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793B1 - 배수트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6793B1 KR102536793B1 KR1020220105844A KR20220105844A KR102536793B1 KR 102536793 B1 KR102536793 B1 KR 102536793B1 KR 1020220105844 A KR1020220105844 A KR 1020220105844A KR 20220105844 A KR20220105844 A KR 20220105844A KR 102536793 B1 KR102536793 B1 KR 1025367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g
- inner circumferential
- circumferential surface
- module
- side wa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세면대 및 하수구를 연결시키는 배수트랩 어셈블리(1000)로서, 세면대에 형성된 세면배수구와 긴밀하게 밀착되어 연통되는 상부모듈(100)로서,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관로부(110)를 포함하는, 상부모듈(100); 하수구와 연통되는 하부모듈(200)로서, 상단은 상기 상부모듈(100)과 연통되고, 하단은 상기 하수구에 삽입되는 배수관로부(210)를 포함하는, 하부모듈(200); 및 상기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을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커넥팅모듈(300)로서, 상기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 사이에 구비되되, 상단에는 상기 제1 관로부(110)의 하단이 삽입되고, 하단은 상기 배수관로부(210)의 상단과 체결되어 결합되는, 커넥팅모듈(300); 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모듈(300)은, 상기 제1 관로부(110)의 하부 측이 삽입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바디(310); 상기 상부바디(310)의 내주면에 안착되는 중공 형상의 실링바디(320)로서, 외주면은 상기 상부바디(3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1 관로부(110)의 하부 측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고, 하단에는 반경방향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1 날개부(3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날개부(321)는 상기 상부바디(310) 하부 측에 형성된 제1 날개부안착턱(311)에 지지되는, 실링바디(320); 상기 하부모듈(200) 사이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하부바디(330)로서, 상단에는 상기 상부바디(310)의 하단에 삽입되는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하부모듈(200)의 상단에 삽입되는 하부바디 하단삽입부(333)가 형성되는, 하부바디(330); 및 상기 하부바디(330)에 수용되는 역류방지트랩(340)으로서, 상단에는 반경방향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2 날개부(34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날개부(342)의 저면은 상기 하부바디(330)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제2 날개부안착턱(332)에 지지되고, 상기 제2 날개부(342)의 상면은 상기 제1 날개부(321)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역류방지트랩(340);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날개부안착턱(311)과 제2 날개부안착턱(33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상부바디(310) 및 하부바디(330)가 긴밀하게 체결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42) 두께의 합보다 작게 형성된, 배수트랩 어셈블리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수트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세면대의 배수트랩에는 악취의 역류 및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P형 또는 S형의 곡간으로 이루어지고 세면대쪽 배수관과 하수관측 사이에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되는 배수트랩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수트랩의 상부에는 세면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조작대와 연계되어 배수구의 마개를 개폐하는 레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P형 또는 S형의 곡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수트랩은 곡관부에 상당한 물이 담겨지는 수봉부를 형성하여 악취를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배수속도를 더디게 하고 이물질이 막히는 등 배수기능이 저하되며, 특히 이물질 제거작업시에는 복잡한 레버장치까지 모두 해체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늘어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7772호로 세면대용 배수트랩이 등록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연결부의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세면기에 연결하며, 내측으로 공간을 구비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각을 형성하는 경사몸체의 하단부 내측 내주면에 결합나사부를 형성한 배수유도관과, 배수유도관에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연결부의 외주면에는 결합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를 형성하며 나사부로부터 길이가 연장되어 경사몸체에 의해 가압되는 누수방지가압부를 일체로 형성하며 하단은 플렉시블관이 연결되는 연결관부가 구비된 배수저류관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연결부의 나사부 외측에 폽업부의 연결관이 체결되므로 밀폐력이 떨어져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의 종래기술 이외에도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배수트랩에서 발생되는 문제이다. 또한, 하부하우징의 하단부 외측에 하수구로 연결되는 배수관이 결합되므로 하부하우징과 배수관의 체결 구조가 견고하지 못하고 취약하여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쉽게 빠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주변이 오염되는 바, 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7772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로써, 배수트랩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결합의 긴밀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작업자의 조립성을 증대시키는 배수트랩 어셈블리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면대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세면대 및 하수구를 연결시키는 배수트랩 어셈블리(1000)로서, 세면대에 형성된 세면배수구와 긴밀하게 밀착되어 연통되는 상부모듈(100)로서,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관로부(110)를 포함하는, 상부모듈(100); 하수구와 연통되는 하부모듈(200)로서, 상단은 상기 상부모듈(100)과 연통되고, 하단은 상기 하수구에 삽입되는 배수관로부(210)를 포함하는, 하부모듈(200); 및 상기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을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커넥팅모듈(300)로서, 상기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 사이에 구비되되, 상단에는 상기 제1 관로부(110)의 하단이 삽입되고, 하단은 상기 배수관로부(210)의 상단과 체결되어 결합되는, 커넥팅모듈(300); 