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032Y1 - 싱크대용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032Y1
KR200461032Y1 KR2020100010473U KR20100010473U KR200461032Y1 KR 200461032 Y1 KR200461032 Y1 KR 200461032Y1 KR 2020100010473 U KR2020100010473 U KR 2020100010473U KR 20100010473 U KR20100010473 U KR 20100010473U KR 200461032 Y1 KR200461032 Y1 KR 200461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rain
piece
sealing
was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722U (ko
Inventor
정진헌
Original Assignee
정진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헌 filed Critical 정진헌
Priority to KR2020100010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03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0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배수관과 연통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배수편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편의 둘레로 오폐수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담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담수공간의 외측에 밀폐홈이 형성되고 외주연 일부분에는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밀폐홈에 삽입되어 담수공간의 오폐수가 누수되는 것을 막는 밀폐링과, 상기 담수공간에 위치되어 오폐수는 배출하고 악취의 역류를 막아 주는 차단부재가 포함된 배출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배출부재에는 배수공이 관통된 복수개의 연결관 형성되고 외주연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밀폐홈에 삽입되어 밀폐링을 가압하는 밀폐편이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숫나사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내주연에 형성되고 내주연으로 가압편이 돌출되게 상부면 중앙이 관통된 체결구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구와 몸체부 사이에 배출부재가 위치되어 몸체부에 체결구가 나사체결시 발생하는 리이드 이동으로 가압편이 배출부재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밀폐편의 하단이 밀폐링에 밀착되도록 하고, 복수개의 배출관이 각각의 연결관에 결합되어 배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의 역류를 막아 주면서 여러 곳에서 집수된 오폐수를 한번에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배수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싱크대용 배수트랩{A drain trap for a sink}
본 고안은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의 역류를 막아 주면서 여러 곳에서 집수된 오폐수를 한번에 배출하게 구성된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주방에는 그릇 등을 세척하거나 과일이나 채소 등을 세척하는 싱크대뿐만 아니라 정수기, 식기세척기 및 세탁기까지 주방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싱크대, 정수기, 식기세척기, 세탁기 등에서는 오폐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오폐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관의 규격은 각각 용량과 크기에 따라 다양하다.
이때, 배수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하는 악취차단 기능과 제조의 용이성, 설치시공의 편의성이 요구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배출관의 용량과 크기에 맞은 배수트랩을 각각 연결시켜 배출시키거나 싱크대의 배수관의 측면에 임의로 연결시켜 사용하였다.
그런데 한 개의 배수관에 복수개의 배출관을 임의로 연결시켜 사용함으로 인해 연결부분에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막기 위해 복수개의 배출관에 각각의 배수트랩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각기 다른 규격을 갖는 배출관을 배수트랩에 연결시키기 위해 각기 다른 규격에 맞는 연결관을 각각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증가하고 설치작업도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 배수트랩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마련된 일반적이 고무 재질의 링은 탄성복원력이 약하고 부패하기 쉬워, 밀폐력이 약하고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배출관이 한 개의 배수관에 연통되도록 연결시켜, 여러 곳에서 집수된 오폐수가 연결부분으로 누수되지 않으면서 한번에 배출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복수개의 배출관이 연결된 배수트랩에 악취 방지수단을 마련하여 배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의 역류를 한번에 차단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각기 다른 규격을 갖는 배출관을 배수트랩에 연결 및 분해가 용이한 연결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덧붙여,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배수트랩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밀폐력과 복원력이 향상된 재질의 밀폐링을 적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싱크대의 하부 바닥에 매설된 배수관의 노출된 부분에 연결되고 상부에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이송되는 오폐수를 배출시키는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배수편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편의 둘레로 오폐수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담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담수공간의 외측에 밀폐홈이 형성되고 외주연 일부분에는 숫나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밀폐홈에 삽입되어 담수공간의 오폐수가 누수되는 것을 막는 밀폐링과, 상기 담수공간에 위치되어 오폐수는 배출하고 악취의 역류를 