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662Y1 -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662Y1
KR200306662Y1 KR20-2002-0033152U KR20020033152U KR200306662Y1 KR 200306662 Y1 KR200306662 Y1 KR 200306662Y1 KR 20020033152 U KR20020033152 U KR 20020033152U KR 200306662 Y1 KR200306662 Y1 KR 200306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lid
lever
toilet seat
axial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경
Original Assignee
정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경 filed Critical 정우경
Priority to KR20-2002-0033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6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6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변기 본체와 본체의 상단에 얹혀지는 변좌와 변좌의 상단에 얹혀져 힌지에 의해 회동되어 변좌를 개폐시키는 뚜껑을 갖는 공지의 양변기에 있어서, 양변기 본체 하측에 지지축에 의해 축설치되어 일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페달이 결합된 지렛대와, 양변기 본체 상측에 회동축에 의해 축결합되어 일단으로 뚜껑을 밀어 개방시키는 회동바 및 일단은 지렛대의 타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회동바의 타단에 축결합되어 지렛대의 변위로 회동바를 회동시켜 뚜껑을 개방시키는 작동부재를 구비하여 뚜껑의 개방시 이물질 오염의 염려가 없고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어 작동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chamber pot}
본 고안은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의 개방시 이물질 오염의 염려가 없고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어 작동이 손쉬운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便器, chamber pot)에는 재래식 대변기 ·소변기, 양식 변기(대소변 겸용)가 있다. 양식 변기는 모두 수세식이며, 재래식 변기에는 수세식과 급취식이 있다.
재래식 대변기로 비수세식의 것에는 변기의 가장자리만으로 밑이 뚫린 형과 앞쪽에 밑이 있고 뒤쪽만 열려 있는 것 등이 있다. 수세식의 것은 오물의 세정방식에 따라 후급수-전배수식, 사이펀제트식, 전급수-후배수식의 3종류로 나누어진다.
소변기로는 대부분이 벽걸이형으로 되어 있는데, 제품에 따라 몇 가지 형이 있다.
양식 변기는 대 ·소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기제의 본체와 목제 에나멜칠 또는 플라스틱제의 변좌(便座) 및 뚜껑으로 되어 있다. 오물유출방법에 따라 사이펀제트식과 워시아웃식으로 나눈다. 양식 변기의 일종에는 용변 후 자동적으로 둔부를 온탕(溫湯)이 세정하고 온기(溫氣)가 나와 건조시키는 형식의 것도 있다.
수세식 화장실의 물을 흘리는 탱크에는 높은 곳에 설치하는 하이탱크식과 낮은 곳에 설치하는 로탱크식이 있는데, 토수 밸브[吐水瓣]에서 방수되어 수위(水位)가 내려가면 밸브가 열려 물이 주입되어 수위가 일정한 높이가 되면 밸브와 뜨개가연동(連動)되어 자동적으로 밸브가 닫힌다.
수세식 화장실의 배수에는 트랩이 설치되어 있어서 밑으로부터의 냄새 상승을 막고 있다.
이런 양변기의 본체에 얹혀진 변좌 상부에는 뚜껑이 위치되어 본체의 내부를 가리고 있는 바, 사용자가 양변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변좌의 상단에 얹혀져 수평으로 폐쇄되어 닫혀진 뚜껑을 손으로 직접 수직으로 개방시켜서 양변기를 사용하여야 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에 이물질이 오염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으로 양변기의 뚜껑을 개방시키려면 허리를 굽혀야 하므로 허리가 불편한 신경통환자나 디스크 환자 등일 경우에는 사용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뚜껑의 개방시 이물질 오염의 염려가 없고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어 작동이 손쉬운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변기 본체와 본체의 상단에 얹혀지는 변좌와 변좌의 상단에 얹혀져 힌지에 의해 회동되어 변좌를 개폐시키는 뚜껑을 갖는 공지의 양변기에 있어서;
양변기 본체 하측에 지지축에 의해 축설치되어 일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페달이 결합된 지렛대와;
양변기 본체 상측에 회동축에 의해 축결합되어 일단으로 뚜껑을 밀어 개방시키는 회동바 및
일단은 지렛대의 타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회동바의 타단에 축결합되어 지렛대의 변위로 회동바를 회동시켜 뚜껑을 개방시키는 작동부재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작동부재는 일단이 지렛대 타단의 회동공에 축결합되고 타단이 회동바 타단의 슬라이딩장공에 축결합된 작동바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작동전 뚜껑 폐쇄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작동시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렛대 12 : 지지축
14 : 회동공 16 : 페달
20 : 회동바 22 : 회동축
24 : 슬라이딩장공 30 : 작동바
100 : 양변기본체 102 : 변좌
104 : 뚜껑 106 : 힌지
A : 작동부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작동전 뚜껑 폐쇄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작동시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런 본 고안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는 일측에 페달(16)이 결합된 지렛대(10)와, 지렛대(10)의 회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부재(A)와, 작동부재(A)에 의해 회동되어 뚜껑(104)을 개방시키는 회동바(20)로 구성된다.
