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467A -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467A
KR20190037467A KR1020170126832A KR20170126832A KR20190037467A KR 20190037467 A KR20190037467 A KR 20190037467A KR 1020170126832 A KR1020170126832 A KR 1020170126832A KR 20170126832 A KR20170126832 A KR 20170126832A KR 20190037467 A KR20190037467 A KR 2019003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ewage
inner space
sewage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이혁
Original Assignee
손이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이혁 filed Critical 손이혁
Priority to KR1020170126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7467A/ko
Publication of KR2019003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하수 또는 산업용수가 배출되는 하수관에 장착되어 하수관에서 역류하는 악취 및 해충을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하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이 하수관의 중공 상단에 내입 체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하수의 유동에 의하여 부상하고 자중에 의하여 하강될 수 있는 부력체가 내입되어, 하수가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때에는 부력체가 배출구를 열고, 하수가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미유입될 때에는 배출구를 닫아 하수관의 악취와 해충이 건축물의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Odor and pest interception apparatus for sewage pipes}
본 발명은 생활하수 또는 산업용수가 배출되는 하수관에 장착되어 하수관에서 역류하는 악취 및 해충을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하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이 하수관의 중공 상단에 내입 체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하수의 유동에 의하여 부상하고 자중에 의하여 하강될 수 있는 부력체가 내입되어, 하수가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때에는 부력체가 배출구를 열고, 하수가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미유입될 때에는 배출구를 닫아 하수관의 악취와 해충이 건축물의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욕실, 화장실, 주방, 세탁실 등에서는 사용되어 오염된 오수(汚水)로서 하수가 발생되며, 발생된 하수는 하수구(또는, 배수구)를 통해 배출, 제거된다.
하수구 및 그로부터 연장되는 하수관은 배출되는 하수에 의해 항시 오염되어 있는 바, 그로부터 악취, 유해 가스 및 해충(벌레, 세균 또는 날파리 등) 등이 발생되어 역으로 실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내 공기가 오염되고, 각종 질병이 유발되며, 생활에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하수구의 입구 측 내부에 설치되어 일 방향 체크 밸브와 같은 개폐 작용을 통해 하수가 배출될 때에는 그 양만큼 신속하게 개방되어 배출되도록 하고, 하수의 배출이 완료됨에 따라서는 신속하게 복원 닫힘되어 하수관으로부터 올라오는 각종 악취 및 해충 등을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악취방지구가 일부에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다음은 하수관에 장착되어 악취 및 해충을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6677호는 역류악취방지용 하수구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U자관속에 칸막이가 있고, 물이 고일 수 있는 악취차단 U자기구를 하수구마개 본체에 삽입하고, 그 속에 공기가 들어있는 고무공을 넣고 조임나사로 본체와 결속되는 구성을 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물때나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로 인하여 하수구본체에 고여있는 물이 새어나가는 현상과, 장기간 배수 물을 사용하지 않아 고인 물이 증발되어 실내로 하수관 악취가 새어 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하수구마개의 외주 형태와 U자관의 내주 형태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져, 하수구마개가 U자관 중공을 완전히 막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6677호(2005.02.1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9920호(2010.08.1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6749호(2013.11.25.)
본 발명은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는 단순히 하수관의 중공에 내입된 하우징의 내부에 일정의 하수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랩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하여 상기 트랩이 쉽게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특히,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일정의 부력체가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부력체의 외부면과 하우징 배출구 간의 기밀성으로 악취와 해충을 차단해야 하지만, 부력체의 외부면와 배출구 사이가 마른 상태를 가져 기밀되지 못한 경우에는 하우징의 배출구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악취와 해충을 차단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하수관의 중공 상단에 내입 체결되고, 상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내부공간이 중앙에 형성된 관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내입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의 배출구를 자중 및 부력에 의하여 여닫는 구형태의 부력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는 내부공간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의 상단은 내부공간의 바닥면 측부보다 더 높은 위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는 하우징 하부의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가 하우징 내부공간 바닥면의 측부보다 더 높은 수직 위상을 가지기 때문에, 하우징 내부공간의 하부에 항상 일정량의 차단수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배출구가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하우징 내부공간에 내입된 부력체와 하우징의 배출구의 상접부분이 항상 하우징 내부공간의 하부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차단수에 채워진 잠겨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력체의 외부면과 배출구의 사이가 항상 차단수에 의하여 기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가 장착된 화장실 바닥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측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의 하우징 내부공간으로 하수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의 하우징 내부공간으로 하수가 미유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은 생활하수 또는 산업용수가 배출되는 하수관(50)에 장착되어 하수관(50)에서 역류하는 악취 및 해충을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관(50)의 중공 상단에 내입 체결되고, 상부에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배출구(13)가 형성된 내부공간(12)이 중앙에 형성된 관형태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내입되고, 상기 하우징(10) 내부공간(12)의 배출구(13)를 자중 및 부력에 의하여 여닫는 구형태의 부력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3)는 내부공간(12)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3)의 상단은 내부공간(12)의 바닥면 측부보다 더 높은 위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이하, ‘차단장치’라 침함.)