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모듈(300)은, 상기 제1 관로부(110)의 하부 측이 삽입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바디(310); 상기 상부바디(310)의 내주면에 안착되는 중공 형상의 실링바디(320)로서, 외주면은 상기 상부바디(3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1 관로부(110)의 하부 측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고, 하단에는 반경방향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1 날개부(3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날개부(321)는 상기 상부바디(310) 하부 측에 형성된 제1 날개부안착턱(311)에 지지되는, 실링바디(320); 상기 하부모듈(200) 사이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하부바디(330)로서, 상단에는 상기 상부바디(310)에 하단에 삽입되는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하부모듈(200)의 상단에 삽입되는 하부바디 하단삽입부(333)가 형성되는, 하부바디(330); 및 상기 하부바디(330)에 수용되는 역류방지트랩(340)으로서, 상단에는 반경방향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2 날개부(34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날개부(342)의 저면은 상기 하부바디(330)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제2 날개부안착턱(332)에 지지되고, 상기 제2 날개부(342)의 상면은 상기 제1 날개부(321)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역류방지트랩(340);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날개부안착턱(311)과 제2 날개부안착턱(33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상부바디(310) 및 하부바디(330)가 긴밀하게 체결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42) 두께의 합보다 작게 형성된, 배수트랩 어셈블리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310)는, 상기 실링바디(320)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바디(310)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측벽(312); 내주면 중 상부에 형성되되, 일정한 중공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상부 내주면부(313); 상기 상부 내주면부(313)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 내주면부(313)보다 더 큰 중공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하부 내주면부(314); 및 상기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결소켓부(315)로서, 상기 제1 날개부안착턱(311)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결소켓부(315);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내주면부(313)의 하단 및 상기 하부 내주면부(314)의 상단 사이에는 중간단턱(316)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단턱(316)은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또한, 상기 실링바디(320)는, 상기 수용측벽(312)에 삽입되는 상단수용부(322a)를 포함하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외측 측벽부(322); 및 상기 외측 측벽부(322) 내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내측 측벽부(323)로서, 상단은 상기 상단수용부(322a)와 연결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외측 측벽부(322)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 내측 측벽부(323); 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측벽부(322)의 하단에는, 제1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상기 제1 날개부(321)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수용부(322a)의 내주면 및 상기 내측 측벽부(323)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외측 측벽부(322)의 내주면에서 상기 중공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상단경사(322b)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 측벽부(323)는 상기 상단경사(322b)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바디(330)에 형성된 제2 날개부안착턱(332)의 깊이는, 제2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상기 역류방지트랩(340)의 제2 날개부(342)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바디(330)는, 상기 하부바디 하단삽입부(333)의 중공 직경보다, 상기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의 중공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수트랩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결합의 긴밀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작업자의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 어셈블리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 어셈블리의 커넥팅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넥팅모듈의 상부바디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넥팅모듈의 실링바디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커넥팅모듈의 실링바디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커넥팅모듈이 조립된 상태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커넥팅모듈의 역류방지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 어셈블리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 어셈블리의 커넥팅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넥팅모듈의 상부바디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넥팅모듈의 실링바디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커넥팅모듈의 실링바디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커넥팅모듈이 조립된 상태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커넥팅모듈의 역류방지트랩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원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원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원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원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인 배수트랩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상부모듈(100)의 구조는 적용되는 세면대 및 세면배수구의 형태에 따라 최적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 어셈블리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배수트랩 어셈블리가 세면대에 설치된 경우가 일 예시로 도시되나, 본 발명은 세면대 뿐만 아니라, 개수대, 주방 씽크대 등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고, 배수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에는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명시한다.
