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516B1 -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 Google Patents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516B1
KR102190516B1 KR1020190088941A KR20190088941A KR102190516B1 KR 102190516 B1 KR102190516 B1 KR 102190516B1 KR 1020190088941 A KR1020190088941 A KR 1020190088941A KR 20190088941 A KR20190088941 A KR 20190088941A KR 102190516 B1 KR102190516 B1 KR 102190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blocking
drain
opened
t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웅
Original Assignee
이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웅 filed Critical 이한웅
Priority to KR1020190088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E03C1/292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having elastic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해도 부식이 방지되어 장수명이 보장되도록 하면서 다단으로 차단하여 악취의 차단이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본 배수 트랩은 하수가 배수도록 실내의 바닥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커버부와; 상기 배수커버부의 하단에 밀착되게 끼워지고 관형으로 형성되며 고무 재질의 고무끼움관과, 상기 고무끼움관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양측 하단이 상호 맞닿아 밀착되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축소밀착부와, 상기 축소밀착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수직으로 밀착되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수직밀착부와, 상기 수직밀착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밀착되면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경사밀착부와, 상기 경사밀착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수직으로 밀착되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하부차단부를 포함하는 고무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DRAIN TRAP FOR BLOCKING STINK}
본 발명은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간 사용해도 부식이 방지되어 장수명이 보장되도록 하면서 다단으로 차단하여 악취의 차단이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욕실, 화장실 또는 베란다 등에는 바닥, 세면대 및 욕조 등에서 발생된 하수를 집수하여 배수관으로 배출하도록 배수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는데, 배수 시스템은 크게 슬라브에 매설되는 층하배관 시스템과 슬라브 상부에 설치되는 동층배관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배수 시스템은 배수관 전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여 봉수 구조를 갖는 별도의 배수 트랩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수 트랩은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각종 하수 및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하수관을 통해 벌레 등 해충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배수 트랩은 구조가 간단해야 하고, 내부로 흐르는 유체에 의해 세정되면서 내부에 오물이 정체하지 않아야 하며, 봉수가 유지되어야 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배수 트랩은 크게 S 트랩, P 트랩, U 트랩 등과 같은 사이폰식 트랩과 벨 트랩, 드럼 트랩, 보틀 트랩, 헤어 트랩 등과 같은 비사이폰식 트랩으로 구분되는데, 종래 화장실 등의 바닥 배수 트랩에는 일반적으로 벨 트랩 타입의 배수 트랩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벨 트랩 타입의 배수 트랩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밀착 부위에 물 때 등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는 밀착부위를 정밀하게 폐쇄하지 못하여 유해가스, 악취의 역류 및 해충의 실내 유입을 완벽히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트랩(10)을 비닐등과 같은 연질의 방수지로 된 튜브형 본체(12)의 출구부(14) 일면에 탄성이 약한 탄성편을 형성하여 그 입구부(16)를 통하여 지지관(30) 등에 연결하여 사용토록 한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비닐형 배수 트랩은 외적인 영향이 없는 한 하수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배수 후에는 탄성편에 의한 출구부(14)의 닫힘으로 악취의 역류를 완벽하게 차단해 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비닐형 배수 트랩은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암모니아 등과 같은 오염 물질이나 세제 성분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해 비닐 자체가 부식되어 그 내구성이 저하되면서 손쉽게 파단되어 악취 차단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탄성편에 의해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는 출구부에는 파단이나 파열이 쉽게 발생하여 잦은 교체를 유발하고 유지 관리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 제2009-0003508호 "배수트랩용 비닐튜브"(2009.04.1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해도 부식이 방지되어 장수명이 보장되도록 하면서 다단으로 차단하여 악취의 차단이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은, 하수가 배수도록 실내의 바닥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커버부와; 상기 배수커버부의 하단에 밀착되게 끼워지고 관형으로 형성되며 고무 재질의 고무끼움관과, 상기 고무끼움관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양측 하단이 상호 맞닿아 밀착되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축소밀착부와, 상기 축소밀착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수직으로 밀착되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수직밀착부와, 상기 수직밀착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밀착되면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경사밀착부와, 상기 경사밀착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수직으로 밀착되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하부차단부를 포함하는 고무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의 상기 고무끼움관은, 그 상단에서 하부로 외주면 일부에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밀착부는, 상기 축소밀착부의 하단이 벌어져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밀착부의 양측면이 벌어져 근접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차단부는, 그 두께가 상기 