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850A -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850A
KR20130072850A KR1020110140452A KR20110140452A KR20130072850A KR 20130072850 A KR20130072850 A KR 20130072850A KR 1020110140452 A KR1020110140452 A KR 1020110140452A KR 20110140452 A KR20110140452 A KR 20110140452A KR 20130072850 A KR20130072850 A KR 20130072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drain hose
hose
cylindrical
rubb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9645B1 (ko
Inventor
김보섭
Original Assignee
김보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섭 filed Critical 김보섭
Priority to KR1020110140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6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호스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결구에 형성된 다수개의연결관(11) 중 일측 연결관(11)의 단부에 결합되는 어답터(12)와; 상기 어답터(12)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돌출관(13)의 외주면에 내면이 접착 고정되는 원통상 볼트(10)와; 상기 원통상 볼트(10)의 단부 내측에 결합되는 고무패킹(20) 및; 상기 원통상 볼트(10)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상 너트(30)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30)의 중심부 구멍 통해 고무패킹(20)의 중심부 구멍 내로 삽입되는 정수기 호스(40)가 연결관(11)에 밀봉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호스의 연결구조로써 멀티 연결구(1) 또는 가지 연결구(2)의 일측 연결관(11)에 결합되는 어답터(12)의 돌출관(13)의 외주면에 내면이 접착 고정된 연결구인 볼트의 단부에 고무패킹이 고정되고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의 단부가 결합에 의해 고무패킹을 압압하여 호스가 밀봉 연결됨으로써, 연결 작업이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순한 작업으로 되어 호스의 연결 작업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고, 마개가 제품 자체에 연결되어 있어 악취 방지와 동시에 마개를 잃어버릴 염려가 없으며, 볼트와 너트의 단순한 구조를 이루어 제품의 가격 저렴화로 경제성이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Connecting construction for fitting water drain hose}
본 발명은 연결구의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에 연결하는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연결구 또는 가지 연결구의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의 외주면에 고무패킹이 결합된 원통상 볼트의 내면을 접착 고정하고 상기 원통상 볼트에 나사 체결되는 원통상 너트의 단부가 정수기 배수호스가 삽입된 상기 고무패킹을 밀면서 압압하여 정수기 배수호스가 연결관에 밀봉 연결되게 함으로써 악취 및 누수를 방지하고, 연결 작업이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순한 작업으로 되어 자재비가 감소하고, 연결관과 배수호스의 연결 작업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는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에는 수도배관 라인에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하여 주는 급수호스와, 필터수단에서 발생된 농축수를 배수하여 주고, 상온수통의 물넘침을 방지토록 일정수위에서 물을 배수시켜 주는 정수기 배수호스를 채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 농축수 배수 및 물넘침 배수호스를 개수대에 노출되게 설치하여 물을 개수대를 통해 배수토록 하였던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수기 배수호스를 개수대에 노출되게 설치하는 것은 배수호스가 싱크대 저수조 밖으로 이탈되어 주방 바닥에 물이 쏟아지는 문제점과 씽크대의 미관상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배수관에 정수기 배수호스가 삽입되는 작은 구멍을 천공하고 그 구멍에 정수기 배수호스를 삽입한 후 실리콘으로 밀봉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배수관의 구멍과 정수기 배수호스가 밀봉이 잘되지 않거나, 정수기 배수호스가 구멍에서 빠져나와서 주방으로 물이 쏟아지는 문제점과, 주방으로 악취가 스며드는 일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로서 특허공개 2009-0011370호의 "버튼 타입의 정수기 호스 피팅부재"가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 2009-0011370호의 "버튼 타입의 정수기 호스 피팅부재(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의 이탈을 방해하도록 돌기부(32)가 형성되는 콜레트(30); 상기 돌기부(32)와 접촉하여 상기 콜레트(30)가 빠지지 않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피팅바디(24); 및 상기 피팅바디(24)의 수직방향에서 눌러 상기 돌기부(32)가 상기 경사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해하는 누름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콜레트(30)와 상기 누름부(22)가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콜레트(30)와 상기 누름부(22)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를 가지는 슬라이딩부(28)가 각각 형성되며, 호스(10)가 상기 피팅바디(24)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는 상기 호스(10)의 단부의 내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12)이 형성되는 체결링(26)에 완전히 끼워지고, 상기 호스(10)가 상기 체결링(26)에 끼워지는 부근에는 상기 호스(10)와 접촉하는 오링(40)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구성된 것으로, 정수기 호스 피팅부재에 의하여 호스를 피팅부재로부터 분리할 때 피팅바디의 수직한 방향으로 누름부를 단지 누르면서 호스를 당기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좁은 작업공간에서의 청소 및 필터 교환 등의 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공개 2009-0011370호의 "버튼 타입의 