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511A -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악취 역류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511A
KR20200090511A KR1020190007621A KR20190007621A KR20200090511A KR 20200090511 A KR20200090511 A KR 20200090511A KR 1020190007621 A KR1020190007621 A KR 1020190007621A KR 20190007621 A KR20190007621 A KR 20190007621A KR 20200090511 A KR20200090511 A KR 20200090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unit
malodor
blocking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342B1 (ko
Inventor
조현승
Original Assignee
조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승 filed Critical 조현승
Priority to KR1020190007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342B1/ko
Priority to PCT/KR2020/001003 priority patent/WO2020153706A1/ko
Publication of KR2020009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는, 배수 상태인 경우 배수공간을 통과하는 배수물이 의해 배출공간에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물이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비배수 상태인 경우 배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배수물의 잔량에 의한 수막 현상으로 인해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을 수용하는 수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을 배수통과 상기 배수관 사이에 배치되도록, 일측이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수통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취 역류 차단 장치{stink b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악취 역류 차단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물을 신속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배수관을 통해 악취 등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호텔 등의 싱크대, 욕실 또는 베란다 등의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수구를 통해 배수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수구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배수관은 최종적으로 정화조로 연결되게 되며, 배수물은 상기 배수관을 통과하여 정화조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배수구에는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악취 역류 방지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147044호에는 배수구에 남아 있는 물의 부력으로 승강되고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배수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47044호에 의하면,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서 사용한 하수가 배수트랩 본체의 덮개를 통과하여 배수구로 유입된 후, 수위유지구에 채워지게 되며, 이러한 하수의 지속적 유입시 상기 차단판이 배수구로부터 분리되어 하향이동케 됨으로써 하수관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배수구 안으로의 하수 유입이 멈춰지면 수위유지구 안으로 일부의 하수가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때 차단판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단판 상면의 자성체가 배수구 저면에 구비된 금속판(또는 자성체)에 들러붙게 됨으로써, 배수구의 저면(출구)으로부터 올라오는 악취 등의 냄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트랩은 하수에 섞여 함께 배수되는 머리카락 및 각종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이 상기 차단판 위에 계속 적치되고 수위유지구 내부에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면 차단판이 승강 작용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 경우 차단판에 의한 배수구 저면의 봉쇄가 불가능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통과 배수관 사이에 배치되어 배수물의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악취 역류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는, 배수 상태인 경우 배수공간을 통과하는 배수물이 의해 배출공간에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물이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비배수 상태인 경우 배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배수물의 잔량에 의한 수막 현상으로 인해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을 수용하는 수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을 배수통과 상기 배수관 사이에 배치되도록, 일측이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수통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은, 배수를 위한 상기 배수공간을 제공하는 공간제공부, 상기 공간제공부의 일측을 양분하여 정의되는 제1 일측 및 제2 일측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각각으로부터 연장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접근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는, 배수 상태인 경우 배수공간을 통과하는 배수물에 의해 배출공간에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물이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비배수 상태인 경우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배수물의 잔량에 의한 수막 현상으로 인해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유닛이 상기 배수관에 연결되도록 하는 배수관연결부,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유닛이 상기 배수통에 연결되도록 하는 배수통연결부, 상기 공간제공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누수 없는 상기 배수통과 상기 배수공간의 연통을 구현하기 위한 누수방지부 및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을 포위하여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상기 누수방지부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내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를 구비하여, 상기 누수방지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누수방지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통연결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는,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배수관연결부 및 상기 위치고정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상기 위치고정부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통연결부는,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게 되어 상기 배수통연결부가 상기 위치고정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상기 누수방지부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수통연결부 및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2 걸림턱이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도록 서로를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돌출부에 의해 이동의 한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상기 위치고정부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계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배수통연결부는, 상기 제2 걸림턱이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위치고정부를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한계걸림턱에 의해 이동의 한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상기 위치고정부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수관연결부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4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3 돌출부 및 상기 제4 돌출부 각각이 삽입되도록 내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 및 제3 합입부를 구비하여,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배수관연결부 및 상기 위치고정부에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상기 누수방지부는, 