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762B1 - 대소변 겸용 변기 - Google Patents

대소변 겸용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762B1
KR100869762B1 KR1020070020147A KR20070020147A KR100869762B1 KR 100869762 B1 KR100869762 B1 KR 100869762B1 KR 1020070020147 A KR1020070020147 A KR 1020070020147A KR 20070020147 A KR20070020147 A KR 20070020147A KR 100869762 B1 KR100869762 B1 KR 100869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urinal
cover
open
comb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766A (ko
Inventor
최영태
Original Assignee
최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태 filed Critical 최영태
Priority to KR102007002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762B1/ko
Publication of KR2008007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47K13/145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rolled-up paper tubes or rolled-up plastic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변기와 소변기가 일체로 조합된 대소변 겸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단 면이 개방된 통상의 좌변기 및 일측 면이 개방된 통상의 소변기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각 변기가 하나의 배수홀을 통해 배수되도록 한 대소변 겸용 변기(100)와, 상기 각 변기의 개방 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커버(200)로 구성되되, 상기 커버(200)는, 좌변기의 개방 면 주위에 안착는 좌판과 소변기의 개방 면을 덮을 수 있도록 되고 하단이 상기 좌판 후부에 힌지 결합된 수직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판 상단이 소변기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형태이거나 또는 소변기의 개방 면을 덮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단 양측에서 연장 돌출된 수평부로 구성되며 소변기 상단에 고정된 하우징 내에 롤(ROLL) 형태로 감겨서 하우징에 대해 인출(引出) 또는 인입(引入)되게 한 대소변 겸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소변 겸용 변기{CHAMBER POT FOR BOTH FECES AND URI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조립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변기 110 : 좌변기
111 : 배수홀 120 : 소변기
121 : 축홀 122 : 피벗(PIVOT)
200 : 커버 210 : 좌판
211 : 홀 220 : 수직판
221 : 축홀 222 : 힌지(HINGE)
230 : 수직부 231 : 수평부
232 : 홀 233 : 하우징
234 : 스위치 300 : 저수조
310 : 레버
본 발명은 대변기와 소변기가 일체로 조합된 대소변 겸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단 면이 개방된 통상의 좌변기와, 일측 면이 개방된 통상의 소변기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각 변기가 하나의 배수홀을 통해 배수되도록 한 대소변 겸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좌변기와 소변기가 하나로 조합된 변기에 관한 것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277612호는 남성의 경우 소변은 소변기 부분, 대변은 양변기 부분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고안한 '조합변기'를 제안하고 있으며,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432981호는 소변기가 부설된 양변기로서 양변기의 몸체의 상단을 일측으로 연장시켜 수조의 측면에 세척수 작동밸브가 형성되는 소변기를 설치된 '소변기가 부설된 양변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대변용 좌변기와 소변용 소변기가 서로 조합(부설)되어 있다고는 하나, 좌(양)변기 이용시 사용자의 후면 또는 측면에 소변기의 개방 면(소변을 보는 부분)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서 불쾌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소변기와 대변기의 각 개방 면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사실상 소변기를 이용하여 소변을 볼 경우 소변이 변기 주변으로 이탈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조합변기'의 경우 소변이 좌변기의 상단(사용자가 걸터앉는 좌판)에 묻을 우려가 있고, '소변기가 부설된 양변기'의 경우 소변이 바닥으로 떨어져서 악취를 유발할 우려가 있어 청결함을 유지하기 어렵다.
