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988B1 -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988B1
KR102032988B1 KR1020180124432A KR20180124432A KR102032988B1 KR 102032988 B1 KR102032988 B1 KR 102032988B1 KR 1020180124432 A KR1020180124432 A KR 1020180124432A KR 20180124432 A KR20180124432 A KR 20180124432A KR 102032988 B1 KR102032988 B1 KR 102032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rap
water
drain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광
Original Assignee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4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로부터 배수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가이드를 승·하강시켜 트랩부의 배수로를 개방 및 폐쇄하므로 적은 양의 물로도 오수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고 배수부의 배수 주름관으로 저장되는 물의 하중을 작동대가 가이드에 수직으로 전달하므로 가이드의 승·하강 작동이 원활하여 물내림의 오작동을 방지하며 트랩부와 가이드 사이에 패킹이 장착되어 가이드의 승·하강시 상·하로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므로 트랩부와 가이드 사이의 틈을 없애 누수를 방지하는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Variable trap structure of 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로부터 배수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가이드를 승·하강시켜 트랩부의 배수로를 개방 및 폐쇄하므로 적은 양의 물로도 오수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고 배수부의 배수 주름관으로 저장되는 물의 하중을 작동대가 가이드에 수직으로 전달하므로 가이드의 승·하강 작동이 원활하여 물내림의 오작동을 방지하며 트랩부와 가이드 사이에 패킹이 장착되어 가이드의 승·하강시 상·하로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므로 트랩부와 가이드 사이의 틈을 없애 누수를 방지하는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자원은 물 소비량의 증가와 기후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국가별, 지역별로 고갈되어 가는 추세이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물의 소비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이 중, 위생도기, 특히 양변기의 경우 변기본체에 구비된 물탱크에 임시 저장되어 있다가 세척용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줄이면서도 세척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강구되고 있으나, 근본적인 절수가 가능하면서도 강한 세척 효과를 도모하기에는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5419호로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 변기'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변기통 배출구와 분뇨배출 관에 주름관으로 각각 연결된 가변 사이폰과, 상기 변기통 및 가변 사이폰 관과 각각 연통되는 상부 주름관과, 설치 바닥 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주름관과 관통하여 인장 및 복원시 수직운동을 하게 하며 롤러가 장착된 횡 바로 연결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횡 바를 탄성 지지하는 복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그러나 선 등록 발명은 배수구를 통해 임시 저장되는 물이 상부 주름관에 하중으로 가해지면서 장시간 사용시 상부주름관이 변기통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변 사이폰 관의 상부와 하부에 주름관이 각각 형성되므로 장기간 사용시 주름관의 결합부분에 누수가 발생할 소지가 있었고, 가변 사이폰 관을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므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인해 가변 사이폰 관을 원활하게 상승시키지 못해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5419호(2004.03.19. 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조로부터 배수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가이드를 승·하강시켜 트랩부의 배수로를 개방 및 폐쇄하므로 적은 양의 물로도 오수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부의 배수 주름관으로 저장되는 물의 하중을 작동대가 가이드에 수직으로 전달하므로 가이드의 승·하강 작동이 원활하여 물내림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랩부와 가이드 사이에 패킹이 장착되어 가이드의 승·하강시 상·하로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므로 트랩부와 가이드 사이의 틈을 없애 누수를 방지하는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는, 변기 본체의 보울에 고정되는 트랩부;
상기 트랩부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결합되고 가이드몸체가 승·하강하여 배수로를 개방 및 폐쇄하며, 수조에 저장된 물이 배출 완료되면 가이드가 배수로를 폐쇄하여 악취 유입을 방지하는 가이드;
상기 트랩부의 하부마감판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타측 단부가 고정되어 트랩부와 가이드 사이의 틈을 없애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
상기 트랩부의 하부에 지지봉을 통해 고정되고 바닥면에 매립된 배출관의 상부에 바닥판이 결합되면서 트랩부를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베이스;
상기 가이드와 베이스 사이에 장착되어 수축 및 인장되는 주름관;
상기 가이드와 베이스 사이의 주름관 외측에 장착되어 탄력있게 변형되면서 가이드를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
상기 가이드와 변기 본체의 개수로에 결합되며 배수 주름관으로 물이 저장되면 물의 하중에 의해 작동대가 하강되고 수조에 저장된 물이 변기 본체로 배출 완료되면 배수 주름관에 저장된 물이 보충수 관을 통해 트랩부로 배출되는 배수부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트랩부는, 상기 보울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편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오물이 배출되도록 하향으로 개방되어 배수로가 형성되는 트랩몸체;
