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334A -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334A
KR20170049334A KR1020160004934A KR20160004934A KR20170049334A KR 20170049334 A KR20170049334 A KR 20170049334A KR 1020160004934 A KR1020160004934 A KR 1020160004934A KR 20160004934 A KR20160004934 A KR 20160004934A KR 20170049334 A KR20170049334 A KR 20170049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link
button
insert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037B1 (ko
Inventor
최창훈
Original Assignee
최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훈 filed Critical 최창훈
Priority to PCT/KR2016/0031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73859A1/ko
Publication of KR20170049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 후 용수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내림에 있어 용수탱크에 전면에 설치되는 체결부재와, 체결부재의 내부에서 전후진 하며 작동레버를 동작시키는 폴버튼과, 변기커버에 설치되어 폴버튼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수단으로 구성하여 양변기 커버를 닫음과 동시에 물내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성 및 구조가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변기커버를 닫는 습관이 길러져 화장실의 위생 및 청결성을 높힐 수 있는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Automatic toilet bowl flushing device}
본 발명은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 후 변기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내림이 양변기 커버의 하강(닫기 위해 내림)동작과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공장소의 화장실에 설치된 양변기는 용변 후 버튼이나 레버를 가압함에 따라 세척수가 배수되면서 용변이 정화조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양변기의 용수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물내림하는 물내림장치의 경우 버튼식 또는 레버식으로 하여 사용자의 수동적으로 가압함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이 통상적이었다.
최근에는 버튼이나 레버의 수동조작이 아닌, 자동 물내림장치가 공지된 바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546066호에 의하면, 변좌시트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상승하는 가압돌기의 경사진 가압면을 따라 장진부재가 회전되어 복
원력을 생성시키면서 물내림개폐의 개폐부재에 걸려 물내림와이어를 당길 수 있는 장진력을 보유하도록 하고, 변좌시트의 상승동작과 연동하여 장진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물내림개폐부를 작동시키면서 사이폰덮개를 최대한 들어올려 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변기본체로 원활하게 배출하여 용변의 세척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변좌시트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휴지타임조절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변좌시트의 상승동작과 연동하여 사이폰덮개를 들어올릴 때, 휴지타임조절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물내림개폐부의 작동시간을 지연시켜 휴지버리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무전원 자동 물내림 일체형 양변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그에 따른 제조단가가 비싸며 고장 시 사용자가 쉽게 교체할 수 없어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10-154066 (B1, 2015. 08. 13)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양변기의 물내림이 변기커버와 연동되도록 하여 변기커버를 닫기 위해 내림과 동시에 물내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되 그 구조 및 구성을 간소화하면서 그에 따른 설치의 간편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 및 공급이 가능하며 양변기를 이용한 후 커버를 항상 닫게 되는 습관이 부여됨에 따른 가정 또는 공공장소의 화장실의 위생 및 청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용수탱크의 전면부를 관통하도록 후단 걸림턱에서 외주연에 나사부를 갖는 중공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 힌지구가 형성된 지지대가 하향 돌출된 인서트와, 상기 나사부에 체결하여 인서트를 고정시키는 잠금캡으로 형성된 체결부재;
인서트 내부에 전후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며 후단에 연결구가 돌출된 슬라이딩몸체와, 상기 슬라이딩몸체의 후단에 인서트로부터 빠짐을 방지토록 형성되는 빠짐방지턱과, 상기 슬라이딩몸체의 전단에 형성되는 추종자석으로 형성된 폴버튼;
폴버튼의 연결구에 체결되는 수평링크와, 지지대의 힌지구에 체결되도록 힌지공을 중심으로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링크의 상단이 수평링크와 체결되고, 하부링크의 하단에 사이펀마개와 연결된 연결줄이 체결되는 회동링크로 형성된 작동레버;
변기커버에 설치되어 폴버튼의 추종자석과 자성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로 폴버튼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수단을 포함하며,
용변 후, 변기커버를 닫음과 동시에 견인수단이 폴버튼을 당겨지도록 하여 자동 물내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에 의하면, 용변 후 변기커버를 닫으면 물내림이 자동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성 및 편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자동 물내림장치의 구성이 간소화하여 저렴한 단가에 제공이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쉽고 간편하며, 양변기의 커버를 항상 닫게되는 습관을 부여하여 화장실의 위생 및 청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와 수동레버가 병행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수동레버가 병행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은 본 발명이 비데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를 보인 결합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는 변기커버와 연동하는 구성으로 변기커버를 내림과 동시에 물내림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성 및 설치가 간편하고, 변기커버를 닫게 되는 습관이 길러지도록 함에 따른 화장실의 위생 및 청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이러한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는 체결부재(1), 폴버튼(2), 작동레버(3), 견인수단(4)을 포함한다.