본원에서 '상측', '상부'는 세면대가 설치되는 측을 의미하며, '하측', '하부'는 하수구가 설치되는 측을 의미한다. 유체는 세면대로부터 하수구로 유동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방향을 정의한다. 또한, '반경방향'은 원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크게 상부모듈(100), 하부모듈(200) 및 커넥팅모듈(300)로 구성된다. 이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구성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먼저, 상부모듈(100)은 세면대에 장착되는 구성이며, 세면대개폐부(101) 및 개폐실링(102, 103)을 포함한다. 세면대개폐부(101)는 사용자가 직접 누르는 푸쉬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개폐바(미도시)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여 세면개수구를 개폐시키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즉, 상부모듈(100)은 세면대의 형태에 따라, 설계자가 최적의 형태로 설계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부모듈(100)은 세면대 외측에 위치되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관로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관로부(110)의 형상은 일자로 연장된 구조를 도시하나, 세면대 및 하수구의 위치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 구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하부모듈(200)은 하수구와 직접 연통되며, 하수구 측에 위치되는 구성이다. 전체적으로 일자형의 구조로 형성되나, 설치위치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일부에는 주름관(230)이 형성될 수 있다. 주름관(230)의 특성상 길이의 변경 및 곡선구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개구인 하수구에 직접 삽입되는 배수관로부(210)를 포함한다. 배수관로부(210)의 형태는 하수구 직경 및 위치를 고려하여,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커넥팅모듈(300)은 상측(세면대 측을 의미함)에 위치된 상부모듈(100) 및 하측(하수구 측을 의미함)에 위치된 하부모듈(200)을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수단이다. 상단에는 제1 관로부(110)의 하단부가 일부 삽입되며, 하단에는 배수관로부(210)의 상단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관로부(210)는 주름관(230)과 연결될 수 있는 바, 주름관(230)이 구비된 경우에는 주름관(230) 상단의 체결수단과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팅모듈(300)은 다시 상부바디(310), 실링바디(320), 하부바디(330) 및 역류방지트랩(340)으로 구성된다.
상부바디(310)는 제1 관로부(110)의 하부 측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부바디(310) 자체로 제1 관로부(110)와 밀착됨으로써, 제1 관로부(110)를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제1 관로부(110)가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1 관로부(110)의 외주면과 약간의 유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링바디(32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바디(310)가 제1 관로부(110)를 고정시키는 단면을 보여준다.
상부바디(310)는 수용측벽(312), 상부 내주면부(313), 하부 내주면부(314), 중간단턱(316) 및 연결소켓부(315)를 포함한다.
수용측벽(312)은 실링바디(320)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상부바디(310)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자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의 수용공간에는 실링바디(320)의 상단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부 내주면부(313)는 내주면 중 상부에 형성되되, 일정한 중공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하부 내주면부(314)는 상부 내주면부(313) 하측에 형성되되, 상부 내주면부(313)보다 더 큰 중공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내주면부(313) 및 하부 내주면부(314)는 실링바디(320)와 보다 긴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구조로써, 유체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틈새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간단턱(316)은 상방을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실링바디(320)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방식의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연결소켓부(315)는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결합 용이성을 위해,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물론,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다. 내측 공간을 기준으로 볼 때, 연결소켓부(315)는 하부 내주면부(314)의 하단부 측에 형성된 제1 날개부안착턱(311)로부터 하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제1 날개부안착턱(311)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단턱 구조를 의미하며, 후술하는 실링바디(320)의 제1 날개부(321)가 밀착하여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실링바디(320)의 수직단면을 함께 참조하여 실링바디(320)에 대해 설명한다. 실링바디(320)는 외측 측벽부(322), 내측 측벽부(323) 및 제1 날개부(321)로 구성된다.
외측 측벽부(322)는 수용측벽(312)에 삽입되는 상단수용부(322a)를 포함하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중공 형상이다. 상단수용부(322a)는 수용측벽(312)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수직단면이 소정의 경사를 갖는 단부로 구성될 수 있다.