수직밀착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하단이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의 상기 축소밀착부는, 그 양측단이 중앙 부위를 향해 동시에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그 일측단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측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의 상기 고무튜브는, 상기 고무끼움관의 하단 일측에서 상기 축소밀착부에서 상기 하부차단부까지 양측단을 따라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단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의 상기 배수커버부는, 상기 배수구에 끼워지고 상단 내측 둘레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내설관과, 상기 내설관의 상단 둘레에 끼워지고 중앙에 안착공이 형성되며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상면커버와, 상기 안착공의 내측 둘레에 걸리도록 상단에 원형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을 관통하여 끼워지며 상단 내측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여 외주면 둘레로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고무끼움관이 확장된 상태로 끼워지는 설치관과, 상기 안착홈에 끼워지고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해도 부식이 방지되어 장수명이 보장되고, 다단으로 차단하여 악취의 차단이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교체가 극소화되면서 유지 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의 고무튜브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의 고무튜브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의 고무튜브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의 고무튜브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랩의 고무튜브를 보인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랩의 고무튜브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배수 트랩의 비닐튜브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배수 트랩의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배수 트랩의 설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은 실내의 바닥면의 배수구(A)에 설치되는 배수커버부(100)와, 상기 배수커버부(100)에 고무끼움관(201)이 끼워져 설치되는 고무튜브(200)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커버부(100)는 하수가 배수도록 실내의 바닥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수구(A)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구(A)의 상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고무튜브(20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배수커버부(100)는 상기 배수구(A)에 끼워지고 상단 내측 둘레에 걸림홈(101a)이 형성되는 내설관(101)과, 상기 내설관(101)의 상단 둘레에 끼워지고 중앙에 안착공(102a)이 형성되며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상면커버(102)와, 상기 안착공(102a)의 내측 둘레에 걸리도록 상단에 원형턱(103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102a)을 관통하여 끼워지며 상단 내측에 안착홈(103b)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01a)에 대응하여 외주면 둘레로 걸림턱(103c)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고무끼움관(201)이 확장된 상태로 끼워지는 설치관(103)과, 상기 안착홈(103b)에 끼워지고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는 거름망(104)을 포함한다.
상기 내설관(101)은 상기 배수구(A)의 내측에 설치되는 관으로, 상기 상면커버(10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면커버(102)는 상기 배수구(A)의 상면을 커버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설치관(103)이 조립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관(103)은 상기 고무끼움관(201)이 끼워져 상기 고무튜브(20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거름망(104)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거름망(104)은 상기 배수구(A)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유입되는 오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튜브(200)의 고무끼움관(201)은 상기 설치관(103)의 외주면에 확대된 상태로 끼워지고 이 상태에서 상기 설치관(103)이 상기 내설관(101)에 조립됨에 따라 상기 걸림홈(101a)의 내측으로 상기 고무끼움관(201)이 상기 걸림턱(103c)에 의해 밀려 상기 고무끼움관(201)이 상기 배수커버부(100)에 보다 긴밀하면서 견고하게 결합되어 그 빠짐이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고무튜브(200)는 도 2와 같이 상기 배수커버부(100)의 설치관(103)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설치관(103)의 하단을 폐쇄하여 상기 배수구(A)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무튜브(200)가 악취를 차단하고 있다가, 상기 배수커버부(100)의 상면으로 오수가 유입되어 상기 고무튜브(200)의 내측으로 유입되면 오수의 무게에 의해 상기 고무튜브(200)가 도 3에 도시된 점선과 같이 순간적으로 벌어지면서 오수를 하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키고, 오수가 배출된 후에는 탄성 복원되면서 도 2에 도시된 처음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계속하여 밀폐된 구조를 유지하여 악취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고무튜브(200)는 실리콘과 같은 내부식성이 강하고 내구성이 강한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오염물질이나 화학물질에 의해 잘 손상되지 않아 장수명이 보장되면서 안정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악취를 긴밀하게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고무튜브(20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커버부(100)의 하단에 밀착되게 끼워지고 관형으로 형성되며 고무 재질의 고무끼움관(201)과, 상기 고무끼움관(201)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양측 하단이 상호 맞닿아 밀착되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축소밀착부(202)와, 상기 축소밀착부(20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수직으로 밀착되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수직밀착부(203)와, 상기 수직밀착부(203)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밀착되면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경사밀착부(204)와, 상기 경사밀착부(20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수직으로 밀착되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하부차단부(205)를 포함한다.
