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933A -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933A
KR20150057933A KR1020140025129A KR20140025129A KR20150057933A KR 20150057933 A KR20150057933 A KR 20150057933A KR 1020140025129 A KR1020140025129 A KR 1020140025129A KR 20140025129 A KR20140025129 A KR 20140025129A KR 20150057933 A KR20150057933 A KR 20150057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iding member
clamp
washer
wash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117B1 (ko
Inventor
김창환
김동명
Original Assignee
김창환
김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환, 김동명 filed Critical 김창환
Publication of KR20150057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전문 공구가 없이도 간단하게 배수파이프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비전문가도 간편하게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한 개선된 구조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에 관한것으로, 세면기에 형성된 배수공으로 삽입되고 길이 방향 상단에 상기 배수공의 둘레로 세면기의 바닥부 상면에 걸리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배관부와,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위치한 세면기의 바닥부를 상향 가압하여 상기 배관부를 세면기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세면기의 하부로 노출된 배관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배관부 사이에 위치하여 배관부를 클램핑하며 슬라이딩부재에 걸리며 고정시키는 클램프부재와, 상기 배관부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며 세면기와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하방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슬라이딩부재의 외부로 돌출된 클램프부재의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배관부를 세면기에 설치 및 해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음으로 별도의 전문 공구나 기술이 없이도 간편하게 배수파이프를 설치 및 해체 작업을 할 수 있어 비전문가도 간단하게 배수파이프의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하며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이다.

Description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Drainage pipe assembly for installing washbowl}
본 발명은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기의 물을 배수구를 거쳐 하수구로 유도 배출시키기 위하여 세면기에 설치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기에는 세면 시 발생되는 물을 하수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 세트가 구비된다. 선 출원된 종래 기술에서는 세면기용 배수 세트 구조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면기용 배수 세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면기용 배수 세트 구조는 배수파이프부(10)와, 나사고정부(20)와, 연결파이프부(30)로 이루어진다. 세면기(1)는 수돗물이 저장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용기로서, 용기의 하단 중앙부에 배수를 위한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에 배수파이프부(10)의 배관(11)이 삽입된다. 측방배수공(15)은 길이방향으로 플랜지(13)와 나사부(17)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관(11)에 형성되며, 세면기(1)에 오버플로우된 하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나사고정부(20)는 너트부재(21)가 배관(11)에 구비된 나사부(17)에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체결되어 세면기(1)와 배관(11)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연결파이프부(30)는 금속의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상부 연결파이프(31)와 하부 연결파이프(35) 그리고 상부 연결파이프(31)와 하부 연결파이프(35)의 사이에 결합되며 연질의 재질로 자유롭게 파이프의 위치를 바꿀 수 있는 주름호스부(33)로 이루어지며 배수파이프부(10)와 하수공(3)의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종래의 세면기 설치용 배수 세트의 구조 및 설치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배관(11)을 세면대(1)의 배수공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끼우면 플랜지(13)와 상부배관패킹(11a)이 세면기(1)의 배수공 상부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배관(11)의 하단으로부터 삽입되는 너트부재(21)가 나사부(17)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체결되며 배관와셔(11c)와 하부배관패킹(11b)을 상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세면기(1)와 배관(11)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배관(11)의 해체시에는 너트부재(21)를 배관(11)에 구비된 나사부(17)로부터의 체결을 해제한 후, 배관(11)을 세면대(1)의 배수공으로부터 상향으로 빼내어 일련의 분리 작업이 완료된다.
