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906B1 -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1906B1 KR101621906B1 KR1020160037049A KR20160037049A KR101621906B1 KR 101621906 B1 KR101621906 B1 KR 101621906B1 KR 1020160037049 A KR1020160037049 A KR 1020160037049A KR 20160037049 A KR20160037049 A KR 20160037049A KR 101621906 B1 KR101621906 B1 KR 1016219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water tank
- contact member
- drain valve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cable, chain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변을 마친 후 사용자에 의해 변기커버를 닫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변기커버를 닫을 때 비로소 용수탱크의 물이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용변 후 변기커버를 닫지 않은 개방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배수과정 중 배출수류의 폭기에 의해 배출 수조의 수면 근처에 형성되어 있던 박테리아균이 화장실의 공기 중으로 퍼져 나감으로 인해 인체 감염이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는, 용수탱크 내부의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가 구동줄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줄이 당겨질 때 배수구를 개방시켜 배수가 이루어지는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밸브에 연결된 구동줄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연결부재; 상기 용수탱크 내에서 상기 구동줄에 결합 형성되며, 일정 무게를 갖는 중량체;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줄에 연결 형성되며, 용수탱크의 외부에 노출형성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와 대응되도록 변기커버의 일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는 상기 변기커버의 개폐에 따라 상호 부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는, 용수탱크 내부의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가 구동줄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줄이 당겨질 때 배수구를 개방시켜 배수가 이루어지는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밸브에 연결된 구동줄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연결부재; 상기 용수탱크 내에서 상기 구동줄에 결합 형성되며, 일정 무게를 갖는 중량체;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줄에 연결 형성되며, 용수탱크의 외부에 노출형성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와 대응되도록 변기커버의 일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는 상기 변기커버의 개폐에 따라 상호 부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변기 용수탱크의 배수밸브를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을 마친 후 사용자에 의해 변기커버를 닫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변기커버를 닫을 때 비로소 용수탱크의 물이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용변 후 변기커버를 닫지 않은 개방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배수과정 중 배출수류의 폭기에 의해 배출 수조의 수면 근처에 형성되어 있던 박테리아균이 화장실의 공기 중으로 퍼져 나감으로 인해 인체 감염이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배출 수조(水槽)를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마련되는 시트, 상기 배출 수조와 상기 시트의 상부를 은폐시킬 수 있도록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변기커버, 상기 배출 수조 내의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용수탱크, 상기 용수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양변기는 용수탱크 내에 설치된 배수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저장된 물이 일시에 배출되게 하면서 사이펀 원리에 의해 변기내 오물을 정화시설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양변기에서, 용수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으로는, 용수탱크의 레버를 조작하거나,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물내림을 수행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레버를 조작하는 일반적인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에 의하면, 용수탱크의 내부에 배수밸브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배수구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되는데, 배수밸브와 연결 형성되는 구동줄이 용수탱크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구동줄이 당겨지게 되고, 구동줄과 연결되어 있는 배수밸브가 개방되면서 용수탱크 내의 물이 배출되게 된다.