막아 주는 차단부재가 포함된 배출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배출부재에는 배수공이 관통된 복수개의 연결관 형성되고 외주연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밀폐홈에 삽입되어 밀폐링을 가압하는 밀폐편이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숫나사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내주연에 형성되고 내주연으로 가압편이 돌출되게 상부면 중앙이 관통된 체결구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구와 몸체부 사이에 배출부재가 위치되어 몸체부에 체결구가 나사체결시 발생하는 리이드 이동으로 가압편이 배출부재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밀폐편의 하단이 밀폐링에 밀착되도록 하고, 복수개의 배출관이 각각의 연결관에 결합되어 배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의 역류를 막아 주면서 여러 곳에서 집수된 오폐수를 한번에 배출할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배출부재의 하부면에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된 위치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배수관의 외주연에 형성시킨 연결수단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마개와 와셔가 더 포함되어 각기 다른 규격을 갖는 배출관에 맞추어 각각의 연결관에 배출관이 고정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밀폐링의 재질은 탄성고분자 화합물인 우레탄, 고무, PVC,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싱크대용 배수트랩은 배수관과 연통되게 연결된 몸체부에 복수개의 연결관이 형성된 배출부를 결합시켜, 복수개의 배출관이 한 개의 배수관에 연통되도록 연결시켜, 여러 곳에서 집수된 오폐수가 연결부분으로 누수되지 않으면서 한번에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배수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싱크대용 배수트랩은 몸체부 내부에 오폐수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담수공간에 위치되어 오폐수는 배출하고 악취의 역류를 막아 주는 차단부재를 끼움고정만으로 설치할 수 있어서, 복수개의 배출관이 연결된 배수트랩이 배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의 역류를 한번에 차단하여, 용이한 배수트랩의 설치만으로 악취방지기능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싱크대용 배수트랩은 배수관의 외주연에 형성시킨 연결수단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마개와 와셔가 더 포함되어 각기 다른 규격을 갖는 배출관의 규격에 맞추어 각각의 배수공에 배출관이 고정되어, 각기 다른 규격을 갖는 배출관을 배수트랩에 연결 및 분해가 용이하여, 설치 및 점검을 위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고안의 싱크대용 배수트랩은 밀폐링의 재질을 탄성고분자 화합물인 우레탄, 고무, PVC, 실리콘 중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배수트랩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밀폐력과 복원력이 향상되어 배수트랩의 수명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싱크대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싱크대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싱크대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싱크대용 배수트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싱크대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싱크대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싱크대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싱크대용 배수트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트랩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싱크대의 하부 바닥에 매설된 배수관 10의 노출된 부분에 연결되고 상부에 연결된 배출관 20을 통해 이송되는 오폐수를 배출시키는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10과 연결되는 몸체부 110와, 오폐수가 누수되는 것을 막는 밀폐링 120과, 복수개의 연결관 133 형성된 배출부재 131에 차단부재 139를 포함하는 배출부 130와, 상기 숫나사 117와 결합되는 체결구 140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트랩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 10과 연통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배수편 111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편 111의 둘레로 오폐수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담수공간 113이 형성되며 상기 담수공간 113의 외측에 밀폐홈 115이 형성되고 외주연 일부분에는 숫나사 117가 형성된 몸체부 110와, 상기 밀폐홈 115에 삽입되어 담수공간 113의 오폐수가 누수되는 것을 막는 밀폐링 120과, 상기 담수공간 113에 위치되어 오폐수는 배출하고 악취의 역류를 막아 주는 차단부재 139가 포함된 배출부재 131가 마련되되, 상기 배출부재 131에는 배수공 133a이 관통된 복수개의 연결관 133 형성되고 외주연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밀폐홈 115에 삽입되어 밀폐링 120을 가압하는 밀폐편 135이 형성된 배출부 130와, 상기 숫나사 117와 결합되는 암나사 143가 내주연에 형성되고 내주연으로 가압편 141이 돌출되게 상부면 중앙이 관통된 체결구 140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구 140와 몸체부 110 사이에 배출부재 131가 위치되어 몸체부 110에 체결구 140가 나사체결시 발생하는 리이드 이동으로 가압편 141이 배출부재 131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밀폐편 135의 하단이 밀폐링 120에 밀착되도록 하고, 복수개의 배출관 20이 각각의 연결관 133에 결합되어 배수관 10에서 올라오는 악취의 역류를 막아 주면서 여러 곳에서 집수된 오폐수를 한번에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국, 본 고안인 싱크대용 배수트랩 100은 배수관 10과 연통되게 연결된 몸체부 110에 복수개의 연결관 133이 형성된 배출부 130를 결합시켜, 복수개의 배출관 20이 한 개의 배수관 10에 연통되도록 연결시켜, 여러 곳에서 집수된 오폐수가 연결부분으로 누수되지 않으면서 한번에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배수효율이 향상된다.