하지만, 종래의 세면기 설치용 배수 세트는 배관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이 필요하고 매우 강하게 체결되어 있을 시 별도의 전문 공구를 필요로 하게되며, 교체 및 보수 작업이 불편하여,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9796호(2012.04.25)
이와 같은 종래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전문 공구가 없이도 간단하게 배수파이프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교체 및 보수 유지가 간편해진 개선된 구조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는 세면기에 형성된 배수공에 삽입되어 배관부가 세면기의 하부로 노출된 배수관부와, 세면기의 하부로 노출된 배수관부에 결합되어 배수관부가 세면기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관부는 배관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세면기의 배수공 상부에 걸리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중공체인 배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은 세면기의 하부로 노출된 배관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배관부사이에 위치하여 배관부를 클램핑하며 슬라이딩부재에 걸리도록 구비된 클램프부재와, 상기 배관부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며 세면기와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하방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부재는 배관부를 따라 내려온 물을 하수공으로 유도하여 흘려보내는 연결관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부재는 배관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체로써 상기 클램프부재가 돌출되는 측방슬릿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배관부의 하부외측에는 오목하게 배관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배관홈부에 체결되며; 상기 클램프부재는 배관홈부에 위치하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의 양끝단부에서 연장되어 측방슬릿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고정수단은 배관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경사 형성된 와셔턱부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와셔턱부상에 밀착되고 슬라이딩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관부가 삽입되는 클램프와셔와, 상기 배관부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며 세면기와 클램프와셔 사이에 위치하여 클램프와셔와 슬라이딩부재를 하향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고정수단은 배관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경사 형성된 와셔턱부와, 상기 와셔턱부상에 안착된 클램프와셔의 돌출부가 피봇가능하게 삽입되는 피봇부와, 상기 피봇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측방으로 관통된 유격공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상부연결관은 배관부가 삽입 가능한 중공관 형태이며, 상부연결관의 하단에는 연결연장부가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연결연장부의 상부에는 트랩커버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트랩커버는 판상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커버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지지부는 연결연장부 상단의 외경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트랩커버가 연결연장부에 삽입 결합되었을 시, 상기 커버의 하면과 연결연장부의 상단 사이에 유체가 유동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는 별도의 전문 공구나 기술이 없이도 간편하게 배수파이프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므로 비전문가도 용이하게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하고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용 배수 세트 구조를 도시한 측면 일부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세면기용 배수 세트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의 배관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이고,
도 6은 도 5의 변형 예이고,
도 7은 본 발명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에 구비된 슬라이딩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슬라이딩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슬라이딩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에 구비된 클램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은 본 발명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에 구비된 클램프부재에 의한 배관부와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의 배관부와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의 슬라이딩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의 클램프와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는 도31의 상부연결관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는 도 44의 트랩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트랩커버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의 배관부를 도시한 분리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이고, 도 6은 도 5의 변형 예이고, 도 7은 본 발명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에 구비된 슬라이딩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슬라이딩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슬라이딩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에 구비된 클램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에 구비된 클램프부재에 의한 배관부와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의 배관부와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의 슬라이딩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의 클램프와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도 16은 도 3의 상부연결관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는 도 16의 트랩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트랩커버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의 세로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고, 플랜지부에서 패킹부재로의 방향을“하향”으로 패킹부재에서 플랜지부로의 방향을“상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100)은 배수관부(110)와 고정수단(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관부(110)는 세면기(1)의 배수공에 삽입되어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다. 고정수단(120)은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 배수관부(110)에 결합되어 배수관부(110)가 세면기(1)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관부(110)는 플랜지부(113)와, 배관부(111)로 이루어진다. 플랜지부(113)는 배관부(11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세면기(1)의 배수공 상단에 걸리며 밀착되고, 배관부(111)는 플랜지부(113)로부터 하향 연장된 중공체로 이루어진다. 배관부(111)는 단면이 원형인 관체로 이루어진다.