정수기 호스 피팅부재(20)"는 콜레트(30)와 누름부 등의 복잡한 구조를 이루어져 제작시 비용증가 및 고장 발생의 우려가 크고, 패킹을 이루는 오링(40)이 고정되지 않고 피팅바디(24) 내에서 유동되어 밀봉의 효과가 작아서 정수기 호스 연결시 누수 현상이 자주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구조들은 정수기 청소, 필터교환 등으로 정수기 배수호스를 배수관에서 분리할 때, 마개가 없는 상태로 되어 배수관에 천공된 구멍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구조에서 야기되는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멀티 연결구 또는 가지 연결구의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의 외주면에 내면이 접착 고정되는 원통상 볼트의 단턱부에 고무패킹의 걸림부가 고정되고, 상기 원통상 볼트에 체결되는 원통상 너트의 내측 단부가 나사 결합에 의해 고무패킹을 밀면서 압압하여 정수기 배수호스가 연결관에 밀봉 결합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여 자재 비용이 절감되며,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 작업도 단순히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순작업으로써 경제적인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개를 제품 자체에 연결 고정할 수 있어 청소, 필터 교환 등 정수기 배수호스 분리시 악취를 방지할 수 있고, 마개를 잃어버리지 않는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의 내측 단부가 결합에 의해 고무패킹을 밀면서 압압하여 배수호스가 연결관에 밀봉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에서 악취와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정수기 호스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는, 연결구(1)(2)에 형성된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의 외주면에 내면이 접착 고정되는 원통상 볼트(10)와; 상기 원통상 볼트(10)의 단턱부(10a) 내측에 결합되는 고무패킹(20) 및; 상기 원통상 볼트(10)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상 너트(30)로 구성되어 상기 원통상 너트(30)의 중심부 구멍 통해 고무패킹(20)의 중심부 구멍 내로 삽입되는 정수기 배수호스(40)가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에 밀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멀티 연결구 또는 가지 연결구의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의 외주면에 내면이 접착 고정된 원통상 볼트의 단부에 고무패킹이 고정되고, 상기 원통상 볼트에 체결되는 원통상 너트의 내측 단부가 나사결합에 의해 고무패킹을 압압하여 정수기 호스가 밀봉 결합됨으로써, 연결구조가 단순하여 자재비용이 절감되고,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 작업이 단순히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작업으로 되어 연결 작업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마개를 제품 자체에 연결 고정할 수 있어 청소, 필터 교환 등 정수기 호스 분리시 악취를 방지할 수 있고, 마개를 잃어버릴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통상 볼트에 체결되는 원통상 너트의 내측 단부가 나사결합에 의해 고무패킹을 밀면서 압압하여 배수호스가 밀봉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정수기 배수호스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 연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멀티 연결구의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에 정수기 배수호스를 연결한 연결구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멀티 연결구의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에 정수기 배수호스를 연결한 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멀티 연결구의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에 정수기 배수호스를 연결한 연결구조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가지 연결구의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에 정수기 배수호스를 연결한 연결구조의 결합 단면도,
도 8, 9, 10은 본 발명 가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로써 일측 연결관에 정수기 배수호스를 연결한 연결구조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 연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멀티 연결구의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에 정수기 배수호스를 연결한 연결구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멀티 연결구의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에 정수기 배수호스를 연결한 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멀티연결구의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에 정수기 배수호스를 연결한 연결구조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가지 연결구의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에 정수기 배수호스를 연결한 연결구조의 결합 단면도, 도 8, 9, 10은 본 발명 가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로써 일측 연결관에 정수기 배수호스를 연결한 연결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연결구(1)(2)에 형성된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의 외주면에 내면이 접착 고정되는 원통상 볼트(10)와; 상기 원통상 볼트(10)의 단턱부(10a) 내측에 결합되는 고무패킹(20) 및; 상기 원통상 볼트(10)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상 너트(30)로 구성되어 상기 원통상 너트(30)의 중심부 구멍 통해 고무패킹(20)의 중심부 구멍 내로 삽입되는 정수기 배수호스(40)가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에 밀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연결구는 멀티 연결구(1) 또는 가지 연결구(2)이고, 연결관(11)은 상기 연결구(1)(2)에 형성된 다수의 연결관(11)이며,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에는 정수기 배수호스(40)를 연결한다.