외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회전방지홈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회전방지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방지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누수방지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에 의하면, 배수통과 배수관 사이에 배치되어 배수물의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악취의 역류 방지를 위한 구성요소를 최소화함으로서 구조의 단순화를 구현하여 단가 및 시공비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장치가 배수통과 배수관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배수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장치가 배수통과 배수관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100)는 싱크대(SK) 등의 배수통(10)과 배수관(20)에 연결되어 배수 상태인 경우에는 배수물이 배출되도록 하되, 비배수 상태에서는 배수관(20)을 통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악취 역류 장치(100)의 일측은 배수관(20)과 나사 체결 방식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악취 역류 장치(100)의 타측도 배수통(10)과 나사 체결 방식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악취 역류 장치(100)는 하나의 모듈로 구현되어,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파손되는 등의 성능의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수통(10)과 상기 배수관(20)에 연결되어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악취 역류 장치(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배수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100)는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 및 수용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은 배수 상태인 경우 배수공간(S1)을 통과하는 배수물(W)에 의해 배출공간(S2)이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물(W)이 배수관(20)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비배수 상태인 경우 배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배수물(W)의 잔량에 의한 수막 현상으로 인해 상기 배수관(20)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S1)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은 고무, 실리콘 등의 연성 또는/및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력에 의한 상태 변화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은 배수를 위한 배수공간(S1)을 제공하는 공간제공부(112), 상기 공간제공부(112)의 일측을 양분하여 정의되는 제1 일측 및 제2 일측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장부(114a) 및 제2 연장부(114b), 및 상기 제1 연장부(114a) 및 상기 제2 연장부(114b) 각각으로부터 연장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차단부(116a) 및 제2 차단부(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제공부(112)는 대략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연장부(114a) 및 상기 제2 연장부(114b)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접근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비배수 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116a) 및 상기 제2 차단부(116b)는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배수관(20)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S1)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배수 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116a) 및 상기 제2 차단부(116b)는 사이에 잔류하는 배수물(W)의 잔량에 의한 수막 현상으로 인해 상기 배수관(20)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S1)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 상태에서의 상기 제1 차단부(116a) 및 상기 제2 차단부(116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공간(S1)을 통과하는 배수물(W)에 의해 서로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배수물(W)이 상기 배수관(2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간(S2)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간(S2)은 비배수 상태에서는 제공되지 않다가 배수 상태에서 비로소 상기 제1 차단부(116a) 및 상기 제2 차단부(116b)의 상태 변화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으로, 상기 배출공간(S2)은 상기 배수공간(S1)을 통과하는 배수물(W)의 중량, 및 재질의 연성 정도 또는 탄성 정도에 기초하여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제공부(112)는 배수 상태에서의 배수 정체를 차단하도록 배수공간(S1)의 공간적인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이 일정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용 유닛(120)은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을 수용하는 구성요소인 동시에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을 배수통(10)과 상기 배수관(20) 사이에 배치되도록, 일측이 상기 배수관(2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수통(10)과 연결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 유닛(120)은 배수관연결부(122), 배수통연결부(124), 누수방지부(126) 및 보호부(12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연결부(122)는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유닛(120)이 상기 배수관(20)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20)과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연결부(124)는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유닛(120)이 상기 배수통(10)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통(10)과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누수방지부(126)는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의 공간제공부(112)의 타측에 연결되어 누수 없는 상기 배수통(10)과 상기 배수공간(S1)의 연통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누수 없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누수방지부(126)의 상기 배수통(10)을 향한 일면에는 고무, 실리콘 등의 연성 또는/및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밀폐링(121)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밀폐링(121)은 상기 배수통연결부(124)가 상기 배수통(10)과 나사 체결되면 이러한 체결력에 의해 상태 변화가 되어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과 상기 누수방지부(126)의 연결은 제1 돌출부(126a)가 제1 함입부(111)에 삽입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수방지부(126)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126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제공부(112)는 상기 제1 돌출부(126a)가 삽입되도록 내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126a)가 상기 제1 함입부(111)에 삽입되면, 상기 누수방지부(126)와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은 서로 고정된 상태가 되어 분리가 방지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128)는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을 포위하여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위치고정부(129)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129)는 상기 수용 유닛(120)의 일 구성요소로, 상기 누수방지부(126)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통연결부(124)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129)는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의 제1 차단부(116a) 및 제2 차단부(116b)로부터 공간제공부(112)를 향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129)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걸림턱(129a)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통연결부(124)는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걸림턱(124a)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걸림턱(124a)은 상기 제1 걸림턱(129a)에 걸리게 되어 상기 배수통연결부(124)가 상기 