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755B1 - 변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변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755B1
KR102117755B1 KR1020180072647A KR20180072647A KR102117755B1 KR 102117755 B1 KR102117755 B1 KR 102117755B1 KR 1020180072647 A KR1020180072647 A KR 1020180072647A KR 20180072647 A KR20180072647 A KR 20180072647A KR 102117755 B1 KR102117755 B1 KR 102117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toilet
cover
seat cov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620A (ko
Inventor
김설아
Original Assignee
김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설아 filed Critical 김설아
Priority to KR102018007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7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6Bowl with flushing cistern mounted on the rearwardly extending end of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변좌 덮개를 이용하여 변좌의 개구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사용 전에 변기 내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변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조립체는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변기; 변기로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수조; 변기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변기 상에 위치되며,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된 변좌; 및 변기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변좌를 덮을 수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변좌 덮개를 포함하며, 변좌 상에 제1 변좌 덮개가 위치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제1 변좌 덮개를 통하여 변기 내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기 조립체{Toilet assembly}
본 발명은 변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명한 변좌 덮개를 이용하여 변좌의 개구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변기 내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변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변기, 변기에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수조, 변기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좌 및 변기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변좌를 덮는 변좌 덮개를 포함하고 있다.
변기 위에 위치하는 변좌는 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깔고 앉는 부재이며, 외곽부를 제외한 영역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신체에서 배설된 배설물은 이 개구를 통하여 변기 내로 떨어진다.
변좌 덮개는 변좌를 덮는 부재로서, 사용자들은 보통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그리고 변기에 물을 내릴 때 변좌 덮개를 변좌 위에 위치시키며, 변기 사용시에는 변좌 덮개를 회전시켜 변좌를 노출시킨 후 변좌 위에 앉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자들은 위생 목적(즉, 변기로의 물의 내림시 외부로의 물의 튀김 방지 등)으로 변좌 덮개로 변좌를 덮게 되며, 따라서 변좌 덮개가 변좌를 덮은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변기 내의 상태, 즉 소변을 포함한 배설물이 변기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특히 여성들은 변기를 사용하기 전에 수조에 부착된 레버를 이용하여 수조에 저장된 물을 변기 내로 공급하며, 이후 변좌에 앉게 된다.
이와 같이, 변좌 위에 위치된 변좌 덮개로 인하여 변기 내부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변기 사용에 앞서 변기 내에 배설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무의식적으로 물을 내림으로써 상당한 양의 물이 낭비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변기 조립체의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명 변좌 덮개를 이용하여 변좌의 개구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사용 전에 변기 내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변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밀착되는 변좌 부분에 물이나 세균 등이 안착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위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조립체는,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변기; 상기 변기로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변기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변기 상에 위치되며,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된 변좌; 상기 변기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변좌의 개구를 덮을 수 있는 제1 변좌 덮개; 및 상기 변기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변좌 덮개를 덮을 수 있는 제2 변좌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좌 덮개와 상기 제2 변좌 덮개는 서로 따로 회전 가능한 분리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 변좌 덮개는, 상기 변좌의 개구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변좌의 폭 및 길이보다 작은 폭 및 길이를 가지되 그 외부 둘레가 상기 변좌의 내부 둘레에 인접되어 놓이고, 상기 제2 변좌 덮개는, 상기 제1 변좌 덮개를 포함하여 상기 변좌의 모든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치수를 가진다.
제1 변좌 덮개는 그 선단부에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연장부는 변좌의 선단부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제1 변좌 덮개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변좌 덮개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조립체는 투명 변좌 덮개를 이용하여 변좌의 개구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사용 전에 변기 내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 조립체의 분리 사사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기 조립체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변기 조립체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조립체(100)는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변기(140), 변기(140)에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수조(150), 변기(14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좌(110) 및 변기(14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변좌(110)를 덮는 제1 변좌 덮개(12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변좌(110)에는 외곽부를 제외한 영역에 개구(111)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신체에서 배설된 배설물은 이 개구(111)를 통하여 변기(140) 내로 떨어진다.
