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357Y1 - 변기의 절수구조 - Google Patents

변기의 절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357Y1
KR200366357Y1 KR20-2004-0021593U KR20040021593U KR200366357Y1 KR 200366357 Y1 KR200366357 Y1 KR 200366357Y1 KR 20040021593 U KR20040021593 U KR 20040021593U KR 200366357 Y1 KR200366357 Y1 KR 200366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lever
fasten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영
Original Assignee
최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영 filed Critical 최경영
Priority to KR20-2004-0021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의 세척수 배출구조를 구성하여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줄임에 따라 국가경제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물의 생산에 따른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대변과 소변시에 사용되는 레버를 각각 구비하고 이 중 대변시에만 작동되는 레버에 의해 보조수조에 충진된 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대변과 소변시에 각각 다른 양의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변기의 절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는, 내부에 세척수가 충진되고 하단에는 충진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통공되며 이 배출공의 상단을 개폐하는 수단이 고무덮개(11)가 구비된 수조(10)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 하단부가 내측으로 단턱지게 요입되고 상단면에 배수공(21)이 통공된 배수부(22)를 갖는 보조수조(20)와; 상기 보조수조(20)의 일단면에 힌지결합되는 회전원반(31)과 이 회전원반(31)의 후방측에 축설되고 일단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부(22)의 배수공(21)을 개폐하는 개폐판(32)과 상기 회전원반(31)의 전방측에 축설되고 전면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돌설된 2개의 돌기(33a)(33b)가 형성된 회전체(33)를 갖는 작동구(30)와; 상기 작동구(30)의 회전체(33)에 형성된 돌기(33a)에 일단측이 체결되는 제1체결끈(41)과, 상기 제1체결끈(41)의 타측단이 일측에 체결되는 제1레버(42)와, 상기 제1레버(42)의 타측단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수조의 상단 외면을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부(43)에 내삽되어 이가이드부(43)의 내측을 따라 좌/우측으로 자유로이 이동되는 누름구(44)를 갖는 제1누름작동구(40)와; 상기 작동구(30)의 회전체(33)에 형성된 돌기(33a)에 일단측이 체결되는 제2체 결끈(41a)과, 상기 제2체결끈(41a)의 타측단이 일측에 체결되는 제2레버(42a)와, 상기 제2레버(42a)의 타측단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수조의 상단 외면을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부(43a)에 내삽되어 이 가이드부(43a)의 내측을 따라 좌/우측으로 자유로이 이동되는 누름구(44a)를 갖는 제2누름작동구(40a)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기의 절수구조{TOILET BOWL WITH ECONOMIZATION OF WATER DEVICE}
본 고안은 소변과 대변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등에 설치되어 소변과 대변을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해주며 아울러 소변과 대변으로 인해 소비되는 변기세척에 따른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변기의 절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화장실(특히, 여성용 화장실)에서는 대변기와 소변기를 분리하여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좌변기를 대/소변기(양변기)로 겸용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소변을 볼 때에도 기존 좌변기를 이용하게 되는데 좌변기의 구조상 소변 시나 대변 시 사용되는 세척수의 양이 대, 소변 구분 없이 동일한 양이 배출되고 있다.
사람이 1회 소변에 사용되는 물의 양은 약 12리터이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대부분이 변기에서 소변을 보기 때문에 그로 인한 물의 낭비가 심각하다. 수자원공사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되는 물 중 설거지에 약 30%가 소요되고, 세탁과 목욕에 약 30%가 소요되며, 변기를 통해 약 40%가 소요된다.
즉, 소변 시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세척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대변시에 필요한 양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불필요한 세척수가 과다하게 배출됨에 따라 물의 낭비가 심하다. 특히 소변 횟수는 대변 횟수에 비하여 월등히 많기 때문에 이러한 과다하게 배출되는 물의 양에 의한 귀중한 자산인 물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며, 모든 가정이나 공공장소에서 이렇게 하여 낭비되는 물은 실로 엄청나다.
