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846B1 -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 Google Patents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846B1
KR101028846B1 KR1020090036640A KR20090036640A KR101028846B1 KR 101028846 B1 KR101028846 B1 KR 101028846B1 KR 1020090036640 A KR1020090036640 A KR 1020090036640A KR 20090036640 A KR20090036640 A KR 20090036640A KR 101028846 B1 KR101028846 B1 KR 10102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toilet
auxiliary tank
water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916A (ko
Inventor
나종만
Original Assignee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비앤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84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배수구와 변기본체에 양단이 각각 상호 연결되며, 상기 변기본체의 보울 하부측에서부터 상향 경사부를 이루면서 유턴하여 상기 배수구측으로 하향 경사부를 이루는 내부 유로가 형성되는 승강트랩을 구비한 양변기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트랩의 상향 경사부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변기본체에 구비된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일시 수용하여 상기 승강트랩을 하강시키며 상기 보울 하부측으로 배수시키는 보조탱크; 및 상기 승강트랩과 상기 변기본체 상부측을 상호 연결하여 탄성 지지하면서 하강한 상기 승강트랩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탱크는 내측 하부면이 상기 승강트랩의 상향 경사부 외주면과 접촉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적은 량의 물로도 원활한 배수와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보조탱크, 복원 스프링, 승강트랩, 양변기, 주름관

