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466A -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3466A KR20200073466A KR1020180161638A KR20180161638A KR20200073466A KR 20200073466 A KR20200073466 A KR 20200073466A KR 1020180161638 A KR1020180161638 A KR 1020180161638A KR 20180161638 A KR20180161638 A KR 20180161638A KR 20200073466 A KR20200073466 A KR 202000734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ing
- drainage
- unit
- space
- malod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은, 배수구에 설치되어 배수는 가능하도록 하되, 배수관을 통해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유닛으로,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수관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를 위한 배수공간을 제공하는 공간제공부; 상기 공간제공부의 일측을 양분하여 정의되는 제1 일측 및 제2 일측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접근하도록 연장됨 - ; 및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각각으로부터 연장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는, 비배수 상태인 경우, 사이에 존재하는 배수물에 의한 수막 현상으로 인해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배수 상태인 경우, 상기 배수공간을 통과하는 배수물에 의해 배출공간이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물이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물을 신속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배수관을 통해 악취 등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에 대한 것이다.
가정이나 호텔 등의 싱크대, 욕실 또는 베란다 등의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수구를 통해 배수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수구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배수관은 최종적으로 정화조로 연결되게 되며, 배수물은 상기 배수관을 통과하여 정화조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배수구에는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악취 역류 방지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147044호에는 배수구에 남아 있는 물의 부력으로 승강되고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배수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47044호에 의하면,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서 사용한 하수가 배수트랩 본체의 덮개를 통과하여 배수구로 유입된 후, 수위유지구에 채워지게 되며, 이러한 하수의 지속적 유입시 상기 차단판이 배수구로부터 분리되어 하향이동케 됨으로써 하수관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배수구 안으로의 하수 유입이 멈춰지면 수위유지구 안으로 일부의 하수가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때 차단판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단판 상면의 자성체가 배수구 저면에 구비된 금속판(또는 자성체)에 들러붙게 됨으로써, 배수구의 저면(출구)으로부터 올라오는 악취 등의 냄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트랩은 하수에 섞여 함께 배수되는 머리카락 및 각종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이 상기 차단판 위에 계속 적치되고 수위유지구 내부에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면 차단판이 승강 작용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 경우 차단판에 의한 배수구 저면의 봉쇄가 불가능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에 설치되고 배수물의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은, 배수구에 설치되어 배수는 가능하도록 하되, 배수관을 통해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유닛으로,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수관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를 위한 배수공간을 제공하는 공간제공부; 상기 공간제공부의 일측을 양분하여 정의되는 제1 일측 및 제2 일측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접근하도록 연장됨 - ; 및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각각으로부터 연장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는, 비배수 상태인 경우, 사이에 존재하는 배수물에 의한 수막 현상으로 인해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배수 상태인 경우, 상기 배수공간을 통과하는 배수물에 의해 배출공간이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물이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의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는, 사이에 배수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간극이 제공되도록 서로 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의 상기 제1 차단부는, 비배수 상태인 경우, 끝단이 상기 제2 차단부의 끝단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간극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의 상기 제1 차단부는, 상기 배수물에 의한 상태 변화가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배출공간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상기 제2 차단부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는,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이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이 상기 배수공간을 통과하는 배수물에 의해 상기 배수관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간제공부에 삽입되는 형태유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은, 상기 공간제공부가 상기 배수관 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제공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수구의 주변부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태유지유닛은, 상기 공간제공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배수구의 주변부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배수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배수공간을 통과하는 배수물에 의한 와류를 유도하여 상기 배수물의 배출을 원활히 하는 와류유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상기 형태유지유닛은, 상기 삽입부 및 상기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와류유도부를 연결하여 상기 와류유도부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상기 와류유도부는, 상기 연결부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의 사이의 소정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가 상기 배수물에 의한 상태 변화가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배출공간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에 의하면, 배수 상태인 경우에는 배수물이 배출되도록 하되, 비배수 상태에서는 배수관을 통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악취의 역류 방지를 위한 구성요소를 최소화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를 구현하여 단가 및 시공비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배수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제공되는 형태유지유닛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악취 역류 방지 장치의 개략분해사시도 및 개략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배수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제공되는 형태유지유닛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악취 역류 방지 장치의 개략분해사시도 및 개략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이다.
