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854B1 - 양변기 - Google Patents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854B1
KR101508854B1 KR20130154243A KR20130154243A KR101508854B1 KR 101508854 B1 KR101508854 B1 KR 101508854B1 KR 20130154243 A KR20130154243 A KR 20130154243A KR 20130154243 A KR20130154243 A KR 20130154243A KR 101508854 B1 KR101508854 B1 KR 101508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groove
drain trap
excreta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주
Original Assignee
박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주 filed Critical 박정주
Priority to KR2013015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트랩 내에 유격을 두어 배설물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고 배수트랩 내에 회전수류를 발생시켜 배설물의 잔류를 없애는 한편 배출능력을 높인 양변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양변기 볼부 내의 배설물을 공급되는 물과 함께 배수구로 이송하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굴곡이 형성된 배수트랩이 구비된 양변기에 있어서, 배수트랩은 배설물과의 유격을 갖도록 내벽에 홈을 형성하되 홈은 배설물 이송시 회전수류를 발생할 수 있도록 내벽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의 홈은 회전수류 발생시 유속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단면 선단이 내벽과 낙차를 갖고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내벽과 완만하게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홈은 기존의 배수트랩에 설치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관 내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배설물과의 유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수트랩 내벽에 홈을 형성시켜 관로 내부가 배설물에 의해 완전히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수트랩의 막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배수트랩의 내벽에 형성된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설물의 이송시 회전수류의 발생으로 배설물의 잔류를 없앨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수류 발생시 홈과 내벽 간의 낙차로 유속이 증대되어 배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무재질의 관 내벽에 홈을 형성시켜 구조변경 없이 기존의 배수트랩에 설치할 수 있어 양변기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변기{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트랩 내에 유격을 두어 배설물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고 배수트랩 내에 회전수류를 발생시켜 배설물의 잔류를 없애는 한편 배출능력을 높인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걸터앉은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는 변기로, 물탱크에 담긴 물의 수압을 이용해 대변을 정화조로 흘려보내게 된다.
이를 위하여 양변기는 용변을 보기 위한 공간과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관로를 U자 또는 S자 형태로 구부려 물이 고이도록 하는 배수트랩이 마련된다.
양변기의 배수트랩은 한꺼번에 많은 양의 대변이나 화장지 등의 이물질이 투입될 경우 쉽게 막히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3855호는 배수트랩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수트랩의 막힘을 방지하는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동 공보를 참조하면 배수트랩은 메인통로와 메인통로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막힘방지통로를 포함하되 막힘방지통로는 메인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통로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막힘방지통로는 메인통로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막힘방지통로는 메인통로가 형성되는 배수트랩의 내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막힘방지통로는 메인통로의 선단과 이격되는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막힘방지통로의 선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메인통로와 막힘방지통로를 포함하는 배수트랩은 타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종래 배수트랩은 메인통로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거나 배수트랩의 내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막힘방지통로가 마련됨에 따라 메인통로가 오물에 의해 막힌 경우 볼부의 물이 막힘방지통로를 따라 오물배출구로 향하게 되므로 배수트랩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배수트랩은 배수트랩의 길이방향으로 골이 형성되어 이 골에 배설물이 남게 되어 부패하거나 악취를 발생시키는 등 위생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변기의 경우 배수트랩 내의 물이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하수관로로 빨려나가게 되는데, 배수트랩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골에 의한 표면마찰력의 증대로 배출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수트랩 내에 유격을 두어 배설물 의한 막힘을 방지하고 배수트랩 내에 회전수류를 발생시켜 배설물의 잔류를 없애는 한편 배출능력을 높인 양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양변기 볼부 내의 배설물을 공급되는 물과 함께 배수구로 이송하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굴곡이 형성된 배수트랩이 구비된 양변기에 있어서, 배수트랩은 배설물과의 유격을 갖도록 내벽에 홈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관이 삽입 설치되되, 홈은 배설물 이송시 회전수류를 발생할 수 있도록 내벽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의 홈은 회전수류 발생시 유속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단면 선단이 내벽과 낙차를 갖고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내벽과 완만하게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설물과의 유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수트랩 내벽에 홈을 형성시켜 관로 내부가 배설물에 의해 완전히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수트랩의 막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트랩의 내벽에 형성된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설물의 이송시 회전수류의 발생으로 배설물의 잔류를 없앨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수류 발생시 홈과 내벽 간의 낙차로 유속이 증대되어 배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재질의 관 내벽에 홈을 형성시켜 구조변경 없이 기존의 배수트랩에 설치할 수 있어 양변기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양변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 트랩 내부 구조를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 트랩의 홈 구조를 보인 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양변기 볼부(2) 내의 배설물을 공급되는 물과 함께 배수구(3)로 이송하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굴곡이 형성된 배수트랩(10)이 구비된 양변기(1)에 양호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배수트랩(10)은 배설물과의 유격을 갖도록 내벽에 홈(20)이 형성된다.
홈(20)은 배설물 이송시 회전수류를 발생할 수 있도록 배수트랩(10)의 내벽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배수트랩(10)의 내벽을 따라 3개의 나선 형상의 홈(20)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양변기의 볼부(2) 내에 용변을 보게 되면 배설물(대변)이 볼부(2)의 하부 배수트랩(10)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배수트랩(10)의 내벽에 홈(20)이 형성되어 내벽과 배설물 간에 유격이 생겨 배설물에 의해 배수트랩(10)이 완전히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수트랩(10)의 막힘 현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으로 물탱크(4) 내의 물이 볼부(2)에 공급되면, 수압에 의해 물과 함께 배설물이 배수트랩(10) 내로 밀려 들어가게 되고, 물이 배수트랩(10)의 후단을 넘쳐 흐르는 순간 사이펀 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사이펀 작용으로 유속이 상승하면 배수트랩(10)의 내벽에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20)에 의해 회전수류가 발생하고, 이 회전수류에 의해 배수트랩(10) 내에 배설물이 흐트러져 잔류함이 없이 모두 배수관(3)으로 배출되게 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의 홈(20)은 회전수류 발생시 유속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단면 선단(21)이 내벽과 낙차를 갖고 후단(22)으로 갈수록 점차 내벽과 완만하게 만나게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배수트랩(10) 내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홈(20)에 의해 물이 회전하여 회전수류가 발생한다.
이때, 물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홈(20) 단면의 선단(21)과 내벽 사이에 단차를 두어 낙차를 발생시키고, 물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홈 후단(22)으로 갈수록 점차 내벽과 완만하게 만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배수트랩(10) 내에서 발생한 회전수류는 홈(20)의 낙차로 유속이 증대되어 더욱 강한 배출능력으로 배설물을 배수관(3) 측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홈(20)은 기존의 배수트랩에 설치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관 내벽에 형성할 수 있다.
즉, 홈(20)을 배수트랩의 내벽에 직접 성형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을 구현할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 고무재질의 관 내벽에 홈(20)을 형성시켜 기존 배수트랩에 삽입 설치하여 본 발명의 배수트랩을 구현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기존의 배수트랩 내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관은 내벽에 홈(20)을 형성하기 위한 일정 두께와 배수트랩의 형상대로 구부릴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기존 양변기의 교체 없이 배수트랩 내의 막힘 현상을 개선할 수 있고 배수트랩 내에 회전수류를 발생시켜 배설물의 잔류를 없애는 한편 배출능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양변기
2 : 볼부
3 : 배수관
4 : 물탱크
10: 배수트랩
20: 홈