외측 측벽부(322)의 하부에는 하부 측벽부(324)가 구비되며, 외관을 기준으로, 하부 측벽부(324)는 상측에 위치된 외측 측벽부(322)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외측 측벽부(322)와 하부 측벽부(324) 사이에는 소정의 경사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측벽부(324)는 전술한 상부바디(310)와 긴밀하게 밀착되기 위한 구조이다. 상부바디(310)의 내주면과 접촉 면적을 최대로 형성함으로써, 제1 관로부(1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날개부(321)는 하부 측벽부(324)의 하단부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형상이다. 제1 두께(d1)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의 제1 두께(d1)는 수밀성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한편, 하부 측벽부(324)는 상부바디(310)의 하부 내주면부(314)와 대응되는 형상이며, 외측 측벽부(322)는 상부 내주면부(3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합력 및 긴밀한 수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링바디(3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링바디(320)는 상부바디(310)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안착되는 실링수단이다.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배수되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바디(320)의 외주면은 상기 상부바디(3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며, 내주면에는 제1 관로부(110)의 하부 측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고, 하단에는 반경방향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1 날개부(321)가 형성되며, 제1 날개부(321)는 상부바디(310) 하부 측에 형성된 제1 날개부안착턱(311)에 지지된다.
내측 측벽부(323)는 제1 관로부(110)와 접촉하여 마찰력을 통해 제1 관로부(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측 측벽부(323) 및 외측 측벽부(323) 사이에는 소정의 빈공간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빈 공간은 내측 측벽부(323)가 팽창할 수 있는 마진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체가 역류할 경우,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내측 측벽부(323)의 상단은 상단수용부(322a)와 연결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되되, 외측 측벽부(322)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바, 외측 측벽부(322)의 내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된 측벽 구조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단수용부(322a)의 내주면 및 상기 내측 측벽부(323)의 내주면 사이에는, 외측 측벽부(322)의 내주면에서 상기 중공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상단경사(322b)가 형성된다. 상단경사(322b)는 전술한 수용측벽(312)이 형성한 공간에 용이하게 삽입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끼움 결합의 방향대로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 및 7을 참조하여, 하부바디(330)의 구조를 설명한다.
하부바디(330)는 상단에 상부바디(310)에 하단에 삽입되는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모듈(200)의 상단에 삽입되는 하부바디 하단삽입부(333)가 형성된다. 이 때, 하부바디 하단삽입부(333)의 중공 직경보다, 상기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의 중공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유체가 역류하는 상황에서 압력을 감쇠시킬 수 있다. 즉, 하부바디(330)는 단순한 체결구조 이외에, 역류시 버퍼수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바디(330)의 상단에는 제2 날개부안착턱(332)이 직경 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제2 날개부안착턱(332)에는 역류방지트랩(340)의 제2 날개부(342)가 안착된다. 이 때, 제2 날개부안착턱(332)의 깊이는 제2 두께(d2)를 갖는 제2 날개부(342)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바디(330)의 외주면 중 상부 측에는 결합스토퍼(335)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스토퍼는 직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바,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결합이 긴밀하게 체결될 경우, 더 회전이 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수행한다.
역류방지트랩(340)은 하부바디(330)에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즉, 하부바디(330)의 중공 공간에 구비되되, 하부바디(330)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에는 반경방향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2 날개부(342)가 형성된다. 제2 날개부(342)의 저면은 하부바디(330)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제2 날개부안착턱(332)에 지지되고, 제2 날개부(342)의 상면은 상기 제1 날개부(321)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제2 날개부(342)는 탄성의 재질로 형성된 실링바디(320)의 제1 날개부(321)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1 날개부안착턱(311)과 제2 날개부안착턱(332) 사이의 거리는, 상부바디(310) 및 하부바디(330)가 긴밀하게 체결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42) 두께의 합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시로써, 제1 날개부(321)가 3mm, 제2 날개부(342)가 2mm일 경우, 1 날개부안착턱(311)과 제2 날개부안착턱(332) 사이의 거리는 3mm 또는 4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바디(310) 및 하부바디(330)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긴밀하게 결합된 경우, 제2 날개부(342)가 제1 날개부(321)를 가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역류방지트랩(3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역류방지트랩(340)은 하우징(343), 하우징(343)의 상단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부(342), 하우징(343)에 힌지 결합되어 하우징(343) 내부에 유입된 오수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여 하우징(343)의 하부 개방면을 개방하는 개폐부(344) 및 토션스프링부(346)을 포함한다.