양변기에 설치되는 변기커버는 배출 수조를 은폐하기 위한 목적과 함께 배출 수조 내의 유해 세균이 공기 중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양변기 사용시 용변 후 변기커버를 닫은 상태에서 물을 배출시킴으로써, 다음 사용자에게 배출 수조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대부분의 사용자들의 경우 용변 후 변기커버를 닫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물을 내리는 일이 흔한 현상이다. 이로 인해 양변기의 배출 수조 내에서 물이 폭기하면서 상기 배출 수조의 수면 근처에 형성되어 있던 박테리아균 등 유해 세균이 공기를 타고 사방으로 퍼져 나갈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양변기와 화장실 내부가 유해한 세균에 감염될 수 있는 상황에 노출되면서 건강을 해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변기커버를 닫도록 유도한 상태에서 물을 배수하도록 하는 양변기 구조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59636호 "양변기" 는, 변기 사용 후 물을 내리기 위한 레버의 작동을 변기덮개의 개폐동작으로 대신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양변기의 사용을 간편하게 하고, 변기사용 후 항상 변기커버를 덮을수 있게 되어, 화장실을 더욱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작동 와이어가 수조 상부에서 변기덮개의 힌지까지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해, 사람이나 기타 물건에 간섭을 주게 되고, 외관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93013호 "좌변기 뚜껑, 시트, 물내림, 자동장치" 는, 수세식 변기의 좌변시트와 변기뚜껑을 손을 사용하지 않고 발로써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며, 변기뚜껑을 닫을 시 자동으로 물 내림을 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하나의 발판을 뚜껑을 개폐할 때에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발판은 좌변시트를 개폐할 때에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기구적으로 구조가 복합한 단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4-0078505호 "자동 물내림 변기 커버" 는, 이음쇠 부분에 장착되는 지렛대 장치, 지렛대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있어 분사할 액체를 담는 용기, 지렛대 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변기의 물을 변기 커버를 닫음으로써 내릴 수 있는 와이어 장치 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변기 커버를 닫게 되면 변기와 도기 사이의 이음쇠에 부착되어 있는 지렛대 장치가 굽혀지면서, 방향제가 담겨져 있는 탱크에 연결된 펌프를 눌러서 탱크 안에 있는 액체를 분사함과 동시에, 지렛대 장치가 변기 손잡이를 내려 변기의 물을 내리게 되는 것으로서, 방향제를 분사하기 위한 구조를 동반하는 기구적인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546066호 "무전원 자동 물내림 일체형 양변기" 는, 변좌시트의 하강동작과 연동하여 상승하는 가압돌기의 경사진 가압면을 따라 장진부재가 회전되어 복원력을 생성시키면서, 물내림개폐의 개폐부재에 걸려 물내림와이어를 당길 수 있는 장진력을 보유하도록 하고, 변좌시트의 상승동작과 연동하여 장진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물내림개폐부를 작동시키면서, 사이폰덮개를 최대한 들어올려 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변기본체로 원활하게 배출하여 용변의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변좌시트의 상승동작과 연동하여 사이폰 덮개를 들어올릴 때, 휴지타임조절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물내림개폐부의 작동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휴지버리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기구적 구성 상,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변기커버를 닫을 때에 비로소 배수밸브가 개방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변기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배수가 이루어짐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유해 세균에 의해 변기 및 화장실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변기커버의 개폐동작과 용수탱크의 배수밸브 개폐동작을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용변 후에는 변기커버를 덮는 습관을 사용자에게 배양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용수탱크, 구동줄, 배수밸브, 배수공 등 종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하는 대신, 간단한 설계 변경만으로 기존의 양변기에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장치는, 용수탱크 내부의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가 구동줄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줄이 당겨질 때 배수구를 개방시켜 배수가 이루어지는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밸브에 연결된 구동줄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연결부재; 상기 용수탱크 내에서 상기 구동줄에 결합 형성되며, 일정 무게를 갖는 중량체;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줄에 연결 형성되며, 용수탱크의 외부에 노출 형성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와 대응되도록 변기커버의 일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는 상기 변기커버의 개폐에 따라 상호 부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장치에 이용되는 연결부재는, 구동줄이 인출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후단부에는 구동줄이 안내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재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줄을 용수탱크 외부로 인출 및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안내관을 통해 상기 구동줄의 위치가 조절가능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는, 양변기 본체 외부로 인출 또는 인입되며, 용수탱크 내부의 배수밸브와 일단이 연결 형성되는 구동줄; 상기 용수탱크 내에서 상기 구동줄에 결합 형성되며, 일정 무게를 갖는 중량체; 상기 구동줄의 다른 일단에 연결 형성되며, 본체의 외부에 노출형성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와 대응되도록 변기커버의 일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는 상기 변기커버의 개폐에 따라 상호 부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밀착부재는, 고정부재와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표면에 소음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커버가 열려진 상태에서 고정부재와 밀착부재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어 있게 되고, 이후 변기커버를 닫을 때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있던 