위치고정부(129)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수방지부(126)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126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통연결부(124) 및 상기 위치고정부(129)는 상기 제2 걸림턱(124a)이 상기 제1 걸림턱(129a)에 걸리도록 서로를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돌출부(126b)에 의해 이동의 한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129)는 상기 제1 걸림턱(129a)과 상기 제2 걸림턱(124a)의 걸림에 의해 상기 배수통연결부(124)와 연결되기 이전에,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의 제1 차단부(116a) 및 제2 차단부(116b)로부터 공간제공부(112)를 향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걸림턱(129a)이 상기 제2 돌출부(126b)에 접촉되게 되어 상기 위치고정부(129)의 이동의 한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129)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계걸림턱(129b)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통연결부(124)는 상기 제2 걸림턱(124a)이 상기 제1 걸림턱(129a)에 걸리도록 상기 위치고정부(129)를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한계걸림턱(129b)에 의해 이동의 한계가 결정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1 걸림턱(129a), 상기 제2 걸림턱(124a), 상기 제2 돌출부(126b) 및 상기 한계걸림턱(129b) 등에 의해 상기 위치고정부(129)와 상기 배수통연결부(124)는 안정적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129)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129c)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관연결부(122)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4 돌출부(122a)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128)는 상기 제3 돌출부(129c) 및 상기 제4 돌출부(122a) 각각이 삽입되도록 내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128a) 및 제3 합입부(128b)를 구비하여,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배수관연결부(122) 및 상기 위치고정부(129)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수방지부(126)는 외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회전방지홈(126c)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고정부(129)는 상기 회전방지홈(126c)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방지돌출부(129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돌출부(129d)는 상기 위치고정부(129)가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의 제1 차단부(116a) 및 제2 차단부(116b)로부터 공간제공부(112)를 향해 삽입되는 경우, 상기 회전방지홈(126c)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위치고정부(129)가 상기 누수방지부(126)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결과적으로 보호부(128)가 자유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210)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악취 역류 방지 유닛(110)과 비교할 때, 제1 차단부(216a) 및 제2 차단부(216b)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차단부(216a) 및 상기 제2 차단부(216b)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210)에 제공되는 상기 제1 차단부(216a) 및 상기 제2 차단부(216b)는, 사이에 배수물의 잔량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간극(S3)이 제공되도록, 서로 비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부(216a) 및 상기 제2 차단부(216b)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S3)은, 배수 시, 배수물의 적은 양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차단부(216a)와 상기 제2 차단부(216b)의 상태 변화가 용이하도록 하여 배출공간(S2)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차단부(216a) 및 상기 제2 차단부(216b)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S3)은, 배수 시, 배수물의 적은 양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차단부(216a)와 상기 제2 차단부(216b)가 서로 멀어지게 되어 배출공간(S2)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210)은 상기 간극(S3)으로 인하여 배출공간(S2)의 제공이 원활해져 적은 양의 배수물(W)도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결국, 배수공간(S1)에 배수물(W)이 남게 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배수물(W)에 의한 악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비배수 시, 상기 간극(S3)은 잔류하는 배수물(W)에 의한 수막 현상에 의해 메워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배수관(20)으로부터 배수공간(S1)으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310)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제1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210)과 비교할 때, 제1 차단부(316a) 및 제2 차단부(316b)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차단부(316a) 및 상기 제2 차단부(316b)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차단부(316a)는 상기 제2 차단부(316b)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배수물(W)에 의한 상태 변화가 상기 제2 차단부(316b)보다 용이하도록 하여 배출공간(S2)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차단부(316a)는, 배수 시, 배수물(W)의 적은 양에도 불구하고 상태 변화가 용이해져 배출공간(S2)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적은 양의 배수물(W)도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배수공간(S1)에 배수물(W)이 남게 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배수물(W)에 의한 악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310)은 상기 제1 차단부(316a)가 상기 제2 차단부(316b)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차단부(316a)와 상기 제2 차단부(316b) 사이에 제공되는 간극(S3)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부(316a)와 상기 제2 차단부(316b)는 일체로 형성되므로, 필연적으로 상기 제1 차단부(316a)와 상기 제2 차단부(316b)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316c)이 발생될 수 밖에 없으며, 상기 연결되는 부분(316c)은 제조 상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밖에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차단부(316a)와 상기 제2 차단부(316b) 모두가 얇게 형성된다고 하면, 사이에 제공되는 간극(S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상기 연결되는 부분(316c)에 의해 커질 수 밖에 없게 되며, 이는 악취 역류 방지라는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고자, 상기 제1 차단부(316a)와 상기 제2 차단부(316b) 모두를 두껍게 형성하면, 이는 적은 양의 배수물(W)에 의한 상태 변화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결국, 제2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310)은 제1 차단부(316a)의 두께를 제2 차단부(316b)의 두께보다 작게 하여,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차단부(316a)가 상기 제2 차단부(316b)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제공되는 악취 역류 방지 유닛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410)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제1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210)과 비교할 때, 제1 차단부(416a) 및 제2 차단부(416b)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차단부(416a) 및 상기 제2 차단부(416b)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3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410)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제2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310)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제3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410)에 제공되는 상기 제1 차단부(416a)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310)에 제공되는 제1 차단부(316a) 또는 제2 차단부(316b)와 대응될 수 있다.