더욱이 종래 기술들은 실질적으로 소변기와 좌(양)변기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변기의 부피가 크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소형 주택의 좁은 화장실에 설치하는 것은 제한이 있으며, 이러한 부피 증가는 곧 변기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를 많이 필요로 하여 변기의 제조비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기와 좌변기가 서로 조합되더라도 부피의 확장을 방지하여 통상 설치되는 좌변기의 설치 공간만이 소요되는 경제적인 대소변 겸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변기를 이용할 경우 커버를 통해 소변기의 노출을 방지하여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대변기 및 소변기의 각 개방 면까지 일체화시켜서 넓은 면적을 개방하게 하여 소변이 변기 주변으로 이탈하지 않게 하는 청결한 대소변 겸용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 면이 개방된 통상의 좌변기와, 일측 면이 개방된 통상의 소변기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각 변기가 하나의 배수홀을 통해 배수되도록 한 대소변 겸용 변기(100); 상기 각 변기의 개방 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커버(200)로 구성되되, 상기 커버(200)는, 좌변기의 개방 면 주위에 안착되는 좌판과 소변기의 개방 면을 덮을 수 있도록 되고 하단이 상기 좌판 후부에 힌지 결합된 수직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판 상단이 소변기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상기 커버가 소변기의 개방 면을 덮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단 양측에서 연장 돌출된 수평부로 구성되며 소변기 상단에 고정된 하우징 내에 롤(ROLL) 형태로 감겨서 하우징에 대해 인출(引出) 또는 인입(引入)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측면에 의한 대소변 겸용 변기는, 착석한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상단 면이 개방된 좌변기(110) 및 남성이 기립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일측 면이 개방된 소변기(120)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좌변기(110)와 소변기(120)가 하나의 배수홀(111)을 통해 배수되도록 대략 'ㄴ'자 형상으로 된 변기(100)와, 상기 좌변기(110) 및 소변기(120)의 각 개방된 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커버(200)로 대별되며, 커버(200)의 경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변기(100)의 상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10) 및/또는 소변기(120)의 세척을 위한 세척용수를 저장한 저수조(300)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저수조(300) 일측에는 저수조(300)에 저장된 세척용수의 물 내림을 제어할 수 있는 물 내림 레버(310)가 장착된다.
상기 레버(310)는 소변과 대변의 종류에 따라 세척용수의 물 내림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좌변기(110)를 이용하여 용변을 볼 경우 물 내림 양을 많게 하고, 소변기(120)를 이용하여 용변을 볼 경우 물 내림 양을 적게 하여 세척용수를 절약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술은 현재 상용화된 기술이고, 상용화된 기술들 중 적의 선택 가능하므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변기(100)로의 세척용수 공급은, 위 설명과 같이 저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수도관(미도시)을 변기(100)에 직접 연결하고 관로의 적당한 위치에 개폐밸브(미도시)를 두어서 밸브의 개폐 작용으로 상수도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직접 변기(100)로 유도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커버(200)는 좌변기(110)의 상단 개방 면 주변을 덮어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동시에 소변기(120)의 일측 개방 면을 선택적으로 덮어서 좌변기(110)를 이용하여 용변을 볼 경우 소변기(110)의 개방 면을 폐쇄하게 하며, 소변기(110)를 이용하여 용변을 볼 경우에는 좌변기(110) 상단 의 커버와 소변기 측면의 커버를 모두 제거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커버는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인 커버(200)의 형태로서, 본 발명에서는 2가지 타입을 제한하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즉 상기 커버(200)의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의 예시일 뿐,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면 당업자의 경험칙에 의해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커버(2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좌변기(110)의 개방 면 주위에 안착되도록 내부에 홀(211)이 형성된 좌판(210)과, 소변기(120)의 개방 면을 덮을 수 있도록 되고 하단이 상기 좌판 후부에 힌지(222) 결합된 수직판(220)으로 구성되어서, 좌판(210)이 수직판(220)에 대해 힌지(222)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편, 상기 수직판(220) 상단은 소변기(120)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수직판(220)이 소변기(120)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좌판(210)과 수직판(220)의 경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좌변기 또는 양변기의 좌판 및 커버 형태와 유사하게 힌지(2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나, 다만 수직판(220)의 상단이 소변기(120) 상단에 축설되어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좌판 및 커버 구조와 구분된다.
수직판(220) 상단이 소변기(120)의 상단에 축설된 구조의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220) 상단에 축홀(221)이 형성되고 소변기 상단에도 축홀(121)이 형성되며 이들 각 축홀(221)(121)이 일적선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피벗(122)이 상 기 각 축홀(221)(121)을 관통하여 수직판(220)이 피벗(122)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축설 구조는 수직판(220)이 소변기(120)의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므로, 그러한 모든 변형 수단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축설' 기재에 포함된다.
이하, 도 3을 통해 제1실시예에 따른 커버(200)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도 3a의 커버(200)는 수직판(220)이 소변기(120)의 개방 면을 폐쇄하고, 좌판(210)은 좌변기(110)의 상단 개방 면 주위를 덮은 상태로서, 이는 사용자가 좌판(210)에 걸터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상태이고, 이때 수직판(220)은 소변기(120)의 개방 면을 폐쇄함과 동시에 수직판(220)이 등받이 역할을 하므로 불쾌감 없이 편안한 자세에서 용변을 볼 수 있다.