밀착부재가 변기커버와 함께 이동하는 과정에서 구동줄을 인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구동줄에 의해 배수밸브가 개방되면서 용수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배수되게 되고, 이후 구동줄의 유동 제한에 따라 중량체가 하부로 하강하면서 상기 밀착부재는 용수탱크 쪽으로 원위치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수탱크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배수밸브와 구동줄을 그대로 사용하되, 용수탱크에 연결부재가 관통되도록 설치한 후, 밀착부재와 고정부재의 상호 부착 또는 분리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줄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 변경을 통해 변기커버를 닫는 습관을 기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수탱크 레버를 별도로 조작하는 일이 없이 변기커버만을 닫는 동작을 통해 물의 배수가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특성상, 변기커버가 닫혀진 상태에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를 통해 유해 세균이 변기와 화장실 내부에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커버가 닫히는 과정에서 중량체에 의해 구동줄의 인출이 제한되게 되며, 또한 상기 중량체의 무게로 인해 밀착부재가 용수탱크에 원위치됨으로써, 반복 사용에도 고장 등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변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요부위를 발췌하여 확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변기의 일부 단면도.
(b)는 A부 확대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변기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b)는 B부 확대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변기커버가 닫혀지면서 배수밸브가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b)는 C부 확대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변기커버가 닫히면서 배수밸브가 복귀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b)는 D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의 밀착부재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도.
도 10은 도 9의 E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요부위를 발췌하여 확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변기의 일부 단면도.
(b)는 A부 확대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변기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b)는 B부 확대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변기커버가 닫혀지면서 배수밸브가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b)는 C부 확대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변기커버가 닫히면서 배수밸브가 복귀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b)는 D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의 밀착부재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도.
도 10은 도 9의 E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변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요부위를 발췌하여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변기의 일부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첨부된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양변기는, 양변기 본체와 용수탱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체(1), 시트(2), 변기커버(3), 용수탱크(4), 및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에 따른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수단에 구비된 구성을 통해 상기 용수탱크(4) 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본체(1)에는, 용변 후의 오물이 일시적으로 계류되는 배출 수조(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용수탱크(4)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사이펀 수류를 이루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2)는 사용자가 용무를 위하여 앉을 수 있도록 배출 수조(10)의 상부에서 본체(1)에 힌지(20)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변기커버(3)는 시트(2)의 상부를 은폐시킬 수 있도록 본체(1)에 또한 힌지(20)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용수탱크(4)에는 배출 수조(10) 내의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이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일정 수위가 유지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고, 저장된 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배수밸브(5)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배수밸브(5)는 용수탱크(4) 내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관(4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형성되며, 본체(1) 내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펀관(도시되지 아니함)으로 연결되는 배수공(41)을 개폐하게 된다.
배출수단은 구동줄(6), 연결부재(7), 밀착부재(8) 및 고정부재(9)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줄(6)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배수밸브(5)가 배수공(41)을 개방토록함으로써, 용수탱크(4) 내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수공(41)을 통해 본체(1)의 사이펀관으로 배출되게 된다.
구동줄(6)은 로프(rope), 또는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사슬, 또는 구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줄(6)의 일단은 배수밸브(5)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단부 반대편의 자유단부에 결합형성되고, 다른 일단은 연결부재(7)를 통해 밀착부재(8)에 결합형성되며, 변기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배수밸브(5)를 구동함으로써 배수공(41)의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 예로서, 상기 구동줄(6)은 연결수단(60)의 상부에 연결형성되는 상부구동출(6a)과 하부에 연결형성되는 하부구동줄(6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하부구동줄(6b)은 종래 구동줄로 사용되던 것을 그대로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사슬 또는 구슬 형태의 로프가 이용된다.
