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807B1 - 3차원 입체곡선 형태를 갖는 변기트랩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곡선 형태를 갖는 변기트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1807B1 KR101241807B1 KR1020120053965A KR20120053965A KR101241807B1 KR 101241807 B1 KR101241807 B1 KR 101241807B1 KR 1020120053965 A KR1020120053965 A KR 1020120053965A KR 20120053965 A KR20120053965 A KR 20120053965A KR 101241807 B1 KR101241807 B1 KR 1012418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p
- toilet
- bowl
- siphon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3차원 입체곡선 형태를 갖는 변기트랩이 소개된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크기를 갖는 변기몸체에서 트랩의 길이와 각도, 구체적으로는 발생된 사이펀 작용을 최대한 오래 유지하고 지나치게 빨리 가속되지 않도록 하는 트랩하강부(13)의 길이와 각도를 늘린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트랩(10)에서 적어도 일부의 구간(13-n)에서 수평비틀림(13-n-a)을 갖는 트랩하강부(13)는, 변기의 정면 또는 후면에서 바라볼 때 대각선으로 기울어져 있도록 형성된다. 트랩하강부의 기울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트랩고점(12)은, 트랩입구(15) 또는 보울(21)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편위(12-x)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인 변기몸체 속에서 좌우로 기울어진 트랩이 몸체 양쪽 내벽에 붙어 형성됨으로써 어떠한 추가적인 요구공간 없이 트랩관로의 사이펀 하강경로를 종래 트랩보다 확연히 길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추가적인 세척수 투입 없이도 사이펀 지속 시간을 실질적으로 연장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랩(10)에서 적어도 일부의 구간(13-n)에서 수평비틀림(13-n-a)을 갖는 트랩하강부(13)는, 변기의 정면 또는 후면에서 바라볼 때 대각선으로 기울어져 있도록 형성된다. 트랩하강부의 기울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트랩고점(12)은, 트랩입구(15) 또는 보울(21)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편위(12-x)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인 변기몸체 속에서 좌우로 기울어진 트랩이 몸체 양쪽 내벽에 붙어 형성됨으로써 어떠한 추가적인 요구공간 없이 트랩관로의 사이펀 하강경로를 종래 트랩보다 확연히 길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추가적인 세척수 투입 없이도 사이펀 지속 시간을 실질적으로 연장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오물을 배출하는 변기와 그 트랩구조에 관한 것이다.
갈수록 부족해지는 수자원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변기의 오물 배수 메커니즘은 점차 정교해지고 있다. 기술의 주된 목표는 물을 절약하는 것이며 최소한의 물을 소비하는 절수형 오물 배출 방식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고압수의 세척소음이나 불만족스러운 세척감 등 부차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도 활발하다.
물을 적게 쓰면서 한편으로는 배출소음도 줄이고 세척감도 개선하기 위해 대부분의 변기 제조사들은 오물배출에 핵심이 되는 사이펀 현상이 가능한 한 쉽고 빠르게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기술의 개발에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결국 오물가스를 막도록 물이 채워져 있는 트랩의 트랩상승부를 완만하게 만들고 트랩고점의 높이를 최대한 낮추는 설계 경향으로 나타났다.
변기가 설치된 실내로 정화조의 오물가스가 새어 들어오지 않는 한도, 즉 관로에 채워진 물이 오물가스를 겨우 차단할 수 있을 만큼 트랩을 완만하게 구부림과 동시에 트랩의 높이를 가능한 한 낮게 만드는 것에 의해 간단히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키는 방법은, 일견 무난한 해결책으로 보이지만 그에 따른 단점도 무시할 수 없다.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단점은 지나치게 부족한 음압(약한 진공압) 상태에서 사이펀이 시작되어 발달하면서 트랩관로 내부의 꽉 찬 수밀 상태가 이내 무너져 버리는 것이며 그 시점에서 사이펀은 더 이상 유효하게 유지되지 않고 오물이 트랩고점을 적당히 타고 넘으면서 그저 단순히 언덕 개수로를 억지로 흘러 넘어가는 상태가 된다.