상부패킹(101)은 상기 배관부(111)가 삽입되며 상기 상부패킹(101)의 상면부는 플랜지부(113)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상기 상부패킹(101)의 하면부는 상기 세면기(1)의 배수공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배관부(111)와 배수공 상단의 사이에 하수가 세지 않도록 씰링작용을 한다. 하부패킹(103)은 상기 배관부(111)가 삽입되며 상기 세면기(1)의 배수공 하단에 하부패킹(103)의 상단부가 밀착된다. 상기 하부패킹(103)은 상기 배관부(111)와 배수공 하단부 사이에 하수가 세지 않도록 씰링작용을 한다. 와셔(105)는 상기 배관부(111)가 삽입되며, 상기 와셔(105)의 상면부는 상기 하부패킹(103)의 하면부와 밀착되어 구비되어진다. 상기 와셔(105)는 하면부가 스프링(125)의 상단부와 접촉하여 상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와셔(105)는 상기 스프링(125)의 상향하는 가압력을 상기 하부패킹(10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125)의 상단은 상기 와셔(105)의 하면부와 접촉하며, 와셔(105)를 상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스프링(125)의 하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상단에 접촉하며, 하향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배관부(111)의 플랜지부(113)에 하향으로 잡아당기는 외력이 발생하여 배관부(111)가 세면기(1)에 밀착 결합된다.
상기 고정수단(120)은 슬라이딩부재(121)와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와 배관부(111)를 고정시켜주는 클램프부재(123)와 스프링(1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로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 배관부(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클램프부재(123)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와 배관부(111)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클램프부재(123)는 배관부(111)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배관홈부(115)를 클램핑하며 슬라이딩부재(121)에 걸리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125)으로 상기 배관부(111)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125)은 스프링홈부(1213)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125)은 세면기(1)와 슬라이딩부재(121) 사이에 위치하며 압축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를 하방 가압하여 세면기(1)와 배관부(111)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배관부(111)를 따라 내려온 물을 하수공(3)으로 유도하여 흘려보내는 연결관부(13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부(130)는 슬라이딩부재(121)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부연결관(131)과, 상기 상부연결관(131)의 하단에 연결되는 주름관(133)과, 세면기에서 발생한 수돗물을 하수공으로 유도하기 위한 하부연결관(135) 등 물을 하수구로 흘려보내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관부(130)는 상기 하부연결관(135)에 삽입되는 이음부재(137)와 상기 하수공(3)에 삽입되는 패킹부재(139)를 포함한다. 상기 이음부재(137)는 상기 연결관부(130)와 하수공(3)이 형성된 바닥면과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연결관(131)은 슬라이딩부재(121)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관홈부(1219)에 삽입되어 연결관턱부(1219a)에 밀착고정되는 중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름관(133)은 상부연결관(131)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주름관(133)은 하수구의 위치에 따라 배관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 연질재질의 주름진 중공관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연결관(135)은 상기 주름관(133)의 하단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하수공(3)에 연결되는 중공관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음부재(137)는 하부연결관(135)에 관통삽입되어 설치되고 하부면은 하수공(3)이 형성된 바닥면과 밀착고정되는 링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패킹부재(139)는 상기 하부연결관(135)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이음부재(137)의 하부면에 밀착되며 하부는 하수공(3)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패킹부재(139)는 상기 이음부재(137)와 함께 하수구 외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부(111)는 측방공(117)과 배관홈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측방공(117)은 길이방향으로 플랜지부(113)와 배관홈부(115)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관부(111)에 형성된다. 상기 측방공(117)은 측방으로 관통형성 되어있다. 상기 측방공(117)은 세면기(1)에 오버플로우된 하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홈부(115)는 배관부(111)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배관홈부(115)는 배관부(111)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서로 마주하도록 외측에 나란하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배관부(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체이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에는 상기 클램프부재(123)가 돌출되는 측방슬릿공(1211)이 관통형성 되어있다. 상기 측방슬릿공(1211)은 상기 클램프부재(123)를 조작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이를 통하여 클램핑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내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턱부(1213a)가 형성된다. 상기 턱부(1213a)에는 상기 스프링(125)이 밀착고정 된다. 상기 턱부(1213a)는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되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부재(123)가 설치되는 상기 클램프홈부(1215)는 상기 턱부(1213a)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홈부(1215)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는 O링홈부(12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O링홈부(1217)는 원주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O링홈부(1217)의 내측에는 O링(1217a)이 삽입된다. 상기 O링(1217a)은 상기 배관부(111)와 슬라이딩부재(121)사이에서 씰링작용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최하단부의 내측에는 상기 O링홈부(1217)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연결관턱부(1219a)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턱부(1219a)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내향 돌출되어 볼록하게 구비되어진다. 상기 연결관턱부(1219a)의 턱면은 하향한다. 상기 연결관턱부(1219a)는 상부연결관(131)을 슬라이딩부재(121)에 밀착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부재(123)는 원호부(1231)와 손잡이부(1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호부(1231)는 배관홈부(115)를 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부(1233)는 원호부(1231)의 양끝단부에서 연장되어 측방슬릿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손잡이부(1233)를 가압하면 원호부(1231)가 변형된다. 상기 원호부(1231)의 원호각은 180°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233)는 원호부(123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원호부(1231)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손잡이부(1233)와 원호부(1231)의 단부에서 연장된 접선의 각도는 대략 90°를 이룬다.