상기 연결수단(60)은, 도 2에서 보듯이, 중량체(61)를 지지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는 바, 즉, 상기 중량체(61)가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 채 상기 구동줄(6)과 결합형성된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수단(60)은, 예를 들면 연결수단과 같은 형태로서, 상기 상부구동줄(6a)과 하부구동줄(6b)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수단(60)을 통해 상부구동줄(6a)과 하부구돌줄(6b)의 길이가 조절 가능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중량체(61)와 구동줄(6)과의 결합형성은 여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도 2의 경우, 중량체(61)의 중심부에 상기 중심부를 관통하는 천공홀(610)이 구비되도록 하고 있고, 상기 천공홀(610)을 통해 상부구동줄(6a)이 하부로 관통한 상태에서 연결수단(60)에 고정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부구동줄(6a)과 하부구동줄(6b)을 이루는 구동줄(6)과 중량체(61)가 상호 결합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수단(60)은 상기 중량체(61)의 관통홀(610)의 직경을 빠져나가지 못하는 구조 또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보듯이, 상기 중량체(61)는 용수탱크 내에서 상기 구동줄(6)의 일정 위치에 결합형성되게 되며, 상기 구동줄(6)이 배수밸브(5)를 개방시키는 작동을 할 때 상기 구동줄(6)의 이동 폭을 제한하는 역할을 함과 함께, 구동줄의 이동 제한에 따라 무게에 의해 하부로 하강하면서, 후술하는 밀착부재(8)를 용수탱크 쪽으로 원위치되도록 한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중량체(61)는 일정 폭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고, 연결부재(7) 또는 안내관(78) 등에 의해 상부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변기커버(3)를 닫는 상황에서 구동줄과 함께 상부로 이동하다 상기 연결부재(7) 또는 안내관(78)에 의해 더 이상 이동이 불가하게 되며, 이 때 변기커버에 구비된 고정부재(9)와 상기 구동줄(6)의 일단에 연결형성된 밀착부재(8)의 결합이 분리되는 경우 상기 중량체(61)는 그 무게로 인해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이 때 구동줄(6) 또한 상기 중량체(61)와 함께 하강하면서, 일단에 연결형성된 밀착부재(8)가 용수탱크 쪽으로 원위치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량체(61)의 이동 길이는, 예를 들면 배수밸브가 30 ~ 60°, 바람직하기는 45°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연결부재(7)는 상기 구동줄(6)이 용수탱크(4) 내외부로 인출 또는 인입될 때 통로가 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줄(6)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내부가 관통되는 중공(70)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수나사(71)가 형성되고, 용수탱크(4)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전단부에는 플랜지(72)가 형성되며, 용수탱크(4)의 안쪽에 위치하는 후단부에는 절개홈(74)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72)는 용수탱크(4)에 형성되는 홈에 상기 연결부재(7)를 걸림 고정되도록 하게 되는데, 절개홈(74)이 형성된 후단부가 외부로부터 용수탱크(4)의 고정공(42)에 삽입된 후 상기 플랜지(72)에 의해 삽입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수나사(71)에 체결되는 너트(75)를 통해 상기 용수탱크(4)에 수평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플랜지(72)와 용수탱크(4)의 외부면이 접촉하는 부위와, 너트(75)가 용수탱크(4)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부위에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와셔(76, 7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셔(76, 77)는 접촉면압을 분산시키고, 용수탱크(4)의 수밀을 유지시키는 이외에, 통상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용수탱크(4)의 벽체에 대하여 연결부재(7)가 적절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절개홈(74)은 연결부재(7)의 단부에서 구동줄(6)을 안정되게 지지한 상태에서 안내하게 되며, 2 개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7)를 통해, 구동줄(6)이 밀착부재(8)로부터 용수탱크(4) 내부로 연결되게 되며, 상기 구동줄(6)은 상기 절개홈(74)을 통해 안정되게 안내되며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구동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7) 중 외부로 노출되는 플랜지(72)를 포함하는 선단부는, 밀착부재(8)가 용수탱크(4)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또한 중량체(61)가 무게에 의해 하강할 때 밀착부재(8)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밀착부재(8)와 고정부재(9)는 자력에 영향을 받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8)와 고정부재(9)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호 자력에 의해 인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의 밀착부재(8)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 7에서, 상기 밀착부재(8) 형태는 제한적이지 않으나 예를 들면 