또한,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배수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100)는 배수구(10)에 설치되어 배수는 가능하도록 하되 배수관(20)을 통해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 및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이 상기 배수구(10)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이 상기 배수공간(S1)을 통과하는 배수물(W)에 의해 상기 배수관(20)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태유지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장치(100)는 2개의 구성요소로 만으로도 구현 가능하여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10)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설치가 완료될 수 있으므로, 설치가 간단하여 시공비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에 대해 우선적으로 설명하고, 이후에 형태유지유닛(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은 고무, 실리콘 등의 연성 또는/및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력에 의한 상태 변화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은 배수구(10)를 통해 배수관(20)에 삽입되는 공간제공부(112), 상기 공간제공부(11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16) 및 상기 연장부(116)로부터 연장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차단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은 상기 공간제공부(11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안착부(114)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공간제공부(112)는 배수를 위한 배수공간(S1)을 제공할 수 있으며, 대략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공간제공부(112)는 배수관(20)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공간제공부(112)의 외면과 배수관(20)의 내면이 서로 밀착되게 하여, 상기 공간제공부(112)와 상기 배수관(20) 사이로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공간제공부(112)의 외경과 상기 배수관(20)의 내경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오차에 의해 상기 공간제공부(112)의 외면과 배수관(20)의 내면 사이에 소정 크기의 공간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라도 안착부(114)가 배수구(10)의 주변부에 안착되어 상기 소정 크기의 공간이 실내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4)는 상기 공간제공부(112)가 상기 배수관(20) 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제공부(11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수구(10)의 주변부에 안착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4)는 상기 공간제공부(112)의 타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안착부(114)는 반드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사각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연장부(116)는 상기 공간제공부(112)의 일측을 양분하여 정의되는 제1 일측 및 제2 일측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장부(116a) 및 제2 연장부(116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장부(116a) 및 상기 제2 연장부(116b)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접근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부(118)는 상기 제1 연장부(116a) 및 상기 제2 연장부(116b) 각각으로부터 연장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차단부(118a) 및 제2 차단부(118b)를 구비할 수 있다.
비배수 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118a) 및 상기 제2 차단부(118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배수관(20)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S1)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배수 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118a) 및 상기 제2 차단부(118b)는 사이에 존재하는 배수물에 의한 수막 현상으로 인해 상기 배수관(20)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S1)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 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118a) 및 상기 제2 차단부(118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공간(S1)을 통과하는 배수물(W)에 의해 서로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배수물(W)이 상기 배수관(2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간(S2)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간(S2)은 비배수 상태에서는 제공되지 않다가 배수 상태에서 비로소 상기 제1 차단부(118a) 및 상기 제2 차단부(118b)의 상태 변화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으로, 상기 배출공간(S2)은 상기 배수공간(S1)을 통과하는 배수물(W)의 중량, 및 재질의 연성 정도 또는 탄성 정도에 기초하여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제공부(112)는 배수 상태에서의 배수 정체를 차단하도록 배수공간(S1)의 공간적인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이 일정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100)는 형태유지유닛(120)으로 인해 상기와 같은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이 배수구(10)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이 배수물(W)에 의해 배수관(20)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성 및/또는 탄성이 있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배수구(1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경우 작은 외력에 의해서 안착부(114)가 상태가 변하여 배수관(20)으로 빨려 들어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공간제공부(112)에 삽입되는 형태유지유닛(120)으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형태유지유닛(120)은 소정의 강도를 가진 플라스틱 및/또는 스테인레스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삽입부(122), 가압부(124) 및 와류유도부(126)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22)는 상기 공간제공부(112)에 