상기 고무끼움관(201)은 상기 설치관(103)에 끼워져 상기 고무튜브(200)가 상기 배수커버부(100)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오수가 수직 방향으로 낙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고무끼움관(201)은 그 상단에서 하부로 외주면 일부에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부(201a)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201a)는 상기 설치관(103)에 확대된 상태로 끼워지는 상기 고무끼움관(201)의 상단 일부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축소밀착부(202)는 하부로 갈수록 축소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무끼움관(201)을 관통하여 하부로 낙하는 오수의 중량에 의해 벌어지면서 상기 축소밀착부(202)의 하부에 연이어 형성되는 상기 수직밀착부(203)와 경사밀착부(204) 및 하부차단부(205)가 순차적으로 빠르게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축소밀착부(20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단이 중앙 부위를 향해 동시에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양측이 동시에 벌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직밀착부(203)는 상기 축소밀착부(202)의 하부로 양측면을 밀착시켜 상기 경사밀착부(204)가 밀착된 상태로 형성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수직밀착부(203)는 상기 축소밀착부(202)의 하단이 벌어져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밀착부(203)의 양측면이 벌어져 근접되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축소밀착부(202)에 의해 상기 수직밀착부(203)가 보다 신속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경사밀착부(204)는 상기 수직밀착부(203)의 하부로 밀착된 부위가 경사지게 연이어져 상기 수직밀착부(203) 혹은 상기 하부차단부(205)가 벌어지더라도 상기 경사밀착부(204)의 양측면이 상호 밀착되게 유지되면서 악취가 보다 긴밀하게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차단부(205)는 상기 경사밀착부(204)의 하부로 양측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악취가 1차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차단부(205)는 그 두께가 상기 수직밀착부(203)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하단이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밀착력이 보다 우수해지면서 밀착 부위가 넓어져 악취의 차단이 보다 긴밀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고무튜브(200)는 상기 하부차단부(205)와 경사밀착부(204)에 의해 다단계로 악취의 차단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무튜브(200)는 상기 고무끼움관(201)의 하단 일측에서 상기 축소밀착부(202)에서 상기 하부차단부(205)까지 양측단을 따라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단보강부(2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단보강부(206)는 하부로 갈수록 납작하게 형성되는 부위의 양측단을 보강하여 상기 고무튜브(200)의 양측단의 파단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고무튜브(200)는 실리콘 재질로 상기 고무끼움관(201)에서 상기 측단보강부(206)까지 전체가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된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랩의 고무튜브(200)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의 고무튜브(200)의 상기 축소밀착부(202)는 그 일측단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측단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축소밀착부(202)의 경사진 타측이 오수의 중량에 의해 벌어지면서 그 하부로 상기 수직밀착부(203)와 경사밀착부(204) 및 하부차단부(205)를 순간적으로 벌어지게 하여 오수를 신속하게 배출시키고, 빠르게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악취를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0 : 배수커버부
101 : 내설관 101a : 걸림홈
102 : 상면커버 102a : 안착공
103 : 설치관 103a : 원형턱
103b : 안착홈 103c : 걸림턱
104 : 거름망
200 : 고무튜브
201 : 고무끼움관 201a : 보강부
202 : 축소밀착부 203 : 수직밀착부
204 : 경사밀착부 205 : 하부차단부
206 : 측단보강부
A : 배수구

Claims (5)

  1. 하수가 배수도록 실내의 바닥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커버부(100)와;
    상기 배수커버부(100)의 하단에 밀착되게 끼워지고 관형으로 형성되며 고무 재질의 고무끼움관(201)과, 상기 고무끼움관(201)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양측 하단이 상호 맞닿아 밀착되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축소밀착부(202)와, 상기 축소밀착부(20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수직으로 밀착되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수직밀착부(203)와, 상기 수직밀착부(203)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밀착되면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경사밀착부(204)와, 상기 경사밀착부(20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수직으로 밀착되게 형성되며 벌어진 후에 탄성 복원 가능한 하부차단부(205)를 포함하는 고무튜브(200)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커버부(100)는,
    상기 배수구에 끼워지고 상단 내측 둘레에 걸림홈(101a)이 형성되는 내설관(101)과,
