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978Y1 - 세면기용 배수 트랩 - Google Patents

세면기용 배수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978Y1
KR200449978Y1 KR2020080011075U KR20080011075U KR200449978Y1 KR 200449978 Y1 KR200449978 Y1 KR 200449978Y1 KR 2020080011075 U KR2020080011075 U KR 2020080011075U KR 20080011075 U KR20080011075 U KR 20080011075U KR 200449978 Y1 KR200449978 Y1 KR 200449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flange nut
reservoir
coupl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133U (ko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이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춘 filed Critical 이재춘
Priority to KR2020080011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97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1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1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9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용 배수 트랩은, 배수 저류관 조립체; 일단부가 상기 배수관조립체의 상단에 회동자재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배수구와 연결되는 플랜지너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수 저류관 조립체는, 배수 저류관과; 상기 배수 저류관의 내부에서 상하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는 상하 승강부재와; 상기 배수 저류관의 상단에 조립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첫째, 세면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폴리염화비닐(PVC) 호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비용의 소모를 줄이고, 배수 저류관, 상하 승강부재, 결합편을 포함하는 배수 저류관 조립체에 플랜지너트부재가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조립 공수가 크게 감소되고,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배수 저류관에 설치되는 상하 승강부재에 의해 장기간 세면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배출관의 악취가 배수 저류관을 통해 상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세면기, 배수 트랩, 배수 저류관, 배수구, 플랜지너트부재