삽입되는 구성요소로, 대략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공간제공부(112)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삽입부(122)의 외경은 상기 공간제공부(112)의 내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22)가 상기 공간제공부(112)에 삽입되는 경우 억지끼움의 방식으로 삽입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삽입부(122)가 억지낌움 방식으로 상기 공간제공부(11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공간제공부(112)는 탄성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압부(124)는 상기 삽입부(122)의 타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122)가 상기 공간제공부(11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안착부(114)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부(114)를 상기 배수구(10)의 주변부를 향해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24)는 대략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판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와류유도부(126)는 배수공간(S1)을 향해 돌출되어 배수물(W)이 상기 배수공간(S1)을 통과하는 배수물에 의한 와류를 유도하여 상기 배수물(W)의 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연결부(128)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부(128)는 상기 삽입부(122) 및 상기 가압부(124)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와류유도부(126)를 연결하여 상기 와류유도부(126)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연결부(128)가 상기 삽입부(122)와 상기 가압부(124)의 경계에 연결된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128)는 배수물(W)이 배수공간(S1)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류유도부(126)는 상기 연결부(128)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S1)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류유도부(126)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핀 형상일 수 있으나, 상기 배수공간(S1)을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는 역 원뿔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와류유도부(126)는 상기 배수공간(S1)으로 배수물(W)이 유입되는 경우, 전술한 와류 유도 기능 이외에 상기 배수물(W)이 상기 배수공간(S1)의 중앙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도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배수 상태 시 효과적으로 배출공간(S2)이 제공되도록 하여, 배수 상태에서의 배수 정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100)는 비배수 상태인 경우, 제1 차단부(118a)와 제2 차단부(118b)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배수물의 수막 현상으로 인하여 배수관(20)으로부터 배수공간(S1)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실내로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 봉쇄할 수 있다.
반면에, 배수 상태인 경우, 제1 차단부(118a)와 제2 차단부(118b)는 배수물(W)에 의해 자연스럽게 서로 멀어져 배출공간(S2)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공간(S2)을 통해 배수물(W)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210)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악취 역류 방지 유닛(220)과 비교할 때, 제1 차단부(218a) 및 제2 차단부(218b)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차단부(218a) 및 상기 제2 차단부(218b)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210)에 제공되는 상기 제1 차단부(218a) 및 상기 제2 차단부(218b)는, 사이에 배수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간극(S3)이 제공되도록, 서로 비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부(218a) 및 상기 제2 차단부(218b)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S3)은, 배수 시, 배수물의 적은 양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차단부(218a)와 상기 제2 차단부(218b)의 상태 변화가 용이하도록 하여 배출공간(S2)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차단부(218a) 및 상기 제2 차단부(218b)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S3)은, 배수 시, 배수물의 적은 양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차단부(218a)와 상기 제2 차단부(218b)가 서로 멀어지게 되어 배출공간(S2)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210)은 상기 간극(S3)으로 인하여 배출공간(S2)의 제공이 원활해져 적은 양의 배수물도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결국, 배수공간(S1)에 배수물이 남게 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배수물에 의한 악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비배수 시, 상기 간극(S3)은 배수물에 의한 수막 현상에 의해 메워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배수관으로부터 배수공간(S1)으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310)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제1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210)과 비교할 때, 제1 차단부(318a) 및 제2 차단부(318b)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차단부(318a) 및 상기 제2 차단부(318b)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차단부(318a)는 상기 제2 차단부(318b)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배수물에 의한 상태 변화가 상기 제2 차단부(318b)보다 용이하도록 하여 배출공간(S2)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차단부(318a)는, 배수 시, 배수물의 적은 양에도 불구하고 상태 변화가 용이해져 배출공간(S2)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적은 양의 배수물도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배수공간(S1)에 배수물이 남게 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배수물에 의한 악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310)은 상기 제1 차단부(318a)가 상기 제2 차단부(318b)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차단부(318a)와 