이와 같이 소변 시에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세척수의 양을 줄이기 위해 수조에 무거운 돌 등을 넣어 물이 적게 배출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 경우엔 소변 시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으나 대변량이 많을 경우엔, 대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근자들어서는 좌변기의 세척수 배출량을 대, 소변에 따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게 한 좌변기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대부분이 그 구조가 복잡하고 만들기 어려우며 고장의 우려도 높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좌변기의 가격이 비싸지게 되므로 그 보급률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 변기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 제0266667호인 절수형 변기를 안출한 바 있다.
이는, 변기에 있어서, 변기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저장하고, 그 세척수가 흘러갈 수 있는 배수구를 하단에 형성하며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고무마개가 설치되어 있는 수조와, 상기 고무마개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과,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 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공과, 상기 고무마개를 개폐하도록 제1,제2줄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제2작동바와, 상기 제1,제2작동바를 조작하도록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제1,제2작동바에의해 상기 받침판이 회동하도록 그 일단이 제1,제2작동바의 끝단에 각각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받침판의 일측과 반대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제1, 제2작동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등록실용신안 제0260753호인, 절수형 변기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변기에 있어서, 변기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저장하고, 그 세척수가 흘러갈 수 있는 배수구를 하단에 형성하며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고무마개가 설치되어 있는 수조와, 상기 고무마개를 개폐하도록 제1,제2줄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제2작동바와, 상기 제1,제2작동바를 조작하도록 하는 손잡이와, 상기 수조의 내부 공간에 적은 공간부를 형성하되, 그 각각의 공간부를 서로 통하도록 하단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적은 공간부는 상기 고무마개를 감싸는 형태의 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측벽과, 상기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통공을 개방하도록 하는 개폐공이 형성되며 그 회동에 의해 상기 통공을 개폐하도록 하는 회동판 및 상기 회동판의 일측과 반대측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제1,제2작동바의 끝단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제1, 제2작동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것들은 모두 대변과, 소변에 따라 각각 다른 양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물의 과도한 낭비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가격을 절감시켜 보편화 할 수 있으며, 모든 가구나 건물에 절수형 변기를 설치하면 많은 양의 물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물의 생산에 따른 비용절감을 달성할수있어 국가 경제에도 도움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절수형 변기들과는 다른 구조로 변기의 세척수 배출구조를 구성하여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줄임에 따라 국가경제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물의 생산에 따른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대변과 소변시에 사용되는 레버를 각각 구비하고 이 중 대변시에만 작동되는 레버에 의해 보조수조에 충진된 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대변과 소변시에 각각 다른 양의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변기의 절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 3a, 도 3b, 도 4a, 도 4b는 각각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와 도 3b는 제1누름작동구를 눌렀을 때의 작동상태이고, 도 4a와 도 4b는, 제2누름작동구를 눌렀을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의 절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의 절수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조 11 : 고무덮개
