657316B2 (ja) 再循環水を使用する開閉可能な双子タンク型洗浄水容器
KR20170014632A (ko)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101683577B1 (ko) 배수 역류 방지장치
US2570934A (en) Toilet deodorizer
JP5801962B2 (ja) 小便器、及び小便器の防臭装置を交換するための方法
KR100820226B1 (ko)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KR101722098B1 (ko) 위생 변기 시트
KR101082633B1 (ko) 좌변기용 배수관
JP6522117B2 (ja) サニタリーバルブ装置およびサニタリーバルブアセンブリ
JP2007167599A (ja) 男性用小型便器収納便座
KR20180047315A (ko) 양변기에 설치되는 남성용 소변기
KR20150142383A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EP3507427B1 (en) Shower drain fitting
JP2017110401A (ja) 小便器
KR102111661B1 (ko) 막힘 제거장치를 갖는 양변기
KR200482587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20100002133U (ko) 세면기용 배수 트랩
GB2589304A (en) Toilet system
US20040187925A1 (en) Plumbing trap after-valve
KR20160033487A (ko) 냄새 없는 절수형 소변기
JP6871966B2 (ja) 排水用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