상기 결합편 타측의 트랩몸체에 형성되어 보충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트랩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베이스가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트랩몸체의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홈으로 패킹이 고정되도록 하면서 가이드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하부마감판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트랩부의 하부마감판을 통해 승·하강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하부에 외향으로 형성되어 복원스프링에 탄성을 부여하면서 배수부의 작동대가 고정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 상부의 가이드몸체 외측면에 패킹의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패킹은, 수조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어 가이드가 하강하면 하부로 당겨지면서 트랩부와 가이드 사이의 틈을 막아주고, 물 배출이 완료되어 가이드가 상승하면 최초 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은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트랩부의 고정판에 고정되고 바닥판의 중앙부에는 배출공이 관통된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변기 본체에 형성된 배수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배수 주름관;
상기 배수 주름관의 하부에 결합되는 물 저장컵;
상기 물 저장컵에서 트랩몸체로 연결되는 보충수 관;
상기 물 저장컵의 하부를 상단부가 지지하고 하단부는 가이드의 하부판에 고정되는 작동대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대는,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배수 주름관에 저장되는 물의 하중을 가이드에 수직으로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로부터 배수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가이드를 승·하강시켜 트랩부의 배수로를 개방 및 폐쇄하므로 적은 양의 물로도 오수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부의 배수 주름관으로 저장되는 물의 하중을 작동대가 가이드에 수직으로 전달하므로 가이드의 승·하강 작동이 원활하여 물내림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랩부와 가이드 사이에 패킹이 장착되어 가이드의 승·하강시 상·하로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므로 트랩부와 가이드 사이의 틈을 없애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양변기에 설치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양변기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가이드가 하강하여 배수로를 개방하면서 오물이 배출되는 상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오물이 배출된 후 가이드가 원 상태로 복원되어 배수로가 폐쇄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양변기에 설치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100)는 트랩부(110), 가이드(120), 패킹(130), 베이스(140), 주름관(150), 복원스프링(160), 배수부(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랩부(110)는 변기 본체(10)의 보울(11)에 결합되어 변기 본체(10)에 있는 오물을 배출하게 되며, 상기 보울(11)의 단부에 트랩몸체(111)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편(111')이 결합되며, 상기 결합편(111') 내측에는 실링부재(미도시)가 내장되어 보울(11)과 긴밀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편(111') 타측의 트랩몸체(111)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수부(170)의 보충수 관(173)이 연결되는 유입관(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랩몸체(111)의 하부에는 원형의 고정판(113)이 외향으로 형성되어 베이스(140)의 지지봉(142)이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113) 내측의 트랩몸체(111) 하부에는 하부마감판(114)이 고정되어 트랩몸체(111)의 하부를 폐쇄하게 되며 가이드(120)의 승·하강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120)는, 트랩부(110)의 하부에 장착되어 배수부(170)의 작동에 의해 배수로(111")를 개방하고 수조(30)의 물 배출이 완료되면 복원스프링(160)에 의해 배수로(111")를 폐쇄하여 악취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120)는 수직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몸체(121)가 트랩부(110)의 하부마감판(114) 중앙부로 결합되고, 가이드몸체(121)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판(122)은 복원스프링(160)에 의해 지지되어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몸체(121)의 외측면에는 결함홈(123)이 형성되어 패킹(130)의 하단부가 결합된다.
또한, 트랩부(110)의 하부마감판(114)과 가이드(120)에는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패킹(130)이 결합된다.
상기 패킹(13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는 하부마감판(114)에 형성된 고정홈(114')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가이드(120)에 형성된 결합홈(123)으로 결합되어 가이드(120)의 승·하강에 따라 변형되면서 트랩부(110)와 가이드(120) 사이의 틈을 없애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트랩부(110)의 하부에는 트랩부(110)를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베이스(140)가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140)는, 바닥면에 매립된 배출관(2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원형의 바닥판(14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41)의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지지봉(14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142)은 트랩부(110)의 고정판(113)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봉(142)은 고정판(113)에 너트(N)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고, 지지봉(142)의 끝단부에 탄성후크를 형성하여 고정되거나 끼움결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120)의 하단부와 베이스(140)의 상단부에는 연질의 주름관(150)이 긴밀하게 결합되어 수축 및 인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120)와 베이스(140) 사이의 주름관(150) 외측으로는 복원스프링(160)이 장착되며, 상기 복원스프링(160)의 상단부는 가이드(120)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되고 복원스프링(160)의 하단부는 베이스(140)의 바닥판(141)에 안착되어 탄력있게 변형되면서 가이드(120)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120)와 변기 본체(10)의 개수로(32)에는 저장되는 물의 하중으로 가이드(120)를 하강시키는 배수부(170)가 결합된다.