상기 제2 차단부(318b) 사이에 제공되는 간극(S3)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부(318a)와 상기 제2 차단부(318b)는 일체로 형성되므로, 필연적으로 상기 제1 차단부(318a)와 상기 제2 차단부(318b)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318c)이 발생될 수 밖에 없으며, 상기 연결되는 부분(318c)은 제조 상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밖에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차단부(318a)와 상기 제2 차단부(318b) 모두가 얇게 형성된다고 하면, 사이에 제공되는 간극(S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상기 연결되는 부분(318c)에 의해 커질 수 밖에 없게 되며, 이는 악취 역류 방지라는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고자, 상기 제1 차단부(318a)와 상기 제2 차단부(318b) 모두를 두껍게 형성하면, 이는 적은 양의 배수물에 의한 상태 변화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결국, 제2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310)은 제1 차단부(318a)의 두께를 제2 차단부(318b)의 두께보다 작게 하여,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차단부(318a)가 상기 제2 차단부(318b)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410)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제1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210)과 비교할 때, 제1 차단부(418a) 및 제2 차단부(418b)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차단부(418a) 및 상기 제2 차단부(418b)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3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410)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제2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310)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제3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410)에 제공되는 상기 제1 차단부(418a)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310)에 제공되는 제1 차단부(318a) 또는 제2 차단부(318b)와 대응될 수 있다.
제3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410)에 제공되는 상기 제1 차단부(418a)는 비배수 상태인 경우, 끝단이 상기 제2 차단부(418b)의 끝단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 차단부(418a)와 상기 제2 차단부(418b)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S3)을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배수 상태인 경우, 상기 간극(S3)을 통해 악취가 역류할 수 있는 상황을 완벽하게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제공되는 형태유지유닛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악취 역류 방지 장치의 개략분해사시도 및 개략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변형예에 따른 형태유지유닛(220)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형태유지유닛(120)과 비교할 때, 와류유도부(226)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와류유도부(226)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 변형예에 따른 형태유지유닛(220)은 전술한 모든 실시예의 악취 역류 방지 유닛(110, 210, 310, 410)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와류유도부(226)는 연결부(228)의 중앙으로부터 배수공간(S1)을 향해 돌출되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차단부(118a) 및 상기 제2 차단부(118b)의 사이의 소정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차단부(118a) 및 상기 제2 차단부(118b)가 배수물에 의한 상태 변화가 용이하도록 하여 배출공간(S2)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와류유도부(22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단부(118a)와 제2 차단부(118b)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부분으로 인하여 상기 제1 차단부(118a)와 상기 제2 차단부(118b)는 이격되게 되고, 이격으로 인하여 배출공간(S2)의 제공이 원활해져 적은 양의 배수물도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배수공간(S1)에 배수물이 남게 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배수물에 의한 악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배수구
100: 악취 역류 차단 장치
112: 공간제공부
114: 안착부
116: 연장부
118: 차단부
110: 악취 역류 차단 유닛
120: 형태유지유닛
100: 악취 역류 차단 장치
112: 공간제공부
114: 안착부
116: 연장부
118: 차단부
110: 악취 역류 차단 유닛
120: 형태유지유닛
Claims (8)
- 배수구에 설치되어 배수는 가능하도록 하되, 배수관을 통해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악취 역류 차단 유닛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수관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를 위한 배수공간을 제공하는 공간제공부;
상기 공간제공부의 일측을 양분하여 정의되는 제1 일측 및 제2 일측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접근하도록 연장됨 - ; 및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각각으로부터 연장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는,
비배수 상태인 경우, 사이에 존재하는 배수물에 의한 수막 현상으로 인해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배수 상태인 경우, 상기 배수공간을 통과하는 배수물에 의해 배출공간이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물이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는,
사이에 배수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간극이 제공되도록 서로 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유닛.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는,
비배수 상태인 경우, 끝단이 상기 제2 차단부의 끝단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간극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는,
상기 배수물에 의한 상태 변화가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배출공간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상기 제2 차단부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유닛.