이런 상황은 물과 오물을 한꺼번에 상쾌하게 빨아들이는 전형적인 오물 배출(=정통 사이펀 배출)이 아니라 부족해 보이는 물로 힘들게 오물을 밀어내는 실질적으로 불쾌한 배출이 되기 쉽다.
다시 말하면 현재의 절수형 트랩들 대부분은, 쉽게 사이펀을 일으킬 수 있는 만큼 오랫동안 강하게 유지시키기는 어렵다는 평범한 물리법칙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절수형 트랩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해 보고자 새롭게 창안된 발명이며 이후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하면 잘 알게 되겠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개념적으로 유사한 접근은 아직 찾아볼 수 없다.
아래 소개된 선행기술문헌은 엄밀히 말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는 무관한 배경기술이며 단지 본 발명의 주변 기술분야를 이해하기 위한 것에 불과함을 미리 밝혀둔다. 아래 문헌의 일부 도면들에서 간혹 변기의 트랩경로가 가로로 일부분 연장된 구조는 본 발명과 단지 형태상으로는 일부 유사하다고 하겠으나, 거기에 내재된 유체의 유동원리는 전혀 동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과는 실질적으로 다른 기술로 보아야 한다.
현존하는 거의 모든 트랩들은 변기의 정면과 후면에서 바라볼 때 오물이 일자 형태로 수직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 이것은 과거에서부터 형틀에 넣어 도기를 성형했던 변기 제조 방법상의 관습이든, 아니면 고정관념에 의해서건 별다른 의심 없이 자연스럽게 실시되는 통상의 기술이다.
이와 같은 수직낙하 구조에 굳이 의심을 가질 필요가 없었던 이유는 우선 변기의 성형 틀을 좌우로 반씩 분할하여 만들고 그에 맞추어 변기몸체에 붙은 트랩도 같이 찍어내는 전형적인 변기제조방식과 일치하기도 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 보면, 일단 발생한 사이펀 현상에 따라 쾌속으로 오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굳이 수직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트랩을 배치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관점은 적은 물로 쉽게 오물을 밀어내고자 의도하여 사이펀의 고점 높이가 낮게 설정되는 절수형 변기에서는 약간 달라질 수 있다.
절수형 변기의 경우 통상적인 기준보다 적은 양(보통 6리터 정도)의 물로 오물배출을 완료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수직형 트랩의 쾌속 배출구조에 의해서 사이펀의 발생시간이 짧게 유지되면 종합적인 오물 배출 성능은 오히려 떨어지게 된다.
그 이유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꺾어진 빨대와 같은 사이펀관 모양의 트랩에서 입구상단-출구하단의 압력차에 의해 배출수류 전체를 강하게 빨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관로 단면 내에 반쯤 채워진 오물과 세척수의 혼합 유동체가 어설프게 트랩의 언덕을 타고 넘어가듯이 오물배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즉 트랩고점부를 지나서 트랩하강부에서 배출수류가 지나치게 빨리 가속 됨으로서 결국 트랩고점부의 진공상태가 원치 않게 빨리 무너지는 것이다.