상기 배수부(170)는,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배수 주름관(171)의 상단부가 개수로(32)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배수 주름관(171)의 하단부는 사각 통 형상의 물 저장컵(172)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물 저장컵(172)은 수조(30)에 저장된 물이 배수 주름관(171)을 통해 일정량 저장되어 가이드(120)를 물의 하중 및 이에 대한 압력으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물 저장컵(172)의 전방에는 보충수 관(173)의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보충수 관(173)의 타측은 트랩부(110)의 트램몸체(111) 외측에 형성된 유입관(112)에 결합되어 물 저장컵(172)에 저장된 물이 트랩부(110)로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물 저장컵(172)과 가이드(120) 사이에는 작동대(174)가 직각으로 고정되어 물 저장컵(172)을 지지하면서 수조(30)로부터 물이 저장되면 가이드(120)를 유기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와 수조(30) 내에는 정량의 물이 채워지게 되고, 이때, 복원스프링(160)의 탄성에 의해 가이드(102)가 상승하여 트랩부(110) 내부의 배수로(111")를 폐쇄한 상태가 되며, 가이드(120)의 일측으로 연결 고정된 작동대(174)에 의해 배수부(170)가 상승한 상태가 되면서 배수 주름관(171)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30)에 설치된 레버를 조작하여 사이폰덮개(31)를 들어올리게 되면 개수구(32)가 개방되면서 수조(30)에 저장된 물이 급수로(13)를 통해 변기 본체(10)로 배출됨과 동시에 일부는 배수부(170)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부(170)의 배수 주름관(171)을 통해 물 저장컵(172) 내부에 물이 저장되면 물의 하중에 의해 작동대(174)가 가이드(102)를 수직으로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대(174)는 물 저장컵(172)과 가이드(120)에 직각 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드(120)를 수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120)가 수직으로 승·하강 하지 않으면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수직으로 작동해야 한다.
상기 가이드(120)가 하강하여 높이가 낮아지게 되면, 트랩부(110) 내부의 배수로(111")가 개방되고, 가이드몸체(121)의 결합홈(123)과 하부마감판(114)의 고정홈(114')에 장착된 패킹(130)이 하부로 당겨지면서 트랩부(110)와 가이드(120) 사이의 틈을 없애주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120)와 베이스(140) 사이에 장착된 주름관(150)과 복원스프링(160)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물의 하중으로 가이드(120)의 높이가 낮아짐으로써 변기 본체(10) 내의 오물과 급수로(13)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트랩부(110)와 가이드(120)를 따라 배출관(20)으로 자연 배출된다.
즉, 상기 트랩부(110)는 변기 본체(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120)가 하강하면서 배수로(111")를 개방하여 오물이 배출관(20)으로 곧바로 배출되게 하므로 적은 물로도 변기 본체(10)에 있는 오물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30) 내부의 물이 개수구(32)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어 사이폰덮개(31)가 폐쇄되면, 배수부(170)의 배수 주름관(171)과 물 저장컵(172)에 저장되어 있던 물은 보충수 관(173)을 통해 트랩부(110)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부(17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면 상기 배수부(170)의 무게가 가벼워지면서 가이드(120)를 가압하고 있던 가압력이 점차 해제된다.
이때, 압축된 상태의 복원스프링(160)이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가이드(120)를 최초 상태로 상승시키게 됨과 동시에 가이드(120)와 베이스(140) 사이에 장착된 주름관(150)도 함께 인장되어 최초 상태로 복원되며, 상기 배수부(170)의 배수 주름관(171)도 함께 압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120)가 상승하게 되면, 가이드몸체(121)의 결합홈(123)과 하부마감판(114)의 고정홈(114')에 장착된 패킹(130)이 최초 상태로 복원되고, 가이드(120)의 상단부는 트랩부(110)의 트랩몸체(111) 내측 상단부에 밀착되어 배수로(111")를 폐쇄하게 되면서 악취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복원스프링(160)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120)의 상단부가 트랩몸체(111) 내측의 상단부에 밀착되면 트랩몸체(111) 내부의 배수로(111")를 폐쇄하게 되므로 더 이상 물이 배출되지 않게 된다.
