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282B1 -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282B1
KR102077282B1 KR1020180026496A KR20180026496A KR102077282B1 KR 102077282 B1 KR102077282 B1 KR 102077282B1 KR 1020180026496 A KR1020180026496 A KR 1020180026496A KR 20180026496 A KR20180026496 A KR 20180026496A KR 102077282 B1 KR102077282 B1 KR 102077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trap
pipe
inlet
sink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865A (ko
Inventor
이병열
Original Assignee
이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열 filed Critical 이병열
Priority to KR1020180026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28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하수의 악취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트랩(미도시)이 내재된 배수 트랩의 하체(20)와, 배수 트랩의 하체(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체(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체(30)는 상부에 파이프(10)가 인입되기 위한 원통형의 인입구(32), 인입구(32)의 하부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4), 연장부(34)의 단부로부터 인입구(32)에 평행하게 연장된 원통형의 내측벽(36), 및 연장부(34)에서 하체(20)로 연통되도록 통공된 복수개의 관통홀(38)로 이루어지는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Pipe connecting device of a drain trap for a washhand stand}
본 발명은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대용 배수트랩에 연결되는 파이프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의 배수트랩에는 악취의 역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P형 또는 S형의 곡관으로 이루어지고 세면기쪽 배수관과 하수관측 사이에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되는 배수트랩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P형 또는 S형의 곡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수트랩은 곡관부에 상당한 양의 물이 담겨져 악취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세면수의 배출속도를 더디게 하고 이물질이 막히는 등으로 배수기능이 저하되며, 해체하지 않고서는 내부 상황을 살필 수 없고, 해체시에는 너트를 풀어내야 되는 등이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면기용 배수트랩이 실용신안등록 제20-0223970호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세면기용 배수트랩(10)은 세면대의 배수구로 연결되는 연결관이 끼워지는 상체(11), 상기 상체(11)와 결합되며 하방 외측에 배수관 연결 돌출관부와 내부로 역류방지용 돌출관부(12a)가 형성되는 하체(12), 상기 하체(12)와 상체(11)의 결합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외측에 다수의 배출공(13a)이 형성되고 하방으로 역류방지를 위한 돌출관부(13b)가 형성된 역류방지구(1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세면기용 배수트랩(10)은 상기 역류방지구의 돌출관부(13b)와 하체의 역류방지용 돌출관부(12a)에 의하여 형성된 수봉부에 의하여 악취의 역유입이 차단되며,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해체가 간편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상체(11)에 대하여 삽입되어 결합되는 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들 사이의 공차로 인하여 악취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체(11)와 파이프 사이에 고무 패킹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시도가 있으나, 이 경우 고무 패킹의 재질 특성으로 인하여 고무패킹과 파이프 사이의 상당한 마찰력이 발생됨으로써 상체(11)에 파이프를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체(11)에 대하여 파이프의 긴밀한 접속을 위한 구성은 복수개의 부품들을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경우 제조원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대하여 출원인은 특허 제1677158호와 관련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미도시)에 결합되는 파이프(10)에 결합되어 배수되는 하수의 악취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의 배수 트랩(20)에 있어서, 외측면에는 나사산(23)을 가지며 상부 입구 내측에 경사진 경사면(21)으로부터 연장된 원통형의 내주면(24)을 가진 배수 트랩(20)의 상체(20A), 내주면에는 파이프(10)가 삽입되며 상측에는 상체(20A)의 상면(22)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턱(31)의 