는 일반건축물 또는 산업용 건축물 등과 같은 건축물에 설치된 하수관(50)에 장착되어, 건축물에서 배출되는 하수를 유동시키는 하수관(50)에서 건축물로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고, 하수관(50)에 서식하는 해충이 건축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단장치는 일반건축물의 화장실의 바닥에 설치된 하수관(50)에 설치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차단장치는 화장실 바닥에 노출된 하수관(50)의 상단에 체결되는 구성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하수관(50)의 상단과 연결되는 상태로 화장실 바닥에 매립된 하수 포집용 케이싱(미도시)에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포집용 케이싱은 화장실 바닥을 형성시키는 바닥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구성을 하고, 상부에는 열린 상태를 가지는 중공이 형성되어 본 발명에 의한 차단장치를 내입시킬 수 있으며, 하부는 하수관(50)의 상단이 연결되어 본 발명에 의한 차단장치에서 배출되는 하수를 하수관(50)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은 차단장치가 하수관(50)에 장착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의한 차단장치는 거시적으로 하우징(10)과 부력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은 하수관(50)의 중공 상단에 내입 체결되고, 상부에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배출구(13)가 형성된 내부공간(12)이 중앙에 형성된 관형태의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차단장치를 하수관(50)에 체결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은 일정의 길이와 내경을 가지는 관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하수를 유입 및 배출시킬 수 있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하우징(10)의 상단을 제외한 중간부 및 하부는 하수관(50)의 중공에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11)는 화장실 바닥에서 흘러들어오는 하수를 유입받는 구성이고, 상기 유입구(11)의 상부에는 유입구(11)를 통하여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들어올 수 있는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다공성의 거름판(14)이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은 하수관(50)의 중공 상단에 하우징(10) 상단이 위치되는 상태로 하수관(50) 중공에 내입되는 구성을 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 상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턱(15)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15)은 하수관(50)의 상단에 안착되어 하우징(10)의 하수관(50)의 중공으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턱(15)은 하우징(10) 상단의 외주 전체적인 부분에 링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상기 돌출턱(15)의 하부면이 하수관(50) 상단의 상부 전체적인 부분에 안착되어, 하우징(10)과 하수관(50) 상단이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수관(50)의 중공 상단에는 상기 돌출턱(15)을 내입시키되, 돌출턱(15)이 하수관(50) 중공의 하부로는 하강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턱 내입홈(51)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턱 내입홈(51)은 상기 링형태의 돌출턱(15)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돌출턱(15)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깊이를 가지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링형태의 돌출턱(15)이 돌출턱 내입홈(51)에 끼움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구성의 하우징(10) 상부 외주연에는 링형태의 기밀패킹(30)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밀패킹(30)은 하수관(50) 중공의 내주면과 상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밀패킹(30)을 하우징(10) 상부의 외주연과 하수관(50) 중공의 상단 간이 기밀성을 확보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고, 하우징(10) 상부의 외주연관 대응하는 내경 및 하수관(50) 중공 상단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 상기 돌출턱(15)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기밀패킹(30)은 상기 돌출턱(15)의 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을 감싸며 하우징(10) 상부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턱(15)의 측면에는 링형태로 파여진 기밀패킹 내입홈(16)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링형태의 기밀패킹(30)은 상기 기밀패킹 내입홈(16)에 내입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기밀패킹(30)은 하우징(10) 상부에 구비된 돌출턱(15)의 측부와 하수관(50) 중공 상단에 형성된 돌출턱 내입홈(51)의 측부를 기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3)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하여 하우징(10)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된 하수를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서, 하우징(10) 하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13)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이 상부에서 하부로 동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11)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하기 구형태의 부력체(20) 직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하우징(10) 내부공간(12)에 내입된 하기 구형태의 부력체(20)가 배출구(13)를 통하여 내부공간(12)의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력체(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내입되고, 상기 하우징(10) 내부공간(12)의 배출구(13)를 자중 및 부력에 의하여 여닫는 구형태의 구성으로서, 하우징(10) 내부공간(12)에 하수가 미유입된 상태에서는 부력체(20)의 하부 일부분이 부력체(20)의 자중에 의하여 내부공간(12) 하부로 하강되어 상기 배출구(13)를 막고, 하우징(10) 내부공간(12)으로 하수가 유입된 상태에서는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된 하수에 의하여 내부공간(12) 상부 쪽으로 부상되어 상기 배출구(13)를 여는 구성이다.