    상기 내설관(101)의 상단 둘레에 끼워지고 중앙에 안착공(102a)이 형성되며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상면커버(102)와,
    상기 안착공(102a)의 내측 둘레에 걸리도록 상단에 원형턱(103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102a)을 관통하여 끼워지며 상단 내측에 안착홈(103b)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01a)에 대응하여 외주면 둘레로 걸림턱(103c)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고무끼움관(201)이 확장된 상태로 끼워지는 설치관(103)과,
    상기 안착홈(103b)에 끼워지고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는 거름망(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끼움관(201)은,
    그 상단에서 하부로 외주면 일부에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부(201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밀착부(203)는,
    상기 축소밀착부(202)의 하단이 벌어져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밀착부(203)의 양측면이 벌어져 근접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차단부(205)는,
    그 두께가 상기 수직밀착부(203)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하단이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밀착부(202)는,
    그 양측단이 중앙 부위를 향해 동시에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그 일측단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측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튜브(200)는,
    상기 고무끼움관(201)의 하단 일측에서 상기 축소밀착부(202)에서 상기 하부차단부(205)까지 양측단을 따라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단보강부(20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5. 삭제
KR1020190088941A 2019-07-23 2019-07-23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KR102190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941A KR102190516B1 (ko) 2019-07-23 2019-07-23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941A KR102190516B1 (ko) 2019-07-23 2019-07-23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516B1 true KR102190516B1 (ko) 2020-12-14

Family

ID=7377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941A KR102190516B1 (ko) 2019-07-23 2019-07-23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5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743B1 (ko) * 2021-07-27 2022-03-03 주식회사 웅이아저씨 우수관용 배수트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508A (ko) 2007-06-14 2009-01-12 주식회사 스타뱅크 공인전자문서보관소와 전자서명 공인인증서를 이용한통신사 이동 단말기 가입신청의 전자화 시스템
JP2011089359A (ja) * 2009-10-26 2011-05-06 Hayakawa Rubber Co Ltd 自封トラップの製造方法
JP2014015719A (ja) * 2012-07-06 2014-01-30 Maruichi Corp 逆流防止弁
KR200487178Y1 (ko) * 2017-12-07 2018-09-20 (주)공구모아 하수구 악취차단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508A (ko) 2007-06-14 2009-01-12 주식회사 스타뱅크 공인전자문서보관소와 전자서명 공인인증서를 이용한통신사 이동 단말기 가입신청의 전자화 시스템
JP2011089359A (ja) * 2009-10-26 2011-05-06 Hayakawa Rubber Co Ltd 自封トラップの製造方法
JP2014015719A (ja) * 2012-07-06 2014-01-30 Maruichi Corp 逆流防止弁
KR200487178Y1 (ko) * 2017-12-07 2018-09-20 (주)공구모아 하수구 악취차단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743B1 (ko) * 2021-07-27 2022-03-03 주식회사 웅이아저씨 우수관용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186B1 (ko) 오물배출장치를 구비하는 소변기
KR102190516B1 (ko)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KR100954013B1 (ko) 배수트랩
JPH06306908A (ja) 排水トラップ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102323048B1 (ko) 심장판막 원리를 이용한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20200073466A (ko)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KR200417636Y1 (ko) 배수트랩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451193Y1 (ko) 배수트랩
KR200327268Y1 (ko) 드레인 트랩
KR20160003178U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KR19990009443U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101352620B1 (ko) 무수 소변기의 악취차단장치
KR102369743B1 (ko) 우수관용 배수트랩
JP4099574B2 (ja) 排水装置
KR102341397B1 (ko) 배수트랩
KR20130043318A (ko) 2단으로 개폐판을 구비한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KR20190037467A (ko) 하수관용 악취 및 해충 차단장치
KR102245460B1 (ko) 유체 배출구의 트랩
KR200356294Y1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100095756A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