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995A - 절수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995A
KR20010015995A KR1020000052038A KR20000052038A KR20010015995A KR 20010015995 A KR20010015995 A KR 20010015995A KR 1020000052038 A KR1020000052038 A KR 1020000052038A KR 20000052038 A KR20000052038 A KR 20000052038A KR 20010015995 A KR20010015995 A KR 20010015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pipe
toilet
out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8821B1 (ko
Inventor
이홍석
이경원
Original Assignee
이경원
주식회사 한국아이템개발
김윤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원, 주식회사 한국아이템개발, 김윤환 filed Critical 이경원
Priority to KR102000005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821B1/ko
Publication of KR20010015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4Noise-reducing means combined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절수형 양변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외부에 설치된 급수관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외부로부터 오물이 유입되고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저수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 내의 물 및 오물이 배출되는 유출구가 있는 양변기 몸체와; 소정 영역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굴곡된 형상을 이루며, 각각의 일단은 양변기 몸체의 유출구 및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배수관과 연결되어 저수조 내의 물 및 오물이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통로가 되는 유출관과; 유출관의 굴곡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출관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종래보다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하여 오물을 배출할 수 있고, 사이펀 작용에 의한 개폐를 하지 않음으로써 오물을 배출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절수형 양변기 {Water-saving toilet}
본 발명은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연성있는 배관을 사용하여 적은 양의 물로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수자원의 부족으로 불필요한 물의 낭비가 커다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정수과정을 거쳐서 공급되는 깨끗한 물이 양변기를 통하여 하수구로 바로 버려지는 것은 엄청난 자원의 낭비이다.
도 1은 종래 양변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양변기는 상부에 마련된 유입구(11), 하부에 마련된 유출구(12), 유입구(11) 및 유출구(12)와 연결되고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저수조(13), 하단은 유출구(12)와 연결되고 상단은 유출구(12)보다 높게 위치한 제1 유출통로(14), 및 제1 통로(14)로부터 하향되어 마련된 제2 유출통로(15)가 있는 양변기 몸체(10)와; 양변기 몸체(10)의 유입구(11)와 연결된 유출구(22) 및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1)가 있는 보급수 탱크(20)와; 보급수 탱크(20)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하 이동이 가능한 레버(40)와; 레버(40)와 연동되어 보급수 탱크(20)의 유출구(22)를 개폐하는 패킹(31)과; 양변기 몸체(10)의 제1 유출통로(14)에 설치된 트랩(50)으로 이루어져 있다.
레버(40)를 조작하여 보급수 탱크(20)의 유출구(22)가 개방되면 보급수 탱크(20)에 저수된 물은 양변기 몸체(10)로 급속히 공급된다. 양변기 몸체(10)로 물이 공급되어 양변기 몸체(10) 내의 수위가 높아지면 사이펀(Siphon) 작용으로 양변기 몸체(10) 내의 물이 트랩(50)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종래 양변기는 이와 같이 수압으로 작용하게 되는 트랩이 구비되어 있어, 양변기 내의 오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약 7∼13ℓ의 물을 소비하게 되고, 트랩의 작동시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이펀 작용하는 트랩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종래보다 작은 양의 물로써 양변기 몸체 내의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변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오물이 배출될 때의 도 2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는, 외부에 설치된 급수관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외부로부터 오물이 유입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저수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 내의 물 및 오물이 배출되는 유출구가 있는 양변기 몸체와; 소정 영역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굴곡된 형상을 이루며, 각각의 일단은 상기 양변기 몸체의 유출구 및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저수조 내의 물 및 오물이 상기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통로가 되는 유출관과; 상기 유출관의 소정영역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유출관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오물이 배출될 때의 도 2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물은 급수관(800)에 설치된 개폐용 밸브(900)가 열리게 되면 양변기 몸체(100)로 유입된다. 개폐용 밸브(900)는 유입구, 유출구, 및 유출구를 개폐하는 작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개폐용 밸브(900)의 작동부를 외부에서 작동시키기 위하여 개폐용 밸브(900)의 작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작동 버튼(1000)이 양변기 몸체(100)에 부착되어 있다. 개폐용 밸브(900)는, 작동 버튼(1000)을 누르게 되면 개폐용 밸브(900)의 유출구가 열려지게 되고 그 유출구를 통하여 2.5∼4ℓ의 물이 유출된 후에 개폐용 밸브(900)의 유출구가 닫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양변기 몸체(100)에는 급수관(800)과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0),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물을 저수하고 외부로부터 오물이 유입되는 저수조(130), 및 저수조(130) 하부에 위치한 유출구(120)가 마련되어 있다. 양변기 몸체(100)의 유출구(120)에는 저수조(130)내의 물 및 오물이 배출되는 통로로서 유출관(210)이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양변기 몸체(100)의 유입구(110) 및 유출구(120)는, 양변기 몸체(100)의 유출구(12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 및 오물의 양이 양변기 몸체(100)의 유입구(11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양 보다 많도록 설정되어 있다. 양변기 몸체(100)의 저수조(130)에는 양변기 몸체(100)의 유출구(12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3ℓ의 물이 채워져 있다.