즉, 상기 부력체(20)는 상기 하수보다는 비중이 작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하수보다는 비중은 크지만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공간(12)에 하수가 유입되면 상기 하수에 의하여 부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부력체(20)는 내부공간(12)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구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구(13)보다는 큰 크기의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내부공간(12)의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나 배출구(13)의 하부로는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력체(2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1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하우징(10) 내부공간(12)에 많은 양의 하수가 유입되어 부력체(20)가 내부공간(12) 상부로 부상하더라도 상기 유입구(11)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유입구(11)에 상기 거름판(14)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구(1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더라도 상기 거름판(14)에 의하여 유입구(11) 밖으로의 이탈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부력체(20)는 구형태로 구성되어 내부공간(12)에 하수가 미유입된 상태에서는 원형의 내경을 가지는 배출구(13)를 막고, 내부공간(12)에 하수가 유입된 상태에서는 하수에 의하여 부상되어 배출구(13)를 열 수 있도로 구성되면 다양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부력체(20)는 내부에 세척제(21)가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력체(20)의 표면에는 상기 세척제(21)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미세홀(22)이 다수 개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부력체(20)는 내부에 일정의 세척력을 가지는 세척제(21)가 수용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세척제(21)는 부력체(20)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미세홀(22)을 통하여 부력체(2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하수로 인하여 하우징(10) 내부공간(12)에 부착 또는 고착될 수 있는 때(기름성분, 먼지 따위로 된 더러운 이물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제(21)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미세홀(22)은 용해도에 따른 세척제(21)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내부에 세척제(21)가 수용되는 부력체(20)는 상기 세척제(21)의 보충을 위하여 일정부분에 세척제 보충공(23)이 더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세척제 보충공(23)은 마개(24)에 의하여 여닫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단장치가 화학반응성이 큰 하수를 배출시키는 하수관(5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부력체(20)는 내화학성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부력체(20)는 하수관(50)을 통하여 배출되는 하수의 화학성분에 내화학성을 가지는 재질의 것을 구성될 수 있고, 당업자는 하수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재질로 부력체(2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체(20)는 내화학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하수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된 상태에서는 하수에 의하여 부상될 수 있어야함은 자명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차단장치는 하우징(10) 내부공간(12)에 내입되어 내부공간(12)에서 부상 및 하강하는 상기 부력체(20)로써 하우징(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13)의 여닫힘을 조절하고, 그 결과 하수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미유동될 때에는 상기 부력체(20)가 내부공간(12) 하부로 하강되어 배출구(13)를 막은 상태를 유지하여, 하수관(50)에서 배출구(13)로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함과 동시에 하수관(50)에서 서식하는 해충이 배출구(13)를 통하여 하우징(10)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주된 요지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3)는 내부공간(12)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3)의 상단은 내부공간(12)의 바닥면 측부보다 더 높은 위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와 같은 악취 및 해충 차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배출구(13)가 하우징(10) 내부공간(12)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하우징(10) 내부공간(12) 바닥쪽에는 항상 일정량의 하수(이하, ‘차단수(60)’라 칭함.)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차단수(60)는 부력체(20)와 배출구(13)의 상접부분이 항상 차단수(60)에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악취 및 해충의 차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중앙의 바닥면이 내부공간(12)의 상부쪽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중앙 돌출부(18)를 형성시키고, 상기 중앙 돌출부(18)에는 배출구(13)가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상기 배출구(13)는 내부공간(12) 바닥면 측부(이하, ‘차단수 채움홈(19)’이라 칭함.)