상기 미끄럼방지부(1235)는 손잡이부(1233)의 양단에 내각 120°이하로 연장되어 각각 구비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부재(123)는 원호부(1231)가 엇갈린 형태로 변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변형된 클램프부재(123)는 원호부(1231)와 손잡이부(1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호부(1231)는 배관홈부(115)를 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부(1233)는 원호부(1231)의 양 단부에서 연장되어 측방슬릿공(12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원호부(1231)는 양 단부가 서로 교차하여 구비된다. 상기 엇갈린 원호부(1231)의 양단으로 부터 하향 연장되어 손잡이부(1413)가 구비된다. 상기 원호부(123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손잡이부(1233)는 타측의 손잡이부(1233)로 구비되고 상기 원호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손잡이부(1233)는 일측의 손잡이부(1233)로 구비된다. 원호부(1231)의 양 단부가 엇갈리어 만나는 중심에서 연장된 접선과 상기 손잡이부(1233)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90°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도 10의 클램프부재(123)와 반대로 도 11의 변형된 클램프부재(123)는 손잡이부(1233)를 반경 방향 내향 가압하게 되면 원호부(1231)의 직경이 커지게 되어 배관부(111)가 삽입되고 배관홈부(115)에 맞추어 손잡이부(1233)에 반경 방향 내향하는 가압을 해제 하게되면 원호부(1231)의 직경이 작아지며 배관홈부(115)를 클램핑하여 배관부(111)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도 10 및 도 11의 클램프부재(123)는 다른 변형된 형태로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클램프부재(123)의 원호부(1231)는 반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호부(1231)의 반경 방향 중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원호부(1231)의 일단과 타단이 이루는 각은 180°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반원 형태 원호부(123)의 단부는 슬라이딩부재(121)의 내부에 구비된 클램프턱부에 접촉 고정된다. 상기 클램프턱부는 상기 손잡이부(1233)로부터 반경 방향 대향한 위치에 클램프홈부(1215)의 반경 방향 내향하여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턱부는 반원 형태의 원호부(1231)의 길이에 따라 상기 원호부(123)의 단부가 향하는 원주 방향으로 더 치우쳐진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233)는 측방슬릿공(1211)을 관통하여 한개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의 반원 형태의 클램프부재(123)가 장착되었을 시, 상기 손잡이부(1233)를 반경 방향 외향으로 가압하여 배관부(111)가 삽입되는 부분을 넓힌 후 배수파이프가 삽입 하고 배관홈부(115)에 맞추어 손잡이부(1233)에 가압을 멈춤으로써 클램프부재(123)의 탄성에 의하여 원호부(1231)가 배관부(111)의 배관홈부(115)을 클램핑하여 배관부(111)와 슬라이딩부재(121)가 체결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부재(123)의 원호부(1231)가 배관홈부(115)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원호부의 외경은 클램프홈부(1215)의 내측 단부에 걸리며 배관부(111)와 슬라이딩부재(121)가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결합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수단(120)은 슬라이딩부재(121)와, 클램프와셔(124)와, 스프링(125)으로 이루어진다. 하부로 노출되 상기 배관부(111)는 스프링(125), 클램프와셔(124)의 차례로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배관부(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중공체이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상단 내측에는 배관홈(1213b)이 형성된다. 상기 배관홈(1213b)은 배관부(111)와 스프링(125)이 삽입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관홈(1213b)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와셔턱부(1214)가경사 형성된다.