체결부재(1)는 용수탱크(101)에 체결할 수 있도록 인서트(10)와 잠금캡(20)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10)는 내부가 관통된 중공관(11)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11)의 후단에 걸림턱(12)이 형성되며 중공관(11)의 외주연에 잠금캡(20)이 체결되는 나사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2)의 하단부에 지지대(14)가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4)의 하단에 힌지구(15)가 형성되어 있다.
폴버튼(2)은 체결부재(1)의 중공관(11)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딩하며 작동레버(3)를 동작시키는 슬라이딩몸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몸체(30)의 후단에 중공관(11)의 걸림턱(12)에 걸림되도록 하여 빠짐을 방지하는 빠짐방지턱(31)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몸체(30)의 전단에 추종자석(32)이 형성되며, 후단에는 연결구(3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추종자석(32)의 경우 슬라이딩몸체(30)의 전단에 나사돌기(34)가 일체 형성되고, 추종자석(32)으로 나사홈(32a)이 형성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단순히 슬라이딩몸체(30)에 삽입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추종자석(32)을 삽입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작동레버(3)는 폴버튼(2)의 연결구(33)에 전단이 힌지 체결하도록 양단에 축공(41)이 형성된 수평링크(40)와, 상기 수평링크(40)의 후단에 하향 힌지 체결되는 회동링크(50)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링크(50)는 상부링크(51) 및 하부링크(52)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일체 형성되며, 상부링크(51)의 상단 및 하부링크(52)의 하단에 체결공(53,54)이 형성되고, 상부링크(51)의 하단과 하부링크(52)의 상단이 일체 결합된 부위에 지지대(14)의 힌지구(15)에 힌지 체결을 위한 힌지공(5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동링크(50)를 구성함에 있어 상부링크(51)의 길이를 하부링크(5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사이펀마개(102)가 적은힘에 의해 개폐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와같은 작동레버(3)는 폴버튼(2)의 후단에 수평링크(40)가 힌지 연결되고, 수평링크(40)의 후단에 회동링크(50)의 상단이 힌지 연결되며, 지지대(14)의 힌지구(15)에 회동링크(50)의 힌지공(55)이 힌지 연결되며, 회동링크((50)의 하단에 용수탱크(101)의 사이펀마개(102)와 연결된 연결줄(103)을 체결함으로써 견인수단(4) 및 추종자석(32)에 의한 풀버튼(2)의 전후작용에 따라 작동레버(3)가 상하 회동하면서 용수탱크(101)의 사이펀마개(102)를 적은 힘으로 충분히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견인수단(4)은 변기커버(104)에 설치되며 변기커버(104)를 내리는 동작과 동시에 폴버튼(2)이 당겨지도록 추종자석(32)에 부착되는 소재로 형성되며, 변기커버(104)의 상부면에 돌출되거나 매립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견인수단(4)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종자석(32)과 비례하거나 상대적으로 큰 너비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기존에 변기커버에 설치시 폴버튼의 위치에 부합되는 위치에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하거나 나사 조립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수단(4)이 매립되는 구조로 설치시에는 변기커버(104)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홈이 형성되도록 사출함으로써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견인수단(4)의 소재는 자석 또는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양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는 용수탱크(101)의 전면부 중앙 위쪽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용수탱크(101)에는 체결부재(1)에 부합한 직경의 홀이 관통되어 있어야 한다.
용수탱크(101)의 내측에서 인서트(10)의 중공관(11)이 용수탱크(101)의 전면부를 관통되도록 끼운 후 잠금캡(20)으로 고정 시킨 후, 후단에 작동레버(3)가 설치된 폴버턴(2)을 인서트(10)의 후단에서 삽입하여 추종자석(32)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하게 되며, 상기 폴버턴(2)을 동작시키는 견인수단(4)은 변기커버(104)에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레버(3)의 하부링크(52)의 하단 체결공(54)에 사이펀마개(102)와 연결된 연결줄(103)이 연결된다.
양변기 사용시 변기커버(104)를 열게 되면, 변기커버(104)에 장착된 견인수단(4)이 용수탱크(101)의 전면부에 설치된 폴버튼(2)의 추종자석(32)으로 자성에 의해 부착되게 된다.
