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667Y1 - 절수형 변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667Y1
KR200266667Y1 KR2020000023925U KR20000023925U KR200266667Y1 KR 200266667 Y1 KR200266667 Y1 KR 200266667Y1 KR 2020000023925 U KR2020000023925 U KR 2020000023925U KR 20000023925 U KR20000023925 U KR 20000023925U KR 200266667 Y1 KR200266667 Y1 KR 200266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rubber stopper
washing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영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최경영
최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영, 최성민 filed Critical 최경영
Priority to KR2020000023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667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대변과 소변으로 인해 소비되는 변기세척에 따른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절수형 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 상기 목적은 변기에 있어서, 변기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저장하고, 그 세척수가 흘러갈 수 있는 배수구를 하단에 형성하며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고무마개가 설치되어 있는 수조; 상기 고무마개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 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공; 상기 고무마개를 개폐하도록 제1,제2줄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제2작동바; 상기 제1,제2작동바를 조작하도록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제1,제2작동바에 의해 상기 받침판이 회동하도록 그 일단이 제1,제2작동바의 끝단에 각각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받침판의 일측과 반대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제1,제2작동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Description

절수형 변기{.}
본 고안은 절수형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등에 설치되어 소변과 대변을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해주며 아울러 소변과 대변으로 인해 소비되는 변기세척에 따른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절수형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대변기와 소변기를 분리하여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좌변기를 대/소변기로 겸용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소변을 볼 때에도 지존 좌변기를 이용하게 되는데 좌변기의 구조상 소변 시나 대변 시 사용되는 세척수의 양은 대, 소변 구분 없이 동이한 양이 사용된다. 1회 소변에 사용되는 물의 양은 약 12리터이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대부분이 변기에서 소변을 보기 때문에 그로 인한 물의 낭비가 심각하다. 수자원 공사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되는 물 중 설거지에 약 30%가 소요되고, 세탁과 목욕에 약 30%가 소요되며, 변기를 통해 약 40%가 소요된다.즉, 소변 시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세척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대변 시에 필요한 양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물의 낭비가 심하다. 특히 소변 횟수는 대변 횟수에 비하여 월등히 많기 때문에 귀중한 자산인 물을 낭비하게 된다. 모든 가정이나 공공장소에서 이렇게 하여 낭비되는 물은 실로 엄청나다.
이와 같이 소변 시에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세척수의 양을 줄이기 위해 최근 들어 좌변기의 세척수 배출량을 대, 소변에 따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게 한 좌변기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대부분이 그 구조가 복잡하고 만들기 어려우며 고장의 우려도 높다. 그에 따라 좌변기의 가격이 비싸지게 되므로 그 보급률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대변과 소변으로 인해 소비되는 변기세척에서 따른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절수형 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상기 목적은 변기에 있어서, 변기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저장하고, 그 세척수가 흘러갈 수 있는 배수구를 하단에 형성하며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고무마개가 설치되어 있는 수조; 상기 고무마개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공; 상기 고무마개를 개폐하도록 제1,제2줄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제2작동바; 상기 제1,제2작동바를 조작하도록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제1,제2작동바에 의해 상기 받침판이 회동하도록 그 일단이 제1,제2작동바의 끝단에 각각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받침판의 일측과 반대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제1,제2작동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작동바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받침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도 5는 대변 시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도 6은 소변 시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조 3 - 공
4 - 받침판 5 - 고무마개
6',6 - 제1,제2작동줄 7',7 - 제1,제2줄9',9 - 제1,제2작동바 10 - 손잡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작동바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받침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는 대변 시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소변 시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변기는 사람이 앉아서 대변 또는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변기본체와 변기수조, 덮개 및 앉음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상기 수조(1)는 대변 시나 소변 시에 변기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부분으로, 그 수조(1)의 하단에는 세척수를 흘러 보낼 수 있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고무마개(5)가 설치되어 있다.상기 고무마개(5)는 제1줄(7')과 제2줄(7)에 의해 제1작동바(9')와 제2작동바(9)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제2작동바(9')(9)를 조작하도록 손잡이(10)가 설치되어 있다.상기 수조에 있는 세척수를 소변 시나 대변 시에 따라 각각 다른 양의 세척수를 흘러보내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1)의 내부에는 받침판(4)이 회동가능 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받침판(4)의 회동에 의해 상기 고무마개(5)를 눌러 닫혀지도록 할 수 있는 공(3)이 설치된다. 상기 상(3)은 수조(1)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세척수공급관(2)에 설치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공(3)은 수조(1)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된다.상기 받침판(4)을 회동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판(4)의 일측과 반대측에는 각각 제1작동줄(6')과 제2작동줄(6)의 일단을 각각 고정하고, 그 제1작동줄(6')과 제2작동줄(6)의 다른 일단은 상기 제1,제2작동바(9')(9)의 끝단에 각각 고정한다.도면 부호 8은 상기 손잡이(10)와 상기 제1,제2작동바(9')(9)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판을 나타낸다.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대변 시나 소변 시에 그 세척수의 양을 달리하여 변기를 세척하도록 하는 것으로, 먼저 대변 시에는 상기 손잡이(10)를 위로 조작하면 제2작동바(9)의 끝단이 상부로 들리면서 제2줄(7)에 의해 고무마개(5)를 열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물이 흘러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받침판(4)은 제2작동줄(6)에 의해 일측으로 회동되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하게 세워지게 되고, 수위에 따라 하강하는 공(3)은 상기 받침판(4)에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되어 수조(1)에 있는 세척수가 모두 흘러가도록 하여 변기를 세척한다.또한, 소변 시에는 상기 손잡이(10)를 아래로 조작하면 제1작동바(9')의 끝단이 상부로 들리면서 제1줄(7')에 의해 고무마개(5)를 열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물이 흘러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받침판(4)은 제1작동줄(6')에 의해 일측으로 회동되면서 받침판(4)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한 상태로 되고, 상기 수위에 따라 하강하는 공(3)은 세척수를 흘러 보내기 위해 열려져 있는 고무마개(5)를 건드리게 되어 고무마개(5)를 닫도록 한다. 이때 배출되는 세척수는 대략 절반정도로서, 수조(1)에 세척수의 절반만으로 변기를 세척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절수형 변기에 의하면, 소변으로 인한 물의 과도한 낭비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가격을 절감시켜 보편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모든 가구나 건물에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변기를 설치하면 많은 양의 물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물의 생산에 따른 비용절감을 달성할 수 있어 국가경제에도 도움이 된다.

