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080Y1 -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080Y1
KR200294080Y1 KR2020020020360U KR20020020360U KR200294080Y1 KR 200294080 Y1 KR200294080 Y1 KR 200294080Y1 KR 2020020020360 U KR2020020020360 U KR 2020020020360U KR 20020020360 U KR20020020360 U KR 20020020360U KR 200294080 Y1 KR200294080 Y1 KR 200294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drainage device
main body
opening
automatic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태선
Original Assignee
백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태선 filed Critical 백태선
Priority to KR2020020020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0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080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 하중이 가해지다가 해제되는 경우에 작동되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일정량의 물이 충진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이용하여 오물을 배수시키는 본체 및 특정한 경우에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상기 본체로 배출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하중이 가해지다가 해제되는 경우에 작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된 센싱수단, 상기 수조 내에 장착되며 상기 개폐수단을 개폐시키도록 작동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변기 자동배수장치{AUTOMATIC DRAINAGE DEVICE FOR A CHAMBER POT}
본 고안은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 하중이 가해지다가 해제되는 경우에 작동되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양변기는 배출된 오물을 배수시키기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일정량의 물이 충진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이용하여 오물을 배수시키는 본체 및 특정한 경우에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상기 본체로 배출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도 5는 종래기술의 양변기 배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양변기 배수장치는 수동레버(400), 연결선(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동레버(400)는 상기 수조(100)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선(59)은 그 일측은 상기 수동레버(400)에 그 타측은 상기 개폐수단(300)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상기 수동레버(400)를 외부에서 작동시키면 상기 연결선(500)이 연동되고 상기 개폐수단(300)이 개방되어 상기 수조(100)내의 물이 상기 본체(20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양변기 배수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할 때마다 상기 수동레버(400)를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부주의로 상기 수동레버(400)를 작동시키기 않고 나간 경우에는 비위생적이며 다른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린아이들은 키가 작아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장착된 상기 수동레버(400)를 작동시키기 어려우며, 상기 수동레버(400)를 작동시키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수동레버(400)에 힘을 가하지 못해 제대로 배수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 후 자동으로 작동되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의도한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본체를 이탈한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수동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의 투시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의 투시측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수단의 회로도.
도 5는 종래기술의 양변기 배수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조 20: 본체
30: 개폐수단 40: 센싱수단
50: 구동수단 52: 모터
53: 풀리 54: 홈부
55: 경사부 55a: 고정부
56: 솔레노이드 57: 작동부
58: 작동선 59: 연결선
60: 제어수단 62: 제1조절부
64: 제2조절부 66: 확인수단
100: 수조 200: 본체
300: 개폐수단 400: 수동레버
500: 연결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는, 일정량의 물이 충진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이용하여 오물을 배수시키는 본체 및 특정한 경우에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상기 본체로 배출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하중이 가해지다가 해제되는 경우에 작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된 센싱수단, 상기 수조 내에 장착되며 상기 개폐수단을 개폐시키도록 작동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수단은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접촉되어 있으며, 하중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접촉이 해제되는 B접점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동되는 풀리 및 상기 개폐수단에 그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풀리에 연동되도록 설치된 작동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리는 그 내측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은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서 상기 작동선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선은 상승되며,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작동선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부를 따라 상기 작동선은 하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풀리는 그 외측 일단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선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작동선이 상승되며, 상기 고정부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작동선이 하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개폐수단에 그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동되도록 설치된 작동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개폐부재가 일정시간동안 개방되어 있도록 시간을 조절하는 제1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본체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양변기 자동배수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제2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양변기 자동배수장치가 작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등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는 센싱수단(40), 구동수단(50), 제어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센싱수단(40)은 상기 본체(20)에 하중이 가해지다가 해제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60)에 신호를 보내는 수단으로서, B접점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센싱수단(40)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제1조절부(62)과 제2조절부(64) 및 확인수단(66)을 포함한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수단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개폐수단(30)을 개폐시키는 수단으로서, 모터(52), 풀리(53), 작동선(58)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52)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기계장치로서, 종래의 일반적으로 정회전하는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풀리(53)는 상기 모터(52)의 동력을 타 수단에 전달하는 장치로서, 홈부(54)와 경사부(55)로 형성되어 있다.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수단의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풀리(53)는 그 외측 일단에 고정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선(58)은 상기 개폐수단(30)을 개폐하도록 움직이는 선으로서, 상기 개폐수단(3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며, 종래의 연결선(59)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50)은 솔레노이드(56)와 작동선(58)으로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56)는 상기 제어수단(60)의 신호에 의해 전자적으로 구동되는 수단으로 입력신호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작동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선(58)은 도 3에 도시된 작동선(58)과 동등한 구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선(58)은 상기 작동부(57)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부(57)의 회동에 따라 상하 작동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수단의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60)은 제1조절부(62)과 제2조절부(64) 및 확인수단(66)을 포함한다.