제3 변형예에 따른 악취 역류 방지 유닛(410)에 제공되는 상기 제1 차단부(416a)는 비배수 상태인 경우, 끝단이 상기 제2 차단부(416b)의 끝단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 차단부(416a)와 상기 제2 차단부(416b)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S3)을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배수 상태인 경우, 상기 간극(S3)을 통해 악취가 역류할 수 있는 상황을 완벽하게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 누수방지부(126)의 제1 돌출부(126a)가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의 공간제공부(112)에 제공되는 제1 함입부(111)에 삽입되게 하여, 상기 누수방지부(126)와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이 서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위치고정부(129)를 악취 역류 차단 유닛(110)의 제1 차단부(116a) 및 제2 차단부(116b)로부터 공간제공부(112)를 향해 삽입하며, 이때, 상기 위치고정부(129)는 제1 걸림턱(129a)이 누수방지부(126)의 제2 돌출부(126b)에 접촉되어 이동의 한계가 결정된다.
그리고, 위치고정부(129)의 회전방지돌출부(129d)가 누수방지부(126)의 회전방지홈(126c)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위치고정부(129)가 상기 누수방지부(126)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배수통연결부(124)를 위치고정부(129)를 향하여 가압하면, 배수통연결부(124)의 제2 걸림턱(124a)은 위치고정부(129)의 제1 걸림턱(129a)에 걸리게 되어, 상기 배수통연결부(124)는 위치고정부(129)와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통연결부(124)는 누수방지부(126)의 제2 돌출부(126b) 및 위치고정부(129)의 한계걸림턱(129b)에 의해 이동의 한계가 결정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128)의 제2 함입부(128a) 및 제3 함입부(128b) 각각에 배수관연결부(122)의 제4 돌출부(122a) 및 위치고정부(129)의 제3 돌출부(129c)를 삽입시키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 장치(100)의 조립은 완료하게 된다.
이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통(10)과 배수통연결부(124)의 나사 체결 및 배수관(20)과 배수관연결부(122)의 나사 체결을 통해, 설치는 간단한 방식으로 완료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배수통
20: 배수관
100: 악취 역류 차단 장치
110: 악취 역류 차단 유닛
120: 수용 유닛

Claims (10)

  1. 배수 상태인 경우 배수공간을 통과하는 배수물에 의해 배출공간이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물이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비배수 상태인 경우 배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배수물의 잔량에 의한 수막 현상으로 인해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을 수용하는 수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을 배수통과 상기 배수관 사이에 배치되도록, 일측이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수통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은,
    배수를 위한 상기 배수공간을 제공하는 공간제공부, 상기 공간제공부의 일측을 양분하여 정의되는 제1 일측 및 제2 일측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각각으로부터 연장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차단부 및 제2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접근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2 차단부는,
    배수 상태인 경우 배수공간을 통과하는 배수물에 의해 배출공간에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물이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비배수 상태인 경우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배수물의 잔량에 의한 수막 현상으로 인해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공간으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유닛이 상기 배수관에 연결되도록 하는 배수관연결부,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유닛이 상기 배수통에 연결되도록 하는 배수통연결부,
    상기 공간제공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누수 없는 상기 배수통과 상기 배수공간의 연통을 구현하기 위한 누수방지부 및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을 포위하여 상기 악취 역류 차단 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부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내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를 구비하여, 상기 누수방지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누수방지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통연결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는,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배수관연결부 및 상기 위치고정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통연결부는,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게 되어 상기 배수통연결부가 상기 위치고정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부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수통연결부 및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2 걸림턱이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도록 서로를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돌출부에 의해 이동의 한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계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배수통연결부는,