- 제1항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이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이 상기 배수공간을 통과하는 배수물에 의해 상기 배수관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간제공부에 삽입되는 형태유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은,
상기 공간제공부가 상기 배수관 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제공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수구의 주변부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태유지유닛은,
상기 공간제공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배수구의 주변부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배수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배수공간을 통과하는 배수물에 의한 와류를 유도하여 상기 배수물의 배출을 원활히 하는 와류유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유지유닛은,
상기 삽입부 및 상기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와류유도부를 연결하여 상기 와류유도부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유도부는,
상기 연결부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의 사이의 소정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가 상기 배수물에 의한 상태 변화가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배출공간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1638A KR102252502B1 (ko) | 2018-12-14 | 2018-12-14 |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1638A KR102252502B1 (ko) | 2018-12-14 | 2018-12-14 |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3466A true KR20200073466A (ko) | 2020-06-24 |
KR102252502B1 KR102252502B1 (ko) | 2021-05-14 |
Family
ID=7140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1638A KR102252502B1 (ko) | 2018-12-14 | 2018-12-14 |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250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6546A (ko) * | 2021-09-30 | 2023-04-06 | 주식회사 푸르몽 | 절수형 소변기 |
KR102614027B1 (ko) * | 2023-09-12 | 2023-12-15 |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 배수유도기능을 구비한 배관트랩 및 이를 이용한 배수유도 방수공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86334A (ko) * | 2007-03-21 | 2008-09-25 | 유정수 |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 |
JP2010189874A (ja) * | 2009-02-16 | 2010-09-02 | Maruichi Corp | 自封トラップ |
KR20160001327U (ko) * | 2014-10-14 | 2016-04-25 | 주식회사 모닝듀 | 배수 트랩 장치 |
-
2018
- 2018-12-14 KR KR1020180161638A patent/KR1022525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86334A (ko) * | 2007-03-21 | 2008-09-25 | 유정수 |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 |
JP2010189874A (ja) * | 2009-02-16 | 2010-09-02 | Maruichi Corp | 自封トラップ |
KR20160001327U (ko) * | 2014-10-14 | 2016-04-25 | 주식회사 모닝듀 | 배수 트랩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6546A (ko) * | 2021-09-30 | 2023-04-06 | 주식회사 푸르몽 | 절수형 소변기 |
KR102614027B1 (ko) * | 2023-09-12 | 2023-12-15 |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 배수유도기능을 구비한 배관트랩 및 이를 이용한 배수유도 방수공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2502B1 (ko) | 2021-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6813B1 (ko) | 배수구용 배수장치 | |
AU2008243269B1 (en) | Plumbing Fitting | |
KR20200073466A (ko) |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
KR100938733B1 (ko) | 배수트랩 | |
KR200265950Y1 (ko) | 악취방지용 배수구 | |
KR102323048B1 (ko) | 심장판막 원리를 이용한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
KR20170064307A (ko) |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 |
KR20200090511A (ko) |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
JPH0853910A (ja) | 床排水用のトラップ | |
KR20140005618A (ko) | 부력식 악취방지 배수트랩 | |
KR20100012980U (ko) | 하수구용 배수트랩 | |
KR100952989B1 (ko) | 배수 트랩 구조물 | |
KR102190516B1 (ko) |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 |
JP3569842B2 (ja) |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 |
KR102563529B1 (ko) | 절수형 소변기 | |
KR20210131203A (ko) | 배수관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관 조립체 | |
KR20080084223A (ko) | 하수용 배수트랩 | |
KR101263603B1 (ko) | 사출 배수 트랜치의 하수관 연결장치 | |
KR200230642Y1 (ko) | 하수구 덮개 | |
KR200333044Y1 (ko) | 배수트랩 | |
KR102245460B1 (ko) | 유체 배출구의 트랩 | |
KR20050095067A (ko) |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 |
KR20120097922A (ko) | 하수구냄새트랩 | |
KR200463342Y1 (ko) | 연결관에 장착되는 이중튜브관 | |
KR101101235B1 (ko) | 악취역류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