유출관(210)의 일단은 양변기 몸체(100)의 유출구(120)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는 양변기 몸체(100)의 유출구(120)보다 낮게 위치한 배수관(220)과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유출관(210)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굴곡의 형상을 갖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힘을 가할 경우 유출관(210)의 중심부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양변기 몸체(100)내의 유입구(110), 유출구(120), 및 저수조(130)를 제외한 영역에 소정의 공간(140)이 마련되고, 그 공간(140)내에 유출관(210)의 중심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수단은, 유출관(210)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돌기가 있는 고정쇠(300)와, 양변기 몸체(100)의 저수조(130)에 2∼3ℓ의 물이 채워져 있을 때의 물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축(610)과, 축(610)에 설치된 도르레(620)와, 일단이 고정쇠(300)에 연결되어 도르레(620)에 걸려있는 와이어(400)와, 와이어(400)의 다른 일단에 설치된 무게추(500)로 이루어진다. 이 때, 무게추(500)는 유출관(210)과 유출관(210)에 유입된 물을 합한 무게보다는 작지만 유출관(210)의 물이 유출되었을 때 유출관(210)의 무게보다는 큰 것이 사용된다.
한편, 이동수단으로 스프링을 사용하여 유출관(210)의 중심부를 상하로 이동시켜도 좋다. 스프링은, 일단은 유출관(210)의 중심부에 설치된 고정쇠(300)에 설치하고 다른 일단은 양변기 몸체(100)에 설치한다. 여기서, 스프링은, 스프링이 수축되었을 때 고정쇠(300)에 연결된 일단이 양변기 몸체(100)의 저수조(130)에 2∼3ℓ의 물이 채워져 있을 때의 물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스프링은 그 탄겅력이 상기 유출관(210)과 상기 유출관(210)에 유입된 물을 합한 무게보다는 작지만 상기 유출관(210)의 물이 유출되었을 때 상기 유출관(210)의 무게보다는 크도록 설정된 것이 사용된다.
축(610)에는 걸쇠(710)가 설치되어 있다. 걸쇠(710)에는, 무게추(600)와 유출관(210)의 무게 차이에 의하여 유출관(210) 중심부의 위치가 양변기 몸체(100)의 저수조(130)에 2∼3ℓ의 물이 채워져 있을 때의 물의 수위와 같거나 그 수위보다 높게 위치하였을 경우에 유출관(21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고정쇠(300)의 돌기가 걸려져 있다.
이 때, 걸쇠(710)는 걸쇠(710)에 걸려져 있는 유출관(210)의 하중 때문에 유출관(210)이 걸려져 있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렇게 걸쇠(710)가 회전하게 되면 유출관(210)이 걸쇠(710)로부터 이탈되게 되므로, 걸쇠(7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쇠(710)에 걸쇠지지대(720)가 설치된다. 유출관(210)을 걸쇠(710)로부터 이탈시킬 때에는, 외부에서 걸쇠지지대(720)에 힘을 가하게 되면 걸쇠지지대(720)는 유출관(210)이 걸려져 있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서 걸쇠(710)가 회전하면 유출관(210)이 걸쇠(710)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 때, 걸쇠지지대(720)는, 개폐용 밸브(900)의 열림과 걸쇠(710)로부터 유출관(210)의 이탈이 연동되도록, 작동 버튼(1000)과 연결되어 있다.