상기 제1조절부(62)는 상기 개폐수단(30)이 일정시간동안 개방되어 있도록 시간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조절부(64)는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본체(20)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양변기 자동배수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부분이다.
상기 확인수단(66)은 상기 양변기 자동배수장치가 작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LED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를 도 1 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작동되는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하측에 센싱수단(4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센싱수단(40)은 B접점스위치를 사용한다.
상기 B접점스위치는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평소에는 접촉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데 이는 상기 제어수단(60)의 제1콘덴서(63)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하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상기 본체(20)에 착석하면 상기 B접점스위치는 접촉이 해지되며 사용자가 상기 변기의 사용을 마치고 상기 본체(20)를 이탈하게 되면 상기 B접점스위치는 접촉하게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며, 도 4에 도시된 회로도에서 확인수단(66)의 하나인 LED램프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즉, 상기 센싱수단(4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제어수단(60)에서 조절되며 상기 구동수단(50)으로 전달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52)는 회동하고 상기 모터(52)에 연동되는 풀리(53)의 회동에 따라 상기 작동선(58)이 움직인다.
상기 작동선(58)이 상기 풀리(53)의 홈부(54)에 감기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선(58)은 상승되어 상기 개폐수단(30)이 개방되고, 상기 작동선(58)이 상기 경사부(55)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선(58)은 경사부(55)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선(58)이 상기 고정부(55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풀리(5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55a)가 상승되면 상기 작동선(58)이 상승되어 상기 개폐수단(30)이 개방되고, 상기 고정부(55a)가 하강되면 상기 작동선(58)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 모터(52)는 정역회전하는 모터가 아닌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저렴한 일반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60)의 제1조절부(62)는 상기 개폐수단(30)이 일정시간동안 개방되어 있도록 시간을 조절한다.
상기 제1조절부(62)는 고정저항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변저항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500키로옴의 가변저항을 사용하였다.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개폐수단(30)는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있다가 닫히게 된다.
한편 어린이와 같은 사용자는 상기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를 작동시키려는 의지 없이 움직여서 상기 양변기 본체(20)를 잠시 이탈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양변기 자동배수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어수단(60)에는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본체(20)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제2조절부를 더 포함한다.상기 제2조절부(64)는 콘덴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100마이크로페럿의 콘덴서를 사용하였다. 상기 100마이크로페렛의 콘덴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예컨대 3초 이내에 변기를 이탈 한 경우에는 상기 양변기 자동배수장치가 작동되지 않게 된다.
도 2는 솔레노이드(56)를 구동수단(50)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에는 센싱수단(40), 제어수단(60) 및 구동수단(50)으로서 솔레노이드(56),작동선(58)으로 구성된다.
상기 센싱수단(40)과 제어수단(60)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등한 구성의 것을 사용한다.
상기 작동선(58)의 일측은 상기 연결선(59)에 그 타측은 상기 솔레노이드(56)의 작동부(57)에 연결되어 상기 센싱수단(40)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56)의 작동부(57)가 상승되면 상기 작동선(58) 및 이에 연결된 연결선(59)이 상승되어 상기 개폐수단(30)을 개방하게 된다.
그 외에 상기 개폐수단(30)이 일정시간동안 개방되어 있도록 시간을 조절하는 수단 및 기능과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본체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양변기 자동배수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수단 및 기능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동등하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서 상기 작동선(58)은 상기 연결선(59)에 장착하였으나, 상기 작동선(58)을 직접 상기 개폐수단(3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50)과 제어수단(60)은 장착이 용이하도록 단일의 브라켓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첫째, 사용자는 상기 센싱수단(40)을 본체(20)에 장착하고 상기 구동수단(50)과 제어수단(60)이 장착된 브라켓을 상기 수조(10) 내에 설치한다.