그리고 용변 완료후, 사용자가 변기커버(104)를 닫음과 동시에 자동 물내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변기커버(104)를 내리도록 사용자가 힘을 가함과 동시에 자성으로 부착된 상태의 견인수단(4)이 추종자석(32)을 당기면서 폴버튼(2)의 슬라이딩몸체(30) 전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며, 그에 따른 폴버튼(2)의 후방에 연결된 작동레버(3)가 동작되어 사이펀마개(102)를 개방함으로써 양변기로 자동 물내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작동레버(3)의 동작은 지렛대 원리가 작용되도록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링크(40)와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링크(50)가 힌지 결합되어 견인수단(4)과 추종자석(32)에 의한 당겨지는 적은 힘으로도 충분히 사이펀마개(102)를 상승시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용수탱크(101)에 세척수가 채워지면서 사이펀마개(102)가 아래 방향으로 서서히 하강함과 동시에 폴버튼(2)이 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양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는 간단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변기커버를 내림과 동시에 자동 물내림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고, 간편한 구성에 따른 유지보수가 쉬우며, 변기커버를 닫는 습관을 부여하여 화장실의 위생 및 청결성을 높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양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의 작동레버(3')는 그 구성 및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한 것인바,
인서트(10)의 하부측에 반대방향으로 회전공(16)이 형성된 지지바(17)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중앙에 힌지부(61)를 중심으로 제1링크(62) 및 제2링크(63)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대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회동레버(60)를 구성하여,
상기 회동레버(60)의 제2링크(63)를 폴버튼(2)의 후단에 나사 또는 핀으로 조립되며, 힌지부(61)는 지지바(17)의 회전공(16)에 회동하도록 힌지 연결 구성함으로써, 견인수단(4) 및 추종자석(32)에 의한 폴버튼(2)이 전후동작함에 따라 회동레버(60)가 위아래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사이펀마개(102)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와 수동레버가 병행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수동레버가 병행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따른 양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의 작동레버는 커버와 연동하여 물내림이 이루어지도록 용수탱크의 전면부에 구성함에 따라 기존의 수동레버(105)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변기에 비데를 사용시에도 비데(106)의 커버에 견인수단(4)을 간편하게 장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자동 물내림장치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체결부재
10:인서트 11:중공관 12:걸림턱
13:나사부 14:지지대 15:힌지구
16:회전공 17:지지바
20:잠금캡
2:폴버튼
30:슬라이딩몸체 31:빠짐방지턱 32:추종자석
33:연결구 32a:나사홈
3,3':작동레버
40:수평링크 41:축공
50:회동링크 51:상부링크 52:하부링크
53,54:체결공 55:힌지공
60:회동레버 61:힌지부 62:제1링크
63:제2링크
4:견인수단
101:용수탱크 102:사이펀마개 103:연결줄
104:변기커버 105:수동레버 106:비데

Claims (3)

  1. 용수탱크의 전면부를 관통하도록 후단 걸림턱(12)에서 외주연에 나사부(13)를 갖는 중공관(1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2)의 하부에 힌지구(15)가 형성된 지지대(14)가 하향 돌출된 인서트(10)와, 상기 나사부(13)에 체결하여 인서트(10)를 고정시키는 잠금캡(20)으로 형성된 체결부재(1);
    인서트(10) 내부에 전후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며 후단에 연결구(33)가 돌출된 슬라이딩몸체(30)와, 상기 슬라이딩몸체(30)의 후단에 인서트(10)로부터 빠짐을 방지토록 형성되는 빠짐방지턱(31)과, 상기 슬라이딩몸체(30)의 전단에 형성되는 추종자석(32)으로 형성된 폴버튼(2);
    폴버튼(2)의 연결구(33)에 체결되는 수평링크(40)와, 지지대(14)의 힌지구(15)에 체결되도록 힌지공(55)을 중심으로 상부링크(51) 및 하부링크(52)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링크(51)의 상단이 수평링크(40)와 체결되고, 하부링크(52)의 하단에 사이펀마개(102)와 연결된 연결줄(103)이 체결되는 회동링크(50)로 형성된 작동레버(3);
    변기커버(104)에 설치되어 폴버튼(2)의 추종자석(32)과 자성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로 폴버튼(2)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수단(4)을 포함하며,
    용변 후, 변기커버(104)를 닫음과 동시에 견인수단(4)이 폴버튼(2)을 당겨지도록 하여 자동 물내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2. 용수탱크의 전면부를 관통하도록 후단 걸림턱(12)에서 외주연에 나사부(13)를 갖는 중공관(1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2)의 하부에 반대방향으로 회전공(16)이 형성된 지지바(17)가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된 인서트(10)와, 상기 나사부(13)에 체결하여 인서트(10)를 고정시키는 잠금캡(20)으로 형성된 체결부재(1);
    인서트(10) 내부에 전후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딩몸체(30)와, 상기 슬라이딩몸체(30)의 후단에 인서트(10)로부터 빠짐을 방지토록 형성되는 빠짐방지턱(31)과, 상기 슬라이딩몸체(30)의 전단에 형성되는 추종자석(32)으로 형성된 폴버튼(2);