만약 남성 사용자가 기립 자세로 소변을 보고자 할 경우에, 도 3a와 같이 좌판(210)을 들어올려 좌판(210)이 힌지(222)를 축으로 회전하게 하여 수직판(220)과 접하게 하고, 도 3b와 같이 좌판(210)과 중첩된 수직판(220)을 들어올려 수직판(220)이 피벗(122)을 축으로 회전하게 하여 소변기(120) 상단에 위치시키면 소변기(120)의 개방 면과 좌변기(110)의 개방 면이 모두 개방되므로 소변을 보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개방 면이 수직 부분과 수평 부분에 모두 존재하므로 소변이 변기(100) 주변이나 아래로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대로, 좌변기(110)를 이용하여 용변을 보고자 할 경우 좌판(210)을 비롯한 수직판(220)을 아래로 내리면 수직판(220)이 피벗(122)을 축으로 회전하여 소변 기(120)의 개방 면 앞에 위치하고, 연속하여 좌판(210)을 아래로 내리면 좌판(210)이 힌지(222)를 축으로 회전하여 좌변기(110)의 개방 면 위에 위치하게 되어서 도 2의 상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측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와 명칭을 사용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커버(200)는, 소변기(120)의 개방 면을 덮는 수직부(230)와, 좌변기(110)의 개방 면 주위에 안착되도록 상기 수직부(230)의 하단 양측에서 연장 돌출되어 내측에 홀(232)을 형성한 수평부(231)로 구성되되, 수직부(230)와 수평부(231)로 구성된 커버(200)가 소변기(120) 상단에 고정된 하우징(233) 내에 롤(ROLL) 형태로 감겨서 커버(200)가 하우징(233)에 대해 인출(引出) 또는 인입(引入)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커버(200)가 하우징(233) 내에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버를 유연성 또는 탄력성 있는 소재로 제조하거나 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그 두께를 얇게 하여 두께가 얇은 부분에서 접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커버가 하우징(233)에서 인출(引出)하거나 하우징(233)으로 인입(引入)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밀어 넣거나 잡아당기는 형태의 수동식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하우징(233) 내에 스위치(234) 조작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한 모터(미도시)를 장착하고 모터는 커버(200)를 감착한 축봉(미도시)을 정회전 또는 역 회전하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스위치(234) 조작으로 커버가 자동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통해 제2실시예에 따른 커버(200)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가 하우징(233)에서 완전히 인출되면 사용자가 커버(200)의 수평부(231)에 걸터앉아 좌변기(110)를 이용하여 용변을 볼 수 있고, 이때 소변기(120)의 개방 면은 커버의 수직부(230)가 폐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불쾌감 없이 수직부(230)에 등을 기댄 자세에서 편안하게 용변을 볼 수 있다.
만약 남성 사용자가 기립 자세에서 소변을 보고자 할 경우에, 수동으로 커버(200)를 밀어 올리거나, 또는 스위치(234)를 조작하면 도 6a와 같이 커버(200)가 하우징(233) 내부로 인입되면서 좌변기(110)의 개방 면이 노출됨과 동시에 수평부(231)는 소변기(120)의 개방 면에 위치한다.
연속 조작으로 커버(200)가 상승하면 도 6b와 같이 커버(200)는 하우징(233)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동시에 소변기(120)의 개방 면과 좌변기(110)의 개방 면이 모두 개방되므로 소변을 보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개방 면이 수직 부분과 수평 부분에 모두 존재하므로 소변이 변기(100) 주변이나 아래로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대로 좌변기(110)를 이용하여 용변을 보고자 할 경우 커버(200)를 잡아 당기거나 스위치(234)를 조작하면 커버(200)가 연속하여 하우징(233)에서 인출되고, 최종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커버의 수직부(230)가 소변기(120)의 개방 면을 폐 쇄하고 수평부(231)는 좌변기(110)의 상단에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한 대소변 겸용 변기에 의하면, 좌변기와 소변기가 일체로 제작되면서도, 기존의 좌변기에 비해 그 부피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변기의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어 소형 주택의 좁은 화장실에도 설치 가능한 이점이 있고, 또한 그에 따른 제조비용의 과대 증가를 억제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판매할 수 있으므로 대소변 겸용 변기의 대중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좌변기를 이용할 경우 커버가 소변기의 개방 면을 폐쇄함은 물론, 좌변기 이용시 커버가 등받이 기능을 하므로 불쾌감 없이 편안한 자세에서 용변을 볼 수 있고 소변기 이용시에도 커버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때 좌변기와 소변기의 각 개방 면이 상호 연통하여 넓은 면이 개방되므로 소변이 변기 주변으로 아래로 이탈하지 않게 되어 변기 및 변기 주변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단 면이 개방된 좌변기(110) 및 일측 면이 개방된 소변기(120)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각 변기(110)(120)가 하나의 배수홀(111)을 통해 배수되도록 한 변기(100)와, 상기 변기(110)(120)의 각 개방된 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커버(200)로 구성된 대소변 겸용 변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소변기의 개방 면을 덮는 수직부(230)와, 좌변기의 개방 면 주위에 안착되도록 상기 수직부의 하단 양측에서 연장 돌출되어 내측에 홀(232)을 형성한 수평부(231)로 구성되되,
    커버가 소변기(120) 상단에 고정된 하우징(233) 내에 롤(ROLL) 형태로 감겨서 하우징에 대해 인출(引出) 또는 인입(引入)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겸용 변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33) 내에 스위치(234) 조작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한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는 커버가 감긴 축봉과 연동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겸용 변기.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변기(100) 상부에 수세용수가 저장된 저수조(300)가 구비되고 저수조 일측에 물 내림 레버(310)가 착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겸용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물 내림 레버(310)는 물 내림 양 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겸용 변기.