안쪽으로부터 연장된 원통형의 삽입부(32)와 그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진 변형 밀착부(33)를 가진 탄성 밀착부(30), 및 파이프(10)가 내주면(41)에서 관통되며 상체(20A)의 나사산(23)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42)을 가진 결합구(40)를 포함하며, 탄성 밀착부(30)는 결합구(40)와 상체(20A)의 나선 결합에 의하여 탄성 밀착부(30)의 변형 밀착부(33)의 외경(Reo)이 상체(20A)의 내경(Ri)으로 가변되는 탄성적 성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특허 기술에 의하면 악취 제거에 효과적이지만, 조립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연결부위에서 낙수가 외부로 흘러 나오는 문제점이 있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조립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에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와 배수 트랩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하수의 악취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트랩(미도시)이 내재된 배수 트랩의 하체(20)와, 배수 트랩의 하체(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체(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체(30)는 상부에 파이프(10)가 인입되기 위한 원통형의 인입구(32), 인입구(32)의 하부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4), 연장부(34)의 단부로부터 인입구(32)에 평행하게 연장된 원통형의 내측벽(36), 및 연장부(34)에서 하체(20)로 연통되도록 통공된 복수개의 관통홀(38)로 이루어지는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여기서, 인입구(32)의 내주면과 내측벽(36) 사이에 마련된 삽입홈(32a)은 파이프(10)의 벽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내측벽(36)이 하면으로 갈수로 삽입홈(32a)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34)로부터 인입구(32)의 높이는 연장부(34)로부터 내측벽(36)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홀(38)이 연장부(34)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벽(36)의 하측부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조립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에서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파이프와 배수 트랩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특허출원 제1677158호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의 분해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 3의 A 부분에 대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 3의 A 부분에 대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의 분해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 3의 A 부분에 대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 3의 A 부분에 대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는 하수의 악취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트랩(미도시)이 내재된 배수 트랩의 하체(20)와, 배수 트랩의 하체(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체(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체(30)는 상부에 파이프(10)가 인입되기 위한 원통형의 인입구(32), 인입구(32)의 하부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4), 연장부(34)의 단부로부터 인입구(32)에 평행하게 연장된 원통형의 내측벽(36), 및 연장부(34)에서 하체(20)로 연통되도록 통공된 복수개의 관통홀(38)로 이루어진다.
이 때, 인입구(32)의 내주면과 내측벽(36) 사이의 공간인 파이프 삽입홈(32a)이 마련되며, 파이프 삽입홈(32a)의 하측면에는 연장부(34)가 제공된다.
인입구(32)의 내주면과 내측벽(36) 사이에 마련된 삽입홈(32a)은 파이프(10)의 벽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벽(36)이 하면으로 갈수로 삽입홈(32a)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인입구(32)의 내주면과 내측벽(36)의 외주면 사이에 마련된 연장부(34)에는 하체(20)로 연통되도록 통공된 복수개의 관통홀(38)이 구비된다.
한편, 연장부(34)로부터 인입구(32)의 높이는 연장부(34)로부터 내측벽(36)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의 단부가 인입구(32)와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벽(36)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연장부(34)에 안착됨과 동시에 경사진 내측벽(36)의 외측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하여 파이프(10)가 인입구(32)의 내주면과 내측벽(36)의 외주면에 대하여 긴밀하게 결합된다.