Description

세면기용 배수 트랩{Draining trap for sink}
본 고안은 세면기용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욕실 등에 설치되는 세면기용 배수 트랩에 있어서, 세면수의 일부를 저류시키는 배수 저류관 내부에 상하로 승강하는 상하 승강부재를 수납시켜서 악취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상기 세면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의 재질 변경을 통해 비용의 소모를 줄이며, 간단한 조립 구조에 의해 제작 및 분해, 조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세면기용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수가 배수되는 세면기용 배수 트랩은 P형과 S형이 있으며, 이러한 배수 트랩은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설치시, 세면기 배수관과 하수관 두 곳에서 너트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이러한 배수 트랩은 P형 및 S형 곡관부에 고여 있는 악취 역류 방지용 물의 양이 많게 되며, 이에 따라 수압이 매우 높으므로 세면수의 배출 속도가 더디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수 트랩은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곡관부에 걸려서 막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됨으로써, 배수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실되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배수 트랩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에 도시된 배수 트랩은 세면기 배수관(110) 하측에 배수 유도관(130)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 유도관(130)은 그 하측으로 세면수가 저류되는 배수 저류관(140)을 개재하여 하수관(미도시)과 연결되며, 배수 유도관(130)의 단차부(160) 하측에는 일측이 개방된 토출구(170)가 형성되어 세면수 배출과 함께, 세면수의 일부를 저류시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70) 저면은 신속한 배수를 위해 경사부(K)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 저류관(140)은 중앙에 세면수가 저류되도록 하는 배수 유입돌기(180)가 돌출되고, 그 하측에는 배수통로(190)가 형성되어 세면수 배출을 위한 배출관(20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고안은 세면기 배수관(110)과 결합너트(120)를 통해 연결되는 배수 유도관(130) 하측으로 토출구(170)를 형성하여, 세면수의 신속한 배수를 유도하면서 머리카락 등과 같이 이물질등이 상기 배수 유도관(130)에 막히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상기 배수 유입돌기(180)에 의해 세면수의 신속한 배수 및 소량의 물에 의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시키며, 세면기 배수관(110)과 동축상으로 배수 유도관(130) 및 배수 저류관(140)이 설치되어 신속한 세면수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고안은 상기 배출관(200)이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되어 이에 따른 비용의 소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세면기 배수관(110)과 배수 유도관(130)이 결합너트(120)를 통해 나사결합되고, 상기 배수 유도관(130)의 단차부(160) 상면과 접촉되는 결합편(210)이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220)가 상기 배수 저류관(140)의 나사부(220')와 나사결합되므로, 조립 및 분해에 따른 시간의 소요와 함께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수 유도관(130)이 배수 저류관(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토출구(170) 하단이 상기 배수 유입돌기(180)의 상단과 약 3㎜의 높이차를 두고 고정된 구조를 가지는 바, 이와 같은 고정식 구조에서는 세면기의 미사용에 의해 세면수가 배수되지 않는 심야 시간의 경우에 상기 배수통로(190)를 통해 배수되지 않는 세면수가 상기 배수 저류관(140)과 배수통로(190) 사이에서 배수되지 않고 있다가 증발되면서 배출관(200)의 악취가 상기 배수통로(190)와, 배수 유입돌기(180)를 통해 상부로 이동한 후, 상기 배수유도관(130)의 토출구(170)와, 상기 세면기 배수관(110)을 통해 세면기 상으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휴가 등에 의해 장기간 세면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수통로(190)를 통해 배수되지 않고 남아 있던 세면수가 배수 저류관(140)과 배수통로(190) 사이에서 배수되지 않고 있다가 증발되므로 집에 귀가한 사용자가 세면기를 사용할 때, 상기 토출구(170)와, 상기 세면기 배수관(110)을 통해 세면기 상으로 악취를 발생시켜서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세면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폴리염화비닐(PVC) 호스로 구성하여 비용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세면기용 배수 트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수 저류관, 상하 승강부재, 결합편을 포함하는 배수 저류관 조립체에 플랜지너트부재가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통해 조립 공수를 감소시키고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면기용 배수 트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 저류관에 설치되는 상하 승강부재에 의해 장기간 세면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배출관의 악취가 배수 저류관을 통해 상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세면기용 배수 트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세면기용 배수 트랩에 있어서, 배수 저류관 조립체; 일단부가 상기 배수관조립체의 상단에 회동자재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배수구와 연결되는 플랜지너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면기용 배수 트랩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배수 저류관 조립체는, 배수 저류관과; 상기 배수 저류관의 내부에서 상하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는 상하 승강부재와; 상기 배수 저류관의 상단에 조립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배수 저류관의 내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배수 저류관의 중앙에 세면수가 저류되는 배수 유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상하 승강부재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서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갖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착된 원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결합편의 상단 외주연에는, 상기 플랜지너트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플랜지너트부재의 하단 내주연에는, 상기 결합편의 걸림턱이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세면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은, 주름관 형태의 폴리염화비닐(PVC) 호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세면기용 배수 트랩에 있어서, 배수 저류관과,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서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 저류관의 내부에서 상하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는 상하 승강부재와, 상기 배수 저류관의 상단에 조립되는 결합편을 포함하 는 배수 저류관 조립체; 일단부가 상기 배수관조립체의 상단에 회동자재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배수구와 연결되는 플랜지너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면기용 배수 트랩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세면기용 배수 트랩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세면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폴리염화비닐(PVC) 호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비용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배수 저류관, 상하 승강부재, 결합편을 포함하는 배수 저류관 조립체에 플랜지너트부재가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조립 공수가 크게 감소되고,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셋째, 배수 저류관에 설치되는 상하 승강부재에 의해 장기간 세면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배출관의 악취가 배수 저류관을 통해 상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용 배수 트랩을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용 배수 트랩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세면기용 배수 트랩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세면기용 배수 트랩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a는 도 4에 도시된 세면기용 배수 트랩에 있어서의 상하 승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C-C선 단면도로서, 도 4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용 배수 트랩은 크게 배수 저류관 조립체와, 상기 배수 저류관 조립체와, 배수구 사이에 연결되는 플랜지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 저류관 