20 : 보조수조 21 : 배수공
22 : 배수부 30 : 작동구
31 : 회전원반 32 : 개폐판
33 : 회전체 40 : 제1누름작동구
40a : 제2누름작동구 41 : 제1체결끈
41a : 제2체결끈 42 : 제1레버
42a : 제2레버 43, 43a : 가이드부 44, 44a : 누름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는,
내부에 세척수가 충진되고 하단에는 충진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통공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통공된 배출공의 상단을 개폐하는 수단인 고무덮개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 하단부가 내측으로 단턱지게 요입되고 상단면에 배수공이 통공된 배수부를 갖는 보조수조와; 상기 보조수조의 일단면에 힌지결합되는 회전원반과 이 회전원반의 후방측에 축설되고 일단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부의 배수공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회전원반의 전방측에 축설되고 전면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돌설된 2개의 돌기가 형성된 회전체를 갖는 작동구와; 상기 작동구의 회전체에 형성된 돌기에 일단측이 체결되는 제1체결끈과, 상기 제1체결끈의 타측단이 일측에 체결되는 제1레버와, 상기 제1레버의 타측단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수조의 상단 외면을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부에 내삽되어 이 가이드부의 내측을 따라 좌/우측으로 자유로이 이동되는 누름구를 갖는 제1누름작동구와; 상기 작동구의 회전체에 형성된 돌기에 일단측이 체결되는 제2체결끈과, 상기 제2체결끈의 타측단이 일측에 체결되는 제2레버와, 상기 제2레버의 타측단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수조의 상단 외면을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부에 내삽되어 이 가이드부의 내측을 따라 좌/우측으로 자유로이 이동되는 누름구를 갖는 제2누름작동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원반의 일측면에는 보조배수공이 더 통공되고, 이 보조배수공에 의해 개폐되는 구멍이 상기 보조수조의 전면에 더 통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원반은 일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일면에 보조유출공이 더 통공되고, 이 보조유출공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보조유출구멍이 상기 보조수조의 하단 배수부의 일면에 더 통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는, 수조의 외면에 구성된 제1 및 제2누름작동구를 각각 선택적으로 눌러 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의 배출량이 각각 다르게 배출됨으로써, 사용자가 대변 또는 소변에 따라 적절하게 세척수를 배출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구와 보조수조만을 더 장착하여 일반 가정에 이미 설치된 변기에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비용에 크게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a, 도 3b, 도 4a, 도 4b는 각각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와 도 3b는 제1누름작동구를 눌렀을 때의 작동상태이고, 도 4a와 도 4b는, 제2누름작동구를 눌렀을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는, 내부에 세척수가 충진되고 하단에는 충진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통공된 수조(10)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통공된 배출공의 상단을 개폐하는 수단인 고무덮개(11)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 하단부가 내측으로 단턱지게 요입되고 상단면에 배수공(21)이 통공된 배수부(22)를 갖는 보조수조(20)와, 상기 보조수조(20)의 일단면에 힌지결합되는 회전원반(31)과 이 회전원반(31)의 후방측에 축설되고 일단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부(22)의 배수공(21)을 개폐하는 개폐판(32)과 상기 회전원반(31)의 전방측에 축설되고 전면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돌설된 2개의 돌기(33a)(33b)가 형성된 회전체(33)를 갖는 작동구(30)와, 상기 작동구(30)의 회전체(33)에 형성된 돌기(33a)에 일단측이 체결되는 제1체결끈(41)과, 상기 제1체결끈(41)의 타측단이 일측에 체결되는 제1레버(42)와, 상기 제1레버(42)의 타측단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수조의 상단 외면을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부(43)에 내삽되어 이 가이드부(43)의 내측을 따라 좌/우측으로 자유로이 이동되는 누름구(44)를 갖는 제1누름작동구(40)와, 상기 작동구(30)의 회전체(33)에 형성된 돌기(33a)에 일단측이 체결되는 제2체결끈(41a)과, 상기 제2체결끈(41a)의 타측단이 일측에 체결되는제2레버(42a)와, 상기 제2레버(42a)의 타측단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수조의 상단 외면을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부(43a)에 내삽되어 이 가이드부(43a)의 내측을 따라 좌/우측으로 자유로이 이동되는 누름구(44a)를 갖는 제2누름작동구(40a)로 구성된다.