코일(3462)과 코일 삽입축(3482) 및 연장암(3463) 각각 하나씩만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걸이(3461)의 일단부에는 코일이 아닌 하우징(343)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절곡된 지지암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지지바디(3461)의 일측면인 코일 삽입축(3462) 부근에서 연장된 연장암(3463)은 그 단부가 개폐부 바디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코일(346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다 그 중간 지점에서 절곡된 절곡부(346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연장암(3463)이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하측으로만 연장되도록 구성될 경우, 개폐부 바디의 일측만 가압함으로써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하부 개방면이 제대로 폐쇄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개폐부(344)의 일측에는(바람직하게는 중심 측) 하면에 돌출 구비되며 상기 연장암(3463)의 좌우측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개폐부 걸림부(33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0: 상부모듈
110: 제1 관로부
200: 하부모듈
210: 배수관로부
300: 커넥팅모듈
310: 상부바디
320: 실링바디
330: 하부바디
340: 역류방지트랩
1
110: 제1 관로부
200: 하부모듈
210: 배수관로부
300: 커넥팅모듈
310: 상부바디
320: 실링바디
330: 하부바디
340: 역류방지트랩
1
Claims (7)
- 세면대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세면대 및 하수구를 연결시키는 배수트랩 어셈블리(1000)로서,
세면대에 형성된 세면배수구와 긴밀하게 밀착되어 연통되는 상부모듈(100)로서,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관로부(110)를 포함하는, 상부모듈(100);
하수구와 연통되는 하부모듈(200)로서, 상단은 상기 상부모듈(100)과 연통되고, 하단은 상기 하수구에 삽입되는 배수관로부(210)를 포함하는, 하부모듈(200); 및
상기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을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커넥팅모듈(300)로서, 상기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 사이에 구비되되, 상단에는 상기 제1 관로부(110)의 하단이 삽입되고, 하단은 상기 배수관로부(210)의 상단과 체결되어 결합되는, 커넥팅모듈(300); 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모듈(300)은,
상기 제1 관로부(110)의 하부 측이 삽입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바디(310);
상기 상부바디(310)의 내주면에 안착되는 중공 형상의 실링바디(320)로서, 외주면은 상기 상부바디(3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1 관로부(110)의 하부 측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고, 하단에는 반경방향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1 날개부(3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날개부(321)는 상기 상부바디(310) 하부 측에 형성된 제1 날개부안착턱(311)에 지지되는, 실링바디(320);
상기 하부모듈(200) 사이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하부바디(330)로서, 상단에는 상기 상부바디(310)의 하단에 삽입되는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하부모듈(200)의 상단에 삽입되는 하부바디 하단삽입부(333)가 형성되는, 하부바디(330); 및
상기 하부바디(330)에 수용되는 역류방지트랩(340)으로서, 상단에는 반경방향으로 일부 연장되는 제2 날개부(34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날개부(342)의 저면은 상기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날개부안착턱(332)에 지지되고, 상기 제2 날개부(342)의 상면은 상기 제1 날개부(321)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역류방지트랩(340);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날개부안착턱(311)과 제2 날개부안착턱(33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상부바디(310) 및 하부바디(330)가 긴밀하게 체결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날개부(321)와 제2 날개부(342) 두께의 합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날개부안착턱(332)은, 상기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로부터 직경 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날개부안착턱(332)의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된 상기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의 영역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1 날개부(32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2 날개부(342)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바디(330)에 형성된 제2 날개부안착턱(332)의 깊이는,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상기 역류방지트랩(340)의 제2 날개부(342)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배수트랩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310)는,
상기 실링바디(320)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바디(310)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측벽(312);
내주면 중 상부에 형성되되, 일정한 중공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상부 내주면부(313);
상기 상부 내주면부(313)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 내주면부(313)보다 더 큰 중공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하부 내주면부(314); 및
상기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결소켓부(315)로서, 상기 제1 날개부안착턱(311)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결소켓부(315); 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어셈블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내주면부(313)의 하단 및 상기 하부 내주면부(314)의 상단 사이에는 중간단턱(316)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단턱(316)은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배수트랩 어셈블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링바디(320)는,
상기 수용측벽(312)에 삽입되는 상단수용부(322a)를 포함하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외측 측벽부(322); 및
상기 외측 측벽부(322) 내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내측 측벽부(323)로서, 상단은 상기 상단수용부(322a)와 연결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외측 측벽부(322)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 내측 측벽부(323); 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측벽부(322)의 하단에는,
제1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상기 제1 날개부(321)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배수트랩 어셈블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단수용부(322a)의 내주면 및 상기 내측 측벽부(323)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외측 측벽부(322)의 내주면에서 상기 중공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상단경사(322b)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 측벽부(323)는 상기 상단경사(322b)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배수트랩 어셈블리.