조기 종료된 사이펀 현상은 그것이 약한 배출수류였을 경우 보울(Bowl) 내에 오물 잔류현상을 유발할 수 있고 그것이 강한 배출수류였다면 세척말기에 보울 내에 채워지는 초기 보충수까지 함께 딸려 들어가서 소모되어 버리는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어떠한 것이든 이런 현상들은 매우 많은 물을 소모하도록 설정되지 않는 한, 전체적인 세척감을 불만족스럽게 하는 쪽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주된 목표는 트랩의 사이펀 고점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그에 준하는 추가적인 세척수 투입이 없이 단지 트랩의 형상을 바꾸는 방법으로 조기 종료되어 버릴 수 있는 사이펀 현상을 최대한 오랫동안 충분한 강도로 지속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표는 상기와 같이 변형되는 트랩형상이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통상적인 변기의 기본제원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 다시 말해서 기존에 사용해왔던 변기몸체 내부공간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한정되는 변형 트랩에 의하여 위와 같은 의도적인 사이펀 지속을 달성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변기의 몸체는 전후 좌우로 제한된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치환경에 제한을 받는 보통의 변기를 대상으로 한 것이며, 문헌(1)과 같이 벽을 뚫고 설치되는 특수 변기 등 몸체 크기와 설치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설계되는 특수한 트랩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2개의 틀로 양방향에서 찍어내야만 했던 과거의 변기(트랩) 성형법은 단지 비용절감 차원에서 실시될 뿐이며 최근 발달된 도기 성형기술에 의하면 다중 성형틀에 의해 복합곡선을 가진 입체적 트랩을 성형하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랩은 도기 재질이 아닌 PVC관이나 얇은 황동관 등 다른 재료로 성형될 수도 있으며 어떤 성형방식이든 기술적 제한은 없으나 다만 발명의 기술사상이 잘 구현되도록 트랩관로의 내부는 매끈하게 다듬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는 데에 필요한 첫번째 예비 조건으로서, 먼저 도 1의 종래변기 도면을 참조하여 변기의 트랩 각 부분을 기하학적으로 정의한다.
변기의 트랩(10)은 트랩입구(15)가 초기 보충수가 담겨진 보울(21)과 연결된다. 그 다음에 트랩출구(16)는 지하의 정화조와 연결되는 바닥배수구(23)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도 1과 같이 최근 널리 사용되는 C형 더블트랩(이중 트랩)을 기준으로 한다면, 보울에 연결되어 주된 오물배출작용에 관계되는 주트랩(10)이 있을 수 있고, 바닥배수구(23)과 주트랩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트랩(22)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된 사이펀 작용이 일어나는 트랩(10 = 주트랩)을 기술적 고찰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주 트랩의 트랩상승부(11)와 트랩하강부(13)의 기하학적 구조가 핵심이며 트랩하강부(13)가 말단에 이르러 트랩출구(16)가 보조트랩(22)에 연결되는지 아니면 단지 싱글트랩 형태로 바닥배수구(23)에 직접 연결되는지는 발명의 내용에 본질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는 데에 필요한 두 번째 예비 조건으로서 트랩의 각 부분을 통과하는 배출수류의 상태를 파악하여 본다. 배출수류는 보울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이 많아져 보울수면과 트랩내부 수면의 수위차(압력차)가 커지거나 또는 사이펀 개시용 운동에너지를 직접 공급하는 제트배수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시동된다. 트랩입구(15)로 유입되어 트랩상승부(11)를 따라 유동하는 배출수류는 초기에 느린 속도로 가속되다가 트랩고점(12)을 지나 트랩하강부(13)를 따라 내려가면서 점차 가속된다. 이것은 마치 승객을 태우고 최초에 가속되는 롤러코스터가 레일의 꼭대기를 넘어 가속되는 양상과 유사하다. 이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낮고 완만한 언덕을 넘는 배출수류가 짧지만 급한 내리막을 만나 중간부분이 끊어지지 않게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무거운 오물을 싣고 꾸준히 언덕을 넘도록 내리막 비탈을 설계하는 것을 기술적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 사이펀이 점차 끝나가면서 배출수류는 최대로 빨라지며 오물을 끌고 바닥배수구(23)로 맹렬히 빨려들어간다. 이때 배출수류가 중간에 끊어져서 사이펀 작용이 중단되지 않도록 배출수류는 지나치게 빨라져서는 안된다.
덧붙여, 낮고 완만한 사이펀이라 하여도 완전히 활성화된 다음에는 실질적으로 트랩상승부(11)와 트랩고점(12), 그리고 트랩하강부(13)에서의 배출수류 속도는 이론적으로 모두 같다.