원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 자성체(81)가 구비되고, 상기 자성체(81)의 표면에는 고정부재(9)와의 접촉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방지부재(8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밀착부재(8)의 표면에 자성체(81)가 구비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자성체(81)의 표면에 소음방지부재(82)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소음방지부재(82)는 밀착부재(8)와 고정부재(9)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때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실리콘 재질과 같이 일정 정도 탄성을 갖도록 하되 자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부재(8)를 이루는 자성체(81)가 구동줄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구동줄과의 연결을 위한 수단이 구비될 필요가 있으며, 도 7을 참조하면, 상부구동줄(6a) 일단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고정고리(83)가 형성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을 보면, 밀착부재(8)의 외주면을 링(84)이 감싸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바, 상기 링(84)은 자성체(81)와 소음방지부재(82)를 감싼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부재(9)는, 전술한 밀착부재(8)와 함께 자력에 영향을 받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변기커버(3)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밀착부재(8)와 부착되어 있다가, 용변 후 물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상기 변기커버(3)를 닫을 때 상호 분리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9)는 상기 밀착부재(8)와 대응되도록 변기커버(3)의 상부면 일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게 되며, 바람직하기는 상기 변기커버(3)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형성되는 홈에 삽입된 후 내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외관상 변기커버(3)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그럼에도 밀착부재(8)와 상호 부착을 위한 자력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형성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착부재(8)와 고정부재(9)는 자력에 영향을 받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8)와 고정부재(9)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자석의 자력은 상기 밀착부재(8)와 고정부재(9)가 상호 부착되어 있을 때, 중량체(61)의 무게를 이겨낼 수 있는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량체(61)의 자중에 의해 상부 상부구동줄(6a)에는 항시 잡아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를 통해 밀착부재(8)가 용수탱크 쪽, 즉 연결부재(7)의 선단부로 이끌려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변기의 사용을 위해 변기커버(3)를 상부로 회전시켜서 열게 되면, 상기 변기커버(3)에 구비된 고정부재(9)가 대응되는 위치의 밀착부재(8)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된다.
이때, 고정부재(9)는 변기커버(3)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 있고, 밀착부재(8)는 중량체(61)의 자중을 극복하고 상부로 이동되면서, 고정부재(9)가 밀착부재(8)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되며, 상기 고정부재(9)가 밀착부재(8)에 완전히 부착되지 않은 상황, 즉 상호 부착이 이루어지기 전에도 자력에 의해 밀착부재(8)가 연결부재(7)의 선단부에서 이탈되면서 고정부재(9)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량체(61)도 동반하여 미세하게 상승하게 되는데, 상승 정도는 배수밸브(5)를 개폐시킬 수는 없는 범위이며, 하부의 하부구동줄(6b)만 미세하게 요동하는 정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커버가 밀착부재(8)에 자력으로 고정됨에 따라, 종래 양변기보다 변기커버가 안정되게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용변을 본 이후 물을 내리기 위해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기커버(3)를 배출 수조(10)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변기커버(3)에 고정된 고정부재(9)와 밀착부재(8)와의 자력에 의해, 상기 밀착부재(8)가 중량체(61)의 자중을 이기고 일정 길이 돌출 이동하게 된다. 즉, 밀착부재(8)와 함께 구동줄(6)이 외부로 일정 길이 인출되게 되고, 중량체(61)가 상승하면서 구동줄(6)의 하단부에 고정된 배수밸브(5)가 열리며 용수탱크(4) 내의 물이 배수공(41)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이때 중량체(61)는 배수밸브(5)를 일정 각도, 즉 30 ~ 60°, 바람직하기는 45°의 각도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일정 높이 상승한 다음, 연결부재(7)의 후단부에 접촉하면서 정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줄(6)을 인출시키는 밀착부재(8)도 그 이동이 제한되게 되며, 이후 변기커버(3)를 배출 수조(10)까지 닫는 과정에서, 밀착부재(8)가 고정부재(9)와 최종 분리되게 된다.