상기 수조(10)의 구성 중, 누름작동구의 누르는 동작에 의해 수조내부에 구비된 고무덮개 그리고, 배출되는 물의 높이차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열어진 고무덮개를 닫히게 하는 부레공과, 이 부레공의 가변됨에 따라 수조에 물을 충진하도록 하는 수위조절구는 종래 공지된 기술사상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는, 사용자가 대변 또는 소변시 용변에 따라 상기 수조(10)의 외측 일면에 각각 구성된 2개의 누름작동구(40)(40a)를 선택적으로 눌러 수조내부의 충진된 세척수의 배출량이 각각 다르게 배출될 수 있음에 따라,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수도요금의 절약과 함께 국가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즉, 사용자가 소변을 보고난 이후에, 소량의 물을 내리고자 할 경우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10)의 외측 일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상기 제1누름작동구(40)의 누름구(44)를 눌러 수조(10) 내부의 물을 배출하면 되는 바, 이와 같이 제1누름작동구(40)의 누름구(44)를 누르게 되면, 이 누름구(44)의 일측면에 접하여진 상기 제1레버(42)의 일측이 밀려남에 따라 이 제1레버(42)의 타측단이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 제1레버(42)의 일측과 상기 작동구(30)의회전체(33)에 형성된 돌기(33a)에 타단측이 체결된 제1체결끈(41)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짐에 따라, 이 제1체결끈(41)의 타측단이 체결된 수조(10) 내의 고무덮개(11)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수조(10)내부에 수용된 보조수조(20) 내부의 세척수는 배출되지 않고, 수조(10) 내부에 충진된 세척수만이 변기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누름작동구(40)의 누름구(44)를 누름에 따라 상기 수조내부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레버(42)만이 작동됨으로써, 상기 수조(10) 내부에 구비된 보조수조(20)는 간섭을 받지 않게 되어 이 보조수조(20) 내부에 충진된 세척수는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대변을 보고 난 이후에, 많은 양의 물을 배출하고자 할 경우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누름작동구(40a)의 누름구(44a)를 누르게 되면, 이 제2누름작동구(40a)의 누름구(44a)의 일면과 접한 상기 제2레버(42a)의 일면이 밀리게 되어 이 제2레버(42a)의 타측단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레버(42a)의 타단측과 연결된 제2체결끈(41a)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 제2체결끈(41a)의 타측단이 연결된 상기 회전체(33)의 돌기(33b)가 상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이 회전체(33)가 회전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33)가 회전됨에 따라 이 회전체(33)와 동일축으로 상기 회전원반(31)의 후방측에 일측이 축설된 개폐판(32)이 들어올려짐으로써, 이 개폐판(32)이 막고 있던 상기 보조수조(20)의 배수부(22) 배수공(21)이 개방되어 보조수조(20) 내부에 충진된 세척수가 상기 수조(10) 내부에 유출되어 이 수조(10)내부에 충진된 세척수와 합류함으로써, 상기 수조(10) 내부에 충진된 세척수와 함께 상기 변기내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수조(10) 내부의 세척수와 보조수조(20) 내부의 세척수가 다 배출하기 위해, 누르고 있던 제2누름작동구(40a)를 놓게 되면, 상기 수조(10) 내부에 구비된 부레공(12) 등에 의해 자연스럽게 고무덮개(11)가 수조(10)의 배출공(미도시)를 다시 막게 되고 또한 수위조절구에 의해 다시 수조(10) 및 보조수조(20) 내부로 세척수가 재충전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수조(20)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들어올려진 상기 개폐판(32) 역시 처음의 위치로 복원되어 다시 보조수조(20)의 배수부(22) 배수공(21) 상부를 막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조내부에 세척수가 재충진되는 이유는 종래 변기의 수조에 물이 재충진 되는 것과 동일한 원리로써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는, 변기수조에 세척수를 배출하고 재충진시키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수조내부에 충진된 세척수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그 배출량을 다르게 하여 배출시킴으로써 불필요하게 배출되는 물의 낭비를 막고자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원반(31)의 일측면에는 보조배수공(31a)이 더 통공되고, 이 보조배수공(31a)에 의해 개폐되는 구멍(20a)이 상기 보조수조(20)의 전면에 더 통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원반(31)이 회전체(33)의 회전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보조배수공(31a)이 상기 보조수조(20)의 전면에 통공된 구멍(20a)에 위치됨으로써, 보조수조(20)에 충진된 세척수가 이 구멍(20a)을 통해서 배출된다.