먼저, 몸체부 110는 배수편 111, 담수공간 113, 밀폐홈 115, 숫나사 117, 연결홈 119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배수편 111은 관형상으로 배수관 10과 연통되도록 중앙이 관통되어 있다. 이렇게 관통된 배수편 111을 통해 오폐수가 배수관 10으로 유입된다.
더불어, 배수편 111의 둘레로 오폐수가 수용되는 담수공간 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담수공간 113은 상부가 개구되어 있다. 복수개의 배출관 20으로부터 배출되는 오폐수가 담기게 된다. 이렇게 담겨있던 오폐수가 담수공간 113에 계속 공급되면 배수편 111측으로 넘치게 되면서 배수관 10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담수공간 113의 외측에는 밀폐링 120이 삽입되는 밀폐홈 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밀폐홈 115의 깊이는 밀폐편 135이 밀폐링 120을 가압하여 방수가 되도록 밀폐링 120과 밀폐편 135의 높이를 합한 높이보다는 깊게 형성되어야 한다.
덧붙여, 몸체부 110의 외주연 일부분에는 숫나사 117가 형성되어 있다. 다양한 체결수단 중 밀폐력의 조절이 가능하면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나사체결방식을 적용함이 적합하다.
한편, 상기 밀폐홈 115에 삽입되어 담수공간 113의 오폐수가 누수되는 것을 막는 밀폐링 120이 마련된다. 이때, 밀폐링 120의 단면 형상은 사각, 원형, 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밀폐링 120의 재질은 탄성고분자 화합물인 우레탄, 고무, PVC,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한다. 특히, 우레탄은 우레탄결합?에테르결합?에스터결합을 갖는 망상구조(網狀構造)의 고분자 물질이다. 성형(成型)은 일반적으로 가압?가열 하에서 이루어지며 이중결합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내후성(耐候性)?내산화성, 우레탄 결합이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내마모성?내충격성 등에서 우수하다.
즉, 밀폐링 120의 재질은 우레탄이 적합하나 이러한 재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결국, 배수트랩 100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밀폐력과 복원력이 향상된 재질이 적용된 밀폐링 120의 사용으로 배수트랩 100의 수명이 증가된다.
한편, 배출부 130는, 배출부재 131, 연결관 133, 배수공 133a, 밀폐편 135, 결합편 137, 결합공 137a, 차단부재 139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배출부재 131에는 배수공 133a이 관통된 복수개의 연결관 133 형성되고 외주연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밀폐홈 115에 삽입되어 밀폐링 120을 가압하는 밀폐편 13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연결관 133과 배수공 133a의 지름은 배출관 20의 규격에 맞추어 다양하게 형성된다. 또한, 연결관 133의 외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나사체결방식을 적용함이 적합하다.
특히, 상기 배수관 133의 외주연에 형성시킨 연결수단 134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마개 150와 와셔 151가 더 포함되어 각기 다른 규격을 갖는 배출관 20에 맞추어 각각의 연결관 133에 배출관 20이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와 같이 지름이 큰 배출관 20은 배출부재 131의 일측면에 형성된 지름이 넓은 연결관 133에 연결된다. 이때, 지름이 넓은 배출관 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배출관 20을 가압하는 마개 150a가 연결수단 134에 나사결합된다.