둘째, 사용자는 상기 구동수단(50)의 작동선(58)을 상기 연결선(59)에 연결시킨다.
셋째, 사용자는 상기 센싱수단(40)과 상기 제어수단(60)을 도선 등에 의해 연결시킨다.
상기 순서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단순한 설계상의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 후 자동으로 작동되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나 부주의한 사용자가 양변기를 사용한 경우에도 양변기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에 의하면 제어수단의 제2조절부에 의해 의도한 경우에만 상기 배수장치가 작동되도록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본체를 이탈한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에 의하면 구동수단으로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작동되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풀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역회전 하는 모터를 사용할 필요 없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를 사용하게 되므로, 저렴한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에 의하면 확인장치가 설치되어 장치가 제대로 구동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에 의하면 작동선을 종래의 연결선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수동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자동배수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양변기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9)

  1. 일정량의 물이 충진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이용하여 오물을 배수시키는 본체: 및
    특정한 경우에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상기 본체로 배출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하중이 가해지다가 해제되는 경우에 작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된 센싱수단;
    상기 수조 내에 장착되며 상기 개폐수단을 개폐시키도록 작동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접촉되어 있으며, 하중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접촉이 해제되는 B접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동되는 풀리 및 상기 개폐수단에 그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풀리에 연동되도록 설치된 작동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자동배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그 내측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은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서 상기 작동선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선은 상승되며,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작동선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부를 따라 상기 작동선은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자동배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그 외측 일단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선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작동선이 상승되며, 상기 고정부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작동선이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자동배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개폐수단에 그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동되도록 설치된 작동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자동배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개폐부재가 일정시간동안 개방되어 있도록 시간을 조절하는 제1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본체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양변기 자동배수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제2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양변기 자동배수장치가 작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KR2020020020360U 2002-07-08 2002-07-08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KR200294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360U KR200294080Y1 (ko) 2002-07-08 2002-07-08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360U KR200294080Y1 (ko) 2002-07-08 2002-07-08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232A Division KR20040004975A (ko) 2002-07-08 2002-07-08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080Y1 true KR200294080Y1 (ko) 2002-11-04

Family

ID=7307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360U KR200294080Y1 (ko) 2002-07-08 2002-07-08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0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996B1 (ko) 2015-02-26 2017-07-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위생 변기 제어방법
KR101785037B1 (ko) 2015-10-27 2017-10-17 최창훈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996B1 (ko) 2015-02-26 2017-07-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위생 변기 제어방법
KR101785037B1 (ko) 2015-10-27 2017-10-17 최창훈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6996B2 (en) Toilet bowl overflow prevention and water conservation system and method
US20060156460A1 (en) Movement mechanism for moving a closure element for the purposes of sealing a waste outlet opening
US20070228310A1 (en) Faucet sensor mounting assembly
EP1227193A3 (en) Toilet leak detector and overflow control
US20030154541A1 (en) Automatic toilet seat lid raising and lowering device
KR200294080Y1 (ko)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US20070151008A1 (en) Toilet bowl flushing system
US8152135B2 (en) Automatic flush actuation apparatus
JP4847816B2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20040004975A (ko)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US4933995A (en) Flush-operated bathroom fan
US8430118B2 (en) Automatic flush device
JP3593443B2 (ja) 便蓋ユニットおよび便蓋ユニット付き洋式便器
JP4411973B2 (ja) 人体検知装置
JP2009118931A (ja) 便座装置
KR101977693B1 (ko) 자동문 개폐 장치
KR20130072112A (ko)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JP2002065515A (ja) 衛生洗浄装置
KR200187602Y1 (ko) 절수형 좌변기 자동 세척 장치
KR101221835B1 (ko)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US20060031981A1 (en) Hands free toilet device
JP3697715B2 (ja) 便器洗浄装置及び便器洗浄システム
KR100470218B1 (ko) 위생세정기 및 그 작동방법
JP4422060B2 (ja) フラッシュバルブ装置
JPH03421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