Claims (3)

  1. 양변기 볼부 내의 배설물을 공급되는 물과 함께 배수구로 이송하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굴곡이 형성된 배수트랩이 구비된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은 배설물과의 유격을 갖도록 내벽에 홈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관이 삽입 설치되되,
    상기 홈은 배설물 이송시 회전수류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내벽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홈은 회전수류 발생시 유속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단면 선단이 상기 내벽과 낙차를 갖고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내벽과 완만하게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3. 삭제
KR20130154243A 2013-12-11 2013-12-11 양변기 KR101508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4243A KR101508854B1 (ko) 2013-12-11 2013-12-11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4243A KR101508854B1 (ko) 2013-12-11 2013-12-11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854B1 true KR101508854B1 (ko) 2015-04-07

Family

ID=5303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4243A KR101508854B1 (ko) 2013-12-11 2013-12-11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42883A1 (en) * 2015-07-01 2018-08-30 Iasset Ag Respiratory flow sens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647A (ko) * 2011-06-09 2012-12-20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배수트랩 구조
KR101241807B1 (ko) 2012-05-22 2013-03-15 계림요업주식회사 3차원 입체곡선 형태를 갖는 변기트랩
KR20130033855A (ko) * 2011-09-27 2013-04-04 유장호 양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647A (ko) * 2011-06-09 2012-12-20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배수트랩 구조
KR20130033855A (ko) * 2011-09-27 2013-04-04 유장호 양변기
KR101241807B1 (ko) 2012-05-22 2013-03-15 계림요업주식회사 3차원 입체곡선 형태를 갖는 변기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42883A1 (en) * 2015-07-01 2018-08-30 Iasset Ag Respiratory flow sensor
US10905357B2 (en) * 2015-07-01 2021-02-02 Imtmedical Ag Respiratory flow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3662B2 (ja) 水洗式便器
JP6472591B2 (ja) 水洗大便器
JP2011174363A (ja) 水洗式便器
JP2008045276A (ja) 水洗便器
KR101508854B1 (ko) 양변기
JP5178017B2 (ja) 排水ソケット
JP2011252344A (ja) 小便器
WO2015058451A1 (zh) 一种马桶座
JP5927629B2 (ja) 水洗大便器
JP5455064B2 (ja) 小便器
JP2017145631A (ja) 水洗大便器
JP5967872B2 (ja) 排水管の接続構造
CN210917625U (zh) 一种防溅水防堵塞蹲便器
JP2011058208A (ja) 水洗大便器
JP5692422B2 (ja) 小便器
CN113463737A (zh) 冲落式冲水大便器
TWI673030B (zh) 減少飛濺及增加速度的小便斗濾筒及用於小便斗濾筒的流體出口部
JP2013142284A (ja) 水洗式男性用小便器
JP6820173B2 (ja) 排水トラップ
JP6351064B2 (ja) 水洗式便器
US2689353A (en) Water closet
JP5144770B2 (ja) 水洗便器
KR20080109588A (ko) 절수형 양변기
KR20130033855A (ko) 양변기
WO2017028468A1 (zh) 一种水洗式坐便器冲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