상기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의 외주면에 내면이 접착 고정되는 상기 원통상 볼트(10)의 선단부는 내측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단턱부(10a)를 이루고 상기 단턱부(10a)의 내측에 고무패킹(20)의 걸림부(21)가 결합된다.
상기 고무패킹(20)은 걸림부(21)가 구비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정수기 배수호스(40)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상 볼트(10)에 나사결합되는 원통상 너트(30)는 일측 선단부가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절곡부(30a)를 이루고, 상기 절곡부(30a)의 단부가 다시 상기 원통상 너트(30)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그 내측이 절결되어 단면이 직삼각형상의 절곡부(30b)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 연결구(1)의 연결관(11)은 상부에 다수개가 형성(도 3 참조)되어 있으므로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에 정수기 배수호스(40)를 연결하고, 타측에는 메인 배수호스와 식기세척기의 배수호스와 세탁기의 배수호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하부 연결관에는 메인 배수호스를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 멀티 연결구(1)의 연결관(11)은 필요에 따라 연결관(11)을 더 적게 또는 더 많이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지 연결구(2)의 연결관(11)도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에 정수기 배수호스(40)를 연결하고, 타측에는 메인 배수호스와 식기세척기의 배수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하부 연결관에는 메인 배수호스를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 가지 연결구(2)의 연결관(11)도 필요에 따라 연결관(11)을 더 적게 또는 더 많이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에는 마개(15)의 연결링(16)이 연결 고정되는데, 상기 마개(15)는 연결링(16)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7)와, 상기 연장부(17)의 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부(18)로 구성된다.
상기 마개(15)는 정수기 청소 또는 필터 교환 등을 위하여 정수기 배수호스연결관(13)에서 정수기 배수호스(40)를 뽑았을 때, 상기 배수호스(40) 삽입 구멍에 마개(15)의 돌기부(18)를 삽입하여 배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15)는 연결링(16)으로 상기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에 연결되어 사용상 편리할 뿐만 아니라, 마개(15)를 잃어버릴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멀티연결관(11)과 가지 연결관(2)의 다른 실시예로써, 멀티 연결관(1)과 가지 연결관(2)에 별도의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을 형성하지 않고, 일반적인 연결관(11)만 형성한 경우에는 연결관(11)의 직경이 정수기 호스 연결관(13) 보다 커서 직경이 작은 상기 원통상 볼트(10)와 상기 원통상 볼트(10)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상 너트(30)를 결합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어답터를 개재하여 상기 원통상 볼트(10)를 결합하여야 한다.