- 삭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330)는,
상기 하부바디 하단삽입부(333)의 중공 직경보다, 상기 하부바디 상단삽입부(331)의 중공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배수트랩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5844A KR102536793B1 (ko) | 2022-08-24 | 2022-08-24 | 배수트랩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5844A KR102536793B1 (ko) | 2022-08-24 | 2022-08-24 | 배수트랩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6793B1 true KR102536793B1 (ko) | 2023-05-26 |
Family
ID=8653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5844A KR102536793B1 (ko) | 2022-08-24 | 2022-08-24 | 배수트랩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6793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79442A (ja) * | 1995-09-13 | 1997-03-25 | Higashio Mec Kk | 給水栓継手 |
KR20120131951A (ko) * | 2011-05-27 | 2012-12-05 | 김기성 | 다용도 배수트랩장치 |
KR20150115587A (ko) * | 2014-04-04 | 2015-10-14 | 임회규 | 수직이음관용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관체의 구조 |
KR102089765B1 (ko) * | 2019-08-27 | 2020-03-16 | 문면곤 | 패킹 |
KR20200090511A (ko) * | 2019-01-21 | 2020-07-29 | 조현승 |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KR102428307B1 (ko) * | 2021-07-06 | 2022-08-01 | 김재옥 | 조립성이 개선된 하수구 트랩 |
-
2022
- 2022-08-24 KR KR1020220105844A patent/KR1025367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79442A (ja) * | 1995-09-13 | 1997-03-25 | Higashio Mec Kk | 給水栓継手 |
KR20120131951A (ko) * | 2011-05-27 | 2012-12-05 | 김기성 | 다용도 배수트랩장치 |
KR20150115587A (ko) * | 2014-04-04 | 2015-10-14 | 임회규 | 수직이음관용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관체의 구조 |
KR20200090511A (ko) * | 2019-01-21 | 2020-07-29 | 조현승 |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KR102089765B1 (ko) * | 2019-08-27 | 2020-03-16 | 문면곤 | 패킹 |
KR102428307B1 (ko) * | 2021-07-06 | 2022-08-01 | 김재옥 | 조립성이 개선된 하수구 트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01581B2 (en) | Waste water outlet | |
US20090173396A1 (en) | One piece plumbing vent, drain pipe | |
GB2320310A (en) | Non-return device | |
US8683622B2 (en) | Drain system for bathtub with door | |
EP0572468A1 (en) | Waste valve fittings | |
WO2007110595A2 (en) | Floor drain | |
US20230078805A1 (en) | Pop-up sink drain with overflow knock-out blank | |
KR102536793B1 (ko) | 배수트랩 어셈블리 | |
US20230111926A1 (en) | Pop-up sink drain assembly with overflow knock-out blank band | |
KR101674159B1 (ko) | 욕조 배수장치 | |
EP2128326B1 (en) | Washer drain with valved vent, relevant manufacturing method and washer comprising such drain | |
JP2007138654A (ja) | 排水トラップ | |
RU2751915C2 (ru) |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ая сливная арматура | |
KR101594899B1 (ko) |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 |
AU2010243797B2 (en) | Siphon and item of furniture | |
CN113785094A (zh) | 排水器组件 | |
KR200480200Y1 (ko) | 세면기의 팝업 밸브용 배수관 | |
KR200388695Y1 (ko) | 악취 방지 하수구 덮개 | |
KR200360049Y1 (ko) | 세면기용 배수관 연결구조 | |
KR102155447B1 (ko) |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 |
KR200330363Y1 (ko) |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 |
KR20120010320A (ko) |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 |
KR102495348B1 (ko) | 하수구 트랩 설치용 멀티탭 | |
WO2007019615A1 (en) | Waste outlet fitting | |
CA2775240C (en) | Drain system for bathtub with d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