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244Y1 -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244Y1
KR200187244Y1 KR2020000000355U KR20000000355U KR200187244Y1 KR 200187244 Y1 KR200187244 Y1 KR 200187244Y1 KR 2020000000355 U KR2020000000355 U KR 2020000000355U KR 20000000355 U KR20000000355 U KR 20000000355U KR 200187244 Y1 KR200187244 Y1 KR 200187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drain trap
present
inner member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인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인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인전기
Priority to KR2020000000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2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2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03F5/0411Devices for temporarily blocking inflow into a gu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욕실,다용도실 등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구비되어 생활오수가 배수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부 외주연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외부부재; 상기 외부부재의 플랜지부 외주연부에 상부 외주연이 밀봉 고정되는 내부부재; 및 상기 내부부재의 하부에 상호 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오수가 저장되는 저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오수의 량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귀되는 마감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욕실 및 다용도실 등에 매설되는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게 되고, 오수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DRAINING TRAP FOR A BAD SMELL}
본 고안은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욕실,다용도실 등에 설치된 하수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오수는 자연스럽게 배출되면서 뚫린 배수로를 통하여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다용도실 등의 바닥면에는 하수관과 함께 배수트랩이 매설되어 각종 생활오수(生活汚水)가 하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배수트랩의 상부에는 걸름망이 구비되어 생활오수 내에 포함되어진 각종 이물질(머리카락 및 오니)등이 걸러지게 되어 하수관이 막히지 않게 되고, 또한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로 종래 배수트랩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악취방지용 배수트랩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트랩(100)은 크게 원통형의 본체(200)와 커버체(300)로 이루어진다.
본체(200)는 욕실,다용도실 등의 콘크리트 바닥면(110)에 매설되어지고, 상부 내경에는 걸림턱(211)이 형성된 매설부(210)와, 매설부(2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수관(120)에 연통되게 삽입되는 끼움부(2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끼움부(220)의 상부에는 배수공(231)이 형성된 돌출부(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저수조(240)가 형성된다.
또한, 커버체(300)는 본체(200)의 돌출부(230) 외경에 삽입되는 반구형 커버(310)와, 반구형 커버(310)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매설부(210) 상부 내경의 걸림턱(211)에 안착되어 각종 이물질이 걸러지는 걸름망(32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수트랩은, 도 1에서와 같이 생활오수가 욕실,다용도실 등의 콘크리트 바닥면(110)에 매설부(210)로써 매설된 배수트랩(100)의 매설부(210) 상부 내경의 걸림턱(211)에 안착되어진 커버체(300)의 걸름망(320)을 통하여 이물질(머리카락 및 오니)이 걸러진 상태로 배수트랩(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커버체(300)의 반구형 커버(310)를 타고 하방으로 흘러 내려가게 되어 본체(200) 내부의 저수조(240)에 일시적으로 저수되어진다.
이때, 저수조(240) 내부에 오수의 수위가 일정치를 넘게 되면 본체(200) 내부의 돌출부(230)를 타고 넘쳐 배수공(231)으로 유입됨으로써 본체(200)의 끼움부(220)가 끼워진 하수관(120)을 통하여 배수되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배수트랩은 생활오수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배수트랩의 본체에 구비된 저수조에서 생활오수가 항상 고여 있게 됨으로써 고여 있는 생활오수에 의하여 심한 악취가 발생되었고, 또한 배수트랩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제조 원가가 상승되었으며, 배수구조가 여러 단계로 구성되어 다량의 생활오수가 유입될 경우에는 신속하게 하수관으로 배수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 등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욕실,다용도실 등에 매설되는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게 되고, 생활오수의 배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그 구조가 간단한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욕실,다용도실 등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구비되어 생활오수가 배수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부 외주연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외부부재; 상기 외부부재의 플랜지부 외주연부에 상부 외주연이 밀봉 고정되는 내부부재; 및 상기 내부부재의 하부에 상호 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오수가 저장되는 저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오수의 량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귀되는 마감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에 따른 일부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에 따른 단면도.
도 4a,도 4b는 본 고안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에 따른 동작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트랩 10 : 외부부재
11 : 플랜지부 20 : 내부부재
21 : 저수조 30 : 마감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에 따른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a,도 4b는 본 고안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에 따른 동작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수트랩(1)은 크게 외부부재(10)와 내부부재(20)로 이루어진다.
외부부재(10)는 욕실,다용도실 등의 콘크리트 바닥면(5)에 형성된 배수구(6)에 매설된 하수관(9) 내경에 외경이 연통되게 삽입되고, 상부 외주연에는 배수구(6) 상부 내경에 형성된 걸림단(7)에 안착되는 플랜지부(11)가 돌출 형성된다.
내부부재(20)는 외부부재(10)의 플랜지부(11) 외주연부에 상부 외주연이 밀봉되게 고정되고, 하부에는 저수조(21)가 형성되도록 마감부재(30)가 구비된다.
그리고, 내부부재(20)는 약 100℃의 열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과 강도를 갖는 필름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마감부재(30)는 자체가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부재(20) 하단에 상호 접하게 구비되어 내부부재(20) 하부를 마감하게 됨으로써 내부에 생활오수가 저장되는 저수조(21)가 형성된다.