한편, 연장부(34)로부터 인입구(32)의 높이는 연장부(34)로부터 내측벽(36)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파이프(10)로부터 흘러오는 하수가 내측벽(36)의 내면을 따라 용이하게 흐르며 그에 따라 하수가 인입구(32)의 외주면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의하면, 연장부(34)에 구비된 관통홀(38)이 하체(20)와 통공되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10)가 인입구(32)와 내측벽(36) 사이의 삽입홈(32a)에 삽입될 때 파이프(10)와의 긴밀성으로 인하여 삽입에 따른 공기압으로 인하여 정확한 파이프(10)와 상체(30)의 결합을 방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의하면, 파이프(10)가 삽입홈(32a)에 삽입될 때 인입구(32)와 내측벽(36)의 긴밀성으로 삽입홈(32a) 내에 삽입 저항을 가지는 공기압을 제거함으르써 정확하게 파이프(10)가 삽입홈(32a)에 삽입되어 정확하고 긴밀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달리, 관통홀(38)이 연장부(34)에만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연장부(34)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벽(36)의 하측부까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관통홀(38)이 연장부(34)에서 내측벽(36)의 하측벽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파이프(10)의 단부(12)가 절단 가공 공정에서 테퍼지게 처리되어 파이프(10)의 단부가 접하는 삽입홈(32a) 내에서 하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역류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 파이프
20: 하체
30: 상체
32: 인입구
34: 연장부
36: 내측벽
38: 관통홀

Claims (4)

  1.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하수의 악취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트랩(미도시)이 내재된 배수 트랩의 하체(20)와, 배수 트랩의 하체(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체(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체(30)는 상부에 파이프(10)가 인입되기 위한 원통형의 인입구(32), 인입구(32)의 하부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4), 연장부(34)의 단부로부터 인입구(32)에 평행하게 연장된 원통형의 내측벽(36), 및 연장부(34)에서 하체(20)로 연통되도록 통공된 복수개의 관통홀(3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인입구(32)의 내주면과 내측벽(36) 사이에 마련된 삽입홈(32a)은 파이프(10)의 벽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장부(34)로부터 인입구(32)의 높이는 연장부(34)로부터 내측벽(36)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관통홀(38)이 연장부(34)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벽(36)의 하측부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 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KR1020180026496A 2018-03-06 2018-03-06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KR102077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496A KR102077282B1 (ko) 2018-03-06 2018-03-06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496A KR102077282B1 (ko) 2018-03-06 2018-03-06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865A KR20190105865A (ko) 2019-09-18
KR102077282B1 true KR102077282B1 (ko) 2020-02-13

Family

ID=6807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496A KR102077282B1 (ko) 2018-03-06 2018-03-06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693B1 (ko) * 2022-06-04 2022-10-06 주식회사 에스엠지 배수관 연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4273A (ja) 1998-08-28 2000-03-14 Noriatsu Kojima 排水管接続用パッキン
KR200188214Y1 (ko) 2000-01-29 2000-07-15 김을복 씽크 하수관용 봉수 트랩
US20040158917A1 (en) 2003-02-19 2004-08-19 Mehmet Mercan Separate trapway for floor mounted bottom-outlet water close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095A (ko) * 2010-02-08 2011-08-17 김대현 관 연결구조
KR20110092094A (ko) * 2010-02-08 2011-08-17 김대현 관 연결구조
KR20120006296A (ko) * 2010-07-12 2012-01-18 황광진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200480792Y1 (ko) * 2014-12-08 2016-07-07 김기옥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4273A (ja) 1998-08-28 2000-03-14 Noriatsu Kojima 排水管接続用パッキン
KR200188214Y1 (ko) 2000-01-29 2000-07-15 김을복 씽크 하수관용 봉수 트랩
US20040158917A1 (en) 2003-02-19 2004-08-19 Mehmet Mercan Separate trapway for floor mounted bottom-outlet water clo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865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707B1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KR102077282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KR200461032Y1 (ko) 싱크대용 배수트랩
KR101935790B1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20090129283A (ko) 이음관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102323048B1 (ko) 심장판막 원리를 이용한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KR20200073466A (ko)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JP2012180656A (ja) 逆流防止弁
JP2014084699A (ja) 逆流防止弁部材
KR101639117B1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KR200465364Y1 (ko) 배수관용 배수 트랩의 조립체
KR101677158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KR101920560B1 (ko) 분리캡이 구비된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CN213709740U (zh) 一种下水管组件
KR101376799B1 (ko) V형 파이프 이음관
KR20080084223A (ko) 하수용 배수트랩
KR101945033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하부구조
KR101694497B1 (ko) 역류차단 기능이 강화된 배수관과 트랩관의 체결장치
JP5200254B2 (ja) 接続構造
KR200305388Y1 (ko) 배수용 트랩
KR20230027571A (ko) 트랩배관용 연장형 체결어댑터
KR200289257Y1 (ko) 배수호스와 배수관의 연결구
KR200482163Y1 (ko) 싱크대 배수호스용 멀티 커플링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