상기 와셔턱부(1214) 상에 상기 클램프와셔(124)가 밀착되며 슬라이딩부재(121)에 피봇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와셔(124)로 상기 배관부(111)가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125)에 상기 배관부(111)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125)은 세면기(1)와 클램프와셔(12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스프링(125)은 클램프와셔(124)와 슬라이딩부재(121)를 하향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를 배관부(11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내부는 와셔턱부(1214)와, 피봇부(1212)와, 유격공(121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와셔턱부(1214)는 상향하며 경사 형성되어 있다. 피봇부(1212)는 상기 와셔턱부(1214)의 가장높은 위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봇부(1212)는 클램프와셔(124)의 돌출부(1243)가 피봇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격공(1216)은 상기 피봇부(1212)와 대향하는 위치에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격공(1216)은 와셔턱부(1214)의 가장 낮은 위치의 상부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유격공(1216)은 클램프와셔(124)의 연장돌출부(1245)가 상, 하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격공(1216)을 통한 클램프와셔(124)의 조작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를 알맞은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와셔턱부(1214)는 피봇부(1212)와 유격공(1216)의 하단부에 형성된다.상기 와셔턱부(1214)상에 클램프와셔(124)가 상기 스프링(125)에 의해 하향 밀착되어 거치된다. 상기 와셔턱부(1214)는 원주방향으로 비스듬이 내향 연장되며 볼록하게 구비되어진다. O링홈부(1217)는 상기 와셔턱부(1214)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O링홈부(1217)의 내측은 O링(1217a)이 고정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턱부(1219a)는 상기 O링홈부(1217)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턱부(1219a)는 상기 상부연결관(131)이 밀착결합 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볼록하게 구비되어진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와셔(124)는 슬라이딩부재(121)의 내부에 구비된 와셔턱부(1214)상에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와셔(124)는 와셔부(1241)와, 돌출부(1243)와, 연장돌출부(1245)와, 홀(1247)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셔부(1241)는 상기 배관부(111)에 접촉하여 슬라이딩부재(12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부(1243)는 상기 피봇부(1212)에 삽입되며 피봇작용의 중심점 역할을 한다. 연장돌출부(1245)는 상기 피봇부(1212)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연장된다. 연장돌출부(1245)는 상기 클램프와셔(124)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한다. 상기 홀(1247)은 상기 와셔부(1241)의 중앙부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와셔부(1241)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21) 내측의 와셔턱부(1214)상에 설치된다. 상기 와셔부(1241)에 상기 배관부(111)가 삽입되고 상기 연장돌출부(1245)를 통해 수평조작 된다. 그 후 상기 스프링(125)의 하향팽창에 의해 수평 방향에서 대각선 방향으로의 자세변형으로 인한 상기 홀(1247)의 지름이 축소된다. 따라서, 상기 홀(1247)의 내경이 상기 배관부(111)의 외경에 접촉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121)가 고정된다. 상기 돌출부(1243)는 상기 와셔부(1241)의 단부에서 사각형의 형태로 돌출 연장되어있다. 상기 연장돌출부(1245)는 상기 돌출부(1243)에 대향하여 사각형의 형태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홀(1247)은 상기 와셔부(1241)의 중앙에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홀(1247)에 상기 배관부(111)가 삽입되도록 하는 원의 형태 또는 상기 배관부(111)의 형태와 모양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1247)은 상기 배관부(111)의 형상에 관계없이 배관부(111)의 외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를 안정적으로 배관부(111)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관(131)은 배관부(111)가 삽입 가능한 중공관 형태이다. 