이 때, 고정부재(9)와 분리된 밀착부재(8)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하강하는 중량체(61)에 의해 인입되는 구동줄(6)을 따라 용수탱크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연결부재(7)의 선단부에 접촉되게 된다. 이에 따라 배수밸브(5)를 개방시켰던 구동줄(6)의 인장력이 소멸되게 되며, 배수밸브(5)가 다시 배수공(41)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용수탱크(4)에 물이 재저장되게 된다.
위의 과정을 통해, 도 3에 나타나는 상태와 같이 변기커버(3)가 배출 수조를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 물이 배수됨으로써, 폭기에 의해 비산되는 유해 세균이 배출 수조 외부로 배출되는 상황이 방지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8의 경우, 연결부재(7)의 중공(70)에 안내관(7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안내관(78)이 상부구동줄(6a)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안내관(78)을 살펴보면, 상부구동줄(6a)을 안내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는 중공(70a)과, 상부구동줄(6a)을 안내하기 위해 용수탱크(4) 내부에 위치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절개홈(74a)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안내관(78)은 연결부재(7)의 중공(70) 내부에서 좌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안내관(78)을 통해 구동줄(6)이 배수밸브(5)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도 및 요부확대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도 9의 경우, 본체 내부에 용수탱크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용수탱크(4a)가 본체(1a) 내부 후면의 일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체(1a), 시트(2a), 변기커버(3a), 용수탱크(4a), 및 상기 용수탱크(4a) 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요 구성이 도 1 내지 도 7의 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용수 탱크(4a)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채, 본체(1a) 내부 후면의 일정 위치에 형성된 특징이 있다.
도 9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출수단으로 구동줄(6c), 밀착부재(8a), 고정부재(9a) 및 중량체(61a)가 이용되며, 변기커버(3a)가 본체(1a)를 덮어 닫힌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밀착부재(8a)가 고정부재(9a)와 분리된 상태에서 인출공(11)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변기커버(3a)를 개방한 상태에서 고정부재(9a)가 상기 밀착부재(8a)에 근접한 위치에 있게 되면, 중량체(61a)의 무게를 이길 정도로 구비되는 상호 자력에 의해 상기 밀착부재(8a)가 고정부재(9a)에 부착되게 되고, 이후 상호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용변이 마무리된 이후 다시 변기커버(3a)를 덮어 닫는 과정에서, 상기 밀착부재(8a)가 고정부재(9a)에 부착된 상태에서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되고, 이후 구동줄(6c)의 이동 제한에 따라 상호 분리되게 되며, 이후 상기 밀착부재(8a)는 원위치로 이동되어 인출공(1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0을 보면, 용수탱크(4a)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공(43)을 통해 구동줄(6c)이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수탱크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배수밸브와 구동줄을 그대로 사용하되, 용수탱크에 연결부재가 관통되도록 설치한 후, 밀착부재와 고정부재의 상호 부착 또는 분리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줄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 변경을 통해 변기커버를 닫는 습관을 기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 1a : 본체 2, 2a : 시트커버
3, 3a : 변기커버 4, 4a : 용수탱크
5 : 배수밸브 6 : 구동줄
6a : 상부구동줄 6b : 하부구동줄
7 : 연결부재 8, 8a : 밀착부재
9, 9a : 고정부재 10 : 배출 수조
11 : 인출공 40 : 오버플로우관
41 : 배수공 42 : 고정공
43 : 안내공 60 : 연결수단
61, 61a : 중량체 70, 70a : 중공
71 : 수나사 74, 74a : 절개홈
75 : 너트 76, 77 : 와셔
78 : 안내관 81 : 자성체
82 : 소음방지부재 83 : 고정고리
84 : 링 610 : 천공홀
3, 3a : 변기커버 4, 4a : 용수탱크
5 : 배수밸브 6 : 구동줄
6a : 상부구동줄 6b : 하부구동줄
7 : 연결부재 8, 8a : 밀착부재
9, 9a : 고정부재 10 : 배출 수조
11 : 인출공 40 : 오버플로우관
41 : 배수공 42 : 고정공
43 : 안내공 60 : 연결수단
61, 61a : 중량체 70, 70a : 중공