양변기 몸체(100)에 설치된 작동 버튼(1000)을 누르면, 걸쇠(710)가 회전하면서 걸쇠(710)에 결려져 있는 유출관(210)이 걸쇠(710)로부터 이탈되어 유출관(210)의 중심부가 양변기 몸체(100)의 유출구(120)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저수조(130) 내에 있는 물과 오물이 유출관(210)과 배수관(220)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배출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물이 개폐용 밸브(900)를 통하여 양변기 몸체(10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양변기 몸체(100)로 유입되는 물 중에서 먼저 유입되는 0.3∼1ℓ의 물은 양변기 몸체(100)의 저수조(130) 및 유출구(120)를 세척하고 유출관(210)으로 배출된다. 양변기 몸체(10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양변기 몸체(100)로 유입되는 물의 양 보다 작으므로 유출관(210) 내부는 점차 비어져 간다. 유출관(210)의 내부가 비어져 감으로써, 유출관(210)에 걸린 하중보다 무게추(500)에 걸린 하중이 크게 되면 유출관(210) 중심부의 위치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유출관(200) 중심부의 위치가 걸쇠(710)의 위치까지 올라가게 되면 유출관(210)이 걸쇠(710)에 걸리게 됨으로써 유출관(210)의 위치가 고정된다. 유출관(210)의 위치가 고정되면, 양변기 몸체(100)의 저수조(130)에는 물이 채워지게 되고, 저수조(130) 내의 물이 다시 2∼3ℓ로 채워지게 되면 개폐용 밸브(900)가 완전히 닫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수형 양변기에 의하면, 유출관과 무게추의 무게 차이를 이용하여 유출관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종래보다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하여 오물을 배출할 수 있고, 사이펀 작용하는 트랩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오물이 배출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외부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배출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10)

  1. 외부에 설치된 급수관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외부로부터 오물이 유입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저수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 내의 물 및 오물이 배출되는 유출구가 있는 양변기 몸체와;
    소정 영역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굴곡된 형상을 이루며, 각각의 일단은 상기 양변기 몸체의 유출구 및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저수조 내의 물 및 오물이 상기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통로가 되는 유출관과;
    상기 유출관의 소정영역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절수형 양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유출관의 소정영역에 설치된 고정쇠와, 상기 양변기 몸체의 유출구보다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도르레와, 일단이 상기 고정쇠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레에 걸려있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다른 일단에 설치되며 무게 차이에 의하여 상기 유출관의 소정영역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유출관과 상기 유출관에 유입된 물을 합한 무게보다는 작지만 상기 유출관의 물이 유출되었을 때 상기 유출관의 무게보다는 크도록 설정된 무게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유출관의 소정영역에 설치된 고정쇠와, 일단은 상기 고정쇠에 연결되며 다른 일단은 자신이 수축되었을 때 상기 고정쇠가 설치된 일단의 위치가 상기 양변기 몸체의 유출구보다 높도록 양변기 몸체에 설치되되 자신의 탄성력이 상기 유출관과 상기 유출관에 유입된 물을 합한 무게보다는 작지만 상기 유출관의 물이 유출되었을 때 상기 유출관의 무게보다는 크도록 설정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몸체의 유입구, 유출구, 및 저수조를 제외한 영역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내에 상기 유출관, 고정쇠, 와이어, 도르레, 무게추, 및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며, 유입구 및 유출관과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작동부가 있는 개폐용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밸브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용 밸브의 작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밸브를 열어주는 작동 버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의 소정 영역이 상기 양변기 몸체의 유출구보다 높게 위치하였을 경우에 상기 고정쇠의 돌기에 걸리어 상기 유출관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걸쇠와; 상기 걸쇠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걸쇠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유출관이 상기 걸쇠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쇠에 연결되어 상기 걸쇠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쇠지지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지지대와 상기 밸브가 연동되도록, 상기 걸쇠지지대와 상기 작동 버튼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KR1020000052038A 2000-09-04 2000-09-04 절수형 양변기 KR100318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038A KR100318821B1 (ko) 2000-09-04 2000-09-04 절수형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038A KR100318821B1 (ko) 2000-09-04 2000-09-04 절수형 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995A true KR20010015995A (ko) 2001-03-05
KR100318821B1 KR100318821B1 (ko) 2001-12-29

Family

ID=1968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038A KR100318821B1 (ko) 2000-09-04 2000-09-04 절수형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8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419B1 (ko) * 2003-11-07 2004-04-08 임옥화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0523950B1 (ko) * 2003-06-26 2005-10-26 양홍모 양변기의 저수 및 배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046B1 (ko) 2006-06-01 2007-11-16 이영호 양변기용 가변식 사이폰관의 구동장치
KR101180097B1 (ko) 2011-12-29 2012-09-05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수조가 없는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KR101241807B1 (ko) 2012-05-22 2013-03-15 계림요업주식회사 3차원 입체곡선 형태를 갖는 변기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950B1 (ko) * 2003-06-26 2005-10-26 양홍모 양변기의 저수 및 배수구조
KR100425419B1 (ko) * 2003-11-07 2004-04-08 임옥화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8821B1 (ko) 200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8391B1 (en) Water-saving toilet
US9096996B2 (en) Water saver system for managing and eliminating liquids, semi-solids and solids, integrated by at least one water closet and a washbasin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KR100408075B1 (ko) 절수용 변기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100408076B1 (ko) 절수용 변기
KR100318821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150003341A (ko) 절수형 좌변기
JPH11256652A (ja) 節水型水洗便器兼用簡易水洗便器
KR20110044050A (ko) 물절약형 좌변기
CN103882925B (zh) 一种带延时抽气关闭系统的真空辅助抽水马桶
KR200249076Y1 (ko) 방취용 배수트랩
US20110167551A1 (en) Anti-sedimentation tank for water closet
CN112049207B (zh) 一种卫生间马桶
CN2414116Y (zh) 密闭旋流式坐便器
KR102084159B1 (ko)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102309445B1 (ko)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KR102032988B1 (ko)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200172008Y1 (ko)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KR101476620B1 (ko)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KR200251243Y1 (ko) 양변기의 배수량조절장치
KR200301128Y1 (ko) 절수형 양변기
KR19980085113A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216292Y1 (ko) 초 절수 개량형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