한편, 변기(140)에 대하여 변좌(110) 및 제1 변좌 덮개(120)를 힌지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본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사항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변좌(110)와 제1 변좌 덮개(120)를 변기(140)에서 분리시킨 상태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조립체(100)의 가장 큰 특징은 제1 변좌 덮개(120)를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투명한 재료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제1 변좌 덮개(120)는 그 치수(폭 및 길이)가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변좌(110)에 형성된 개구(111)를 밀폐시킬 수 있는 정도의 치수를 갖는다. 즉, 도 1 및 도 1에 도시된 변기 조립체(100)의 정단면도인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변좌 덮개(120)는 변좌(110)의 폭 및 길이보다 작은 폭 및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제1 변좌 덮개(120)는 변좌(110)의 외곽부는 외부로 노출시키며 변좌(110)에 형성된 개구(111)만을 밀폐시킨다.
한편, 도 2에서도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변좌(110), 제1 변좌 덮개(120) 그리고 후술할 제2 변좌 덮개(130)를 변기(140)에서 분리시킨 상태로 도시하였다.
한편, 제1 변좌 덮개(120)의 선단부(수조(150)와 대응하는 단부의 반대 단부)에는 소정 길이로 연장된 연장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장부(121)는 변좌(110)의 선단부 외측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제1 변좌 덮개(120)가 변좌(110)의 폭 및 길이보다 작은 폭 및 길이를 갖고 있을지라도 사용자는 이 연장부(121)를 잡고 제2 변좌 덮개(120)를 회전시켜 변좌(11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조립체(100)의 사용 과정 및 효과를 각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변기 조립체(100)를 사용한 후, 즉 변좌(110)가 변기(140) 위에 있거나(여성 사용자의 경우), 변좌(110)가 변기(140) 위에 없는 상태(남성 사용자가 소변을 본 경우)에서, 사용자는 수조(150) 내의 물을 변기(140)로 내리기 전에 변좌(110) 및/또는 제1 변좌 덮개(120)를 회전시켜 변기(140) 위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제1 변좌 덮개(120)는 변좌(110) 위에 위치됨과 동시에 변좌(110)에 형성된 개구(111)를 덮게 되며, 따라서 변기(140) 내로 물이 흘러내릴 때, 물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변좌(110) 및 제1 변좌 덮개(120)가 변기(140)를 덮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변기 조립체(100)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먼저 투명한 제1 변좌 덮개(120) 그리고 변좌(110)의 개구(111)를 통하여 변기(140) 내의 상태를 확인한다.
만일, 변기(140) 내에 오물이 존재한다면, 사용자는 변기(140) 내로 물을 흘려보내며, 이 과정에서 제1 변좌 덮개(120)는 물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변기(140) 내에 오물이 존재하지 않는, 즉 깨끗한 물이 존재한다면, 사용자는 물을 흘려보내지 않고 연장부(121)를 잡고 제1 변좌 덮개(120)를 회전시켜 변좌(110)를 노출시킨다. 따라서 불필요한 물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제1 변좌 덮개(120)만이 설치되어 변좌(110)를 덮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조립체(100)는 제2 변좌 덮개(130) 위에 위치된 제2 변좌 덮개(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제2 변좌 덮개(130)는 제1 변좌 덮개(120)를 덮을 수 있다.