71 : 수나사 74, 74a : 절개홈
75 : 너트 76, 77 : 와셔
78 : 안내관 81 : 자성체
82 : 소음방지부재 83 : 고정고리
84 : 링 610 : 천공홀
Claims (5)
- 용수탱크 내부의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가 구동줄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줄이 당겨질 때 배수구를 개방시켜 배수가 이루어지는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밸브에 연결된 구동줄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연결부재;
상기 용수탱크 내에서 상기 구동줄에 결합 형성되며, 일정 무게를 갖는 중량체;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줄에 연결 형성되며, 용수탱크의 외부에 노출형성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와 대응되도록 변기커버의 일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는 상기 변기커버의 개폐에 따라 상호 부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용수탱크 내부의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가 구동줄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줄이 당겨질 때 배수구를 개방시켜 배수가 이루어지는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에 있어서,
양변기 본체 외부로 인출 또는 인입되며, 용수탱크 내부의 배수밸브와 일단이 연결 형성되는 구동줄;
상기 용수탱크 내에서 상기 구동줄에 결합 형성되며, 일정 무게를 갖는 중량체;
상기 구동줄의 다른 일단에 연결 형성되며, 본체의 외부에 노출 형성되는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와 대응되도록 변기커버의 일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와 고정부재는 상기 변기커버의 개폐에 따라 상호 부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구동줄이 인출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후단부에는,
구동줄이 안내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줄을 상기 용수탱크 외부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안내관을 통해 상기 구동줄의 위치가 조절가능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7049A KR101621906B1 (ko) | 2016-03-28 | 2016-03-28 |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PCT/KR2016/003669 WO2017171128A1 (ko) | 2016-03-28 | 2016-04-07 |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7049A KR101621906B1 (ko) | 2016-03-28 | 2016-03-28 |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1906B1 true KR101621906B1 (ko) | 2016-05-17 |
Family
ID=5610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7049A KR101621906B1 (ko) | 2016-03-28 | 2016-03-28 |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1906B1 (ko) |
WO (1) | WO2017171128A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3379B1 (ko) * | 2016-05-04 | 2016-09-01 | 그린밸류 주식회사 |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KR101670057B1 (ko) | 2016-08-19 | 2016-10-27 | 그린밸류 주식회사 | 구동줄을 겸용하는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KR101683263B1 (ko) | 2016-08-19 | 2016-12-06 | 그린밸류 주식회사 |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KR101785037B1 (ko) | 2015-10-27 | 2017-10-17 | 최창훈 |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
KR101885872B1 (ko) | 2018-04-19 | 2018-08-07 | 최창훈 | 변기커버를 이용하는 변기용 물내림장치 |
KR101985273B1 (ko) | 2019-01-24 | 2019-06-04 | 그린밸류 주식회사 | 양변기용 배수밸브 개폐장치 |
KR102113671B1 (ko) | 2019-08-21 | 2020-05-21 | 손정우 | 용수량제어 변기장치 |
KR20200091205A (ko) | 2019-01-22 | 2020-07-30 | 진명홈바스(주) | 변기용수배출장치 |
WO2024210403A1 (ko) * | 2023-04-05 | 2024-10-10 | 박종희 | 양변기의 자동 배수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99083A (zh) * | 2018-07-27 | 2018-11-27 | 滁州学院 | 一种具有分析功能的健康Toilet系统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5294B1 (ko) | 2012-08-16 | 2013-10-07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변기의 시트커버 작동식 수세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5906Y1 (ko) * | 1988-11-02 | 1991-08-12 | 남평우 | 양변기의 자동세척장치 |