    지지바(17)의 회전공(16)에 체결되는 힌지부(61)를 중심으로 제1링크(62) 및 제2링크(63)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대향 경사지도록 회동레버(60)가 형성되며, 상기 제2링크(63)가 폴버튼(2)의 후단에 일체 결합되며, 상기 제링크(62)에 사이펀마개(102)와 연결된 연결줄(103)이 체결되어 폴버튼(2)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힌지부(61)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는 작동레버(3');
    변기커버(104)에 설치되어 폴버튼(2)의 추종자석(32)과 자성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로 폴버튼(2)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수단(4)을 포함하며,
    용변 후, 변기커버(104)를 닫음과 동시에 견인수단(4)이 폴버튼(2)을 당겨지도록 하여 자동 물내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견인수단(4)는 자성력을 높히기 위한 자석판 또는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판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KR1020160004934A 2015-10-27 2016-01-14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KR101785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3124 WO2017073859A1 (ko) 2015-10-27 2016-03-28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54 2015-10-27
KR20150006954 2015-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334A true KR20170049334A (ko) 2017-05-10
KR101785037B1 KR101785037B1 (ko) 2017-10-17

Family

ID=5874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934A KR101785037B1 (ko) 2015-10-27 2016-01-14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0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2587A (zh) * 2018-04-19 2020-11-06 崔昌勋 使用马桶盖的马桶冲洗装置
KR20210056873A (ko) * 2019-11-11 2021-05-20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좌변기용 물 내림 장치
KR20220049862A (ko) * 2020-10-15 2022-04-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팔꿈치용 스위치를 구비한 좌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859B1 (ko) 2020-12-24 2022-06-24 주식회사 재진테크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080Y1 (ko) 2002-07-08 2002-11-04 백태선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CN101408036A (zh) * 2007-10-09 2009-04-15 张广生 多功能节水座便器
KR101621906B1 (ko) 2016-03-28 2016-05-17 그린밸류 주식회사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KR101683263B1 (ko) 2016-08-19 2016-12-06 그린밸류 주식회사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2587A (zh) * 2018-04-19 2020-11-06 崔昌勋 使用马桶盖的马桶冲洗装置
CN111902587B (zh) * 2018-04-19 2021-12-14 崔昌勋 使用马桶盖的马桶冲洗装置
US11371231B2 (en) 2018-04-19 2022-06-28 Chang Hun CHOI Toilet flushing device using toilet cover
KR20210056873A (ko) * 2019-11-11 2021-05-20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좌변기용 물 내림 장치
KR20220049862A (ko) * 2020-10-15 2022-04-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팔꿈치용 스위치를 구비한 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037B1 (ko)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037B1 (ko)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JP5396679B2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逆流止め装置
US9605420B1 (en) Universal, attachable urinal
US11371231B2 (en) Toilet flushing device using toilet cover
JP2010037903A (ja) 洋式便器
WO2013170527A1 (zh) 节水座便器
US6385786B1 (en) Two-stage flush device for a toilet water tank
CN208219792U (zh) 一种折叠式隐藏小便器
KR101492182B1 (ko)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WO2009006781A1 (fr) Urinoir rotatif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US20100192294A1 (en) Sink insert
KR200420344Y1 (ko) 좌변기의 변기시트 개폐장치
KR101600591B1 (ko)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 배출장치
JP2013159904A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有する水洗便器
US10851535B2 (en) Self-cleaning, lighted urinal attachment for conventional toilets
US10676904B2 (en) Toilet flapper
KR200374754Y1 (ko) 개량 좌변기
KR101905859B1 (ko) 수직트랩 양변기
CN101105047A (zh) 智能节水坐便器
JP3383899B2 (ja) フロート弁
KR200372410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102275457B1 (ko) 물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좌변기
KR200458184Y1 (ko) 절수용 양변기 레버
KR200297390Y1 (ko) 좌변기 시트의 자동 열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