조립체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배수 저류관(10)의 본체(10a) 중앙에 세면수가 저류되는 배수 유입돌기(10d)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a)의 외주연 상단에 수나사부(10b)가 형성되며, 본체(10a)의 내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120° 간격으로 가이드홈(10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 승강부재(12)는 도 5, 도 6, 도 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 저류관(10) 내부에서 상하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어지되, 비중이 물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이루어지고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본체(12a)의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10a)의 가이드홈(10c)을 타고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2b)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2a)의 상면에는 중공의 원형구(12c)가 부착되며, 상기 원형구 내부에 에어(air)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결합편(14)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외주연에 후술하는 플랜지너트부재(1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4a)이 형성되고, 내주면 하단에는 상기 배수 저류관(10)의 수나사부(10b)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너트부재(16)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14각 형태로서, 내주면에 배수구(19)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6a)가 형성되고, 플랜지너트부재(16)의 하단 내주연에는, 오링(18)이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편(14)의 걸림턱(14a)이 지지되는 걸림턱(16b)이 형성되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e는 단턱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배출관(30)은 제조 비용이 비교적 저렴한 주름관 형태의 폴리염화비닐(PVC) 호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 저류관(10)의 본체(10a) 내부에 상하 승강부재(12)를 수납시킨다. 즉, 상하 승강부재(12)의 가이드돌기(12b) 를 본체(10)의 가이드홈(10c)에 맞추어 수납시키고, 상기 배수 유입돌기(10d)가 본체(12a)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결합편(14)을 본체(10a)의 수나사부(10b)에 나사결합하여 배수 저류관 조립체를 구성한다.
이후, 상기 플랜지너트부재(16)를 역립시킨 상태에서 상기 결합편(14)의 걸림턱(14a) 형성 부위를 플랜지너트부재(16)와 접촉시키고, 고무망치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배수 저류관(10)의 본체(10a) 하단을 힘껏 타격하면, 상기 걸림턱(14a) 형성 부위가 플랜지너트부재(16)에 삽입된 후 걸림턱(16a)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플랜지너트부재(16)의 밑면은 결합편(14) 상면에서 미끄럼 접촉되면서 회전 자재하게 된다.
이후, 상기 결합편(14)의 걸림턱(14a)과 플랜지너트부재(16)의 걸림턱(16a) 사이에 오링(18)을 끼우고, 상기 플랜지너트부재(16)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플랜지너트부재가 겉도는 상태이므로), 다른 손으로 배수구(19)를 상기 플랜지너트부재(16)의 암나사부(16a)에 일방향으로 돌려서 나사결합한 후, 링크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개폐되는 마개스템(미도시)을 상기 배수구(19) 내부로 삽입하며, 상기 배수 유입돌기(10d)에 배출관(30)을 연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세면기의 사용에 따라 배수되는 세면수는 상기 배수구(19)와, 플랜지너트부재(16), 결합편(14)을 거쳐 상기 본체(10a)의 내주면과 상기 가이드돌기(12b) 사이를 통해 배수 저류관(10)으로 유입되고, 상기 세면수의 유입과 연동하여 상기 상하 승강부재(12)가 본체(10a)의 내면을 타고 상부로 이동하며, 에어가 충진된 원형구(12c)의 부력(浮力) 작용에 의해 상하 승강부재(12)의 상 승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세면수는 상기 배수 유입돌기(10d)와 상기 상하 승강부재 (12) 사이를 통해 배출관(30)으로 신속히 배출되고(도 3의 단면도 참조), 배수 저류관(10) 내부의 물에 의해 악취의 역류가 방지된다.
한편, 세면기의 미사용에 의해 세면수가 배수되지 않는 심야 시간 또는 휴가 등에 의해 장기간 세면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배수 저류관(10) 내부의 물의 양이 감소하면서 상기 상하 승강부재(12)가 자중에 의해 본체(10a)의 내면을 타고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수 유입돌기(10d)의 상부를 밀폐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수 저류관(10) 내부의 물이 증발하더라도 배출관(30)의 악취가 배수 저류관(10)을 통해 상부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세면기를 사용할 때, 세면기 상으로 악취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30)이 폴리염화비닐(PVC) 호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비용의 소모가 감소되고, 배수 저류관 조립체에 플랜지너트부재(16)가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조립 공수가 크게 감소되고,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필요에 따라 배수 저류관 조립체의 내부를 소제하고자 할 때, 상기 플랜지너트부재(16)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는 상기 배수구(19)를 상기 플랜지너트부재(16)의 암나사부(16a)로부터 타방향으로 돌려서 나사결합 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배수구(19)가 플랜지너트부재(16)로부터 간단히 분리되어 소제 가능하므로 배수 저류관 조립체의 보수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실시예 2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용 배수 트랩의 분리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용 배수 트랩은 크게 배수 저류관 조립체와, 상기 배수 저류관 조립체와, 배수구 사이에 연결되는 플랜지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 저류관 조립체는 배수 저류관(20)의 본체(20a) 중앙에 세면수가 저류되는 배수 유입돌기(20d)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0a)의 외주연 상단에 수나사부(20b)가 형성되며, 본체(20a)의 내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120° 간격으로 가이드홈(20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 승강부재(22)는 상기 배수 저류관(20) 내부에서 상하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어지되, 비중이 물보다 적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이루어지고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갖는 본체(22a)의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20a)의 가이드홈(20c)을 타고 이동하는 가이드돌기(2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편(24)은 상단 외주연에 플랜지너트부재(2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4a)이 형성되고, 내주면 하단에는 상기 배수 저류관(20)의 수나사부(20b)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너트부재(26)는 내주면에 배수구(29)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플랜지너트부재(26)의 하단 내주연에는, 오링(28)이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편(24)의 걸림턱(24a)이 지지되는 걸림턱(26b)이 형성되며, 도 면 중 미설명 부호 20e는 단턱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관(30)은 제조 비용이 비교적 저렴한 PVC 호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은 상기한 실시예 1에서의 작용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되며, 다만 실시예 2에서는 상하 승강부재(22)에 도 6에 도시된 원형구(12c)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가이드돌기(22a)가 본체(20a)의 가이드홈(20c)을 통해 승강 작용이 이루어지며, 이때 상하 승강부재(22)가 비중이 물보다 적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부력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면기용 배수 트랩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세면기용 배수 트랩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면기용 배수 트랩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용 배수 트랩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세면기용 배수 트랩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세면기용 배수 트랩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8a는 도 4에 도시된 세면기용 배수 트랩에 있어서의 상하 승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용 배수 트랩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수 저류관 10c : 가이드홈
10d : 배수 유입돌기 12 : 상하 승강부재
12b : 가이드돌기 12c : 원형구
14 : 결합편 14a,16b : 걸림턱
16 : 플랜지너트부재 18 : 오링
19 : 배수구 30 : 배출관