    상기 제2 걸림턱이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위치고정부를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한계걸림턱에 의해 이동의 한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수관연결부는,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4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3 돌출부 및 상기 제4 돌출부 각각이 삽입되도록 내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 및 제3 합입부를 구비하여,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배수관연결부 및 상기 위치고정부에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부는,
    외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회전방지홈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회전방지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방지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누수방지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KR1020190007621A 2019-01-21 2019-01-21 악취 역류 차단 장치 KR102467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621A KR102467342B1 (ko) 2019-01-21 2019-01-21 악취 역류 차단 장치
PCT/KR2020/001003 WO2020153706A1 (ko) 2019-01-21 2020-01-21 악취 역류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621A KR102467342B1 (ko) 2019-01-21 2019-01-21 악취 역류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511A true KR20200090511A (ko) 2020-07-29
KR102467342B1 KR102467342B1 (ko) 2022-11-15

Family

ID=7173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621A KR102467342B1 (ko) 2019-01-21 2019-01-21 악취 역류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7342B1 (ko)
WO (1) WO20201537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793B1 (ko) * 2022-08-24 2023-05-26 김재옥 배수트랩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048B1 (ko) * 2021-05-26 2021-11-08 조현승 심장판막 원리를 이용한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1049A1 (en) * 2005-08-16 2007-02-22 Myung-Ree Kim Odor trap for drain
JP2012102589A (ja) * 2010-11-12 2012-05-31 Maruichi Corp 自封トラップ
KR20130006730U (ko) * 2012-05-14 2013-11-22 임회규 반원형으로 분리된 튜브관
JP2014163159A (ja) * 2013-02-26 2014-09-08 Maruichi Corp 排水装置
KR20150017876A (ko) * 2013-08-08 2015-02-23 도남호 씽크대용 악취차단장치
US20160201309A1 (en) * 2013-08-21 2016-07-14 Geberit International Ag Odor trap device
KR20180112960A (ko) * 2017-04-05 2018-10-15 고준성 악취 차단용 배수트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244Y1 (ko) * 2000-01-07 2000-07-01 주식회사다인전기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KR200257162Y1 (ko) * 2001-07-30 2001-12-24 도남호 배수트랩
CH702893A2 (de) * 2010-03-30 2011-09-30 Enswico Ip Ag Ventil zum Einbau in einen Sanitärappara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1049A1 (en) * 2005-08-16 2007-02-22 Myung-Ree Kim Odor trap for drain
JP2012102589A (ja) * 2010-11-12 2012-05-31 Maruichi Corp 自封トラップ
KR20130006730U (ko) * 2012-05-14 2013-11-22 임회규 반원형으로 분리된 튜브관
JP2014163159A (ja) * 2013-02-26 2014-09-08 Maruichi Corp 排水装置
KR20150017876A (ko) * 2013-08-08 2015-02-23 도남호 씽크대용 악취차단장치
US20160201309A1 (en) * 2013-08-21 2016-07-14 Geberit International Ag Odor trap device
KR20180112960A (ko) * 2017-04-05 2018-10-15 고준성 악취 차단용 배수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793B1 (ko) * 2022-08-24 2023-05-26 김재옥 배수트랩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3706A1 (ko) 2020-07-30
KR102467342B1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3332C2 (ru) Водопроводное уплотн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5613884B2 (ja) オーバーフロー装置
KR20200090511A (ko) 악취 역류 차단 장치
KR200434948Y1 (ko) 하수구용 배스트랩
JP2015507113A (ja) 洗面器用ポップアップ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KR200265950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JP7249480B2 (ja) 排水トラップ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JP2012180656A (ja) 逆流防止弁
KR200395112Y1 (ko) 세면대용 트랩 구조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JP2008013948A (ja) 排水トラップ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130043318A (ko) 2단으로 개폐판을 구비한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KR102370423B1 (ko)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JP6019289B2 (ja) 排水トラップ
KR20120097922A (ko) 하수구냄새트랩
JP5909625B2 (ja) 破損した排水トラップの再生方法
KR20220109048A (ko) 배수트랩
KR200345076Y1 (ko)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KR20090132906A (ko) 하수구의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356294Y1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