상부연결관(131)의 하단에는 연결연장부(1311)가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연결연장부(1311)의 상부에는 트랩커버(132)가 삽입 결합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랩커버(132)는 판상의 커버(1321)와 상기 커버(1321)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구비되는 커버지지부(13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지지부(1322)는 연결연장부(1311) 상단의 외경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1321)를 지지한다. 상기 커버지지부(1322)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지지부(1322)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부연결관(131)의 길이 방향 바닥면으로 부터 상향 연장된 연결연장부(1311)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상기 트랩커버(132)가 연결연장부(1311)에 삽입 결합되었을 시, 상기 커버(1321)의 하면과 연결연장부(1311)의 상부 사이에 유체가 유동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하수가 하수공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관(131)에 하수가 흐르지 않을 시, 상부연결관(131)의 내부에 구비된 트랩커버(132)로 인하여 상부연결관(131)의 내부에 남은 하수는 트랩커버(132)와 연결연장부(1311)의 상부 사이에 수용되게 됨으로써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막아 하수구로부터의 이물, 악취, 벌레 등이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101 : 상부패킹 103 : 하부패킹
105 : 와셔 110 : 배수관부
111 : 배관부 113 : 플랜지부
115 : 배관홈부 117 : 측방공
120 : 고정수단 121 : 슬라이딩부재
1211 : 측방슬릿공 1212 : 피봇부
1213 : 스프링홈부 1213a : 턱부
1213b : 배관홈 1214 : 와셔턱부
1215 : 클램프홈부 1216 : 유격공
1217 : O링홈부 1217a : O링
1219 : 연결관홈부 1219a : 연결관턱부
123 : 클램프부재 1231 : 원호부
1233 : 손잡이부 1235 : 미끄럼방지부
124 : 클램프와셔 1241 : 와셔부
1243 : 돌출부 1245 : 연장돌출부
1247 : 홀 125 : 스프링
130 : 연결관부 131 : 상부연결관
132 : 트랩커버 133 : 주름관
135 : 하부연결관 137 : 이음부재
139: 패킹부재

Claims (9)

  1. 세면기(1)의 배수공에 삽입되어 배관부(111)를 상기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시키는 배수관부(110)와,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 배수관부(110)에 결합되어 배수관부(110)가 세면기(1)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관부(110)는 배관부(111)의 상단에 구비되어 세면기(1)의 배수공 상부에 걸리는 플랜지부(113)와, 플랜지부(113)로부터 하향 연장된 중공체인 배관부(111)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120)은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 배관부(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재(121)와,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와 배관부(111)사이에 위치하여 배관부(111)를 클램핑하며 슬라이딩부재(121)에 걸리도록 구비된 클램프부재(123)와, 상기 배관부(111)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며 세면기(1)와 슬라이딩부재(12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를 하방 가압하는 스프링(1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배관부(111)를 따라 내려온 물을 하수공(3)으로 유도하여 흘려보내는 연결관부(13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100).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배관부(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체로써 상기 클램프부재(123)가 돌출되는 측방슬릿공(1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100).