즉, 하부에 끼움부(14)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돌출관(12')이 돌출 형성된 원판형상의 어답터(12)를 별도로 성형한 후, 상기 연결관(11)의 단부에 어답터(12)의 끼움부(14)를 삽입하여 접착제 등으로 고정한 후, 상기 어답터(12)의 돌출관(12') 외주면에 원통상 볼트(10)의 내면을 접착 고정하고, 상기 원통상 볼트(10)의 단턱부(10a) 내측에 고무패킹(20)을 결합한 후, 상기 원통상 너트(30)에 정수기 배수호스(40)를 삽입한 채로 상기 원통상 볼트(10)에 상기 원통상 너트(30)를 나사 결합하면 원통상 너트(30)가 고무패킹(20)을 밀면서 압압하게 되어 상기 원통상 너트(30)의 중심부 구멍 통해 고무패킹(20)의 중심부 구멍 내로 삽입되는 정수기 배수호스(40)가 연결관(11)에 밀봉 결합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정수기 배수 호스의 연결구조의 사용 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 연결구(1) 또는 가지 연결구(2)의 연결관(11)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먼저, 연결구의 일측 정수기 호스 연결관(13)에 마개(15)의 연결링(16)을 끼워 마개(15)를 연결 고정한다.
다음, 원통상 볼트(10)의 단턱부(10a)에 고무패킹(20)의 걸림부(21)를 결합하고, 상기 정수기 호스 연결관(13)의 외주면에 본드 등의 접착제를 칠한 후, 상기 원통상 볼트(10)의 내면을 끼워서 접착 고정한다.
다음, 상기 원통상 너트(30)의 중심부로 정수기 호스(40)를 삽입한 채로 원통상 볼트(10)에 너트(30)를 체결하면, 상기 정수기 호스(40)는 고무패킹(20)의 중심부 구멍에 삽입되고, 너트(30)가 나사 체결됨에 따라 너트(30)의 절곡부(30b)에서 내측으로 절결된 직삼각형 내측 부위가 고무패킹(20)을 밀면서 압압하게 되어 정수기 배수호스(40)가 고무패킹(20)에 의하여 압착되어 정수기 배수호스(40)가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에 밀봉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 9,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 연결구(1) 또는 가지 연결구(2)의 연결관(11)에는 별도로 성형된 어답터(2)를 개재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즉, 하부에 끼움부(14)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돌출관(12')이 돌출 형성된 원판형상의 어답터(12)를 별도로 성형한 후, 상기 연결관(11)의 단부에 어답터(12)의 끼움부(14)를 삽입하여 접착제 등으로 고정한 후, 상기 어답터(12)의 돌출관(12') 외주면에 원통상 볼트(10)의 내면을 접착 고정하고, 상기 원통상 볼트(10)의 단턱부(10a) 내측에 고무패킹(20)을 결합한 후, 상기 원통상 너트(30)에 정수기 배수호스(40)를 삽입한 채로 상기 원통상 볼트(10)에 상기 원통상 너트(30)를 나사 결합하면 상기 원통상 너트(30)의 중심부 구멍 통해 고무패킹(20)의 중심부 구멍 내로 삽입되는 정수기 배수호스(40)가 연결관(11)에 밀봉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멀티 연결구(1) 또는 가지 연결구(2)의 연결관(11) 또는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에 정수기 배수호스(40)를 연결하는 것은, 연결 구조가 단순하여 자재비가 절감되고, 연결 작업이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순한 작업으로 되어 배수호스의 연결 작업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고, 마개(15)가 제품 자체에 연결링(16)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어서 마개(15)를 잃어 버릴 염려가 없으며, 마개(15)로 인하여 정수기 청소, 필터교환 시에 악취를 방지할 수 있고, 원통상 볼트에 나사 체결되는 원통상 너트의 단부가 고무패킹을 밀면서 압압하여 정수기 배수호스가 밀봉 연결됨으로써 연결부에서 악취 및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원통상 볼트 10a : 단턱부
11 : 연결관 13 : 정수기호스 연결관 15 : 마개 16 : 연결링 20 : 고무패킹 21 : 걸림부
30 : 원통상 너트 30a, 30b : 절곡부
40 : 정수기 배수호스

Claims (7)

  1. 연결구(1)(2)에 형성된 일측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의 외주면에 내면이 접착 고정되는 원통상 볼트(10)와; 상기 원통상 볼트(10)의 단턱부(10a) 내측에 결합되는 고무패킹(20) 및; 상기 원통상 볼트(10)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상 너트(30)로 구성되어 상기 원통상 너트(30)의 중심부 구멍 통해 고무패킹(20)의 중심부 구멍 내로 삽입되는 정수기 배수호스(40)가 정수기 배수호스 연결관(13)에 밀봉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멀티 연결구(1) 또는 가지 연결구(2)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상 볼트(10)의 선단부는 내측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단턱부(10a)를 이루고 상기 단턱부(10a)의 내측에 상기 고무패킹(20)의 걸림부(2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20)은 걸림부(21)가 구비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상 너트(30)는 일측 