Description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TOILET STOOL WITH FLUCTUATING TRAP HAVING SUB TANK}
본 발명은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변기본체와 배수관을 상호 연결하는 승강트랩에 보조탱크를 구비하고 복원 스프링으로 원위치하도록 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적은 량의 물로도 원활한 배수와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자원은 물 소비량의 증가와 기후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국가별, 지역별로 고갈되어 가는 추세이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물의 소비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이중, 위생도기, 특히 양변기의 경우 변기본체에 구비된 물탱크에 임시 저장되어 있다가 세척용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줄이면서도 세척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고 있으나, 근원적인 절수가 가능하면서도 강한 세척 효과를 도모하기에는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5419호의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 변기"(이하 '선행 1')와, 등록특허 제10-0479678호의 "양변기의 가변 사이폰관 구동장치"(이하 '선행 2')등을 포함한 많은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선행 1은 도 4(a)와 같이 변기통(2) 배출구(3)와 분뇨배출 관(4)에 주름관(20)으로 각각 연결된 가변 사이폰 관(10)과, 상기 변기통(2) 및 가변 사이폰 관(10)과 각각 연통되는 상부 주름관(30)과, 설치 바닥 면(B)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주름관(30)과 관통하여 인장 및 복원시 수직운동을 하게 하며 롤러(80)가 장착된 횡 바(60)로 연결되는 가이드 바(50)와, 상기 횡 바(60)를 탄성 지지하는 복원 스프링(90)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선행 2는 도 4(b)와 같이 상부측이 양측에 제1 걸이편(121)을 구비한 조임링(120)으로 급수유로와 조임 결합되고, 바닥측이 양측에 제2 걸이편(131)을 구비하고 하단에 끼움홀(132)을 구비한 브라켓(130)으로 각각 결합되며 보울(1) 후방측에 급수유로와 연통하는 누름관(110)과, 상기 제1, 2 걸이편(121, 131)에 연결되는 복원스프링(140)과, 양단이 상기 보울(1)의 배출구(1c)와 분뇨배출관(2)에 각각 주름관(161, 162)으로 연결되는 가변 사이폰관(150)과, 상기 누름관(110)과 가변 사이폰관(15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17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 1의 경우 배수구(2b)를 통하여 임시저장되는 물이 상부주름관(30)에 하중으로 가해지면서 장시간 사용시 상부주름관(30)이 변기통(2)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상부주름관(30)이 원상 복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공히 불필요한 결합부재와 누수의 우려가 있는 결합부위가 많아서 장시간 사용시 누수의 우려 또한 다분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적은 량의 물로도 원활한 배수와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수구와 변기본체에 양단이 각각 상호 연결되며, 상기 변기본체의 보울 하부측에서부터 상향 경사부를 이루면서 유턴하여 상기 배수구측으로 하향 경사부를 이루는 내부 유로가 형성되는 승강트랩을 구비한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트랩의 상향 경사부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변기본체에 구비된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일시 수용하여 상기 승강트랩을 하강시키며 상기 보울 하부측으로 배수시키는 보조탱크; 및 상기 승강트랩과 상기 변기본체 상부측을 상호 연결하여 탄성 지지하면서 하강한 상기 승강트랩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탱크는 내측 하부면이 상기 승강트랩의 상향 경사부 외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탱크에는 상부 일측에 상기 물탱크와 연결된 물 공급관과, 상부 타측에 상기 보울 하부측과 연결된 물 배출관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트랩의 상향 경사부에 물탱크의 물을 임시수용하여 하중으로 승강트랩을 하강시키는 보조탱크를 장착하고, 상기 승강트랩과 변기본체를 상호 연결하며 오수 및 보조탱크의 물이 배출 완료되면 감소하는 하중을 감지하여 승강트랩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필요한 량 만큼 물을 사용하면서도 세척과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보조탱크의 물을 제트 수로 하부측으로 직접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강한 세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보조탱크와 승강트랩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승강트랩(7)에 장착되는 보조탱크(10)와, 상기 승강트랩(7)과 변기본체(3)를 연결하는 복원 스프링(20)을 포함하는 구성임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변기본체(3)에는 물탱크(1)가 구비되고, 상기 변기본체(3) 상부측에는 상기 물탱크(1)와 연결되는 림 도수로(4)를 구비하며, 상기 림 도수로(4)를 따라서 연장 형성되어 오수가 임시 저장되는 보울(3')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3')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는 배수구(2)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트랩(7)의 양단은 상기 보울(3') 하부측과 상기 배수구(2)에 각각 주름관(6)으로 상호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트랩(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6)으로 상호 연결하여 원활한 승강 동작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승강트랩(7) 자체를 신축 및 굴곡 가능한 재질로 제작하여 적용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는 마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탱크(10)는 상기 승강트랩(7)의 상향 경사부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변기본체(3)에 구비된 물탱크(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일시 수용하여 상기 승강트랩(7)을 하강시키며 상기 보울(3') 하부측으로 배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측 하부면이 도 2와 같이 상기 승강트랩(7)의 상향 경사부 외주면의 하부측과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탱크(10)에는 상부 일측에 상기 물탱크(1)와 연결된 물 공급관(12)과 상부 타측에 상기 보울(3') 하부측과 연결된 물 배출관(14)을 더 구비하여 상기 물 배출관(14)을 통해 상기 보조탱크(10)에 임시 저장된 물을 상기 보울(3') 하부측으로 직접 공급함으로써 기존의 물탱크(1)에서 공급되는 물과 함께 세척력을 강화시키는 보조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원 스프링(20)은 상기 승강트랩(7)과 상기 변기본체(3) 상부측을 상호 연결하여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보조탱크(10)로 유입된 물탱크(1)의 물에 의한 하중으로써 하강한 상기 승강트랩(7)을 배출 및 세척이 완료되어 상기 보조탱크(10)의 하중이 감소하게 되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수행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의 작동 실시예에 대하여 도 4를 참고로 설명하고자 하며, 도 4에서 미설명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의 것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
우선, 사용자가 레버(미도시) 조작으로 물탱크(1)의 마개(1')를 개방하면 변기본체(3)의 림 도수로(4)와 보울(3') 하부측을 통하여 물이 배출되고, 배출되는 물의 일부는 물 공급관(12)을 통하여 승강트랩(7)의 보조탱크(10)로 유입되면서 상기 보조탱크(10)의 하중이 증가하면서 상기 승강트랩(7)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트랩(7)에는 상기 승강트랩(7)과 변기본체(3) 상부측을 상호 연결하는 복원 스프링(20)이 구비되어 상기 복원 스프링(20)이 승강트랩(7)의 하강에 따라 신장하게 된다.
이후, 보울(3')의 오수는 하강한 승강트랩(7)을 따라 중력방향으로 배수구(2)를 향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보조탱크(10)에 유입된 물탱크(1)의 물은 상기 보울(3') 하부측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승강트랩(7)을 통해 배출되지 못한 잔여 오물을 포함한 오수를 배수구(2)로 배출시킨다.
계속하여 마개(1')는 닫히게 되고, 상기 보조탱크(10) 내의 물 대부분이 배출되면 상기 보조탱크(10)의 하중이 감소하게 되면서 신장된 복원 스프링(20)은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여 수축하면서 상기 승강트랩(7)을 상승시키게 되면 작동 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은 량의 물로도 원활한 배수와 세척이 이루어지도 록 하는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보조탱크와 승강트랩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종래 양변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물탱크 2...배수구
3...변기본체 3'...보울
6...주름관 7...승강트랩
10...보조탱크 12...물 공급관
14...물 배출관 20...복원 스프링