즉, 수조(30)에 저장된 물이 배출 완료되어 배수부(170)에 가해진 가압력이 해제되면 복원스프링(160)에 의해 가이드(120)와 배수부(170)가 수직으로 상승하여 복원되므로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가변 트랩 구조 110: 트랩부
111: 트랩몸체 112: 유입관
113: 고정판 120: 가이드
121: 가이드몸체 122: 하부판
123: 결합홈 130: 패킹
140: 베이스 141: 바닥판
142: 지지봉 150: 주름관
160: 복원스프링 170: 배수부
171: 배수 주름관 172: 물 저장컵
173: 보충수 관 174: 작동대

Claims (7)

  1. 변기 본체의 보울에 고정되는 트랩부;
    상기 트랩부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결합되고 가이드몸체가 승·하강하여 배수로를 개방 및 폐쇄하며, 수조에 저장된 물이 배출 완료되면 가이드가 배수로를 폐쇄하여 악취 유입을 방지하는 가이드;
    상기 트랩부의 하부마감판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타측 단부가 고정되어 트랩부와 가이드 사이의 틈을 없애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
    상기 트랩부의 하부에 지지봉을 통해 고정되고 바닥면에 매립된 배출관의 상부에 바닥판이 결합되면서 트랩부를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베이스;
    상기 가이드와 베이스 사이에 장착되어 수축 및 인장되는 주름관;
    상기 가이드와 베이스 사이의 주름관 외측에 장착되어 탄력있게 변형되면서 가이드를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
    상기 가이드와 변기 본체의 개수로에 결합되며 배수 주름관으로 물이 저장되면 물의 하중에 의해 작동대가 하강되고 수조에 저장된 물이 변기 본체로 배출 완료되면 배수 주름관에 저장된 물이 보충수 관을 통해 트랩부로 배출되는 배수부가 구성되며,
    상기 패킹은, 수조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어 가이드가 하강하면 하부로 당겨지면서 트랩부와 가이드 사이의 틈을 막아주고, 물 배출이 완료되어 가이드가 상승하면 최초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랩부는,
    상기 보울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편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오물이 배출되도록 하향으로 개방되어 배수로가 형성되는 트랩몸체;
    상기 결합편 타측의 트랩몸체에 형성되어 보충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트랩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베이스가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트랩몸체의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홈으로 패킹이 고정되도록 하면서 가이드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하부마감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는,
    상기 트랩부의 하부마감판을 통해 승·하강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하부에 외향으로 형성되어 복원스프링에 탄성을 부여하면서 배수부의 작동대가 고정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 상부의 가이드몸체 외측면에 패킹의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트랩부의 고정판에 고정되고 바닥판의 중앙부에는 배출공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수부는,
    상기 변기 본체에 형성된 배수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배수 주름관;
    상기 배수 주름관의 하부에 결합되는 물 저장컵;
    상기 물 저장컵에서 트랩몸체로 연결되는 보충수 관;
    상기 물 저장컵의 하부를 상단부가 지지하고 하단부는 가이드의 하부판에 고정되는 작동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대는,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배수 주름관에 저장되는 물의 하중을 가이드에 수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1020180124432A 2018-10-18 2018-10-18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102032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32A KR102032988B1 (ko) 2018-10-18 2018-10-18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32A KR102032988B1 (ko) 2018-10-18 2018-10-18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988B1 true KR102032988B1 (ko) 2019-10-17

Family

ID=6842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432A KR102032988B1 (ko) 2018-10-18 2018-10-18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9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419B1 (ko) 2003-11-07 2004-04-08 임옥화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1016248B1 (ko) * 2010-09-29 2011-02-25 인터바스 주식회사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KR20120110401A (ko) * 2011-03-29 2012-10-10 임영균 변기의 오물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419B1 (ko) 2003-11-07 2004-04-08 임옥화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1016248B1 (ko) * 2010-09-29 2011-02-25 인터바스 주식회사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KR20120110401A (ko) * 2011-03-29 2012-10-10 임영균 변기의 오물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US7526819B2 (en) Dual flush system for toilet
JP2007146643A (ja) 排水口用悪臭防止装置
KR102032988B1 (ko)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20100094274A (ko) 물 절약형 좌변기
CN202706178U (zh) 零排水小便池
CN105951950A (zh) 一种节水马桶水箱
KR100530575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0023643A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102070814B1 (ko)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CA2557956C (en) Dual flush system for toilet
KR102084159B1 (ko)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101085211B1 (ko) 부력으로 승강하는 트랩을 구비한 양변기
KR100354527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1028851B1 (ko) 오수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KR101256571B1 (ko) 소변기의 배수장치
US20120227172A1 (en) Water saver toilet control valves and methods
KR20090026007A (ko) 좌변기 절수용 배수 개폐밸브
KR101010343B1 (ko) 양변기
KR100753961B1 (ko) 소음예방 및 절수형 소, 대변기
KR101028846B1 (ko)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KR102278315B1 (ko)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101582074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553350B1 (ko) 양변기의 자동배수장치
KR20010015995A (ko) 절수형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