  4. 제1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111)의 하부 외측에는 오목하게 배관홈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부재(123)는 상기 배과나홈부(115)에 체결되며; 상기 클램프부재(123)는 배관홈부(115)에 위치하는 원호부(1231)와, 상기 원호부(1231)의 양끝단부에서 연장되어 측방슬릿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1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100).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20)은 배관부(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경사 형성된 와셔턱부(1214)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121)과, 상기 와셔턱부(1214)상에 밀착되고 슬라이딩부재(121)에 피봇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관부(111)가 삽입되는 클램프와셔(124)와, 상기 배관부(111)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며 세면기(1)와 클램프와셔(124) 사이에 위하여 클램프와셔(124)와 슬라이딩부재(121)를 하향 가압하는 스프링(1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100).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20)은 배관부(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경사 형성된 와셔턱부(1214)와, 상기 와셔턱부(1214)상에 안착된 클램프와셔(124)의 돌출부(1243)가 피봇가능하게 삽입되는 피봇부(1212)와, 상기 피봇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측방으로 관통된 유격공(1216)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100).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관(131)은 배관부(111)가 삽입 가능한 중공관 형태이며, 상부연결관(131)의 하단에는 연결연장부(1311)가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연결연장부(1311)의 상부에는 트랩커버(132)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100).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커버(132)는 판상의 커버(1321)와 상기 커버(1321)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커버지지부(13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지지부(1322)는 연결연장부(1311) 상단의 외경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1321)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100).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커버(132)가 연결연장부(1311)에 삽입 결합되었을 시, 상기 커버(1321)의 하면과 연결연장부(1311)의 상단 사이에 유체가 유동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100).
KR1020140025129A 2013-11-18 2014-03-03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KR101639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9981 2013-11-18
KR1020130139981 2013-11-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632A Division KR20160002616A (ko) 2015-12-14 2015-12-14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933A true KR20150057933A (ko) 2015-05-28
KR101639117B1 KR101639117B1 (ko) 2016-07-12

Family

ID=5339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129A KR101639117B1 (ko) 2013-11-18 2014-03-03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1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083B1 (ko) * 2015-07-22 2017-01-12 김창환 배수트랩
WO2017014547A1 (ko) * 2015-07-22 2017-01-26 김창환 세면기용 배수밸브 어셈블리 및 배수트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33436Y (zh) * 2009-04-22 2010-03-31 吴伟森 一种洗手盆下水器水管快速连接装置
KR200449978Y1 (ko) * 2008-08-20 2010-08-30 이재춘 세면기용 배수 트랩
KR200459796Y1 (ko) 2010-07-22 2012-05-04 황호경 세면대용 배수 세트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978Y1 (ko) * 2008-08-20 2010-08-30 이재춘 세면기용 배수 트랩
CN201433436Y (zh) * 2009-04-22 2010-03-31 吴伟森 一种洗手盆下水器水管快速连接装置
KR200459796Y1 (ko) 2010-07-22 2012-05-04 황호경 세면대용 배수 세트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083B1 (ko) * 2015-07-22 2017-01-12 김창환 배수트랩
WO2017014547A1 (ko) * 2015-07-22 2017-01-26 김창환 세면기용 배수밸브 어셈블리 및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117B1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753Y1 (ko) 회전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용 연결 조인트
KR101639117B1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KR200409569Y1 (ko) 상부에서 수전설치가 가능토록 된 고정구
KR101354687B1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TWI558356B (zh)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basin
KR200386397Y1 (ko) 유체이송관의 분기소켓 설치구조
KR20160002616A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JP2011226631A (ja) 蛇口用給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100742531B1 (ko) 수도전 고정구
KR101354685B1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KR20140146027A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200465364Y1 (ko) 배수관용 배수 트랩의 조립체
CN209798918U (zh) 排水塞连动装置
CN107990071B (zh) 一种用于龙头置换的快拆组件
KR102077282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KR101354686B1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KR200391150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JP4916674B2 (ja) 配管固定具
JP2006118224A (ja) 槽体の排水器
WO2021058237A1 (en) Adjustable plumbing trap with shut off valve
KR101677666B1 (ko) 세면대용 수도전 설치장치 및 방법
KR20190000034U (ko) 세면대의 자동팝업 배관 체결장치
KR102453350B1 (ko) 세면대용 배수관 어셈블리
RU2219314C2 (ru) Сифон сантехническ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