Claims (12)

  1. 세면기용 배수 트랩에 있어서,
    배수 저류관과,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서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갖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본체와 이 본체의 상면에 부착된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중공의 원형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저류관의 내부에서 상하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는 상하 승강부재와, 상기 배수 저류관의 상단에 조립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배수 저류관 조립체; 및
    일단부가 상기 배수 저류관 조립체의 결합편 상단에 회동자재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배수구와 연결되는 플랜지너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배수 저류관의 내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120°등간격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 저류관의 중앙에 세면수가 저류되는 배수 유입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의 상단 외주연에는, 상기 플랜지너트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너트부재의 하단 내주연에는, 상기 결합편의 걸림턱이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세면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은, 주름관 형태의 폴리염화비닐(PVC) 호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배수 트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세면기용 배수 트랩에 있어서,
    배수 저류관과,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서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본체의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 저류관의 내부에서 상하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는 상하 승강부재와, 상기 배수 저류관의 상단에 조립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배수 저류관 조립체; 및
    일단부가 상기 배수 저류관 조립체의 결합편 상단에 회동자재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배수구와 연결되는 플랜지너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배수 저류관의 내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120°등간격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 저류관의 중앙에 세면수가 저류되는 배수 유입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의 상단 외주연에는, 상기 플랜지너트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너트부재의 하단 내주연에는, 상기 결합편의 걸림턱이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세면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은, 주름관 형태의 폴리염화비닐(PVC) 호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용 배수 트랩.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2020080011075U 2008-08-20 2008-08-20 세면기용 배수 트랩 KR200449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075U KR200449978Y1 (ko) 2008-08-20 2008-08-20 세면기용 배수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075U KR200449978Y1 (ko) 2008-08-20 2008-08-20 세면기용 배수 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133U KR20100002133U (ko) 2010-03-03
KR200449978Y1 true KR200449978Y1 (ko) 2010-08-30

Family

ID=4419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075U KR200449978Y1 (ko) 2008-08-20 2008-08-20 세면기용 배수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9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72B1 (ko) 2011-10-11 2013-06-24 서상봉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150057933A (ko) * 2013-11-18 2015-05-28 김창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158B1 (ko) * 2012-02-06 2014-01-08 김보섭 배수 트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178U (ko) * 1998-04-07 1999-11-05 오승일 하수배관용 트랩구조
KR100642313B1 (ko) * 2006-07-20 2006-11-10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배수관 층간 연결설치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178U (ko) * 1998-04-07 1999-11-05 오승일 하수배관용 트랩구조
KR100642313B1 (ko) * 2006-07-20 2006-11-10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배수관 층간 연결설치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72B1 (ko) 2011-10-11 2013-06-24 서상봉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150057933A (ko) * 2013-11-18 2015-05-28 김창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KR101639117B1 (ko) * 2013-11-18 2016-07-12 김창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133U (ko)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044B1 (ko) 배수트랩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200449978Y1 (ko) 세면기용 배수 트랩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CN108487429B (zh) 防堵塞防返水防臭易清洁的地漏
KR200395213Y1 (ko) 세면기용 배수트랩
US5625909A (en) Sanitary appliance with indirect discharge
KR100784857B1 (ko) 유티 오수받이
KR20150003341A (ko) 절수형 좌변기
CN209066553U (zh) 一种具有防臭功能的下水器及水槽
KR102083469B1 (ko) 배수용 트랩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479005Y1 (ko) 청소가 용이한 벽배수관용 배수트랩
KR200348050Y1 (ko)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200463865Y1 (ko) 악취방지트랩
KR101926851B1 (ko) 악취 차단 하수구 마개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KR200313969Y1 (ko) 세면기용 트랩
CN213572212U (zh) 一种可快速拆卸清洗的防臭排水器
CN211447133U (zh) 一种下水器
JP6019279B2 (ja) 排水トラップ
JP2002242254A (ja) 排水トラップ
KR200317103Y1 (ko) 하수구 냄새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