보다 더 높은 위상을 가지는 부분의 하우징(10)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수 채움홈(19)은 배출구(13)보다 더 낮은 수직 위상을 가지기 때문에, 하우징(10) 내부공간(12)에 하수가 미유입되더라도 이전의 하수 유입시에 유입된 후 잔류된 차단수(60)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수 채움홈(19)에 채워진 차단수(60)의 수위는 차단수 채움홈(19)의 깊이에 따라 결정되지만, 상기 부력체(20)의 자중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즉, 상기 부력체(20)는 하우징(10)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된 하수에 의하여 내부공간(12) 하부에서 상부로 부상되지만 부력체(20) 고유의 자중에 의하여 부력체(20)의 전체, 상부 일부분, 중앙 일부분 또는 하부 일부분만이 하수에 잠겨진 상태로 부상될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된 하수는 부력체(20)의 전체, 상부 일부분, 중앙 일부분 또는 하부 일부분에 해당하는 만큼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채워져야만 상기 부력체(20)를 부상시킬 수 있고; 상기와 반대로 하우징(10) 내부공간(12)으로의 하수 유입이 끝난 후에는 부상되어 있던 부력체(20)는 하강되어 부력체(20)의 전체, 상부 일부분, 중앙 일부분 또는 하부 일부분에 해당만큼의 하수 수위가 되면 상기 배출구(13)를 막고, 하우징(10) 내부공간(12)에 잔류하는 상기 차단수(60)는 부력체(20)의 전체, 상부 일정부분, 중앙 일정부분 또는 하부 일정부분에 수면을 형성하며 내부공간(12)에 잔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수(60)의 수위는 배출구(13)와 부력체(20) 간의 상접 부분보다 동일하거나 높은 수직 위상을 가지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구(13)과 부력체(20) 간의 상접 부분은 항상 차단수(60)로 가로막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상태의 차단수(60)는 배출구(13)과 부력체(20) 간의 상접 부분을 통하여 하수구에서 하우징(10)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되는 악취 및 해충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 내부공간(12)의 바닥면은 바닥면의 측부에서 배출구(13) 상단이 위치한 중앙부분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하우징(10) 내부공간(12) 바닥면은 배출구(13)가 형성된 중앙부분인 중앙 돌출부(18)가 내부공간(12) 바닥의 측부쪽보다 더 높은 수직 위상을 가지되, 내부공간(12)의 측부쪽에서 중앙쪽으로 라운드진 경사면을 형성시키는 구성을 하여, 하우징(10) 내부공간(12)으로 하수가 유입되면, 상기 유입된 하수는 내부공간(12) 바닥면의 측부에서 중앙쪽으로 상승류를 형성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상승류가 형성된 하수는 배출구(13)를 막고 있던 부력체(20)의 하부를 들어올리는 부력을 증가시켜, 적은 양의 하수가 하우징(10)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되더라도 부력체(20)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구(13)를 열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 내부공간(12) 바닥면의 경사도는 부력체(20)의 종류 및 통상적으로 유동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에는 상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과 연통되고, 하부는 하수관(50)의 중공과 연통되는 배출관(40)이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관(40)은 관형태로 구성되어, 상부가 상기 배출관(40)이 형성된 하우징(10)의 하부 중앙에 연결되고, 하부는 하수관(50)의 중공 중앙부분에 위치되는 구성을 하여, 상기 하우징(10) 내부공간(12)과 하수관(50)을 연통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구성의 배출관(40)은 상부가 하우징(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13)와 연결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배출구(13)에서 배출된 하수가 하우징(10) 하부의 외부면 중앙쪽에서 외부면 측부로 흘러가지 않고 하우징(10) 하부로 직수 형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하우징(10) 배출구(13)에서 배출된 하수가 하수관(50) 중공의 중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배출관(40)은 하부의 외주에 측방을 상향하며 돌출되는 링형태의 돌출받이(41)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돌출받이(41)의 상부와 배출관(40) 하부의 측벽 외주면의 사이에는 깊이를 가지는 오목홈(42)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돌출받이(41)와 오목홈(42)은 하수관(50)에서 서식하는 해충이 배출관(40)으로 기어들어가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돌출받이(41)는 배출관(40) 하부의 외주에 측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구비되되, 배출관(40)이 연결된 중앙쪽보다 외측이 상향하며 돌출되는 링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배출관(40)의 하부쪽에서 상부로 날아오르는 해충이 배출관(40) 하부 말단에 붙은 경우에는 배출관(40)의 외측에 해당하는 돌출받이(41)의 하부면 외부쪽으로 기어가 배출관(40)의 중공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돌출받의 상부와 배출관(40) 하부의 외주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홈(42)은 중앙에서 외측으로 상향하며 돌출 형성된 돌출받이(41)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일정의 깊이를 가질 수 있도록 파여진 구성으로서, 돌출받이(41)의 하부에서 기어올라간 해충 또는 하우징(10) 하부면에서 배출관(40)의 하부쪽으로 기어내려간 해충이 가두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오목홈(42)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깊이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홈(42)에는 하수관(50)에 내재된 수분이 응결되어 물의 형태로 가두어질 수 있고, 오목홈(42)으로 기어들어간 해충은 상기와 같이 가두어진 물에 빠져 죽을 수도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하우징 11 : 유입구