지렛대(10)는 녹슬지 않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양변기 본체(100) 하측에 지지축(12)에 의해 축설치되고, 일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페달(16)이 결합된다.
회동바(20)는 녹슬지 않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양변기 본체(100) 상측에 회동축(22)에 의해 축결합되어 일단으로 뚜껑(104) 내측면을 밀어 개방시킨다.
작동부재(A)는 녹슬지 않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일단은 지렛대(10)의 타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회동바(20)의 타단에 축결합되어, 지렛대(10)의 변위에 따라 회동바(20)를 회동시켜 뚜껑(104)을 양변기 본체(100)로부터 개방시키는 것인 바, 일단은 지렛대(10) 타단의 회동공(14)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회동바(20) 타단의 슬라이딩장공(24)에 축결합되는 작동바(30)로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뚜껑(104)이 변좌(102)를 폐쇄시키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2와 같이, 페달(16)을 하측으로 밟으면, 페달(16)에 의해 지렛대(10)는 지지축(12)을 축으로 페달(16)측은 하강하지만, 타단은 시계반대방향의 상측으로 상승하여 회동공(14)에 축결합된 작동부재(A)인 작동바(30)의 일단은 상승시키면서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지렛대(10)에 의해 좌측방향 상측으로 일단이 이동된 작동바(30)의 타단은 회동바(20)의 타단인 슬라이딩장공(24)내에서 축이동되면서 회동축(22)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바(20)를 회동시키면, 회동바(20)의 일단은 뚜껑(104)의 내측면과 맞닿아 뚜껑(104)을 변좌(102)로부터 분리시켜 힌지(106)를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양변기본체(100)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변기를 사용후, 뚜껑(104)을 내리면 지렛대(10)의 페달(16)은 도 1과 같이, 원위치되고 뚜껑(104)은 양변기 본체(100)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뚜껑의 개방시 이물질 오염의 염려가 없고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어 작동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양변기 본체와 본체의 상단에 얹혀지는 변좌와 변좌의 상단에 얹혀져 힌지에 의해 회동되어 변좌를 개폐시키는 뚜껑을 갖는 공지의 양변기에 있어서;
    양변기 본체(100) 하측에 지지축(12)에 의해 축설치되고 일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페달(16)이 결합된 지렛대(10)와;
    양변기 본체(100) 상측에 회동축(22)에 의해 축결합되어 일단으로 뚜껑(104)을 밀어 개방시키는 회동바(20)와;
    일단은 지렛대(10)의 타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회동바(20)의 타단에 축결합되어 지렛대(10)의 변위에 따라 회동바(20)를 회동시켜 뚜껑(104)을 개방시키는 작동부재(A)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A)는 일단이 지렛대(10) 타단의 회동공(12)에 축결합되고 타단이 회동바(20) 타단의 슬라이딩장공(24)에 축결합된 작동바(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
KR20-2002-0033152U 2002-11-06 2002-11-06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 KR200306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152U KR200306662Y1 (ko) 2002-11-06 2002-11-06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152U KR200306662Y1 (ko) 2002-11-06 2002-11-06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662Y1 true KR200306662Y1 (ko) 2003-03-11

Family

ID=4940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152U KR200306662Y1 (ko) 2002-11-06 2002-11-06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6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6679B2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逆流止め装置
US8060952B2 (en) Odor removal system and overflow safety system for toilets
KR100944385B1 (ko)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JP4304461B2 (ja) ターントラップ式水洗便器
KR200306662Y1 (ko) 양변기의 뚜껑개폐장치
CN204298916U (zh) 节水蹲便器
KR101454903B1 (ko) 세면 기능을 갖는 절수형 양변기
JPH11324058A (ja) 手洗付ロータンク
US20100037379A1 (en) Interchangeable toilet tank with urinal
WO2013190547A1 (en) Ecological system and method for toilet flushing
US9445696B2 (en) Sanitary toilet seat and bowl
WO2018218826A1 (zh) 一种护理用移动防臭马桶
JP2006200149A (ja) 便器装置
JPH05148875A (ja) 洗面化粧台
KR102424052B1 (ko) 팔꿈치용 스위치를 구비한 좌변기
KR101582074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905859B1 (ko) 수직트랩 양변기
CN219386535U (zh) 一种冲水时防溅水的智能马桶
CN2414116Y (zh) 密闭旋流式坐便器
KR20100010707U (ko) 물 절약형 수세식 변기
JP2611602B2 (ja) 洋風便器用タンクアッセンブリ
KR200335798Y1 (ko) 에티켓 수세식 변기
JP2644525B2 (ja) 便器の貯水面保持構造
JPS6214207Y2 (ko)
KR20080080843A (ko) 소변기 겸용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