더불어, 식기세척기와 같이 지름이 중간크기를 갖는 배출관 20은 이와 대응된 크기를 갖는 연결관 133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관 133은 배출부재 131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출관 20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와셔 151b가 연결관 133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마개 150b가 나사결합시 와셔 151b가 배출관 20의 외주연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배출부재 131의 중앙에 형성되어 정수기와 같이 지름이 작은 배출관 20이 연결된다. 이때, 배출관 20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와셔 151c가 연결관 133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마개 150c가 나사결합시 마개 150c의 내측하부면에 형성된 경사면이 와셔 151c의 경사면을 가압하면 와서151c가 내측으로 조여지면서 배출관 20의 외주연을 가압하게 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결관 133 중 사용하지 않는 연결관은 각각의 마개 150d,e를 결합시킨다. 이때, 지름이 큰 연결수단 134에 결합되는 마개 150d의 내부에는 밀폐링이 마련되어 연결관 133의 상부면을 가압하면서 누수 및 악취를 차단한다. 더불어, 중앙에 지름이 작은 마게 150e에는 판형상의 와셔를 마련하여 누수 및 악취를 차단한다.
결국, 각기 다른 규격을 갖는 배출관 20을 배수트랩 100에 연결 및 분해가 용이하여, 설치 및 점검을 위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된다.
한편, 배출부재 131의 하부에는 차단부재 139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차단부재 139는 상기 담수공간 113에 위치되어 오폐수는 배출하고 악취의 역류를 막아 준다.
특히, 상기 배출부재 131의 하부면에 결합공 137a이 형성된 결합편 137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 139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합공 137a과 대응된 위치에 결합돌기 139a가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결합돌기 139a가 결합공 137a에 끼움결합되어 차단부재 139가 배출부재 131에 고정된다. 이때, 결합력을 높여주기 위해 결합공 137a의 내부에 접착제를 충진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결국, 복수개의 배출관 20이 연결된 배수트랩 100이 배수관 10에서 올라오는 악취의 역류를 한번에 차단하여, 용이한 배수트랩 100의 설치만으로 악취방지기능이 극대화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 110의 상부에 결합하는 체결구 14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체결구 140는 상기 숫나사 117와 결합되는 암나사 143가 내주연에 형성되고 내주연으로 가압편 141이 돌출되게 상부면 중앙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 140와 몸체부 110 사이에 배출부재 131가 위치되어 몸체부 110에 체결구 140가 나사체결시 발생하는 리이드 이동으로 배출부재 131가 몸체부 110에 일체로 결합된다. 더불어, 가압편 141이 배출부재 131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밀폐편 135의 하단이 밀폐링 120에 밀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관 20 : 배출관
100 : 배수트랩
110 : 몸체부 111 : 배수편
113 : 담수공간 115 : 밀폐홈
117 : 숫나사 119 : 연결홈
120 : 밀폐링
130 : 배출부 131 : 배출부재
133 : 연결관 133a : 배수공
134 : 연결수단 135 : 밀폐편
137 : 결합편 137a : 결합공
139 : 차단부재 139a : 결합돌기
140 : 체결구 141 : 가압편
143 : 암나사
150 : 마개 151 : 와셔

Claims (4)

  1. 싱크대의 하부 바닥에 매설된 배수관의 노출된 부분에 연결되고 상부에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이송되는 오폐수를 배출시키는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과 연통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배수편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편의 둘레로 오폐수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담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담수공간의 외측에 밀폐홈이 형성되고 외주연 일부분에는 숫나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밀폐홈에 삽입되어 담수공간의 오폐수가 누수되는 것을 막는 밀폐링과,
    상기 담수공간에 위치되어 오폐수는 배출하고 악취의 역류를 막아 주는 차단부재가 포함된 배출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배출부재에는 배수공이 관통된 복수개의 연결관 형성되고 외주연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밀폐홈에 삽입되어 밀폐링을 가압하는 밀폐편이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숫나사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내주연에 형성되고 내주연으로 가압편이 돌출되게 상부면 중앙이 관통된 체결구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구와 몸체부 사이에 배출부재가 위치되어 몸체부에 체결구가 나사체결시 발생하는 리이드 이동으로 가압편이 배출부재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밀폐편의 하단이 밀폐링에 밀착되도록 하고, 복수개의 배출관이 각각의 연결관에 결합되어 배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의 역류를 막아 주면서 여러 곳에서 집수된 오폐수를 한번에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의 하부면에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된 위치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외주연에 형성시킨 연결수단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마개와 와셔가 더 포함되어 각기 다른 규격을 갖는 배출관에 맞추어 각각의 연결관에 배출관이 고정되도록 한 싱크대용 배수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링의 재질은 탄성고분자 화합물인 우레탄, 고무, PVC,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트랩.