도 6은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세척수가 충진되고 하단에는 충진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통공되며 이 배출공의 상단을 개폐하는 수단인 고무덮개(11)가 구비된 수조(10)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고 이 수조의 내부를 종방향으로 구획하고 하단 일측에 배출공(51)이 통공된 격벽(50)과, 상기 격벽(50)에 통공된 배출공(51) 측단에 힌지결합되 상기 배출공(51)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된 유입공(62)과 전면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돌설된 2개의 돌기(63)(64)가 형성된 원반(60)과, 상기 원반(60)에 형성된 일측 돌기(63)에 일단측이 체결되는 제1체결끈(41)과, 상기 제1체결끈(41)의 타측단이 일측에 체결되는 제1레버(42)와, 상기 제1레버(42)의 타측단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수조의 상단 외면측으로 관통된 제1누름작동구(40)와, 상기 원반(60)에 형성된 타측 돌기(64)에 일단측이 체결되는 제2체결끈(41a)과, 상기 제2체결끈(41a)의 타측단이 일측에 체결되는 제2레버(42a)와, 상기 제2레버(42a)의 타측단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수조의 상단 외면측으로 관통된 제2누름작동구(40a)로 구성된다.도 6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1누름작동구(40)와 제2누름작동구(40a)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변기 수조(10)의 내부가 격벽(50)에 의해 구획되어 있음에 따라, 수조(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은 필요여부에 따라서 배출량이 다르게 나타난다.즉, 소변시에는 하나의 제1누름작동구(40)만을 눌러 적은양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대변시에는 제2누름작동구(40a)를 눌러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각각의 누름작동구를 눌러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변기의 절수구조에 의하면, 수조의 외면에 구성된 누름작동구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수조에 충진된 세척수의 배출량이 각각 다르게 배출됨으로써, 사용자가 대변 또는 소변에 따라 적절하게 세척수를 배출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구와 보조수조만을 더 장착하여 일반 가정에 이미 설치된 변기에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비용에 크게 부담을 느끼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계의 수도요금이 절약될 수 있고 국가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효율적이다.

Claims (3)

  1. 내부에 세척수가 충진되고 하단에는 충진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통공되며 이 배출공의 상단을 개폐하는 수단이 고무덮개(11)가 구비된 수조(10)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 하단부가 내측으로 단턱지게 요입되고 상단면에 배수공(21)이 통공된 배수부(22)를 갖는 보조수조(20)와;
    상기 보조수조(20)의 일단면에 힌지결합되는 회전원반(31)과 이 회전원반(31)의 후방측에 축설되고 일단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부(22)의 배수공(21)을 개폐하는 개폐판(32)과 상기 회전원반(31)의 전방측에 축설되고 전면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돌설된 2개의 돌기(33a)(33b)가 형성된 회전체(33)를 갖는 작동구(30)와;
    상기 작동구(30)의 회전체(33)에 형성된 돌기(33a)에 일단측이 체결되는 제1체결끈(41)과, 상기 제1체결끈(41)의 타측단이 일측에 체결되는 제1레버(42)와, 상기 제1레버(42)의 타측단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수조의 상단 외면을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부(43)에 내삽되어 이 가이드부(43)의 내측을 따라 좌/우측으로 자유로이 이동되는 누름구(44)를 갖는 제1누름작동구(40)와;
    상기 작동구(30)의 회전체(33)에 형성된 돌기(33a)에 일단측이 체결되는 제2체 결끈(41a)과, 상기 제2체결끈(41a)의 타측단이 일측에 체결되는 제2레버(42a)와, 상기 제2레버(42a)의 타측단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수조의 상단 외면을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부(43a)에 내삽되어 이 가이드부(43a)의 내측을 따라 좌/우측으로 자유로이 이동되는 누름구(44a)를 갖는 제2누름작동구(40a)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절수구조.