상술한 예비 조건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고유한 기술수단은 매우 간결하고 단순한 개념으로부터 점차 확장된다.
본 발명을 관통하는 가장 기초적인 개념은 본 발명의 3면도인 도 2에서와 같이 통상적인 변기 트랩의 트랩상승부와 트랩하강부의 길이비율에 비해 본 발명은 트랩하강부(13) 길이를 더욱 연장시키되 그것이 통상적인 변기몸체의 뒷부분 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트랩상승부를 지나 사이펀작용이 일어난 다음 가능한 한 긴 거리의 트랩하강부에 걸쳐서 배출수류가 하강유동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같은 트랩하강부 설계는 오물배출유동의 관성을 높여 세척수 공급이 빨리 끊어져도 원활한 오물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그 다음으로, 비록 도 2에서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위와 같이 배출수류가 긴 거리를 하강 유동하는 상태가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트랩하강부(13)의 평균 하락기울기를 작게 하되 하강 초기에는 사이펀에 원동력을 주기 위하여 다소 급하게 하락시키고 이후 중기와 말기로 갈수록 다소 완만하게 하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트랩하강부 설계는 오물배출유동의 초기, 중기 유동 관성은 높이되 전체적인 유동속도는 지나치게 가속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며 부연하자면 사이펀 작용이 지나치게 빨리 종료되어 보울 내부에 잔류 오물이 남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 또한 상기 길이 연장 설계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변기몸체의 뒷부분 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와 같은 트랩하강부 설계에 있어서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트랩상승부(11)와 트랩고점(12)의 설계이다. 트랩하강부(13)가 긴 길이와 작은 하락기울기를 갖기 위해서는 대략 변기몸체 정면 또는 후면에서 바라볼 때 지면에서 대각선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이는 트랩고점(12)의 위치나 트랩상승부(11)의 진행방향이 변기몸체의 중심선 방향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만의 독특한 기술적 특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적인 변기트랩이 들어가는 변기몸체에서 트랩관로의 사이펀 하강경로를 종래 트랩보다 확연히 길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추가적인 세척수 투입 없이도 사이펀 지속 시간을 실질적으로 연장 시킬 수 있다. 이는 절수형 변기에서 궁극적인 목표인 세척수 절약과 직결되거나 또는 기존 절수형 변기의 떨어지는 세척감을 보완할 수 있는 핵심적인 품질향상 효과로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변기몸체와 트랩을 나타낸 3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변기몸체와 트랩을 나타낸 3면도
도 3 ~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트랩을 모델링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 추가실시예의 변기몸체와 트랩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변기몸체와 트랩을 나타낸 3면도
도 3 ~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트랩을 모델링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 추가실시예의 변기몸체와 트랩을 나타낸 평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을 기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도면에 포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의 특정 실시예에서 특정 전문용어를 포함한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결합구조가 본 발명에 포괄적으로 내재된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하였지만, 도 1의 종래 변기몸체와 도 2의 본 발명 실시예의 변기몸체를 대비하여 각 부분의 형상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도 2 공히 보울(21)에 연결된 트랩입구(15)와 적어도 하나의 트랩고점(1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변기의 트랩(10)이 설치된 것은 같다. 또한 상기 트랩(10)은 상기 트랩고점(12)과 상기 변기의 바닥배수구(23) 사이 또는 상기 트랩고점(12)과 상기 트랩(10)의 트랩저점(14) 사이에 위치하는 트랩하강부(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역시 유사하다.