Claims (2)

  1. 배수구(2)와 변기본체(3)에 양단이 각각 상호 연결되며, 상기 변기본체(3)의 보울(3') 하부측에서부터 상향 경사부를 이루면서 유턴하여 상기 배수구(2)측으로 하향 경사부를 이루는 내부 유로가 형성되는 승강트랩(7)을 구비한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트랩(7)의 상향 경사부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변기본체(3)에 구비된 물탱크(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일시 수용하여 상기 승강트랩(7)을 하강시키며 상기 보울(3') 하부측으로 배수시키는 보조탱크(10); 및
    상기 승강트랩(7)과 상기 변기본체(3) 상부측을 상호 연결하여 탄성 지지하면서 하강한 상기 승강트랩(7)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 스프링(20);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탱크(10)는 내측 하부면이 상기 승강트랩(7)의 상향 경사부 외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10)에는,
    상부 일측에 상기 물탱크(1)와 연결된 물 공급관(12)과,
    상부 타측에 상기 보울(3') 하부측과 연결된 물 배출관(1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KR1020090036640A 2009-04-27 2009-04-27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KR101028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640A KR101028846B1 (ko) 2009-04-27 2009-04-27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640A KR101028846B1 (ko) 2009-04-27 2009-04-27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916A KR20100117916A (ko) 2010-11-04
KR101028846B1 true KR101028846B1 (ko) 2011-04-12

Family

ID=4340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640A KR101028846B1 (ko) 2009-04-27 2009-04-27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33B1 (ko) * 2017-06-20 2018-05-25 주식회사 와와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4156A (ja) 1999-11-11 2003-04-15 コリア アイテム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節水型洋便器
KR100499662B1 (ko) 2003-01-07 2005-07-07 서상진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100714961B1 (ko) 2006-06-01 2007-05-04 이종인 양변기용 가변식 사이폰관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4156A (ja) 1999-11-11 2003-04-15 コリア アイテム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節水型洋便器
KR100499662B1 (ko) 2003-01-07 2005-07-07 서상진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100714961B1 (ko) 2006-06-01 2007-05-04 이종인 양변기용 가변식 사이폰관의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916A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0295B2 (ja) 溢れ防止補助水槽を有する洋風便器
US20090320200A1 (en) Kinetic Trapway
KR101027852B1 (ko) 물 절약형 좌변기
CN201933594U (zh) 一种双水路冲刷马桶
CN201933595U (zh) 一种双出水阀马桶
KR101028846B1 (ko) 보조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KR101028851B1 (ko) 오수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KR101085211B1 (ko) 부력으로 승강하는 트랩을 구비한 양변기
CN105951950A (zh) 一种节水马桶水箱
WO2007129864A1 (en) Chamberpot with auto controlling fill-valve for water saving
KR200464491Y1 (ko) 절수 및 소음방지 성능이 향상된 양변기
CN201056751Y (zh) 翻盖式节水座便器
CN201043287Y (zh) 洗面盆、储水箱一体式节水装置
KR102032988B1 (ko)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102070814B1 (ko)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CN202627092U (zh) 卫生洁具
CN201817896U (zh) 一种易装式洁净座便器
KR101007055B1 (ko) 양변기 구조
JP2013079569A (ja) 調節レバーの作動によって大・小便に相応する洗浄水を排出する洗浄水排出装置
KR102278315B1 (ko)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CN201390907Y (zh) 带集水箱的节水洗衣机
CN209482390U (zh) 一种卫浴脸盆用废水的冲洗便盆蓄水箱管道系统
KR20100117923A (ko) 절수 기능을 구비한 양변기
CN101575871A (zh) 节水小便盆
KR200436367Y1 (ko) 양변기용 남성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