Claims (1)

  1. 변기에 있어서,
    변기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저장하고, 그 세척수가 흘러갈 수 있는 배수구를 하단에 형성하며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고무마개가 설치되어 있는 수조;
    상기 고무마개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 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공;
    상기 고무마개를 개폐하도록 제1,제2줄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제2작동바;
    상기 제1,제2작동바를 조작하도록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제1,제2작동바에 의해 상기 받침판이 회동하도록 그 일단이 제1,제2작동바의 끝단에 각각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받침판의 일측과 반대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제1,제2작동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변기.
KR2020000023925U 2000-08-23 2000-08-23 절수형 변기 KR200266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925U KR200266667Y1 (ko) 2000-08-23 2000-08-23 절수형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925U KR200266667Y1 (ko) 2000-08-23 2000-08-23 절수형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667Y1 true KR200266667Y1 (ko) 2002-03-04

Family

ID=7305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925U KR200266667Y1 (ko) 2000-08-23 2000-08-23 절수형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6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910B1 (ko) 2005-11-09 2007-01-09 최경영 양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910B1 (ko) 2005-11-09 2007-01-09 최경영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6667Y1 (ko) 절수형 변기
CN201155137Y (zh) 一种无槛式排污冲洗卫生便器
CN101338578A (zh) 全自动隐形坐便器
KR200455687Y1 (ko) 여성용 수세식 변기
KR200260753Y1 (ko) 절수형 변기
CN207525838U (zh) 一种水源二次利用节水型坐便器
KR200247240Y1 (ko) 절수형 양변기
CN2763366Y (zh) 脚踏式球体密封坐便器
KR200180709Y1 (ko) 변기용 더블 후레쉬밸브
CN204252239U (zh) 节水型坐便器
KR200399352Y1 (ko) 양변기
KR200366358Y1 (ko) 변기의 절수구조
CN210113326U (zh) 一种方便清洗的坐便器
CN2911035Y (zh) 智能节水坐便器
CN2923851Y (zh) 无水箱节水便器
CN2372374Y (zh) 家庭卫生间双缸节水水箱
CN2598499Y (zh) 移动式坐便器
KR200260754Y1 (ko) 절수형 변기 물통
KR200366359Y1 (ko) 절수형 하변기 물통
KR200145290Y1 (ko) 절수형 남여 공용 소변기
CN2450272Y (zh) 一种节水型便池水箱
CN2273743Y (zh) 节水型两用座便器水箱盖
CN2412933Y (zh) 座便器节水阀
KR200404775Y1 (ko) 개량 좌변기
CN2658238Y (zh) 节水坐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