KR2020100010473U 2010-10-12 2010-10-12 싱크대용 배수트랩 KR200461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473U KR200461032Y1 (ko) 2010-10-12 2010-10-12 싱크대용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473U KR200461032Y1 (ko) 2010-10-12 2010-10-12 싱크대용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22U KR20120002722U (ko) 2012-04-20
KR200461032Y1 true KR200461032Y1 (ko) 2012-06-25

Family

ID=4660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473U KR200461032Y1 (ko) 2010-10-12 2010-10-12 싱크대용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0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521A (ko) * 2015-02-16 2016-08-24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정수기용 퇴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73667B2 (es) * 2014-03-14 2015-04-28 Tucai, S.A. Dispositivo de instalación de conductos de naturaleza flexible o similar en sistemas de grifería
KR20230023918A (ko) 2021-08-11 2023-02-20 박중혁 악취역류방지 배수트랩
KR20230023917A (ko) 2021-08-11 2023-02-20 박중혁 악취역류방지 배수트랩
KR102495348B1 (ko) * 2022-01-28 2023-02-06 김재옥 하수구 트랩 설치용 멀티탭
KR102451693B1 (ko) * 2022-06-04 2022-10-06 주식회사 에스엠지 배수관 연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59U (ko) * 1998-07-09 1998-10-26 김해옥 하수구용 악취방지구
KR20100023281A (ko) * 2008-08-21 2010-03-04 (주)엘지하우시스 배수커플러
KR100956417B1 (ko) 2008-09-23 2010-05-06 김보섭 주방 배수관용 악취방지 멀티 연결구
KR20100109782A (ko) * 2009-04-01 2010-10-11 정준채 베란다 우수관용 소음방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59U (ko) * 1998-07-09 1998-10-26 김해옥 하수구용 악취방지구
KR20100023281A (ko) * 2008-08-21 2010-03-04 (주)엘지하우시스 배수커플러
KR100956417B1 (ko) 2008-09-23 2010-05-06 김보섭 주방 배수관용 악취방지 멀티 연결구
KR20100109782A (ko) * 2009-04-01 2010-10-11 정준채 베란다 우수관용 소음방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521A (ko) * 2015-02-16 2016-08-24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정수기용 퇴수장치
KR102383886B1 (ko) * 2015-02-16 2022-04-08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정수기용 퇴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22U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032Y1 (ko) 싱크대용 배수트랩
KR101056557B1 (ko) 배수 트랩
WO2010036007A3 (ko) 주방 배수관용 악취방지 멀티 연결구
KR10080974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장치
KR101272152B1 (ko)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KR101935790B1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1594899B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KR200436700Y1 (ko) 맨홀
KR101409770B1 (ko) 호스 연결 구조
KR200457576Y1 (ko) 이음관 장착용 악취차단장치
CN213145339U (zh) 用于厨房垃圾处理器上的防震密封圈
JP2012180656A (ja) 逆流防止弁
KR102077282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KR101534520B1 (ko) 수압을 이용한 다용도 변기 막힘 제거도구
KR200465364Y1 (ko) 배수관용 배수 트랩의 조립체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200386003Y1 (ko) 배수트렌치의 배수트랩 고정구조
KR200449468Y1 (ko) 싱크대용 배수구 연결장치
KR20110007997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2370423B1 (ko)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KR101248976B1 (ko) 연결관 장착용 악취차단장치
KR200480200Y1 (ko) 세면기의 팝업 밸브용 배수관
KR20130072850A (ko)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KR200461517Y1 (ko) 배수전 내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160003586U (ko)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