즉 본 발명은 새로운 구성요소를 추가하는 것이 아닌 기존에 주어진 구성요소들의 3차원 공간상에서의 유기적 배치와 그 결합각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도 2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트랩고점(12)의 중심점은 상기 트랩입구(15)의 중심점 또는 상기 보울(21)의 중심점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편위(12-x)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트랩하강부(13)는, 변기(또는 변기몸체(20))의 정면 또는 후면에서 바라볼 때 대각선으로 기울어져 있도록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역시 관점을 달리하여 보면 트랩하강부(13)는, 적어도 일부의 구간(13-n)에서 수평비틀림(13-n-a)을 갖도록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보울(21)이 변기 몸체의 중앙에 위치하고, 트랩입구(15)가 정 중앙에 설치된다는 가정하에 상기와 같은 트랩고점(12)과 트랩하강부(13)의 설계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트랩상승부(11)는, 상기 트랩하강부(13)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일부의 구간(11-n)에서 수평비틀림(11-n-a)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3~도 5에서 또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입체모델링 그림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트랩의 형상은 달리 말하면 기존의 트랩이 측면에서만 곡선모양이 나오고 정면, 후면, 상면, 하면에서 바라보았을 때는 직선으로 보였던 것, 즉 2차원 곡선인 것에 반해, 본 발명의 트랩은 모든 각도에서 곡선으로 보여지는 3차원 곡선이라는 점이 다르다.
더욱이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트랩(10)은 3차원 곡선설계에 따라 직립형 트랩을 탑재한 종래의 변기에 비해 트랩하강부의 관로 길이가 최소 20%~35% 연장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변기몸체(20) 내부에 충분히 설치 가능하다는 데 더욱 큰 기술적 의미가 있다.
가장 간단한 계산으로서 한 변의 길이 1을 갖는 정사각형의 대각선 길이는 1.414배 즉 41.4% 만큼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트랩하강부(13)를 대략 이 같은 비율대로 만들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트랩(10)이 상기 변기몸체(2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트랩고점(12) 또는 상기 트랩저점(14) 위치에서 자신의 외벽이 상기 변기몸체(20)의 내벽에 거의 접하도록 설치될 필요가 있다(도 2참조). 물론 도 3 내지 도 5에서 보여지듯이 상대적으로 변기 몸체 내벽에 덜 붙으면서 보울(21)의 좌우 폭 정도 벌어지도록 설계된 트랩하강부(13)에 의하면 보수적으로 보아도 25%~30% 정도는 충분히 길이 연장된다.
도 2와 같이 변기몸체 내벽에 접하는 트랩(10)은 트랩하강부(13)의 좌우너비를 최대한 넓게 한 경우이고 도 3과 같이 트랩하강부(13)의 좌우너비는 상기 보울(21)의 좌우너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3의 경우가 트랩하강부의 길이 연장량은 그리 크지 않지만 트랩상승부의 유동저항이 작고 변기몸체(20) 외벽 디자인에 영향받지 않으므로 좀 더 실전적인 설계라 할 수 있으며 보울의 폭 안에 들어가므로 연장된 트랩길이 대비 좀 더 확실한 공간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도 6의 추가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변기몸체와 보울을 탑재한 변기에서 본 발명의 입체곡선 트랩을 더욱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또 다른 구성을 제시한다.
트랩에서 트랩하강부(13)의 경로는 반드시 좌우로만 확장될 필요는 없는데 평면도상에서 보았을 때 바닥배수구(23)의 중심점 또는 상기 트랩저점(14)의 중심점을 좌우방향으로 편위(23-x,14-x)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배수구(23)의 중심점 또는 상기 트랩저점(14)의 중심점은 상기 트랩고점(12)의 중심점 또는 상기 트랩입구(15)의 중심점 또는 상기 보울(21)의 중심점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편위(14-x) 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바닥배수구나 보조트랩의 위치를 보울 바로 옆에까지 전진 이동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트랩 저점 부근의 관로형상을 완만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늘어난 사이펀 지속시간에 따라 약해진 배출수류가 보조트랩을 쉽게 넘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예방된다.