12 : 내부공간 13 : 배출구
14 : 거름판 15 : 돌출턱
16 : 기밀패킹 내입홈 18 : 중앙 돌출부
19 : 차단수 채움홈 20 : 부력체
21 : 세척제 22 : 미세홀
23 : 세척제 보충공 24 : 마개
30 : 기밀패킹 40 : 배출관
41 : 돌출받이 42 : 오목홈
50 : 하수관 51 : 돌출턱 내입홈
60 : 차단수

Claims (6)

  1. 하수관(50)의 중공 상단에 내입 체결되고, 상부에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배출구(13)가 형성된 내부공간(12)이 중앙에 형성된 관형태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내입되고, 상기 하우징(10) 내부공간(12)의 배출구(13)를 자중 및 부력에 의하여 여닫는 구형태의 부력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3)는 내부공간(12)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3)의 상단은 내부공간(12)의 바닥면 측부보다 더 높은 위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외주연에는,
    링형태의 기밀패킹(30)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밀패킹(30)은 하수관(50) 중공의 내주면과 상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20)는,
    내부에 세척제(21)가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력체(20)의 표면에는 상기 세척제(21)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미세홀(22)이 다수 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20)는,
    내화학성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바닥면은,
    바닥면의 측부에서 배출구(13) 상단이 위치한 중앙부분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3)에는,
    상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과 연통되고, 하부는 하수관(50)의 중공과 연통되는 배출관(40)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관(40)은,
    하부의 외주에 측방을 상향하며 돌출되는 링형태의 돌출받이(41)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돌출받이(41)의 상부와 배출관(40) 하부의 외주 측면의 사이에는 깊이를 가지는 오목홈(4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KR1020170126832A 2017-09-29 2017-09-29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KR20190037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832A KR20190037467A (ko) 2017-09-29 2017-09-29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832A KR20190037467A (ko) 2017-09-29 2017-09-29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467A true KR20190037467A (ko) 2019-04-08

Family

ID=6616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832A KR20190037467A (ko) 2017-09-29 2017-09-29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74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5617A (zh) * 2020-03-13 2020-08-04 莫丽华 一种基于液体浮力的自排泄且除臭的环保型地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677Y1 (ko) 2004-11-15 2005-03-11 박상순 역류악취방지용 하수구마개
KR200449920Y1 (ko) 2010-01-29 2010-08-20 오은정 하수구 방취·방충용 고무 개폐구
KR20130006749U (ko) 2012-05-15 2013-11-25 유종휘 하수구 냄새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677Y1 (ko) 2004-11-15 2005-03-11 박상순 역류악취방지용 하수구마개
KR200449920Y1 (ko) 2010-01-29 2010-08-20 오은정 하수구 방취·방충용 고무 개폐구
KR20130006749U (ko) 2012-05-15 2013-11-25 유종휘 하수구 냄새 차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5617A (zh) * 2020-03-13 2020-08-04 莫丽华 一种基于液体浮力的自排泄且除臭的环保型地漏
CN111485617B (zh) * 2020-03-13 2021-08-20 江苏新仕力再生资源有限公司 一种基于液体浮力的自排泄且除臭的环保型地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102185606B1 (ko) 배수트랩
KR20190037467A (ko)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JP7039466B2 (ja) バルブデバイス
JPH06306908A (ja) 排水トラップ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2083469B1 (ko) 배수용 트랩
JPH0853910A (ja) 床排水用のトラップ
KR101955227B1 (ko) 배수트랩 구조체
CN215519089U (zh) 一种便于排水、防臭的漂浮地漏构造
KR200233488Y1 (ko) 배수구의 냄새차단장치
TWI553196B (zh) 防止排水逆流之落水頭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170022309A (ko) 부력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트랩
KR101923342B1 (ko) 이동통로 개폐수단을 구비한 배수트랩
JP2003119859A (ja) 排水システムと排水マス
KR200463865Y1 (ko) 악취방지트랩
KR101053435B1 (ko) 건식 싱크대 배수전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101729772B1 (ko) 공동주택용 하수구 역류방지장치
KR100662712B1 (ko) 악취발산 방지용 맨홀
CN220868390U (zh) 一种防臭排水地漏
CN218713774U (zh) 一种地漏盖及具有该地漏盖的地漏
RU2751659C2 (ru) Сифон для водослива, а также снабженный им водослив
KR200319669Y1 (ko) 2중원통속의 공마개의 하수악취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