WO2005124037A1 (en) * | 2004-06-18 | 2005-12-29 | Kyoung-Suk O |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for use in toilet |
KR200360731Y1 (ko) * | 2004-06-18 | 2004-09-01 | 오경숙 |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
KR20090059712A (ko) * | 2007-12-07 | 2009-06-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양변기용 전동 물내림장치 |
-
2016
- 2016-03-28 KR KR1020160037049A patent/KR10162190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4-07 WO PCT/KR2016/003669 patent/WO201717112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5294B1 (ko) | 2012-08-16 | 2013-10-07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변기의 시트커버 작동식 수세장치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5037B1 (ko) | 2015-10-27 | 2017-10-17 | 최창훈 |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
KR101653379B1 (ko) * | 2016-05-04 | 2016-09-01 | 그린밸류 주식회사 |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KR101670057B1 (ko) | 2016-08-19 | 2016-10-27 | 그린밸류 주식회사 | 구동줄을 겸용하는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KR101683263B1 (ko) | 2016-08-19 | 2016-12-06 | 그린밸류 주식회사 |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KR101885872B1 (ko) | 2018-04-19 | 2018-08-07 | 최창훈 | 변기커버를 이용하는 변기용 물내림장치 |
WO2019203458A1 (ko) * | 2018-04-19 | 2019-10-24 | 최창훈 | 변기커버를 이용하는 변기용 물내림장치 |
US11371231B2 (en) | 2018-04-19 | 2022-06-28 | Chang Hun CHOI | Toilet flushing device using toilet cover |
KR20200091205A (ko) | 2019-01-22 | 2020-07-30 | 진명홈바스(주) | 변기용수배출장치 |
KR101985273B1 (ko) | 2019-01-24 | 2019-06-04 | 그린밸류 주식회사 | 양변기용 배수밸브 개폐장치 |
KR102113671B1 (ko) | 2019-08-21 | 2020-05-21 | 손정우 | 용수량제어 변기장치 |
WO2024210403A1 (ko) * | 2023-04-05 | 2024-10-10 | 박종희 | 양변기의 자동 배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171128A1 (ko) | 2017-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1906B1 (ko) |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
KR101653379B1 (ko) |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
KR101163357B1 (ko) | 절수형 양변기 | |
US8136171B2 (en) | Automatic toilet cleaning device | |
JP2016527420A (ja) | 自己水洗トイレアセンブリ及びシステム | |
EP3696334B1 (en) | Sanitary fixture | |
JP6885933B2 (ja) | 自己洗浄式トイレアセンブリおよびシステム | |
KR101683263B1 (ko) |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
US5305472A (en) | Ventilation unit for a toilet | |
KR101382598B1 (ko) | 남성용 소변비산방지장치 | |
KR101670057B1 (ko) | 구동줄을 겸용하는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 |
AU2003274982B2 (en) | Overflow and drain control for a bathtub | |
US4974268A (en) | Chair bathtub | |
KR101588426B1 (ko) | 양변기의 배수 처리장치 | |
US9445696B2 (en) | Sanitary toilet seat and bowl | |
KR101256571B1 (ko) | 소변기의 배수장치 | |
KR200449978Y1 (ko) | 세면기용 배수 트랩 | |
KR101021086B1 (ko) | 자동퇴수밸브장치 | |
KR101853381B1 (ko) | 변기 커버 부착용 소변기 | |
EP2241235B1 (en) | Automatic toilet cleaning device | |
JP4787075B2 (ja) | エアブローノズル | |
JPH0610398A (ja) | 衛生廃棄物処理装置 | |
KR100699232B1 (ko) |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 |
KR200356347Y1 (ko) | 세면대의 배수밸브 자동 개폐장치 | |
CN212815982U (zh) | 柜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