즉, 단수시 또는 변기(140)의 막힘시, 변기(140) 내에는 처리되지 않은 배설물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기(140) 내의 상황은 투명한 제1 변좌 덮개(120)를 통하여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불투명한 재질의 제2 변좌 덮개(130)를 설치하여 제1 변좌 덮개(120)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변좌 덮개(130)는 제1 변좌 덮개(120)는 물론 변좌(110)의 모든 영역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변좌 덮개(130)는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 접촉하는 변좌(110)가 이물질로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이때, 제1 변좌 덮개(120)의 연장부(121)는 제2 변좌 덮개(130)의 선단 외측으로 돌출됨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는 이와 같은 제2 변좌 덮개(130)가 제1 변좌 덮개(120)를 덮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2 변좌 덮개(130) 역시 변기(14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앞서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 내의 실시예 및 예의 동일한 목적을 수행 및/또는 동일한 이점을 이루기 위하여 다른 구성 요소 및 구조를 설계 및 변형하기 위한 기본으로서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이러한 등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 내에서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화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또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변기 조립체
110: 변좌
120: 제1 변좌 덮개
130: 제2 변좌 덮개
140: 변기
150: 수조

Claims (5)

  1.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변기;
    상기 변기로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변기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변기 상에 위치되며,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된 변좌;
    상기 변기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변좌의 개구를 덮을 수 있는 제1 변좌 덮개; 및
    상기 변기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변좌 덮개를 덮을 수 있는 제2 변좌 덮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좌 덮개와 상기 제2 변좌 덮개는,
    서로 따로 회전 가능한 분리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 변좌 덮개는,
    상기 변좌의 개구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변좌의 폭 및 길이보다 작은 폭 및 길이를 가지되 그 외부 둘레가 상기 변좌의 내부 둘레에 인접되어 놓이고,
    상기 제2 변좌 덮개는,
    상기 제1 변좌 덮개를 포함하여 상기 변좌의 모든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치수를 가지는
    변기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좌 덮개는,
    그 선단부에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변좌의 선단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변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좌 덮개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변좌 덮개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변기 조립체.
  5. 삭제
KR1020180072647A 2018-06-25 2018-06-25 변기 조립체 KR102117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647A KR102117755B1 (ko) 2018-06-25 2018-06-25 변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647A KR102117755B1 (ko) 2018-06-25 2018-06-25 변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20A KR20200000620A (ko) 2020-01-03
KR102117755B1 true KR102117755B1 (ko) 2020-06-01

Family

ID=6915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647A KR102117755B1 (ko) 2018-06-25 2018-06-25 변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7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17Y1 (ko) 2006-12-29 2008-03-20 천영호 양변기 자동 커버장치
KR102007945B1 (ko) 2018-02-19 2019-08-06 유석영 스마트 양변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0076A1 (fr) * 2002-02-19 2003-08-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e toilettes
KR20140019134A (ko) * 2012-08-06 2014-02-14 안선영 절수가능한 투명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17Y1 (ko) 2006-12-29 2008-03-20 천영호 양변기 자동 커버장치
KR102007945B1 (ko) 2018-02-19 2019-08-06 유석영 스마트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20A (ko)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012B2 (en) Device for removably coupling disposable nozzle tip for bidet
KR101059127B1 (ko) 다기능 소변수집 배출기
KR100777165B1 (ko)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KR100869762B1 (ko) 대소변 겸용 변기
KR100978796B1 (ko) 남성용 소변기가 구비된 양변기
JP2010037903A (ja) 洋式便器
KR102117755B1 (ko) 변기 조립체
CN109844232B (zh) 具有旋转组件的坐便器用盖
JP2008169680A (ja) 立式座式兼用便器及びその便座
JP2008121305A (ja) 局部洗浄装置
JP2007167599A (ja) 男性用小型便器収納便座
JP4894434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426389Y1 (ko)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가 구비된 좌변기
JP5303821B2 (ja) 洋式便器
TWM520076U (zh) 多功能馬桶
JP2010174606A (ja) 回転式男女兼用便器
JP2021146172A (ja) 多目的小便器 オシッコキット
KR102482840B1 (ko) 위생 좌변기
JP3225128U (ja) 尿飛散漏れ防止洋便器
JP3191931U (ja) 便座ガ一ドカバ一
KR100377773B1 (ko) 좌변기용 뚜껑 조립체
KR101006496B1 (ko) 좌변기 누수 방지용 보호대
JPH0913474A (ja) 便器装置
JP3102991U (ja) 小便時の補助具
GB2477541A (en) An integrated toilet and urinal system which encloses a male genital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