정확히 말하면 단지 x축 방향 편위량이 중요할 뿐 그 기준점은 특별히 중요하지는 않다는 뜻이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회류 림배수 방식으로 보울 내 오물을 배출하는 변기에서 트랩상승부(11)가 좌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트랩저점(14) 또는 바닥배수구(23)의 위치는 더욱 자유로워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트랩하강부(13) 역시 매우 다양하고 최적화된 입체 경사 관로로 형성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성형 가공성이나 제조비용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직사각형의 변기몸체 후면 공간에 트랩을 대각선으로 배치하는 것이 일견 쉬워 보이거나 별다른 효과가 없는 착안으로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착안은 트랩하강부(15)에서 기울기가 완전히 수평인 부분을 의도적이고 실질적으로 모두 제거한 것으로서, 배출수류의 하락상태를 끊임없이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유속 감소를 의도한 형상이라는 점에서 차별된다.
즉 통상의 가동식 트랩에서 보여지는 수평트랩 또는 계단식 트랩 부분이 없다는 것은 종래의 변기 트랩들이 결코 고민하지 않고 있었던 약하고, 연속적이며 긴 사이펀관의 형상에 대한 선구적인 길을 본 발명이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구체화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이 내포하고 있는 기술사상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명세서 및 도면에 미처 포함되지 않은 단순 변경 또는 간단 확장 사례를 구현할 수도 있겠으나, 그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로 표현되는 본 발명 기술사상의 범위에 자명하게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절수형 변기에서 적은 양의 물로 약하게 발생된 사이펀 현상을 개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반드시 절수형 변기에만 이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동등한 사이펀 지속시간에서 트랩의 부피를 줄이고 설치자유도를 높이는 데에도 훌륭히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트랩설계방식과 오물배출형식과는 무관하게 현존하는 대부분의 변기에 있어서 인체공학적인 화장실 설계와 변기 설치공간의 최적화에 이용될 수 있다.
10: 트랩
11: 트랩상승부
12: 트랩고점
13: 트랩하강부
14: 트랩저점
15: 트랩입구
16: 트랩출구
-n: (첨자로서) 어떤 구성요소의 n번째 구간
-x: (첨자로서) 어떤 지점의 좌우방향 편위량
-y: (첨자로서) 어떤 지점의 전후방향 편위량
-a: (첨자로서) 어떤 구간의 수평 비틀림
-b: (첨자로서) 어떤 구간의 수직 기울기
20: 변기몸체
21: 보울
22: 보조트랩
23: 바닥배수구
11: 트랩상승부
12: 트랩고점
13: 트랩하강부
14: 트랩저점
15: 트랩입구
16: 트랩출구
-n: (첨자로서) 어떤 구성요소의 n번째 구간
-x: (첨자로서) 어떤 지점의 좌우방향 편위량
-y: (첨자로서) 어떤 지점의 전후방향 편위량
-a: (첨자로서) 어떤 구간의 수평 비틀림
-b: (첨자로서) 어떤 구간의 수직 기울기
20: 변기몸체
21: 보울
22: 보조트랩
23: 바닥배수구
Claims (8)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변기몸체(20)와; 보울(21)과; 상기 보울에 트랩입구(15)가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트랩고점(12)과 트랩상승부(11)가 형성된 트랩(1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는, 상기 트랩(10)이 트랩저점(14)을 갖도록 보조트랩(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랩(10)은, 상기 트랩고점(12) 또는 상기 트랩저점(14)의 위치에서 자신의 외벽이 상기 변기몸체(20)의 좌우측 내벽에 접하여 대각선으로 완만하게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트랩(10)은, 상기 트랩고점(12)과 상기 트랩(10)의 트랩저점(14) 사이에 위치하는 트랩하강부(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랩하강부(13)는, 상기 변기의 정면 또는 후면에서 바라볼 때 대각선으로 기울어져 있도록 형성되되 그 좌우너비는 상기 보울(21)의 좌우너비를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트랩하강부(13)의 길이는, 상기 트랩상승부(11)를 타고 넘어온 배출수류가 끊어지지 않고 하강 유동하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트랩상승부(11)의 길이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3965A KR101241807B1 (ko) | 2012-05-22 | 2012-05-22 | 3차원 입체곡선 형태를 갖는 변기트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3965A KR101241807B1 (ko) | 2012-05-22 | 2012-05-22 | 3차원 입체곡선 형태를 갖는 변기트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1807B1 true KR101241807B1 (ko) | 2013-03-15 |