  2. 내부에 세척수가 충진되고 하단에는 충진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통공되며 이 배출공의 상단을 개폐하는 수단인 고무덮개(11)가 구비된 수조(10)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고 이 수조의 내부를 종방향으로 구획하고 하단 일측에 배출공(51)이 통공된 격벽(50)과;
    상기 격벽(50)에 통공된 배출공(51)측단에 힌지결합되 상기 배출공(51)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된 유입공(62)과 전면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돌설된 2개의 돌기(63)(64)가 형성된 원반(60)과;
    상기 원반(60)에 형성된 일측 돌기(63)에 일단측이 체결되는 제1체결끈(41)과, 상기 제1체결끈(41)의 타측단이 일측에 체결되는 제1레버(42)와, 상기 제1레버(42)의 타측단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수조의 상단 외면측으로 관통된 제1누름작동구(40)와;
    상기 원반(60)에 형성된 타측 돌기(64)에 일단측이 체결되는 제2체결끈(41a)과, 상기 제2체결끈(41a)의 타측단이 일측에 체결되는 제2레버(42a)와, 상기 제2레버(42a)의 타측단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수조의 상단 외면측으로 관통된 제2누름작동구(40a)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절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반(31)의 일측면에는 보조배수공(31a)이 더 통공되고, 이 보조배수공(31a)에 의해 개폐되는 구멍(20a)이 상기 보조수조(20)의 전면에 더 통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절수구조.
KR20-2004-0021593U 2004-07-28 2004-07-28 변기의 절수구조 KR200366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593U KR200366357Y1 (ko) 2004-07-28 2004-07-28 변기의 절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593U KR200366357Y1 (ko) 2004-07-28 2004-07-28 변기의 절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357Y1 true KR200366357Y1 (ko) 2004-11-08

Family

ID=4944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593U KR200366357Y1 (ko) 2004-07-28 2004-07-28 변기의 절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3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0117A2 (ko) * 2009-04-15 2010-10-21 Lee Jong Ho 절수형 좌변기
KR101893402B1 (ko) 2018-07-11 2018-08-31 주식회사 상진 입출구 개방유지수단을 갖는 컨테이너 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0117A2 (ko) * 2009-04-15 2010-10-21 Lee Jong Ho 절수형 좌변기
WO2010120117A3 (ko) * 2009-04-15 2011-03-10 Lee Jong Ho 절수형 좌변기
KR101893402B1 (ko) 2018-07-11 2018-08-31 주식회사 상진 입출구 개방유지수단을 갖는 컨테이너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0731Y1 (ko)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200366357Y1 (ko) 변기의 절수구조
KR20010110970A (ko) 절수용 변기
CN204298916U (zh) 节水蹲便器
KR200457162Y1 (ko) 대변 및 소변에 따라 물내림양을 조절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용 플러시밸브 구조
KR200366358Y1 (ko) 변기의 절수구조
JP5441015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
KR101088242B1 (ko) 좌변기의 절수형 세척수탱크 구조
CN201258527Y (zh) 自动抽水马桶
KR100442447B1 (ko) 양변기용 절수장치
KR200366359Y1 (ko) 절수형 하변기 물통
KR200455687Y1 (ko) 여성용 수세식 변기
KR200216292Y1 (ko) 초 절수 개량형 변기
KR200369233Y1 (ko) 절수형 좌변기 물탱크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CN2372374Y (zh) 家庭卫生间双缸节水水箱
KR20040018830A (ko)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KR950007728B1 (ko) 공간활용 및 용수절약형 절첩식 자동변기
CN202347619U (zh) 一种中水优先的双水源便器冲洗水箱
KR200260754Y1 (ko) 절수형 변기 물통
KR20100010707U (ko) 물 절약형 수세식 변기
KR200338277Y1 (ko) 절수형 변기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0180709Y1 (ko) 변기용 더블 후레쉬밸브
KR200266667Y1 (ko) 절수형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