KR1020070020147A 2007-02-28 2007-02-28 대소변 겸용 변기 KR100869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147A KR100869762B1 (ko) 2007-02-28 2007-02-28 대소변 겸용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147A KR100869762B1 (ko) 2007-02-28 2007-02-28 대소변 겸용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766A KR20080079766A (ko) 2008-09-02
KR100869762B1 true KR100869762B1 (ko) 2008-11-21

Family

ID=4002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147A KR100869762B1 (ko) 2007-02-28 2007-02-28 대소변 겸용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7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79B1 (ko) 2011-04-22 2013-02-19 노지인 양변기에 탈부착이 가능한 접이식 소변기
KR20160002953U (ko) 2015-02-16 2016-08-24 이창용 위치조절 및 세척이 가능한 소변기
KR20230001439U (ko) 2022-01-07 2023-07-14 김선태 소변기 겸용 좌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7154B (zh) * 2020-05-26 2022-09-02 周弋洋 一种斜向半转动分段式宠物智能厕所
KR102506574B1 (ko) 2021-04-13 2023-03-06 조성로 양변기와 소변기가 결합된 일체형 변기
KR102646398B1 (ko) 2021-06-16 2024-03-08 최군식 송아지 인큐베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6186U (ko) * 1979-12-25 1981-07-30
JPH0385991U (ko) * 1989-12-15 1991-08-30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6186U (ko) * 1979-12-25 1981-07-30
JPH0385991U (ko) * 1989-12-15 1991-08-3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79B1 (ko) 2011-04-22 2013-02-19 노지인 양변기에 탈부착이 가능한 접이식 소변기
KR20160002953U (ko) 2015-02-16 2016-08-24 이창용 위치조절 및 세척이 가능한 소변기
KR20230001439U (ko) 2022-01-07 2023-07-14 김선태 소변기 겸용 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766A (ko) 2008-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762B1 (ko) 대소변 겸용 변기
KR20060049402A (ko) 양변기의 자동 물 내림 장치
KR100777165B1 (ko)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KR101229955B1 (ko) 자동으로 회전되는 남성용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
KR100944385B1 (ko)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KR100978796B1 (ko) 남성용 소변기가 구비된 양변기
JP2010037903A (ja) 洋式便器
KR101492182B1 (ko)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JPH09165808A (ja) 便 器
KR101067127B1 (ko) 양변기 좌대
KR200426389Y1 (ko)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가 구비된 좌변기
JPH02274930A (ja) 収納式便器ユニット
US11583148B1 (en) Toilet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a self-rising toilet seat and method of use thereof
JP3045493U (ja) 洗浄便座
KR102275457B1 (ko) 물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좌변기
KR102507842B1 (ko) 소변 튐 방지 기능을 갖는 양변기
KR101905859B1 (ko) 수직트랩 양변기
JPH08140896A (ja) 便 器
JP2010229814A (ja) 小便受け付洋式便器
KR102117755B1 (ko) 변기 조립체
KR200250682Y1 (ko) 변기뚜껑 닫힘장치
KR20220002658U (ko) 양변기
JP4218197B2 (ja) 手洗鉢
JPH0913474A (ja) 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