Family
ID=4818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3965A KR101241807B1 (ko) | 2012-05-22 | 2012-05-22 | 3차원 입체곡선 형태를 갖는 변기트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180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8854B1 (ko) | 2013-12-11 | 2015-04-07 | 박정주 | 양변기 |
KR20200042380A (ko) * | 2018-10-14 | 2020-04-23 | 게베리트 인터내셔널 아게 | 벽걸이형 사이펀식 변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54133A (en) * | 1989-04-26 | 1991-10-08 | Masco Corporatiopn Of Indiana | Low water consumption toilet fixture |
KR100318821B1 (ko) | 2000-09-04 | 2001-12-29 | 이경원, 김윤환 | 절수형 양변기 |
US6415457B2 (en) | 2000-02-08 | 2002-07-09 | Geberit Technik Ag | Flushing device for toilet system |
JP3766979B2 (ja) | 1997-01-13 | 2006-04-19 | 東陶機器株式会社 | 水洗式大便器及びその鋳込み成形用型装置 |
-
2012
- 2012-05-22 KR KR1020120053965A patent/KR1012418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54133A (en) * | 1989-04-26 | 1991-10-08 | Masco Corporatiopn Of Indiana | Low water consumption toilet fixture |
JP3766979B2 (ja) | 1997-01-13 | 2006-04-19 | 東陶機器株式会社 | 水洗式大便器及びその鋳込み成形用型装置 |
US6415457B2 (en) | 2000-02-08 | 2002-07-09 | Geberit Technik Ag | Flushing device for toilet system |
KR100318821B1 (ko) | 2000-09-04 | 2001-12-29 | 이경원, 김윤환 | 절수형 양변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8854B1 (ko) | 2013-12-11 | 2015-04-07 | 박정주 | 양변기 |
KR20200042380A (ko) * | 2018-10-14 | 2020-04-23 | 게베리트 인터내셔널 아게 | 벽걸이형 사이펀식 변기 |
KR102205301B1 (ko) | 2018-10-14 | 2021-01-21 | 게베리트 인터내셔널 아게 | 벽걸이형 사이펀식 변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93627B1 (ja) | 水洗大便器 | |
CA2456773C (en) | A waste removal system | |
CN101688389B (zh) | 具有用于防止溢出的辅助水箱的坐便器 | |
JP5959055B2 (ja) | 便器本体及びこれを備えたサイホン式水洗便器 | |
JP6628083B2 (ja) | 水洗大便器装置 | |
JP2016084596A (ja) | 水洗大便器 | |
JP5927629B2 (ja) | 水洗大便器 | |
KR101241807B1 (ko) | 3차원 입체곡선 형태를 갖는 변기트랩 | |
JP2012172403A (ja) | 水洗大便器 | |
JP5818230B2 (ja) | 水洗大便器 | |
JP6701513B2 (ja) | 水洗大便器 | |
JP2014047561A (ja) | 水洗大便器 | |
JP2014062431A (ja) | 水洗大便器 | |
JP5569873B2 (ja) | 水洗大便器 | |
JP5158455B2 (ja) | 水洗大便器 | |
JP2017031772A (ja) | 水洗大便器 | |
JP2013170426A (ja) | サイホン式大便器 | |
CN101748786A (zh) | 废水直冲式虹吸坐便器 | |
JP5835549B2 (ja) | 洗い落し式汚物排出装置 | |
JP5223988B2 (ja) | 水洗大便器 | |
JP2014058863A (ja) | 水洗大便器 | |
JP2001026960A (ja) | 水洗便器 | |
CN218204777U (zh) | 一种坐便器异形冲水结构 | |
CN216920590U (zh) | 一种双旋冲水反重力马桶 | |
CN221030498U (zh) | 一种座便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