즉, 내부부재(20) 내부의 저수조(21)에 생활오수가 유입되면 생활오수의 중량에 의하여 상호 접하게 구비된 마감부재(30)가 벌어지게 되어 생활오수가 배수되고, 생활오수가 배수된 다음 마감부재(30)가 신속하게 복귀하게 됨으로써 하수관(9)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가 차단된다.
한편, 외부부재(10)의 플랜지부(11) 상면에는 걸름망(40)이 안착되어 생활오수에 포함된 이물질(머리카락 및 오니)이 걸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배수트랩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4a에서와 같이 욕실,다용도실 등의 콘크리트 바닥면(5)으로 흐르게 되는 생활오수가 바닥면(5)의 배수구(6) 상부에 형성된 걸림단(7)에 플랜지부(11)로써 안착되고, 배수구(6)의 하수관(9)에 삽입된 외부부재(10)의 플랜지부(11)에 안착되어지는 걸름망(40)을 통과하여 외부부재(10) 내부에 구비된 내부부재(20)의 저수조(21)로 유입된다.
이때, 걸름망(40)에는 생활오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머리카락 및 오니)이 걸러지게 되고, 오수는 내부부재(20)의 저수조(21)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 4b에서와 같이 내부부재(20)의 저수조(21)로 유입된 오수의 량이 적정치에 이르게 되면, 오수 자체의 중량에 의하여 내부부재(20) 하부에 상호 접하게 구비된 마감부재(30)가 탄력적으로써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부재(20)의 저수조(21) 내부 오수가 하방으로 쏟아지게 되어 하수관(9)을 통하여 신속하게 배수되어 진다.
한편, 오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마감부재(30)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원래위치로 신속하게 복원됨으로써 하수관(9)으로부터 외부로 역류되는 악취의 차단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의 배수트랩에 의하면, 하수관에 삽입 고정되는 외부부재 상부에 가열성과 강도를 갖는 필름재로 이루어진 내부부재를 밀봉시키게 되고, 내부부재의 하부에는 복원력이 우수한 마감부재로써 마감한 배수트랩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가 절감되고, 생활오수의 배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의 차단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욕실,다용도실 등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구비되어 생활오수가 배수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부 외주연에 플랜지부(11)가 돌출 형성된 외부부재(10);
    상기 외부부재(10)의 플랜지부(11) 외주연부에 상부 외주연이 밀봉 고정되는 내부부재(20); 및
    상기 내부부재(20)의 하부에 상호 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오수가 저장되는 저수조(21)가 형성되고, 상기 오수의 량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귀되는 마감부재(3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KR2020000000355U 2000-01-07 2000-01-07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KR200187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355U KR200187244Y1 (ko) 2000-01-07 2000-01-07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355U KR200187244Y1 (ko) 2000-01-07 2000-01-07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244Y1 true KR200187244Y1 (ko) 2000-07-01

Family

ID=1963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355U KR200187244Y1 (ko) 2000-01-07 2000-01-07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24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632B1 (ko) * 2007-03-21 2009-09-04 유정수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
KR101026958B1 (ko) 2009-06-22 2011-04-05 임회규 악취차단용 연결관
KR200453284Y1 (ko) 2009-06-30 2011-04-19 임회규 악취차단용 연결관에 장착되는 튜브형차단장치
KR101605286B1 (ko) 2015-02-03 2016-03-21 김수진 하수구 악취 방지 장치
KR101634204B1 (ko) * 2016-02-22 2016-06-28 박형순 배수구 악취 방지 및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KR101922537B1 (ko) * 2017-04-05 2018-11-27 고준성 악취 차단용 배수트랩
WO2020153706A1 (ko) * 2019-01-21 2020-07-30 조현승 악취 역류 차단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632B1 (ko) * 2007-03-21 2009-09-04 유정수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
KR101026958B1 (ko) 2009-06-22 2011-04-05 임회규 악취차단용 연결관
KR200453284Y1 (ko) 2009-06-30 2011-04-19 임회규 악취차단용 연결관에 장착되는 튜브형차단장치
KR101605286B1 (ko) 2015-02-03 2016-03-21 김수진 하수구 악취 방지 장치
KR101634204B1 (ko) * 2016-02-22 2016-06-28 박형순 배수구 악취 방지 및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KR101922537B1 (ko) * 2017-04-05 2018-11-27 고준성 악취 차단용 배수트랩
WO2020153706A1 (ko) * 2019-01-21 2020-07-30 조현승 악취 역류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200187244Y1 (ko)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KR20090036931A (ko) 배수트랩
KR20048289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0674890B1 (ko) 배수구
KR100784857B1 (ko) 유티 오수받이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JPH06306908A (ja) 排水トラップ
KR101955227B1 (ko) 배수트랩 구조체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JP2562115B2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KR200233488Y1 (ko) 배수구의 냄새차단장치
JP2620918B2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10100635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101926851B1 (ko) 악취 차단 하수구 마개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234496Y1 (ko) 물에 뜨는 볼을 이용한 하수구 마개
KR100367229B1 (ko) 수세식 변기의 보조 급수조
KR20170003207U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20047059A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