선단부가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절곡부(30a)를 이루고, 상기 절곡부(30a)의 단부가 너트의 중심부 내측으로 다시 절곡되고 그 내측이 절결되어 단면이 직삼각형상의 절곡부(30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호스 연결관(13)에는 마개(15)의 연결링(16)이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2)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관(11)에는 하부에 끼움부(14)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돌출관(12')이 돌출 형성된 원판형상의 어답터(12)와; 상기 어답터(12)의 돌출관(12') 외주면에 내면이 접착 고정되는 원통상 볼트(10)와; 상기 원통상 볼트(10)의 단턱부(10a) 내측에 결합되는 고무패킹(20) 및; 상기 원통상 볼트(10)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상 너트(30)로 구성되어 상기 원통상 너트(30)의 중심부 구멍 통해 고무패킹(20)의 중심부 구멍 내로 삽입되는 정수기 배수호스(40)가 연결관(11)에 밀봉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KR1020110140452A 2011-12-22 2011-12-22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KR101399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452A KR101399645B1 (ko) 2011-12-22 2011-12-22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452A KR101399645B1 (ko) 2011-12-22 2011-12-22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850A true KR20130072850A (ko) 2013-07-02
KR101399645B1 KR101399645B1 (ko) 2014-05-27

Family

ID=4898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452A KR101399645B1 (ko) 2011-12-22 2011-12-22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6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216A (ko) 2018-07-06 2020-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KR20200106139A (ko) 2020-08-26 2020-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758U (ja) * 1997-04-22 1997-10-31 征次 梶本 排水漏れ防止装置
KR200165067Y1 (ko) 1999-07-22 2000-02-15 권윤노 관연결구
KR200317535Y1 (ko) 2003-04-09 2003-06-25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오수 및 우수 배수·배관용 연결구조
JP2006138461A (ja) 2004-11-10 2006-06-01 Kawai:Kk 既設管等接続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216A (ko) 2018-07-06 2020-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KR20200106139A (ko) 2020-08-26 2020-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645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8184B2 (ja) 排水ますの継手手段に適用される着脱機構
US10422114B2 (en) Sink drain with integrated trap and removable lower cover
US20130015388A1 (en) Valve for integrating into a sanitary appliance
KR101399645B1 (ko)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JP2008261183A (ja) 排水トラップ
KR10080974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장치
KR200461970Y1 (ko) 주방 배수 가이드용 연결구
KR20100045272A (ko) 싱크대 배수 유닛의 호스 연결 구조
CA3014794A1 (en) Detachable faucet connector
JP4590516B2 (ja) 槽体の排水器
JP2007138654A (ja) 排水トラップ
JP2011220013A (ja) 排水ますに適用される継手手段
JP2004360263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KR101274062B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의 개선구조 및 호스-커플링장치의 이용방법
JP2012180656A (ja) 逆流防止弁
JP2013011130A (ja) 排水トラップ
JP5285351B2 (ja) 排水ユニット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JP3230848U (ja) 防水パン用給水栓
CN217500420U (zh) 一种下水管
KR200482163Y1 (ko) 싱크대 배수호스용 멀티 커플링 어셈블리
JP3202968U (ja) 有効容量水位調整管付水槽
JP2011074702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CN212742754U (zh) 下水器管体连接器及具有该管体连接器的洗脸盆下水器
KR200457550Y1 (ko) 싱크대용 오버플로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